KR200488606Y1 - 먼지흡착기구 - Google Patents

먼지흡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606Y1
KR200488606Y1 KR2020170005975U KR20170005975U KR200488606Y1 KR 200488606 Y1 KR200488606 Y1 KR 200488606Y1 KR 2020170005975 U KR2020170005975 U KR 2020170005975U KR 20170005975 U KR20170005975 U KR 20170005975U KR 200488606 Y1 KR200488606 Y1 KR 200488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oreign matter
support
fine dus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선
Original Assignee
박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선 filed Critical 박양선
Priority to KR2020170005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6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먼지흡착기구에 관한 것으로, 지지대의 외면에 복수개의 성형돌부를 형성하고, 이 지지대 및 성형돌부 외면에 흡착물질을 도포하여, 이 지지대를 실내로의 공기 유입을 허용하는 창문 주변이나 혹은 실내의 화분에 꽂아,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실내 공간에서 순환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흡착물질에 흡착되도록 하여, 공기를 정화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흡착물질이 도포된 지지대를 창문 주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하여 먼지흡착기구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화분과 같은 다양한 물건에 꽂아서 다른 물건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장소 및 주변 물건의 상황에 맞게 설치가 가능하여,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착함과 동시에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지지대를 파지하여 흡착물질에 묻어있는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물에 씻어내는 단순 동작을 통해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따라,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먼지흡착기구{Dust adsorption tool}
본 고안은 먼지흡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대 및 성형돌부에 흡착물질을 도포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착물질에 흡착하는 먼지흡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안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내기 위하여, 창문에 금속망 또는 플라스틱망으로 이루어진 방충망을 설치한다.
이때, 이러한 방충망은 미세한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에따라, 이 미세 구멍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다가 메쉬 상에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걸림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미세먼지 차단필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 내측 테두리에 설치되는 필터시트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창문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이동된다.
즉, 상기 창문틀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필터시트를 거쳐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고, 이때, 상기 필터시트를 통과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가 필터시트에 걸러진 후 실내공간으로 유입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필터시트의 타공부를 통해 미세먼지 중 일부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어 실내공기가 오염될 우려가 있고, 프레임에 필터시트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필터시트를 탈, 부착할 수 없으며, 이때, 필터시트 고정으로 필터시트 상에 묻어있는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어렵고, 필터시트 상에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가 연속 적층되어 통풍효과가 저하와 동시에 필터시트 상에 묻어있는 이물질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6-0104130 A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대의 외면에 복수개의 성형돌부를 형성하고, 이 지지대 및 성형돌부 외면에 흡착물질을 도포하여, 이 지지대를 실내로의 공기 유입을 허용하는 창문 주변이나 혹은 실내의 화분에 꽂아,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실내 공간에서 순환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흡착물질에 흡착되도록 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먼지흡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먼지흡착기구는, 바 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성형돌부; 상기 지지대 및 성형돌부를 감싸도록 도포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흡착물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먼지흡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성형돌부 외면에는 상기 흡착물질이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성형돌부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먼지흡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성형돌부는 원형, 반원형, 타원형상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먼지흡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와 직교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바 형상의 걸이부를 더 형성하여, 이 걸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매달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흡착물질이 도포된 지지대를 창문 주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하여 먼지흡착기구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화분과 같은 다양한 물건에 꽂아서 다른 물건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장소 및 주변 물건의 상황에 맞게 설치가 가능하여,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착함과 동시에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지지대를 파지하여 흡착물질에 묻어있는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물에 씻어내는 단순 동작을 통해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따라,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먼지흡착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흡착기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먼지흡착기구가 화분에 꽂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흡착기구가 걸이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10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00)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00)의 외면에는 흡착물질(300)이 도포된다.
