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317Y1 - A salt field pusher for a drawbar apparatus - Google Patents

A salt field pusher for a drawba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317Y1
KR200488317Y1 KR2020180004834U KR20180004834U KR200488317Y1 KR 200488317 Y1 KR200488317 Y1 KR 200488317Y1 KR 2020180004834 U KR2020180004834 U KR 2020180004834U KR 20180004834 U KR20180004834 U KR 20180004834U KR 200488317 Y1 KR200488317 Y1 KR 200488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coupled
salt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8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Priority to KR2020180004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1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1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염전 바닥에 석출된 소금을 밀어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한 견인장치용 소금밀대에 대한 것으로, 장방형 판의 하부에 단면이 "∩"형인 브러쉬 삽입구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부 지지리브와 하부 지지리브가 형성되어 지지리브들 사이에 슬롯이 형성된 중앙 밀판; 상기 중앙 밀판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단면이 "∩"형인 브러쉬 삽입구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부 지지리브와 하부 지지리브가 형성되어 지지리브들 사이에 슬롯이 형성된 한쌍의 측면 밀판; 상기 브러쉬 삽입구에 삽입되고, 상부에 단면이 "∩"형인 브라켓에 다수의 모가 식재되어 상기 브러쉬 삽입구에 삽입되는 브러쉬; 상기 중앙 밀판과 측면 밀판의 후방에 형성된 슬롯에 결합되고, 중앙부와 외측부로 구성된 "ㄷ"자형 밀판고정대; 상기 "ㄷ"자형 밀판고정대에 일측이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 한쌍의 지지대; 상기 한쌍의 지지대의 타측에 양측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손잡이봉; 상기 한쌍의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대; 상기 한쌍의 지지대의 타측에 상부로 결합된 아치형 가습받이; 및 상기 보강대의 양측에 결합된 한쌍의 주행바퀴;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t plunger for a pulling device for collecting salt precipitated on a salt floor and collecting it in one place. The brush plunger having a cross section of "∩" type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ctangular plate, A centering plate having an upper support rib and a lower support rib formed therein and having slots formed between the support ribs;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support rib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pla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slots are formed between the support ribs, Side plate; A brush which is inserted into the brush inserting hole and has a plurality of mosquitoes arranged on a bracket having a cross section of an "? " A "C" -shaped plate holder coupled to the slot formed at the rear of the center plate and the side plate,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and an outer portion; A pair of supports mounted on the "C" A handle bar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pair of support rods; A reinforcing bar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An arched humidifi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upports; And a pair of traveling wheel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ar.

Description

견인장치용 소금밀대{A salt field pusher for a drawbar apparatus}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t field pusher for a drawbar apparatus,

본 고안은 염전 바닥에 석출된 소금을 밀어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한 소금밀대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콘으로 작동되는 소금수집용 로프 견인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바퀴가 결합되어 소금밀대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지 않고도 한손으로도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 수시로 리보콘 조작을 할 수 있으며, 힘들이지 않고 많은 양의 소금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 견인장치용 소금밀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t pan for collecting salt deposited on a salt floor and collecting it in one place. More specifically, the wheel is combined for use with a remote control-operated salt collecting rope trac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t plunger for a trac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table operation with one hand without being caught by a user and capable of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salt without being laborious and capable of performing ribocon operation from time to time.

해안가 인근에 있는 염전에서는 논처럼 조성된 격자형 가두리에 바닷물을 유입하고, 여러 날 동안 햇볕과 바람에 증발시켜 천일염을 생산하고 있다. 소금은 여러 단계의 증발과정을 거친 후 생산되어 소금창고로 옮겨지는데, 이 과정에서 결정지에 생성된 소금을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해 넓적한 판에 긴 자루가 달린 밀대로 소금을 밀어 소금대차가 지나다니는 소로측으로 소금을 수집하는 작업이 행해진다.In the tidal field near the coast, sea water is introduced into a grid-shaped cage formed like a rice paddy, and sunflowers are produced by evaporation in the sun and wind for several days. The salt is produced after several stages of evaporation and is transferred to the salt warehouse. In this process, the salt is transported by pushing the salt with a long bag on a plate, The operation of collecting the salt is performed.

