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75Y1 - Trap for Capture Harmful Wild Animal - Google Patents

Trap for Capture Harmful Wild Anim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75Y1
KR200488175Y1 KR2020180002997U KR20180002997U KR200488175Y1 KR 200488175 Y1 KR200488175 Y1 KR 200488175Y1 KR 2020180002997 U KR2020180002997 U KR 2020180002997U KR 20180002997 U KR20180002997 U KR 20180002997U KR 200488175 Y1 KR200488175 Y1 KR 200488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pair
horizontal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9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김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만 filed Critical 김영만
Priority to KR2020180002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7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7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한 야생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틀에 관한 것으로, 제1수직프레임(11), 제1모서리 수직프레임(12), 제1수평프레임(13), 제1상부 수평프레임(14), 제2상부 수평프레임(15), 제1트랩도어(16)를 포함하는 제1틀(10); 제2수직프레임(21), 제2모서리 수직프레임(22), 제2수평프레임(23), 제2트랩도어(26)를 포함하는 제2틀(20); 제3수직프레임(11), 제3모서리 수직프레임(32), 제3수평프레임(33), 제3트랩도어(36)를 포함하는 제3틀(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틀(10)의 제1수직프레임(11)과 제1수평프레임(13)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은 상기 제2틀(20)의 제2수직프레임(21)과 제2수평프레임(23)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 보다 크고, 상기 제2틀(20)의 제2수직프레임(21)과 제2수평프레임(23)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은 상기 제3틀(30)의 제3수직프레임(31)과 제3수평프레임(33)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미로 형상의 다단의 틀로 유해 야생동물의 새끼와 어미 등을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고,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이동이 간편하며, 유해 야생동물의 포획을 위한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capturing harmful wild animals that damage crops and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11, a first corner vertical frame 12, a first horizontal frame 13, (14), a second upper horizontal frame (15), a first frame (10) including a first trap door (16); A second frame 20 including a second vertical frame 21, a second corner vertical frame 22, a second horizontal frame 23, and a second trap door 26; And a third frame (30) including a third vertical frame (11), a third corner vertical frame (32), a third horizontal frame (33) and a third trap door (36) The vertical frame 11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13 of the first frame 20 and the second frame 20 of the second frame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3 Vertical and horizontal intervals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3 of the second frame 20 are larger than the vertical intervals of the third vertical frame 21 of the third frame 30 31 and the third horizontal frame 33, as shown in Fig. This design can capture and capture the offspring and mother of the harmful wild animals with the multi-stage frame of the maze shape, and it is easy to move by installing it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it is possible to save manpower and time for capturing harmful wild animals will be.

Description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Trap for Capture Harmful Wild Animal}Trap for Capture Harmful Wild Animal}

본 고안은 야생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한 야생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틀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framework for capturing wild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work for capturing harmful wild animals that damage crops.

야생에서 서식하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은 산속이나 들판에서 먹이활동이 원활하지 않을 때에 인근 농가의 밭에서 경작중인 농작물을 무단 섭취하면서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Wild boars and elk inhabits in the wild when the feeding activity is not smooth in the mountains and fields, causing enormous damage by unauthorized ingestion of crops cultivated in the fields of nearby farmhouses.

이러한 피해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작중인 밭작물 주변에 전기목책을 설치하여 접근을 막거나 또는 포획 틀이나 올가미를 설치하여 포획하거나 또는 총포를 이용하여 유해 야생동물을 사냥하는 등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damages, various measures are being taken, for example, to prevent access by installing electric fences around crops under cultivation, to capture by capturing frame or lasso, or to hunt harmful wild animals by using guns.

