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467Y1 - 채소용 재배틀 - Google Patents

채소용 재배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467Y1
KR200488467Y1 KR2020170001985U KR20170001985U KR200488467Y1 KR 200488467 Y1 KR200488467 Y1 KR 200488467Y1 KR 2020170001985 U KR2020170001985 U KR 2020170001985U KR 20170001985 U KR20170001985 U KR 20170001985U KR 200488467 Y1 KR200488467 Y1 KR 200488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riction surface
vegetable
vegetable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093U (ko
Inventor
송우람
Original Assignee
송우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우람 filed Critical 송우람
Priority to KR2020170001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46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4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소용 재배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소를 일정한 형상 및 크기로 재배되도록 하되, 채소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할 때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채소의 수확시기를 알려줌과 동시에 재배틀의 손상을 방지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채소용 재배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채소가 배치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며 채소의 줄기가 삽입되는 줄기인입홈 및 상기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개의 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2개의 분체로 이루어져 상기 각 분체가 상호 맞닿아 일정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분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결합구와, 타측 분체에 형성된 결합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결합수단과,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서 재배되는 채소가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몸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2개의 분체 중 어느 일측의 분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마찰면과, 타측의 분체에 형성되어 상기 마찰면에 맞닿아 지지되다가 상기 공간부에 배치된 채소의 성장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마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소용 재배틀{Vegetable growing cover}
본 고안은 채소용 재배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소를 일정한 형상 및 크기로 재배되도록 하되, 채소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할 때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채소의 수확시기를 알려줌과 동시에 재배틀의 손상을 방지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채소용 재배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야채는 들이나 산에서 자생적으로 자라는 식물의 통칭하고, 채소는 사람이 밭에 씨나 묘목을 심은 후 관리하여 수확하는 것을 말한다.
본 고안은 채소의 재배시 재배되는 채소가 일정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재배하는 채소용 재배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밭에서 재배하는 채소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재배됨으로써 각종 벌레 및 조류 등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재배됨으로써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오이, 가지, 애호박 등과 같이 길이 및 형태에 의해 가격의 상품성 및 등급이 결정되는 채소는 성장하면서 영양분이 공급되는 줄기측으로 구부러지면서 성장하게 되므로 상품성이 떨어지고, 채소를 수확시기에는 각각의 채소가 성장한 크기 및 형태가 상이하여 이를 크기별로 분리하여 포장해야 하므로 이를 위한 추가적인 인건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66779호(1999.10.28.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오이재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투명한 합성수지제로 내측에는 원통형의 공간부를 가지며, 외측으로는 날개부를 가진 본체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는 절반의 형태가 서로 대칭되게 체결되며 본체의 공간부에는 상단에 오이가 매달린 가지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하단에는 통풍구가 형성되며 내표면에는 글씨새김부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날개부에는 돌기 및 요홈과 또 다른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본체 상단에는 고리가 형성된 것이다.
이를 통해 일정한 크기의 오이를 재배하고, 재배시 조류 및 벌레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오이가 성장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보호커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자가 보호커버를 개별적으로 확인해야만 오이의 수확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등록실용신안 제20-0166779호(1999.10.28.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오이, 가지 등과 같은 채소를 일정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도록 재배하되, 수확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면 재배틀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수확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성장하는 채소에 의해 재배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배틀을 재사용할 수 있음으로 인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채소용 재배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채소가 배치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며 채소의 줄기가 삽입되는 줄기인입홈 및 상기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개의 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2개의 분체로 이루어져 상기 각 분체가 상호 맞닿아 일정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분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결합구와, 타측 분체에 형성된 결합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결합수단과,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서 재배되는 채소가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몸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2개의 분체 중 어느 일측의 분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마찰면과, 타측의 분체에 형성되어 상기 마찰면에 맞닿아 지지되다가 상기 공간부에 배치된 채소의 성장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마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는, 상기 마찰면과 맞닿도록 수직하게 배치된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하여 임의로 몸체를 분리하도록 하는 누름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면은, 상기 마찰면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마찰면이 지지면을 가압하면서 소정의 위치까지 개방되면 이후는 지지면이 마찰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마찰면이 형성된 분체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채소를 일정한 형상 및 크기로 재배되도록 하되, 채소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할 때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채소의 수확시기를 알려줌과 동시에 재배틀의 손상을 방지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품성이 우수한 채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채소용 재배틀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채소용 재배틀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채소용 재배틀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채소용 재배틀이 채소의 성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표현한 개략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채소용 재배틀(1)은, 몸체(10)와, 결합수단(20)과,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채소가 배치되는 공간부(13)와, 상기 공간부(13)와 외부를 연통시키며 채소의 줄기가 삽입되는 줄기인입홈(14) 및 상기 공간부(13)와 외부를 연통시켜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개의 통공(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2개의 분체(11,12)로 이루어져 상기 각 분체가 상호 맞닿아 일정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배치된 채소가 하트, 별 등의 외형을 가지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분체(11,12)가 닫혔을 때 횡단면의 