이러한 밀대 작업은 보통 인력으로 행해졌는데, 장년층이 대부분인 염전 근로자들의 노동부담을 줄이기 위해 여러 형태의 염전용 밀대들이 개발되어 왔다. 전기 구동장치를 이용한 소금수집장치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1614호, 본 출원인이 개발한 축전지와 전동기를 갖춘 전동 소금밀대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61489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1093호, 밀대판과 손잡이봉(230) 등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3632호 등이 이와 관련된 기술의 일례들이다. 공개특허 제10-2013-0121614호의 작업자가 탑승하여 소금을 수집할 수 있는 3륜 전동카와 본 출원인이 선 등록한 10-1361489호와 등록특허 10-1541093호는 축전지와 독자적인 전동기를 갖춘 전기구동 소금밀대들로서, 이와 같은 전동 밀대들은 축전지와 자체적인 동력발생기가 탑재되어 무게가 무거우므로 무거운 하중을 이용해 소금을 모우는데 도움이 되므로 이를 겨울 건조기를 거쳐 습기가 적은 봄철에 소금 결정지에 사용하는 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장마철을 거쳐 여름으로 진행하면, 일사량이 많아지고 채염조건이 좋아져 거듭된 채염작업으로 결정지 바닥의 습기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지하에서 용출되어 결정지 바닥이 물렁거리기 시작하면서 결정지 바닥에 깔린 장판이 찢어지거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므로 더 이상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Such pushing work has been done with the usual manpower, but various types of salt pad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labor burden of the tongue workers, who are mostly elderl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3611214, which is a salt collecting device using an electric driving device, Korean Patent No. 10-1361489, which is an electric salt paddle equipped with a battery and an electric motor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Korean Patent No. 10-1541093, And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3632, which comprises a plunger plate and a handle bar (230), are examples of the related art. 10-1361489 and 10-1541093, which are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isclose a three-wheeled electric car capable of collecting salt by the operator of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21614, and an electric driven salt paddle equipped with a battery and an independent electric motor These electric mills are loaded with batteries and their own power generators, so they are heavy, so they help to collect the salt by using heavy load. Therefore, it is not a good idea to use it for salt crystals in spring with low humidity through winter dryer However, if it goes through the rainy season and goes to summer,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is increased and the condition of compaction is improved. The humidity of the bottom of the ground is eluted from the basement by the capillary phenomenon, It is difficult to use it because it may be torn or damaged. The.