상기 지지대(100) 외면에는 상기 흡착물질(300)이 상기 지지대(100)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부(101)를 더 형성한다.
상기 걸림돌부(101)는 상기 지지대(100) 외면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성형돌부(200)는 상기 지지대(100)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성형돌부(200)의 외면에는 상기 흡착물질(130)이 도포된다.
상기 성형돌부(200)는 상기 지지대(100) 외면에서 정해진 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성형돌부(200) 외면에는 상기 흡착물질(300)이 상기 성형돌부(200)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부(201)를 더 형성한다.
상기 성형돌부(200)는 원형, 반원형, 타원형상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되고, 사용자에 의해 나뭇잎형상, 꽃형상, 곤충형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흡착물질(300)은 상기 지지대(100) 및 성형돌부(200)를 감싸도록 도포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착한다.
상기 흡착물질(300)은 상기 지지대(100) 및 성형돌부(200) 주변을 거쳐 지나가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착하여, 공기를 정화한다.
상기 흡착물질(300)은 상기 지지대(100) 및 성형돌부(200)에 들러붙어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반고체 상태의 끈끈한 점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물질(300)은 시중에서 아이들의 장난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액체성물질(예컨대, 액체괴물 또는 젤리괴물)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물풀, 베이킹소다, 렌즈세척액의 조합으로 제작된 액체성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착물질(300)은 상기 지지대(100)의 걸림돌부(101) 및 상기 성형돌부(200)의 걸림돌부(201)에 걸림되어, 상기 지지대(100) 및 상기 성형돌부(200)에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흡착기구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지지대(100)의 외면 및 상기 성형돌부(200)에 흡착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흡착물질(300)이 상기 지지대(100) 및 상기 성형돌부(200)에 도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0) 및 상기 성형돌부(200)는 그 외면에 복수개의 걸림돌부(101, 201)를 형성하고, 이 걸림돌부(101, 201)에 상기 흡착물질(300)이 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대(100) 및 상기 성형돌부(200)에 상기 흡착물질(300)이 도포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흡착물질(300)은 반고체 상태의 끈끈한 점성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대(100) 및 상기 성형돌부(200)에 도포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먼지흡착기구를 실내공간에 구비된 화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지흡착기구의 지지대(100)를 화분에 꽂아 넣어 상기 지지대(100)가 화분 상에 꽂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화분에 복수개의 먼지흡착기구를 꽂아 넣음으로써, 먼지흡착기구가 화분 상에 밀집된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00)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성형돌부(200)의 형상은 나뭇잎형상 또는 꽃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외면에 흡착물질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화분에 꽂힘된 복수개의 먼지흡착기구 주변으로 실내공기가 순환되면, 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지지대(100) 및 상기 성형돌부(200)를 거쳐 지나가고, 이때, 상기 지지대(100) 및 상기 성형돌부(200)에 도포된 상기 흡착물질(300)에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들러붙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걸러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먼지흡착기구 주변으로 실내공기가 연속하여 순환되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연속하여 상기 흡착물질(300)에 들러붙고, 이에따라, 공기가 정화되는 것이다.
한편, 먼지흡착기구를 공기의 유입이 잦은 창문 주변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창문 주변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바 형상의 걸이부(110)를 구비하고, 이 걸이부(1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지지대(100)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100)가 하방으로 처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0)는 상기 걸이부(110) 외면에 끈 또는 밴드에 의해 매달리도록 설치되고, 특히, 상기 지지대(100)는 상기 걸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00) 사이의 간격은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흡착물질(300)에 흡착되는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이부(110)에 매달린 복수개의 상기 지지대(100)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게 되면, 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지지대(100) 및 상기 성형돌부(200)에 도포된 상기 흡착물질(300)에 흡착되고, 이에따라,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실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물질(300)에 흡착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0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흡착물질(300)에 뭍어 있는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물로 씻어 내는 단순 과정을 통해 상기 흡착물질(300)에 뭍어 있는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흡착물질(300)이 도포된 먼지흡착기구를 화분에 설치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내거나 혹은 창문 주변에 늘어지도록 설치하여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공기의 유입이 잦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100) 및 성형돌부(200)에 흡착물질(300)을 도포하여, 지지대(100) 및 성형돌부(200)를 지나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흡착물질(300)에 흡착되도록 하는 구조는, 흡착물질(300)이 도포된 지지대(100)를 창문 주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하여 먼지흡착기구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화분과 같은 다양한 물건에 꽂아서 다른 물건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장소 및 주변 물건의 상황에 맞게 설치가 가능하여,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착함과 동시에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지지대(100)를 파지하여 흡착물질(300)에 묻어있는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물에 씻어내는 단순 동작을 통해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먼지흡착기구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지지대 101, 201 : 걸림돌부
200 : 성형돌부 300 : 흡착물질
110 : 걸이부