종래에 전기목책은 고압의 전기를 사용하므로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는 있지만, 전기목책의 설치 및 운영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전기목책에 전기가 흐르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도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상의 포획 틀은 야생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입구에 트랩을 설치하여 포획을 하지만, 트랩의 오작동이나 의심이 많은 야생동물을 포획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올가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호대상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위해를 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총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총포의 안전관리에 방심하는 경우에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고 소음의 발생으로 다른 야생동물을 위해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electric fences use high-voltage electricity,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access to harmful wild animals, but it also causes safety accidents to people who do not recognize that electric fenc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and electricity is flowing through electric fences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apture fram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catch wild animals with a lot of malfunctions or suspicions of traps by trapping the traps at the entrances to attract wild animals. Moreover, when using a snare, there was a problem of putting harm not only on the animal to be protected but also on the pers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guns, safety accidents can be caused when the guns are careless about the safety of guns, and there is a problem for the other wild animals due to the generation of noise.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전방과 후방에 출입구가 형성된 포획상자; 상기 포획상자의 전방과 후방에서 출입구 상부에 설치되어 낙하하면서 출입구를 닫는 개폐문; 상기 개폐문이 낙하하도록 작동시키는 개폐문작동수단; 및 상기 개폐문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문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개폐문작동수단은, 상기 포획상자의 출입구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에는 걸림바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회전바와 함께 회전되게 작동되고, 상기 개폐문이 낙하되지 않도록 개폐문을 받치고 있는 한 쌍의 받침대와, 상기 회전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단부에는 제어바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이 제어바가 상기 회전바의 걸림바와 밀착되어 회전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와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작동바를 회전시켜 제어바가 걸림바와 밀착되게 걸리도록 위치시키고 하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작동바를 반대로 회전시켜 제어바가 걸림바와 밀착되어 걸린 상태에서 해제되도록 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하단에 연결되어 포획상자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작동줄로 구성되어, 동물이 포획상자의 내로 들어오면 작동줄에 걸려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걸림바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개폐문의 자중에 의해 받침대가 회전바와 함께 회전하면서 개폐문이 낙하하여 출입구를 닫도록 하는 동물 포획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apture box in which an entrance is formed at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An opening / closing door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atching box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atching box and closing the doorway while dropping; Opening / closing door operating means for actuating the opening / closing door to fall; And a locking / un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opening / closing door from being lifted,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door actuating means comprises: a rotation bar rotatably installed on an entrance / exit of the capturing box, A pair of pedestals fixedly mounted on the rotary bar and rotated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bar and suppo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so as to preven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rom falling down, and a control bar provi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ry bar, The control ba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gagement bar of the rotation bar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and when the control bar is lifted upwards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bar, the control bar is rotated so that the control bar is hung in close contact with the engagement bar, When the control bar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control ba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tching bar And an operation lin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and installed so as to cross the inside of the capture box. When the animal enters the capture box, the operation lever is hooked on the operation line, Thereby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bar, and when the engagement state is released, the pedestal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bar by the self weight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door falls and closes the entranc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9146호(2011.07.14.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49146 (issued on July 14, 2011)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설치가 간편한 구조와 더불어 포획 틀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유해 야생동물을 유인하여 포획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multi-stage capture frame to capture and capture harmful wild animals in addition to a structure for easy movement and installation.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전후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모서리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사이에 직각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로 고정 결합되되, 각 단부가 한 쌍의 제1모서리 수직프레임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제1먹이거치대가 고정 결합되는 제1수평프레임과, 상기 좌측과 우측에 마주하여 각각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 상부 사이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상부 수평프레임과, 상기 전측과 후측에 마주하여 각각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 상부 사이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2상부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제1수평프레임이 교차 설치된 측면 하부에 내측으로만 개방되도록 힌지 결합된 복수의 제1트랩도어를 포함하는 제1틀;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전후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과, 상기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모서리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직각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로 고정 결합되되, 각 단부가 한 쌍의 제2모서리 수직프레임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제2먹이거치대가 고정 결합되는 제2수평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과 제1상부 수평프레임이 교차 설치된 측면 하부에 내측으로만 개방되도록 힌지 결합된 복수의 제2트랩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틀 내측에 설치되는 제2틀;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전후 한 쌍의 제3수직프레임과, 상기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제3수직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3모서리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3수직프레임 사이에 직각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로 고정 결합되되, 각 단부가 한 쌍의 제3모서리 수직프레임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제3먹이거치대가 고정 결합되는 제3수평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과 제1상부 수평프레임이 교차 설치된 측면 하부에 내측으로만 개방되도록 힌지 결합된 복수의 제3트랩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2틀 내측에 설치되는 제3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틀, 제2틀 및 제3틀 하부는 일정 깊이로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조립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틀의 제1수직프레임과 제1수평프레임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은 상기 제2틀의 제2수직프레임과 제2수평프레임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 보다 크고, 상기 제2틀의 제2수직프레임과 제2수평프레임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은 상기 제3틀의 제3수직프레임과 제3수평프레임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air of front and rear first vertical frames provided on four sides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left and right; and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provided on respective corners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 pair of first corner vertical frames and a pair of first vertical frames which are inserted at right angles and are fixedly coupled by a fixing member, each end being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a pair of first corner vertical frames, A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to which both ends are inserted and fixedly inserted between a first horizontal frame to which the first feeding stand is fixedly connected and an upper portion of a first vertical frame provided to face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 second upper horizontal frame in which both ends are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vertical frames facing each other, A first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trap door hinge-coupled such that only opening to the insid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pair of second vertical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provided on the four sides of the frame, A pair of second vertical frames which are inserted at right angles and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fixing member, each end being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a pair of second corner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second trap doors hinged to be opened only inwardly below a side surface provided with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 A pair of third vertical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third vertical frame provided on the four surfaces, A pair of third vertical frames which are inserted and fixed at a right angle between the pair of third vertical frames and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fixing member and each end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a pair of third corner vertical frames, And a plurality of third trap doors hinged to be opened only inward at a lower portion of a side where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are crossed, Wherein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third frame are embedded i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fixing member is configured in a prefabricated manner using bolts and nuts,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The first horizontal Vertical intervals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re larger than upper and lower and left and right intervals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of the second frame, And the gap is larg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horizontal frame and the third vertical frame of the third frame.