장마철 이후에 결정지의 바닥이 물러지면 전동밀대의 투입이 어렵게 된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0952호와 같은 소금밀대 견인장치이다. 소금밀대 견인장치는 제방 둑에 로프릴을 갖춘 동력장치를 설치하여 로프를 이용해 기존의 수동식 소금밀대를 끌어당겨 소금을 모을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 이를 이용해 장마철이 지나더라도 채염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체력부담을 덜 수 있으나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473632호와 같은 수동식 소금밀대는 한 사람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도구로 견인장치에 결합하여 많은 양의 소금을 수집하기에는 견고하지 못해 부서지기 쉬우며, 손잡이 봉을 두손으로 잡고 작업을 해야 하므로 별도로 구비된 리모콘을 조작하면서 작업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t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difficulty of inputting the electric ball when the floor of the decision paper is retreated after the rainy season, as in the Korean Patent No. 10-1720952. The salt pans towing device is a device that is equipped with a rope reel with a rope reel at the embankment and pulls the existing hand-operated salt pens using rope to collect the salt. A hand-operated salt dipper, such as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73632, is a tool suitable for one person, which is difficult to combine with a traction device to collect a large amount of salt and is liable to break, So that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remote controller separately.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161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2161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61489호Korean Patent No. 10-136148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1093호Korean Patent No. 10-154109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3632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7363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0952호Korean Patent No. 10-172095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견인장치에 연결하여 많은 양의 소금을 밀더라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고 작업효율이 높으며, 항상 두손을 잡고 있지 않더라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두손의 몰입도를 낮춰 견인장치를 조작하는 리모콘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 중 실수로 밀대가 결정지의 제방 둑에 충돌하더라도 장판이나 밀대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염전용 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immersion of two hands so that work can be performed even when two hands are not always hel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lt-only plunger in which a remote control for operating a pulling device can be easily used and a shock applied to a platen or a plunger can be relieved even if the plunger accidentally collides with the plunger of the determined paper during opera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장방형 판의 하부에 단면이 "∩"형인 브러쉬 삽입구(130)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부 지지리브(140)와 하부 지지리브(150)가 형성되어 지지리브들 사이에 슬롯(160)이 형성된 중앙 밀판(100); 상기 중앙 밀판(100)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단면이 "∩"형인 브러쉬 삽입구(130)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부 지지리브(140)와 하부 지지리브(150)가 형성되어 지지리브들 사이에 슬롯(160)이 형성된 한쌍의 측면 밀판(120); 상기 브러쉬 삽입구(130)에 삽입되고, 상부에 단면이 "∩"형인 브라켓에 다수의 모가 식재되어 상기 브러쉬 삽입구(130)에 삽입되는 브러쉬(190); 상기 중앙 밀판(100)과 측면 밀판(120)의 후방에 형성된 슬롯(160)에 결합되고, 중앙부와 외측부로 구성된 "ㄷ"자형 밀판고정대(200); 상기 "ㄷ"자형 밀판고정대(200)에 일측이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 한쌍의 지지대(210); 상기 한쌍의 지지대(210)의 타측에 양측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손잡이봉(230); 상기 한쌍의 지지대(210)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대(270); 상기 한쌍의 지지대(210)의 타측에 상부로 결합된 아치형 가습받이(300); 및 상기 보강대(270)의 양측에 결합된 한쌍의 주행바퀴(330);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rush inserting hole 130 having a cross section of a cross sect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a rectangular plate, A center plate (100) having a slot (160)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ribs (150); The upper support rib 140 and the lower support rib 15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entering plate 100 and have a brush inserting hole 130 having a cross section of an inverted U shape. A pair of side plates (120) formed with slots (160) between the supporting ribs; A brush 190 inserted into the brush inserting port 130 and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on a bracket having a cross section of an inverted U-shaped cross section and inserted into the brush inserting port 130; A "C" -shaped plate holder 200 coupled to the slot 160 formed at the rear of the center plate 100 and the side plate 120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and an outer portion; A pair of supports 210 coupled to the " C "-shaped plate holder 2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handle bar 23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upports 210 so as to protrude from both sides; A reinforcing bar 270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210; An arched humidifier 30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upports 210; And a pair of traveling wheels (33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ar (270).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는 한쌍의 지지대로 구성된 견고한 구조와 주행바퀴를 갖춰 견인장치에 결합되어 많은 양의 소금을 수집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않아 소금수집의 효율성이 개선되고, 안정적인 구조에 의해 밀대 작업 중 한손을 놓고 리모컨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소금을 밀고 난 후 후진할때 주행바퀴를 이용하므로 작업자의 체력부담이 경감되고, 측면 밀판에 완충바퀴가 구비되어 작업 중 밀대가 제방에 접촉하더라도 충격이 완화되어 제방이나 밀대의 손상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lt plunger for a traction device has a rigid structure composed of a pair of support rods, and is coupled to a traction device having a driving wheel so that even when a large amount of salt is collected,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the salt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smoothly operate the remote control by placing one hand during the pushing operation. Since the driving wheel is used when pushing back after pushing the salt, the worker's physical load is relieved and the cushion is provided on the side plate. The impact is alleviated even when the contact is made, thereby reducing damage to the bank or the plunger.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의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 주요부의 확대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alt platen for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alt platen for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 salt plunger for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a salt mound for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alt plunger for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alt pan for a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alt pan for a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a salt pan for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는, 크게 중앙 밀판(100)과 측면 밀판(120), 중앙 밀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러쉬(190), "ㄷ"자형 밀판고정대(200), 밀판고정대에 결합된 한쌍의 지지대(210), 손잡이 및 지지대에 결합된 주행바퀴(330)로 구성되어 견인장치의 로프나 와이어가 지지대(210)에 연결되어 견인장치의 힘으로 소금을 수집하기 위한 장치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salt platen for a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plate 100 and a side plate 120, a brush 19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plate, And a traveling wheel 330 coupled to the handle and the support so that the rope or wire of the trac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210 and the force of the traction device It is a device for collecting salt.

