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188B1 - 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 - Google Patents

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188B1
KR101625188B1 KR1020140045031A KR20140045031A KR101625188B1 KR 101625188 B1 KR101625188 B1 KR 101625188B1 KR 1020140045031 A KR1020140045031 A KR 1020140045031A KR 20140045031 A KR20140045031 A KR 20140045031A KR 101625188 B1 KR101625188 B1 KR 10162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door
plate
frames
wild anim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8857A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4004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188B1/en
Publication of KR20150118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8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1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20Box traps with dropping doors or sl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프레임(110)들을 격자형상으로 연결하면서 각 프레임(110)들간은 철망(111)으로 커버하여 철망틀(11)로서 이루어지는 사방의 측면(12)들이 상부면(13)에 맞춤결합되고, 측면(12) 중 앞뒷면에는 안쪽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제1 도어(14)를 형성하며, 지상에 위치되도록 하향 개방되게 구비되는 상부 트랩(10); 상기 상부 트랩(10)의 하부에서 복수의 프레임(210)들에 평판의 판재(211)를 결합한 사방의 측판(21)들 하단부가 하부판(22)에 맞춤결합되도록 하고, 상향 개방한 밀폐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하부 트랩(20); 상기 상부 트랩(10)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트랩(20)의 상단부가 맞춤결합되면서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의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며, 판면에는 하향 개방되는 제2 도어(31)를 형성하고, 제1 도어(14)측의 판면에는 복수의 확인창(33)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계판(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연속적이면서 안전하게 야생동물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ldlife continuous trapp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frames (110) connected in a lattice shape, each frame (110) being covered with a wire mesh (111) A first door 14 is formed to fit the side surfaces 12 to the upper surface 13 and open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ide surface 12 and to op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rap 13 10); A lower end of each of the side plates 21 of each of which the plate members 211 of the flat plate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rames 21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p 10 is fitted to the lower plate 22, A bottom trap (20) embedded in the bottom so as to have a shape; The lower end of the upper trap 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trap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separate the space between the upper trap 10 and the lower trap 20. The second door 31, And a plurality of check windows (33) are combined with a boundary plate (30)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provid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door (14) side, so that wild animals can be captured continuously and safely .

Description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

본 발명은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가 심한 지역에서 지상에 노출되는 트랩을 통해서는 야생동물을 유인하고, 유인된 야생동물은 지하에 매설한 트랩으로 자동 낙하되게 하여 다수의 야생동물을 연속해서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capturing apparatus for wild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apturing wild animals through traps exposed to the ground in a region where damage by wild animals is severe, and attracted wild animals are trapped underground And to allow continuous capturing of a large number of wild animals by automatically dropping the wild animals.

일반적으로 야생동물은 법적으로 포획이 금지되어 있어 한시적으로 허용된 기간 및 장소에서만 지정한 야생동물만을 사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wildlife is legally prohibited from capturing, so that only designated wildlife can be hunted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and place.

하지만 최근 멧돼지나 고라니 등과 같은 야생동물에 의한 농가의 피해가 다수 속출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나 야생동물을 산채로 포획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However, the number of farmers suffering from wild animals such as wild boar and elk recently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o it is urgent but it is not easy to capture wild animals as alive.

야생동물들의 출현은 산이나 들에서의 먹이 사냥이 쉽지가 않기 때문이며, 특히 동절기와 같은 시기에는 비닐하우스나 주택가에까지 침범하여 급기야 인명사상까지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고 있다.The emergence of wild animals is because it is not easy to hunt food in mountains and fields. In the same period, especially in the winter season, there are serious problems that lead to the death of life by invading the plastic houses and residential areas.

특히 최근에는 안정적인 먹이 섭취를 위해 동절기가 아닌 시기에도 농가에 자주 출몰하면서 농가 피해가 날로 심해지고 있으며, 이들 야생동물에 의한 출현이 농가의 대단한 위협이 되는 상황에까지 이르고 있다.Especially in recent years, farmers have been suffering from aggravated farming due to their frequent appearance in farmhouses even during the winter season for stable food consumption, and the emergence of these wild animals is a great threat to farmers.