본 고안에 따르면, 미로 형상의 다단의 틀로 유해 야생동물의 새끼와 어미 등을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고,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이동이 간편하며, 유해 야생동물의 포획을 위한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ttract and capture the offspring and the mother of the harmful wild animal with the multi-stage frame of the labyrinth shape, and to easily move by installing it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to save manpower and time for capturing harmful wild animals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의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을 규모별로 분리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에서 제1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에서 제1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에서 제1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for capturing a harmful wild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stage capturing frame for capturing harmful wild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scale-by-scale basis.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rame in a frame for capturing a harmful wild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frame in a frame for capturing a harmful wild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frame in a frame for capturing a harmful wild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harmful wild animal captur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서,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1)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동일한 구조의 제1틀(10), 제2틀(20) 및 제3틀(30)로 구분하고, 제1틀(10) 내부에 제1틀(10)보다 작은 규모의 제2틀(20)이 설치되고, 제2틀(20) 내부에 제2틀(20)보다 작은 규모의 제3틀(30)이 설치된다. 더욱이 제1틀(10), 제2틀(20) 및 제3틀(30)의 규모는 각각 비율적으로 구성된다.1 and 2 show a basic structure of a noxious wild animal catching frame 1 and are divided into a first frame 10, a second frame 20 and a third frame 30 having the same structure, A second frame 20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frame 10 is installed in the first frame 10 and a third frame 20 smaller in size than the second frame 20 is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20 30 are installed. Further, the sizes of the first frame 10, the second frame 20 and the third frame 30 are respective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도 3 내지 도 5에서, 제1틀(10)은 전후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1)이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1수직프레임(11)은 대략 전후좌우 4면에 걸쳐 설치된다. 제1모서리 수직프레임(12)은 한 쌍으로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11)의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제1모서리 수직프레임(12)들 사이에는 제1수직프레임(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3 to 5, the first frame 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and rear first vertical frames 11 at left and right intervals. The first vertical frame 11 is installed across four front, back, right, and left sides. The first corner vertical frames 12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 installed on four sides in pairs. Accordingly, a first vertical frame 11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corner vertical frames 12 at regular intervals.

제1수평프레임(13)은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1) 사이에 직각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18)로 고정 결합된다. 더욱이 제1수평프레임(13) 단부는 각각 한 쌍의 제1모서리 수직프레임(1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즉, 제1수평프레임(13)은 한 쌍의 제1모서리 수직프레임(12) 사이에 각 단부가 고정 결합되되, 복수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1) 사이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18)로 고정 결합된다.The first horizontal frame 13 is inserted at right angles between the pair of first vertical frames 11 and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8. [ Furthermore, the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3 are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orner vertical frames 12,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horizontal frame 13 is horizontally inserted between a pair of first vertical frames 11, which are fixedly coupled at respective ends between a pair of first corner vertical frames 12,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8. [