본 고안의 주된 용도가 사람의 힘이 아닌 견인장치의 동력을 이용해 소금을 수집하기 위한 밀대로, 사람의 힘으로 소금을 모으는 소금밀대에 비해 크고 견고하게 구성되고, 불의의 사고방지를 위한 안전장치가 부착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not to use human power, but to use the power of the traction device to collect the salt, and to make it stronger and stronger than the salt pans that collect the salt by the power of man, Respectively.

본 고안의 중앙 밀판(100)은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두께가 얇은 스테인레스 강 등의 장방형 판으로 제작되고, 하부에는 소금수집 작업 중 결정지의 바닥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빗자루 형상의 브러쉬(190)를 장착시키기 위해 단면이 "∩"형인 브러쉬 삽입구(130)가 형성된다. 브러쉬 삽입구(130)는 소모품인 브러쉬(190)를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삽입구의 입구 안쪽에 작은 돌기를 형성시켜 브러쉬 삽입구를 벌려 끼우거나 브러쉬를 측면에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entral pl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such as aluminum having a small weight or stainless steel having a small thickness and a brush 190 having a broom shap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bottom of the crystal paper during a salt collecting operation. A brush inserting hole 130 having a cross section of "∩" shape is formed. The brush inserting port 13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 protrusion formed inside the mouth of the insertion port so that the brush 190, which is a consumable item, can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so that the brush inserting opening can be opened or the brush can be inserted from the side.

중앙 밀판(100)의 중앙부위에 중앙 밀판의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상부 지지리브(140)와 하부 지지리브(150)가 3~5cm 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ㄷ"자형 밀판고정대(200)를 설치하기 위한 슬롯(160)이 형성된다. 중앙 밀판(100)의 상단은 "ㄷ"자형으로 절곡시킨 절곡부(170)를 형성하여 밀판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support ribs 140 and the lower support ribs 150 are vertically installed at intervals of 3 to 5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nter plate 100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the center plate, A slot 160 for mounting the fixing table 200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late 100 is formed with a bent portion 170 bent in a " C "shap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late.

중앙 밀판(100)의 측면 양단에는 중앙 밀판과 같이 하부에 단면이 "∩"형인 브러쉬 삽입구(130)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부 지지리브(140)와 하부 지지리브(150)가 형성되어 지지리브들 사이에 슬롯(160)이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 밀판(120)이 45°내외의 각도를 이루면서 결합된다. 측면 밀판(120)은 밀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중앙 밀판(100)과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양쪽 단부를 겹쳐놓고 볼트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A brush insertion port 130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ide surface of the center plate 100 such that the bottom plate has a cross section of an inverted U shape and has an upper support rib 140 and a lower support rib 150 And a pair of side plates 120 having slots 160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ribs are coupled at an angle of about 45 °.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plate 120 is welded to the center plate 100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laten 100. However, if necessary, the end plates may be stacked and fixed with a bolt or the like.

상기 브러쉬 삽입구(130)에 삽입되는 브러쉬(190)는 단면이 "∩"형인 브래킷(bracket)에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거친 모가 식재되어 결정지의 바닥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소금을 쓸어 수집하도록 한다. 중앙 밀판(100)과 측면 밀판(120)의 브러쉬 삽입구(130)는 서로 인접해 있고, 브러쉬 삽입구(130)를 이루는 양측 판이 탄성이 있어 한장으로 된 브러쉬(190)를 중앙 밀판(100)과 측면 밀판(120)에 연결된 상태로 끼워 삽입하면 중앙 밀판(100)과 측면 밀판(120) 사이의 틈이 없어져 작업 중 소금이 새어 나가지 않게 할 수 있다. The brush 190 inserted in the brush inserting port 130 is formed by coarse mosquitoes made of plastic or the like on a bracket having a cross section of "∩" type so that salt is swept and collected so as not to damage the bottom of the determined paper. The brushes 190 of the center plate 100 and the side plate 1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brushes 190 constituting the brush inserting port 130 are resilient, When inserted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plate 120, there is no clearance between the center plate 100 and the side plate 120, and salt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during the operation.