형상이 하트 또는 별의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13)는, 채소가 배치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성장하는 채소의 횡단면의 형태가 하트 또는 별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각각의 분체에 형성된 공간부(13)는 닫힌 상태에서 하트 또는 별 등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줄기인입홈(14)은, 상기 몸체(10)의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공간부(13)에 배치된 채소의 줄기가 삽입되는 것으로, 통상 채소의 줄기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수확시기의 채소 줄기의 직경에 비해 2~3mm 이상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수확시기의 채소 중 오이의 줄기 직경은 대략 10~12mm 사이의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줄기인입홈(14)의 직경은 14~17mm 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줄기의 손상을 방지하여 채소로 전달되는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하고 동시에 줄기와 줄기인입홈(14)사이의 공간을 통해 벌레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통공(15)은, 상기 몸체(10)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공간부(13)와 외부 공간을 연통시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채소에 성장에 필요한 습기 및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각각의 분체(11,12)에 나란히 배치되되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재배하는 채소에 따라 상기 통공의 개수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에는 재배되는 채소의 표면에 글씨를 새기기 위한 글씨새김부(16)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글씨새김부(16)는 몸체(10)의 내면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가지 등과 같이 외피의 색상이 짙은 경우 상기 글씨새김부(16)를 상기 몸체(10)에서 불투명하게 처리하여 채소의 표면에 글씨가 새겨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20)은, 상기 2 개의 분체(11,12)로 이루어진 몸체(10)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체(11,12)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결합구(21)와, 타측 분체에 형성된 결합턱(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구(21)는,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더 정확하게는 상기 분체(11,12)의 공간부(13)의 테두리 측에 형성되어 2개의 분체(11,12)가 상호 맞닿을 때 맞닿는 면을 고정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된 상부분체(11)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결합구(21)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치된 하부분체(12)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결합턱(2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21)가 결합턱(22)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부분체(11)와 하부분체(12)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구(21)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가압편(211)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편(211)의 반대측에 가압편(211)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212)이 더 형성된다.
상기 가압편(211)은 사용자가 2개의 분체(11,12)를 상호 결합 또는 임의로 분리하고자 할 때 상방에서 가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걸림턱(212)은 상기 결합턱(22)의 저면에 맞닿아 지지되면서 결합구(21)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턱(22)은, 상기 결합구(21)에 진입은 용이하고 진입 후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13)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면(2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걸림턱(212)은 결합턱(22)으로 진입시 상기 경사면(213)이 결합턱(22)에 맞닿으면서 진입하여 진입이 용하고, 상기 경사면(213)을 통과한 후 상기 걸림면(214)이 결합턱(22)의 저면에 맞닿아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21)는 결합턱(22)에 진입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몸체(10)와 동일하게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턱(22)은 몸체(10)를 형성하는 2 개의 분체 중 상기 결합구(21)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 분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하방에 배치된 하방분체(11,12)의 상방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213)에 대응하는 대응경사면(22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면(214)이 맞닿아 지지되는 대응걸림면(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턱(22)은 상기 결합구(2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경사면(213) 및 대응경사면(221)에 의해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적은 힘으로도 결합이 가능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임의로 분리하고자 할 때 일정한 힘을 상기 가압편(211)에 가하여 걸림면(214)이 대응걸림면(222)의 하방으로 이동 후 상부분체(11)를 들어올리도록 하여 임의로 분리는 어렵게 하고, 일정한 힘이 필요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야생 또는 가축이나 애완동물 등에 의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몸체(10)의 공간부(13)에서 재배되는 채소가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몸체(10)를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2개의 분체(11,12) 중 어느 일측의 분체(11,12)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마찰면(31)이 형성되고, 타측의 분체(11,12)에는 상기 마찰면(31)에 맞닿아 지지되다가 상기 공간부(13)에 배치된 채소의 성장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마찰면(31)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지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찰면(31)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분체(11)의 일측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구(3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분체(12)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되 상부분체(11)가 하부분체(12)와 맞닿아 몸체(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마찰면(31)과 맞닿도록 상기 상부분체(11)를 향해 수직하게 배치된 지지면(321)과, 상기 지지면(321)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하여 임의로 몸체를 분리할 때 사용하는 누름편(3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면(321)은, 상기 마찰면(31)과 맞닿아 마찰에 의해 상부분체(11)와 하부분체(1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공간부(13)에 배치된 채소가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이 상기 마찰면(31)이 점진적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채소가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재배되는 경우 즉 상기 공간부(13)를 채운 후 더욱 성장하는 경우 상기 마찰면(31)이 지지면(321)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마찰면(31)과 지지면(321)이 이격되면서 상부분체(11)가 상방으로 개방된다.
이때, 상기 지지면(321)은 상기 마찰면(31)이 상방으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마찰면(31)으로부터 이격되지 아니하여 몸체(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찰면(31)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간부(13)에서 재배되는 채소가 수확시기가 되어 몸체를 개방시켜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를 형성하는 2개의 분체가 개방되어야 하는데, 상기 지지면(321)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마찰면(31)과 맞닿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상기 공간부에 배치된 채소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몸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지지면(321)을 상기 마찰면(31)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마찰면(31)이 지지면(321)을 가압하면서 소정의 위치까지 개방되면 이후는 지지면(321)이 마찰면(31)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마찰면(31)이 형성된 상부분체(11)가 하부분체(12)로부터 개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채소용 재배틀
10 : 몸체 11 : 상부분체
12 : 하부분체 13 : 공간부
14 : 줄기인입홈 15 : 통공
20 : 결합수단 21 : 결합구
22 : 결합턱 221 : 가압편
222 : 걸림턱 213 : 경사면
214 : 걸림면 221 : 대응경사면
222 : 대응걸리면
30 : 지지수단 31 : 마찰면
32 : 지지구 321 : 지지면
322 : 누름편