제1상부 수평프레임(14)은 좌측과 우측에 마주하여 각각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11) 상부 사이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즉, 제1상부 수평프레임(14)은 수평의 프레임 각 단부가 직각 하부로 절곡되고, 절곡된 단부가 각각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1) 상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제1상부 수평프레임(14)은 좌우측으로 마주하는 제1수직프레임(11)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2상부 수평프레임(15)은 전측과 후측에 마주하여 각각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11) 상부 사이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즉, 제2상부 수평프레임(15)은 수평의 프레임 각 단부가 직각 하부로 절곡되고, 절곡된 단부가 각각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1) 상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제2상부 수평프레임(15)은 전후측으로 마주하는 제1수직프레임(11)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상부 수평프레임(14)과 제2상부 수평프레임(15)은 교차되어 고정 결합된다.Both ends of the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14 are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 which faces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14 is formed such that each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s bent at a right angle lower part, and the bent end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upper parts of the pair of first vertical frames 11, The horizontal frame 14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 facing left and right. In addition, the second upper horizontal frame 15 is inserted and fixedly insert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 which faces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respectively. That is, the second upper horizontal frame 15 is formed such that each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s bent at a right angle lower part, and the bent end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upper parts of the pair of first vertical frames 11, The horizontal frame 15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 facing front and rea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14 and the second upper horizontal frame 15 are crossed and fixedly coupled.

제1트랩도어(16)는 제1수직프레임(11)과 제1수평프레임(13)이 교차 설치된 측면 하부에 내측으로만 개방되도록 힌지 결합된다. 제1트랩도어(16)는 4면에 걸쳐 각각 설치된다.The first trap door 16 is hinged to be opened only inwardly below the side surface where the first vertical frame 11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13 are crossed. The first trap doors 16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four sides.

또한, 제2틀(20)은 전후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21)이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2수직프레임(21)은 대략 전후좌우 4면에 걸쳐 설치된다. 제2모서리 수직프레임(22)은 한 쌍으로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21)의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제2모서리 수직프레임(22)들 사이에는 제2수직프레임(21)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rame 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and rear second vertical frames 21 at left and right intervals.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is installed on four front, back, right, and left sides. The second corner vertical frame 22 i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which is installed on four sides in a pair. Therefore, a second vertical frame 21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corner vertical frames 22 at regular intervals.

제2수평프레임(23)은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21) 사이에 직각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18)로 고정 결합된다. 더욱이 제2수평프레임(23)은 한 쌍의 제2모서리 수직프레임(2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즉, 제2수평프레임(23)은 한 쌍의 제2모서리 수직프레임(22) 사이에 각 단부가 고정 결합되되, 복수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21) 사이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18)로 고정 결합된다.The second horizontal frame 23 is inserted at right angles between the pair of second vertical frames 21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8. [ Furthermore,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3 is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corner vertical frames 22. That is,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3 is horizontally inserted between a pair of second vertical frames 21, which are fixedly coupled at their respective ends between a pair of second corner vertical frames 22,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8. [

제2트랩도어(26)는 제2수직프레임(21)과 제2수평프레임(23)이 교차 설치된 측면 하부에 내측으로만 개방되도록 힌지 결합된다. 제2트랩도어(26)는 4면에 걸쳐 각각 설치된다.The second trap door 26 is hinged to be opened only inwardly below the side surface where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3 are crossed. The second trap doors 26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four sides.

다음으로, 제3틀(30)은 전후 한 쌍의 제3수직프레임(31)이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3수직프레임(31)은 대략 전후좌우 4면에 걸쳐 설치된다. 제3모서리 수직프레임(32)은 한 쌍으로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제3수직프레임(31)의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제3모서리 수직프레임(32)들 사이에는 제3수직프레임(31)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Next, the third frame 3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and rear third vertical frames 31 at left and right intervals. The third vertical frame 31 is provided on four front, back, right, and left sides. The third corner vertical frame 32 i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third vertical frame 31 which is installed on four sides in pairs. Accordingly, a third vertical frame 31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corner vertical frames 32 at regular intervals.