상기 중앙 밀판(100)과 측면 밀판(120)의 후방에 형성된 슬롯(160)에는 각파이프 형태로 중앙부와 외측부로 구성된 "ㄷ"자형 밀판고정대(200) 결합된다. "ㄷ"자형 밀판고정대(200)의 중앙부와 외측부는 중앙 밀판과 측면 밀판과 같은 각도인 45°내외의 각도를 이루면서 결합되고 기계의 힘으로 작동되어 밀판의 크기가 크므로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야 한다. 밀판과의 결합은 복수의 지점에 길다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ㄷ"자형 밀판고정대(200)의 양측 외측부에는 제방의 측면과 충돌하여 장판이 찢어지는 사고를 막기 위해 수평으로 누운 형태의 완충바퀴(400)가 결합될 수 있다. 완충바퀴(400)는 되도록이면 연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완충바퀴(400)는 바퀴의 양측에 두개의 다리를 가진 제2 포크(430)가 결합된 포크 고정판(450)을 볼트로 "ㄷ"자형 밀판고정대의 외측부와 측면 밀판(120)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하면 밀판과 "ㄷ"자형 밀판고정대 사이의 별도의 볼트체결을 생략할 수 있다. 측면 밀판(120)과 제방의 측벽은 측면 밀판의 끝부분에 접촉하기 쉬우므로 완충바퀴(400)의 제2 포크(430)는 외측부의 중앙에서 끝부분 쪽을 향하여 45°내외로 기울어진 형태로 고정하면 충돌 전에 완충바퀴(400)가 먼저 접촉하여 장판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slot 160 formed at the rear of the center plate 100 and the side plate 120, a "C"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 C "shaped plate fixing table 20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at an angle of about 45 DEG at the same angle as the center plate and the side plate, and are operated by the force of the machine, .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plate is fixed by a plurality of bolts and nuts at a plurality of points. A lateral cushioning wheel 40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 C "shaped platform plate 200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side plate is torn by collision with the sides of the bank. The cushioning wheel 400 is preferably formed as soft as possible. The cushioning wheel 400 is bolted to the fork fixing plate 450 having the second fork 43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wheel, When the outside of the stationary plat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 120 are fastened with a nut, it is possible to omit a separate bolt fastening between the plate and the "C" Since the side plate 120 and the side walls of the bank are easy to contact with the end portions of the side plate, the second fork 430 of the cushioning wheel 400 is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45 [de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shioning wheel 400 from first contacting the tires before the collision and tearing the tread plate.

상기 "ㄷ"자형 밀판고정대(200)에 일측이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한쌍의 지지대(210)가 결합되고, 지지대(210)의 타측에는 손잡이봉(230)이 양측이 돌출되게 결합된다. 본원 고안의 중앙 밀판(100)은 가로폭이 2.5m가 넘는 크기이므로 두개의 가로대는 1m 이상 이격된 상태로 "ㄷ"자형 밀판고정대(20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두개의 지지대(210)의 간격이 좁아져 그 단부에 손잡이봉(230)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A pair of support bars 210 are coupled to the 'C' -shaped bar plate 200 with one side spaced from the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oth sides of the bar 230 are protrud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ar 210. Since the center pl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th of more than 2.5 m, the two cross bars are fixed to the " C "-shaped plate 200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grip bar 230 is fixed to the end portion by welding or the like.

한편, 손잡이봉(230)과 함께 지지대(210)의 단부에 아치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가습받이(3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받이(300)는 소금을 밀고가는 밀대의 진행방향이 틀어진 경우나 밀대 앞에 다량의 소금이 쌓인 경우에 체중을 밀대에 싣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작업자는 가슴부위를 가습받이(300)에 대고 밀기 쉽도록 구성된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umidifier 30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pport 210 together with the handle bar 230 so as to be bent in an arch shape. The humidifier 300 is formed to load the weight on the plunger when the direction of the plunger pushing the salt is wrong or when a large amount of salt is accumulated in front of the plunger so that the operator can push the chest part against the humidifier 300 .