Claims (4)

  1. 바 형상으로, 외면에 흡착물질(300)이 지지대(100)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부(101)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100)와 직교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바 형상의 걸이부(110)를 더 형성하여, 이 걸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매달리도록 형성된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고, 외면에 흡착물질(300)이 성형돌부(200)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부( 201)를 형성한 성형돌부(200);
    물풀, 베이킹소다, 렌즈세척액의 조합으로 제작된 반고체 상태의 끈끈한 점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100) 및 성형돌부(200)를 감싸도록 도포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흡착물질(3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흡착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돌부(200)는
    원형, 반원형, 타원형상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흡착기구.





  4. 삭제
KR2020170005975U 2017-11-23 2017-11-23 먼지흡착기구 KR200488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975U KR200488606Y1 (ko) 2017-11-23 2017-11-23 먼지흡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975U KR200488606Y1 (ko) 2017-11-23 2017-11-23 먼지흡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606Y1 true KR200488606Y1 (ko) 2019-02-27

Family

ID=6551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975U KR200488606Y1 (ko) 2017-11-23 2017-11-23 먼지흡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60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471B2 (ja) * 1996-11-14 2000-07-3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抗菌剤でコートされたヒドロゲル形成吸収ポリマー
JP2003310423A (ja) * 2002-04-25 2003-11-05 Ryozo Hayashi 大気浄化と冷房能力のある金属製簾
KR200461584Y1 (ko) * 2009-12-15 2012-07-23 경기도 장식용 미니 화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471B2 (ja) * 1996-11-14 2000-07-3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抗菌剤でコートされたヒドロゲル形成吸収ポリマー
JP2003310423A (ja) * 2002-04-25 2003-11-05 Ryozo Hayashi 大気浄化と冷房能力のある金属製簾
KR200461584Y1 (ko) * 2009-12-15 2012-07-23 경기도 장식용 미니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4588B (zh) 多功能室内除污植物墙
KR101724042B1 (ko)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CA2441355C (en) Window covering sample display device and method
KR20170051090A (ko)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KR200488606Y1 (ko) 먼지흡착기구
US20100032536A1 (en) Interchangeable window treatment apparatus
BR102015018700A2 (pt) Filtro com selo magnético
KR20150043771A (ko) 화분조립체
US9861222B2 (en) Hangable apparatu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KR102641694B1 (ko) 주방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시스템
KR101981278B1 (ko) 선풍기용 공기 정화커버
KR101429337B1 (ko) 공기 청정 분수 화분
KR20160111552A (ko) 카트리지형 탈취필터
DK1684889T3 (da) Monteringsapparat til et filterelement
CN208536166U (zh) 柜式杀菌空调器
KR101904138B1 (ko) 비공 삽입 필터형 마스크
CA202936S (en) Glass filter with 3 indents
ES2746524T3 (es) Absorbedor de humedad
KR102108407B1 (ko) 미세먼지 유입방지 방충망
CN209763458U (zh) 一种具有杀菌效果的空调过滤网
KR200247003Y1 (ko) 작물 재배 시설용 공기 정화기
KR101938811B1 (ko) 선풍기용 공기 정화커버
CN104390282A (zh) 画框式室内空气生物净化器
JP3208803U (ja) 額縁
KR200470730Y1 (ko) 벽걸이형 식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