제3수평프레임(33)은 한 쌍의 제3수직프레임(31) 사이에 직각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18)로 고정 결합된다. 더욱이 제3수평프레임(33)은 한 쌍의 제3모서리 수직프레임(3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즉, 제3수평프레임(33)은 한 쌍의 제3모서리 수직프레임(32) 사이에 각 단부가 고정 결합되되, 복수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수직프레임(31) 사이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18)로 고정 결합된다.The third horizontal frame 33 is inserted at a right angle between the pair of third vertical frames 31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8. [ Furthermore, the third horizontal frame 33 is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between the pair of third corner vertical frames 32. That is, the third horizontal frame 33 is horizontally inserted between a pair of third vertical frames 32 and a pair of third vertical frames 31,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8. [

제3트랩도어(36)는 제3수직프레임(31)과 제3수평프레임(33)이 교차 설치된 측면 하부에 내측으로만 개방되도록 힌지 결합된다. 제3트랩도어(36)는 4면에 걸쳐 각각 설치된다.The third trap door 36 is hinged to be opened only inwardly below the side surface where the third vertical frame 31 and the third horizontal frame 33 are crossed. The third trap door 36 is installed on each of four surfaces.

또한, 제1틀(10)의 제1수평프레임(13)에는 제1먹이거치대(17)가 고정 결합되고, 제2틀(20)의 제2수평프레임(23)에는 제2먹이거치대(27)가 고정 결합되며, 제3틀(30)의 제3수평프레임(33)에는 제3먹이거치대(37)가 각각 고정 결합된다. 제1먹이거치대(17), 제2먹이거치대(27) 및 제3먹이거치대(37)는 각각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다.The first food frame 17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13 of the first frame 10 and the second food frame 27 is fixed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3 of the second frame 20. [ And a third food stall 37 is fixedly coupled to the third horizontal frame 33 of the third frame 30. The first food cradle (17), the second food cradle (27), and the third food cradle (37) are each provided at least one.

더욱이 본 고안에서 제1틀(10), 제2틀(20) 및 제3틀(30)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직프레임, 모서리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상부 수평프레임, 트랩도어, 먹이거치대는 각각 고정부재(18), 예컨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틀(10) 내지 제3틀(30)은 해당하는 지역에서 출몰하는 야생동물의 종류나 개체 수에 따라 비율적인 규모로 이루어진 틀의 수를 가감하여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틀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의 간격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vertical frame, the corner vertical frame, the horizontal frame, the upper horizontal frame, the trap door, and the food holder constituting the first frame 10, the second frame 20 and the third frame 30 And is fixedly assembled using a fixing member 18, for example, a bolt and a nut. 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frames 10 to 30 may be installed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number of frames having a proportional scale according to the kind of wild animals and the number of the wild animals. Also, the spacing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of each frame can be adjusted.

또한, 제1틀(10), 제2틀(20) 및 제3틀(30) 하부는 각각 일정 깊이로 지중에 매설되어 직립 설치된다. 이때, 각 틀의 트랩도어가 지면 위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The lower part of the first frame 10, the second frame 20, and the third frame 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upright depths in a predetermined depth. At this time, it is recommended that the trap door of each frame be exposed on the ground.

또한, 제1틀(10) 상부에는 제1상부 수평프레임(14)과 제2상부 수평프레임(15)이 교차하여 고정 결합되되, 제2틀(20)과 제3틀(30)의 상부는 별도의 결합 구조가 없이 제1틀(10)의 제1상부 수평프레임(14)과 제2상부 수평프레임(15)을 공용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제2틀(20)의 제2수직프레임(21) 및 제2모서리 수직프레임(22)과 제3틀(30)의 제3수직프레임(31)과 제3모서리 수직프레임(32)은 제1틀(10) 상부에 고정 결합된 제1상부 수평프레임(14)과 제2상부 수평프레임(15) 저면까지의 길이로 형성된다.The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14 and the second upper horizontal frame 15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10 while the upper portions of the second frame 20 and the third frame 30 The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14 and the second upper horizontal frame 15 of the first frame 10 are commonly used without a separat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ly,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corner vertical frame 22 of the second frame 20 and the third vertical frame 31 and the third corner vertical frame 32 of the third frame 30, 1 to the bottom of the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14 and the second upper horizontal frame 15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10.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의 설치 및 작용을 설명한다.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hazardous wild animal captur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농작물의 피해가 예상되는 경작지 주변이나 야생동물의 빈번하게 출몰하는 지역을 선정한다. 그리고 설치지역에 제3틀(30), 제2틀(20) 및 제1틀(10)의 순서로 설치한다. 제3틀(30), 제2틀(20), 그리고 제1틀(10) 사이에는 야생동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First, select areas that are likely to be affected by crops around the cultivated area or wild animals. The third frame 30, the second frame 20, and the first frame 10 are installed in this order on the installation area. It is preferable to secure a space for moving wild animals between the third frame 30, the second frame 20, and the first frame 10.