손잡이봉(230)의 양쪽으로 돌출된 봉에는 고무, 섬유나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손잡이 커버(250)를 씌우면 밀대작업의 감이 향상되고, 손에 굳은 살이 박히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When the handle cover 250 made of rubber, fiber or elastic plastic is attached to the rod protrud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bar 230, the feel of the pushing work can be improved and the hardened fingers can be relieved.

상기 한쌍의 지지대(210) 사이, 밀판과 가까운 측에 지지대(210)의 뒤틀림을 막고 지지대(2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대(270)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지지대(210)에 결합된 상기 보강대(270)의 양측에 한쌍의 주행바퀴(330)가 설치되어 밀판을 밀고갈때 밀판과 지면 사이의 적절한 각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소금을 밀고나서 밀대를 후진할때 밀판부분이 들려 후진이 편리하게 된다. 주행바퀴(330)는 집게 형태의 제2 포크(430)의 다리 사이에 설치된 축에 결합되고, 제2 포크(430)의 상부에는 포크 결합봉(370)이 결합되어 보강대(270)의 양측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며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A reinforcing bar 270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rods 210 to prevent the support rods 210 from being twisted an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upport rods 210 by a method such as welding. A pair of traveling wheels 33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ar 270 coupled to the support platform 210 so that a proper angle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ground is maintained when pushing the platform, The back part is convenient because the part of the plate is heard. The driving wheel 330 is coupled to a shaft provided between the legs of the second fork 430 in the form of a jaw and the fork connecting rod 37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ork 430, Inserted into the formed hole and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주행바퀴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한손만으로 손잡이나 지지대를 잡고 운행하더라도 뒤틀리지 않으므로 원활하게 리모콘 조작을 할 수 있게된다. Since the traveling wheel is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even if the handle or the support is operated with only one hand, even if it is operated.

보강대(270)가 설치되어 견고해진 지지대(210)의 양측 연결부위에 소금밀대 견인장치에 연결된 로프를 걸어 연결하기 위한 연결로프(500)가 느슨한 상태로 묶여 고정된다. The connecting rope 500 for hanging and connecting the rope connected to the salt foot pulling device is fastened and loosened to the connection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stand 210 on which the reinforcing bar 270 is installed.

밀대작업을 하면서 리모콘 작동을 쉽게 하기 위해 지지대(210)의 손잡이봉(230) 근처에 리모콘 거치대(600)가 설치된다. 리모콘 거치대(600)에 무선 리모콘을 삽입해 놓고 작업을 하면 리모콘을 손으로 잡고 작업을 하다 버튼을 잘못 눌러 오작동이 일어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A remote control holder 600 is installed near the handle bar 230 of the supporter 210 to facilitat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while performing a pressing work. If you insert the wireless remote control into the remote control cradle (600) and work on 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malfunction by pressing the remote control with your hand and pressing the wrong butt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용 소금밀대는 한쌍의 지지대(210)로 구성된 견고한 구조와 두개의 주행바퀴(330)를 갖춰 안정적인 토대위에 소금밀대를 견인하는 견인장치에 결합되어 많은 양의 소금을 한꺼번에 수집이 가능하여 소금수집의 효율성이 개선되고, 안정적인 바탕에 의해 밀대 작업 중 한손을 놓고 리모컨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주행바퀴를 갖춰 전후진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체력부담이 경감되고, 측면 밀판에 완충바퀴가 구비되어 작업 중 밀대가 제방에 접촉하더라도 충격이 완화되어 제방이나 밀대의 손상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The saline plunger for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rigid structure composed of a pair of support rods 210 and a pair of traveling wheels 330 and coupled to a traction device for towing the salt plunger on a stable foundation,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salt can be improved, and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placing one hand during the pushing operation by a stable base. Also, sinc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is facilitated by the provision of the traveling wheels, the worker's physical burden is reduced, The side plate is provided with cushioning wheels, so that even if the plunger touches the levee during operation, the impact is relieved and the damage to the levee or the plunger is reduced.