Claims (3)

  1. 채소가 배치되는 공간부(13)와, 상기 공간부(13)와 외부를 연통시키며 채소의 줄기가 삽입되는 줄기인입홈(14) 및 상기 공간부(13)와 외부를 연통시켜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개의 통공(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2개의 분체(11,12)로 이루어져 상기 각 분체가 상호 맞닿아 일정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분체(11,12)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결합구(21)와, 타측 분체에 형성된 결합턱(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결합수단(20);과,
    상기 몸체(10)의 공간부(13)에서 재배되는 채소가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몸체(10)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0)를 형성하는 2개의 분체(11,12) 중 어느 일측의 분체(11,12)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마찰면(31)과,
    타측의 분체(11,12)에 형성되어 상기 마찰면(31)에 맞닿아 지지되다가 상기 공간부(13)에 배치된 채소의 성장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마찰면(31)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지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지수단(30)이 구비되되,
    상기 지지구(32)는,
    상기 마찰면(31)과 맞닿도록 수직하게 배치된 지지면(321)과,
    상기 지지면(321)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하여 임의로 몸체를 분리하도록 하는 누름편(32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321)은,
    상기 마찰면(31)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마찰면(31)이 지지면(321)을 가압하면서 소정의 위치까지 개방되면 이후는 지지면(321)이 마찰면(31)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마찰면(31)이 형성된 분체(11,12)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용 재배틀.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1985U 2017-04-20 2017-04-20 채소용 재배틀 KR200488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85U KR200488467Y1 (ko) 2017-04-20 2017-04-20 채소용 재배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85U KR200488467Y1 (ko) 2017-04-20 2017-04-20 채소용 재배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93U KR20180003093U (ko) 2018-10-30
KR200488467Y1 true KR200488467Y1 (ko) 2019-02-07

Family

ID=6404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985U KR200488467Y1 (ko) 2017-04-20 2017-04-20 채소용 재배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46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56Y1 (ko) 2004-07-29 2004-10-21 조성래 오이, 가지 등의 생육 재배기
KR200439823Y1 (ko) * 2007-08-31 2008-05-07 김병수 원터치로 전체가 개폐되는 오이 재배용 성장 안내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779Y1 (ko) 1999-07-15 2000-02-15 최효근 오이재배용보호커버
KR20090000061U (ko) * 2007-06-29 2009-01-07 변용찬 농작물 재배틀용 줄기 자동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56Y1 (ko) 2004-07-29 2004-10-21 조성래 오이, 가지 등의 생육 재배기
KR200439823Y1 (ko) * 2007-08-31 2008-05-07 김병수 원터치로 전체가 개폐되는 오이 재배용 성장 안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93U (ko)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8798B2 (en) Vertically separating plant pot
CN100539826C (zh) 用于培植黄瓜、茄子等的装置
KR20150130898A (ko) 화분식 묘목 생산용 기구
JP2014018110A (ja) 水耕栽培装置
CN207284383U (zh) 一种林业树苗培育装置
CN207099870U (zh) 防止油樟苗根系挤压的育苗容器
KR200488467Y1 (ko) 채소용 재배틀
EP3148320B1 (en) Systems for cultivating plants with aerial roots
EP3445156B1 (en) Horticultural apparatus
CN204047354U (zh) 快速脱模育苗盘
KR101348883B1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KR200438046Y1 (ko) 버섯 재배 용기
CN203226166U (zh) 一种微型养虫笼
CN107494040A (zh) 一种适应根系生长的育苗容器
US10674678B1 (en) Flower pot for transplantation
CN206005422U (zh) 一种可调式植物水培托盘
CN207911501U (zh) 一种网格式水稻育苗盘
CN204811383U (zh) 一种插接式穴盘
KR200390125Y1 (ko) 관상용 식물 배양의 장식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관상용식물 배양용기
CN110537482A (zh) 带护水圈、种托盘家植水培器
CN217770969U (zh) 一种耐用的农业育苗盘
CN203801391U (zh) 幼苗发芽培育用的全降解控根容器
CN210247678U (zh) 一种用于草莓苗种植的易于移栽的育苗盘
CN212087197U (zh) 一种促根育苗盘
CN207767008U (zh) 一种造林配套育苗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