제1틀(10)의 제1수직프레임(11)과 제1수평프레임(13)이 고정 결합되는 사이에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의 새끼들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하여 제1먹이거치대(17)에 놓인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어미와 같이 다 자란 멧돼지나 고라니는 제1트랩도어(16)로만 들어올 수 있도록 설치한다.The first vertical frame 11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13 of the first frame 10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t intervals such that wild boar or elk can freely enter and exit the first vertical frame 11, ), And the boar or elk, which is grown up like the mother, is installed so that it can only come in through the first trap door (16).

제2틀(20)의 제2수직프레임(21)과 제2수평프레임(23)이 고정 결합된 사이에는 제1틀(10)의 제1수직프레임(11)과 제1수평프레임(13)의 설치 간격보다 더 좁은 간격이 되도록 설치한다. 더욱이 제2틀(20)의 제2트랩도어(26)로 멧돼지나 고라니 등의 새끼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설치한다.The first vertical frame 11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13 of the first frame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3 of the second frame 2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is narrow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plates. Further, the second trap door (26) of the second frame (20) is provided with a kitten such as wild boar or elk.

제3틀(30)의 제3수직프레임(31)과 제3수평프레임(33)이 고정 결합된 사이에는 제2틀(20)의 제2수직프레임(21)과 제2수평프레임(23)의 설치 간격보다 더 좁은 간격이 되도록 설치한다. 더욱이 제3틀(30)의 제3트랩도어(36)로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의 작은 새끼들이나 몸집이 작은 설치류 등의 동물들만 들어올 수 있도록 설치한다.The second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3 of the second frame 20 are connected between the third vertical frame 31 and the third horizontal frame 33 of the third frame 3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is narrow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plates. Further, the third trap door (36) of the third frame (30) is provided so that only small animals such as wild boar, elk, or small-sized rodents can be brought in.

제1틀(10) 내부에 설치된 제1먹이거치대(17)는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설치하고, 제2틀(20) 내부에 설치된 제2먹이거치대(27)는 제1틀(10)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설치하며, 제3틀(30) 내부에 설치된 제3먹이거치대(37)는 제2틀(20)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설치한다. 또한, 각 먹이거치대의 설치 높이는 출입하는 동물의 크기에 따라 차등 적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The first food container 17 installed inside the first frame 10 is installed for easy viewing from the outside and the second food container 27 installed inside the second frame 20 is installed in the first frame 10 And the third food stall 37 installed inside the third frame 30 is installed so as to be easily seen from the second frame 20. Also,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each food cradle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nimal entering and exiting.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1)의 구조는 다단의 틀이 미로 형태로 설치되고, 특히, 야생동물의 새끼들의 출입에 대하여 어미 등을 유인하여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획하는 구조이다.Thus, the structure of the harmful wild animal capturing fram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multi-stage frame is installed in the shape of a labyrinth and, in particular, Structure.

또한,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1)이 설치된 곳에 CCTV를 설치하거나 또는 각 틀마다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설치하여 원격에서 야생동물의 포획상태를 감시하거나 알람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CTV can be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 harmful wild animal capturing frame (1) is installed, or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each frame can be installed to monitor capturing of wild animals remotely or alarm.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foregoing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ith it will know easily.