100 : 중앙 밀판 120 : 측면 밀판
130 : 브러쉬 삽입구 140 : 상부 지지리브
150 : 하부 지지리브 160 : 슬롯
170 : 절곡부 190 : 브러쉬
200 : "ㄷ"자형 밀판고정대 210 : 지지대
230 : 손잡이봉 250 : 손잡이 커버
270 : 보강대 300 : 가습받이
330 : 주행바퀴 350 : 제1 포크
370 : 포크 결합봉 400 : 완충바퀴
430 : 제2 포크 450 : 포크 고정판
500 : 연결로프 600 : 리모콘 거치대
100: central plate 120: side plate
130: Brush inserting port 140: Upper support rib
150: lower support rib 160: slot
170: Bend 190: Brush
200: "C"
230: handle bar 250: handle bar cover
270: Rib 300: Humidifier
330: running wheel 350: first fork
370: fork coupling rod 400: cushioning wheel
430: second fork 450: fork fixing plate
500: Connecting rope 600: Remote control holder

Claims (5)

장방형 판의 하부에 단면이 "∩"형인 브러쉬 삽입구(130)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부 지지리브(140)와 하부 지지리브(150)가 형성되어 지지리브들 사이에 슬롯(160)이 형성된 중앙 밀판(100);
상기 중앙 밀판(100)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단면이 "∩"형인 브러쉬 삽입구(130)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부 지지리브(140)와 하부 지지리브(150)가 형성되어 지지리브들 사이에 슬롯(160)이 형성된 한쌍의 측면 밀판(120);
상기 브러쉬 삽입구(130)에 삽입되고, 상부에 단면이 "∩"형인 브라켓에 다수의 모가 식재되어 상기 브러쉬 삽입구(130)에 삽입되는 브러쉬(190);
상기 중앙 밀판(100)과 측면 밀판(120)의 후방에 형성된 슬롯(160)에 결합되고, 중앙부와 외측부로 구성된 "ㄷ"자형 밀판고정대(200);
상기 "ㄷ"자형 밀판고정대(200)에 일측이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 한쌍의 지지대(210);
상기 한쌍의 지지대(210)의 타측에 양측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손잡이봉(230);
상기 한쌍의 지지대(210)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대(270);
상기 한쌍의 지지대(210)의 타측에 상부로 결합된 아치형 가습받이(300); 및
상기 보강대(270)의 양측에 결합된 한쌍의 주행바퀴(330);를 포함하고,
상기 "ㄷ"자형 밀판고정대(200)의 양측 외측부에 수평으로 결합된 완충바퀴(40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장치용 소금밀대.
The upper and lower support ribs 140 and 150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pla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enter plate 100 having a plate 160 formed thereon;
The upper support rib 140 and the lower support rib 15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entering plate 100 and have a brush inserting hole 130 having a cross section of an inverted U shape. A pair of side plates (120) formed with slots (160) between the supporting ribs;
A brush 190 inserted into the brush inserting port 130 and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on a bracket having a cross section of an inverted U-shaped cross section and inserted into the brush inserting port 130;
A "C" -shaped plate holder 200 coupled to the slot 160 formed at the rear of the center plate 100 and the side plate 120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and an outer portion;
A pair of supports 210 coupled to the " C "-shaped plate holder 2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handle bar 23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upports 210 so as to protrude from both sides;
A reinforcing bar 270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210;
An arched humidifier 30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upports 210; And
And a pair of traveling wheels (33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ar (27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ushion wheel (400) horizontally coupled to both lateral sides of said "C " dart board (2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270)의 양단부에는 연결로프(500)가 결합되고, 일측 가로대의 후방에는 리모콘 거치대(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장치용 소금밀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necting rope (50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ar (270), and a remote control cradle (600) is provided behind the one side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밀판(100)의 상부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17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장치용 소금밀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plate (100) further includes a bent portion (170) bent in a " C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손잡이 커버(25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장치용 소금밀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further comprises a handle cover (250)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KR2020180004834U 2018-10-24 2018-10-24 A salt field pusher for a drawbar apparatus KR20048831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834U KR200488317Y1 (en) 2018-10-24 2018-10-24 A salt field pusher for a drawba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834U KR200488317Y1 (en) 2018-10-24 2018-10-24 A salt field pusher for a drawbar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317Y1 true KR200488317Y1 (en) 2019-01-11