1: 포획용 틀 10: 제1틀 11: 제1수직프레임 12: 제1모서리 수직프레임 13: 제1수평프레임 14: 제1상부 수평프레임 15: 제2상부 수평프레임 16: 제1트랩도어 17: 제1먹이거치대 18: 고정부재 20: 제2틀 21: 제2수직프레임 22: 제2모서리 수직프레임 23: 제2수평프레임 26: 제2트랩도어 27: 제2먹이거치대 30: 제3틀 31: 제3수직프레임 32: 제3모서리 수직프레임 33: 제3수평프레임 36: 제3트랩도어 37: 제3먹이거치대1: capturing frame 10: first frame 11: first vertical frame 12: first corner vertical frame 13: first horizontal frame 14: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15: second upper horizontal frame 16: first trap door 17 A first food container 18, a fixing member 20, a second frame 21, a second vertical frame 22, a second corner vertical frame 23, a second horizontal frame 26, a second trap door 27, a second food container 30, 31: third vertical frame 32: third corner vertical frame 33: third horizontal frame 36: third trap door 37: third feeding cradle

Claims (4)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전후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1)과, 상기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11)의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모서리 수직프레임(12)과,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1) 사이에 직각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18)로 고정 결합되되, 각 단부가 한 쌍의 제1모서리 수직프레임(1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제1먹이거치대(17)가 고정 결합되는 제1수평프레임(13)과, 상기 좌측과 우측에 마주하여 각각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11) 상부 사이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1상부 수평프레임(14)과, 상기 전측과 후측에 마주하여 각각 설치된 제1수직프레임(11) 상부 사이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제2상부 수평프레임(15)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1)과 제1수평프레임(13)이 교차 설치된 측면 하부에 내측으로만 개방되도록 힌지 결합된 복수의 제1트랩도어(16)를 포함하는 제1틀(10);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전후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21)과, 상기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제2수직프레임(21)의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모서리 수직프레임(22)과, 상기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21) 사이에 직각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18)로 고정 결합되되, 각 단부가 한 쌍의 제2모서리 수직프레임(2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제2먹이거치대(27)가 고정 결합되는 제2수평프레임(23)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21)과 제1상부 수평프레임(14)이 교차 설치된 측면 하부에 내측으로만 개방되도록 힌지 결합된 복수의 제2트랩도어(26)를 포함하되, 상기 제1틀(10) 내측에 설치되는 제2틀(20);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전후 한 쌍의 제3수직프레임(31)과, 상기 4면에 걸쳐 설치되는 제3수직프레임(31)의 각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3모서리 수직프레임(32)과, 상기 한 쌍의 제3수직프레임(31) 사이에 직각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18)로 고정 결합되되, 각 단부가 한 쌍의 제3모서리 수직프레임(3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제3먹이거치대(37)가 고정 결합되는 제3수평프레임(33)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21)과 제1상부 수평프레임(14)이 교차 설치된 측면 하부에 내측으로만 개방되도록 힌지 결합된 복수의 제3트랩도어(36)를 포함하되, 상기 제2틀(20) 내측에 설치되는 제3틀(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틀(10), 제2틀(20) 및 제3틀(30) 하부는 일정 깊이로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고정부재(18)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조립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틀(10)의 제1수직프레임(11)과 제1수평프레임(13)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은 상기 제2틀(20)의 제2수직프레임(21)과 제2수평프레임(23)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 보다 크고, 상기 제2틀(20)의 제2수직프레임(21)과 제2수평프레임(23)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은 상기 제3틀(30)의 제3수직프레임(31)과 제3수평프레임(33)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
A pair of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11 provided on four sid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air of front and rear frames 11, A pair of first vertical vertical frames (12) and a pair of first vertical vertical frames (12), the first vertical vertical frames (12) being inserted at right angles between the pair of first vertical frames (11) A first horizontal frame 13 to which the first food cradle 17 is fixedly coupl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 provided to face the left and right sides, A second upper horizontal frame 15 to which both ends are inserted and fixed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14 inserted and fix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 facing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11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13, A first frame (10)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trap doors (16) hinged to open only to the inside at the bottom of the face;
A pair of front and rear second vertical frames 21 provided on four sid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air of second vertical frames 21 provided on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provided on the four sides, A pair of second vertical vertical frames 22 and a pair of second vertical vertical frames 22 which are inserted at right angles and fixedly connected by a fixing member 18, A second horizontal frame 23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and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feeding pedestal 27,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23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and the first upper horizontal frame 14, A second frame (20)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trap doors (26) hinged to open only to the inside of the first frame (10);
A pair of front and rear third vertical frames 31 provided on four sid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air of third vertical frames 31 provided on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third vertical frame 31 provided on the four sides, A pair of third vertical vertical frames 32 and a pair of third vertical vertical frames 32. The three vertical vertical frames 32 and the pair of third vertical frames 32 are fixedly coupled by a fixing member 18 at right angles, A third horizontal frame 33 fixedly coupled to the third vertical feed frame 37 and fixedly coupled to the third vertical feed frame 37, And a third frame (30)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trap doors (36) hingedly opened only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20), the third frame (30)
The lower part of the first frame 10, the second frame 20 and the third frame 30 is buried i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fixing member 18 is composed of an assembly type using bolts and nut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pacing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11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13 of the first frame 10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of the second frame 20, Vertical spacing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3 of the second frame 20 is larger than that between the vertical frame 23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3, And the third vertical frame (31) and the third horizontal frame (3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80002997U 2018-06-29 2018-06-29 Trap for Capture Harmful Wild Animal KR20048817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97U KR200488175Y1 (en) 2018-06-29 2018-06-29 Trap for Capture Harmful Wild Anim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97U KR200488175Y1 (en) 2018-06-29 2018-06-29 Trap for Capture Harmful Wild Anim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75Y1 true KR200488175Y1 (en) 2018-12-21

Family

ID=6495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997U KR200488175Y1 (en) 2018-06-29 2018-06-29 Trap for Capture Harmful Wild Anim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7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609B1 (en) 2019-03-14 2019-12-10 고창원 Assembly animal trap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456A (en) * 1999-03-08 2000-11-21 Chikara Nobuhara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
KR101049146B1 (en) 2008-10-06 2011-07-14 남경숙 Animal catching device
JP2013090594A (en) * 2011-10-26 2013-05-16 Takemori Tekko Kk Beast trapping device
JP3190081U (en) * 2014-01-24 2014-04-17 金治 西村 Captive animal restraint system
KR20150109899A (en) * 2014-03-21 2015-10-02 주식회사 녹인 Amphbian and reptile capturing apparatus considering season condition
JP2016152792A (en) * 2015-02-20 2016-08-25 貞二 野口 Box trap for capturing anim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456A (en) * 1999-03-08 2000-11-21 Chikara Nobuhara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
KR101049146B1 (en) 2008-10-06 2011-07-14 남경숙 Animal catching device
JP2013090594A (en) * 2011-10-26 2013-05-16 Takemori Tekko Kk Beast trapping device
JP3190081U (en) * 2014-01-24 2014-04-17 金治 西村 Captive animal restraint system
KR20150109899A (en) * 2014-03-21 2015-10-02 주식회사 녹인 Amphbian and reptile capturing apparatus considering season condition
JP2016152792A (en) * 2015-02-20 2016-08-25 貞二 野口 Box trap for capturing anim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90081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609B1 (en) 2019-03-14 2019-12-10 고창원 Assembly animal tr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146B1 (en) Animal catching device
US8839550B2 (en) Rodent station
US8302345B2 (en) Method of using a versatile pest station with interchangeable inserts
BR112020016423A2 (en) ELECTRONIC TRAP FOR RODENTS WITH REMOTE MONITORING CAPACITY
KR102090426B1 (en) Trap apparatus for wild boar
KR200488175Y1 (en) Trap for Capture Harmful Wild Animal
US3393468A (en) Bird trap
JP6471384B2 (en) Wild animal capture device
KR20180077706A (en) wild boar trap
US20160143262A1 (en) Trap for catching animals, in particular muridae
KR101625188B1 (en) 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
CA2733269A1 (en) Repeating animal capture and containment system having removable trapping devices
KR102463241B1 (en) Wild animal capture frame
EP3537874A1 (en) A trap
KR20100070531A (en) Gate device of animal trap
KR100703240B1 (en) Live animal trap
KR101842060B1 (en) dropping capture trap
JP5475741B2 (en) Animal trap
JP3179233U (en) Wild animal trap
KR102205115B1 (en) Rotary type harmful birds and beast capture devices
KR20100070529A (en)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nimal trap
JP3244482U (en) Passage box trap
JP2017131155A (en) Capture device
JP3050966U (en) Wildlife trap
KR102400443B1 (en) Self-assembly gate for capturing animal and trap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