Family

ID=6501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834U KR200488317Y1 (en) 2018-10-24 2018-10-24 A salt field pusher for a drawba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17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041A (en) * 2019-03-06 2020-09-16 유한회사 디오션이엔지 salt collection apparatus
KR102502585B1 (en) * 2021-12-10 2023-02-21 (주)강원랜드 Automatin disposal apparatus of food garbag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632A (en) 2003-02-14 2004-08-2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framing policy for a differentiated services
KR20130114488A (en) * 2012-04-09 2013-10-17 추민구 A picking for sun-dried salt
KR20130121614A (en) 2012-04-27 2013-11-06 장활진 Salt gatherring equipment using tricyclic electrical drive system
KR101361489B1 (en) 2013-12-06 2014-02-1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Salt collecting apparatus
KR101426234B1 (en) * 2014-06-27 2014-08-0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Electric Pusher For Salt pond
KR101541093B1 (en) 2014-08-25 2015-07-3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Electric Pusher For Salt pond
KR101720952B1 (en) 2016-07-05 2017-03-29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A salt push plate pulling equipment
KR200484676Y1 (en) * 2016-02-25 2017-10-1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A pusher for salt field
KR101840815B1 (en) * 2017-07-13 2018-05-04 김병석 Sun salt coll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632A (en) 2003-02-14 2004-08-2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framing policy for a differentiated services
KR20130114488A (en) * 2012-04-09 2013-10-17 추민구 A picking for sun-dried salt
KR20130121614A (en) 2012-04-27 2013-11-06 장활진 Salt gatherring equipment using tricyclic electrical drive system
KR101361489B1 (en) 2013-12-06 2014-02-1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Salt collecting apparatus
KR101426234B1 (en) * 2014-06-27 2014-08-0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Electric Pusher For Salt pond
KR101541093B1 (en) 2014-08-25 2015-07-3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Electric Pusher For Salt pond
KR200484676Y1 (en) * 2016-02-25 2017-10-1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A pusher for salt field
KR101720952B1 (en) 2016-07-05 2017-03-29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A salt push plate pulling equipment
KR101840815B1 (en) * 2017-07-13 2018-05-04 김병석 Sun salt collection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041A (en) * 2019-03-06 2020-09-16 유한회사 디오션이엔지 salt collection apparatus
KR102177701B1 (en) * 2019-03-06 2020-11-11 유한회사 디오션이엔지 salt collection apparatus
KR102502585B1 (en) * 2021-12-10 2023-02-21 (주)강원랜드 Automatin disposal apparatus of food garb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317Y1 (en) A salt field pusher for a drawbar apparatus
US20220211239A1 (en) Device for cleaning walkable surfaces
US20060214443A1 (en) Foot-Assisted Snow Shovel
US20090126150A1 (en) Shoulder-Belt-Traction Hand-Push Tool
US6735887B1 (en) Manual snow plough
US4096915A (en) Ground working apparatus with tools to draw the apparatus forward
CN101608439A (en) Ride-on motor-driven dust-free sweeper device
CN211472337U (en) Forestry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US6918603B2 (en) Scrub-mate
CN201459663U (en) Ride-on electric dust-free sweeping vehicle device
KR200484676Y1 (en) A pusher for salt field
CN109338963B (en) Hand-push type miniature sweeper with automatic ash discharging hopper
CN205454517U (en) Electronic fertilizing and seeding device
US2834276A (en) Power driven soil spades
CN215912437U (en) Agricultural horticulture is planted with device that loosens soil
CN110817467A (en) Agricultural is with cereal sunning promotion collection device
KR101407678B1 (en) cleaner for farm master
WO1992003114A1 (en) A wheel chair with a driving unit, and a driving unit for wheel chairs
US20070235598A1 (en) Sweep releaf
CN220148235U (en) Building abandon material collection device
CN214902680U (en) Lawn compaction device for garden planning
GB1565091A (en) Horticultural aid
CN212709449U (en) Transfer trolley
CN205378524U (en) Hand electronic wheeled fertilizing and seeding ware
CN210406115U (en) Fertilizer injection unit of multipurp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