이를 위해서 최근에는 야생동물을 산채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포획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포획장치로서 등록실용신안 제0426592호(2006.09.07.명칭: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는 개방된 입구로 들어온 야생동물이 발판을 누름과 동시에 출입구가 닫혀지도록 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경계가 심한 야생동물들이 발판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미끼로 걸어둔 먹이만 물고 나가거나 개폐문의 작동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Recently, a variety of capture device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to capture wild animals as wild animals. As the capture device,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0426592 (name: wild animal continuous capture device) The wild animals were allowed to catch the openings at the same time the footpath was pressed. However, wild animals with severe borders could not catch food that was caught by the bait without pushing the footstool, .

이와 같은 폐단을 개선시키고자 제안한 등록특허 제1049146호(2011.07.07.명칭:동물 포획장치)는 출입구의 작동성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갇힌 야생동물에 의한 충격에 대해서도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있으나, 일단 한번 갇힌 야생동물을 꺼내기 전까지는 재차 야생동물을 포획할 수가 없어 포획할 수 있는 마리수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멧돼지와 같이 힘이 센 야생동물에 의해서는 갇힌 상태에서의 강력한 반항에 의해 포획장치에 심한 손상이 발생되어 재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Registration No. 1049146 (July 7, 2011, name: Animal Capture Device), proposed to improve such deterioration, makes the door more stable so that it can be closed even when the animal is trapped by the trapped wildlife. But it is not possible to capture wild animals again until once they are taken out of the trapped wildlife, not only because of the limited number of captive horses, but also because of the trapped wildlif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use due to severe damage to the trapping device due to strong rebound in the product.

등록실용신안 제0426592호(2006.09.07.)Registered utility model 0426592 (2006.09.07.) 등록특허 제1049146호(2011.07.07.)Registration No. 1049146 (July 7, 201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폐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야생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지상의 상부 트랩과 유인한 야생동물이 낙하하면서 갇히도록 하는 지하의 하부 트랩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상부 트랩에는 항상 포획된 야생동물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포획이 가능하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derground trap for trapping wild animals, There is a main purpose of providing a continuous capturing device for wild animals which enables sequential capture by preventing captured wild animals from being seen.

그리고 본 발명은 전후방 제1 도어가 안쪽으로만 회전하는 수평 스윙방식으로 작동하고, 상부 트랩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2 도어는 하향으로만 회전하는 수직 스윙방식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상부 트랩으로 유인하여 하부 트랩으로 자연낙하되는 야생동물의 탈출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horizontal swing mod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first doors rotate only inward, and the second doo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trap operates in a vertical swinging manner rotating only downward,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ld animal continuous capture apparatus that can completely prevent the escape of wild animals falling naturally by the bottom trap.

또한 본 발명은 경계판에 복수의 확인창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하부 트랩에 갇힌 야생동물의 확인과 함께 안전하게 마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ld animal continuous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safely anesthetizing a wild animal trapped in a lower trap by making a plurality of check windows openable and closable on a boundary plate.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격자형상으로 연결하면서 각 프레임들간은 철망으로 커버하여 철망틀로서 이루어지는 사방의 측면들이 상부면에 맞춤결합되고, 측면 중 앞뒷면에는 안쪽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제1 도어를 형성하며, 지상에 위치되도록 하향 개방되게 구비되는 상부 트랩; 상기 상부 트랩의 하부에서 복수의 프레임들에 평판의 판재를 결합한 사방의 측판들 하단부가 하부판에 맞춤결합되도록 하고, 상향 개방한 밀폐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하부 트랩; 상기 상부 트랩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트랩의 상단부가 맞춤결합되면서 상부 트랩과 하부 트랩의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며, 판면에는 하향 개방되는 제2 도어를 형성하고, 제1 도어측의 판면에는 복수의 확인창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계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continuous wildlife cap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frames connected in a lattice shape, each of the frames being covered with a wire net, An upper trap forming a first door that opens to the insid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a downwardly opened opening to be positioned on the ground; A lower trap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p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coupled with the plate members of the plate to the plurality of frames are fitted to the lower plate and formed into an upwardly opened closed box shape; The lower end of the upper trap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trap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separate the space between the upper trap and the lower trap, and a second door is opened downward on the plate surface. On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a boundary plate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는 상부 트랩의 내부로 유인한 야생동물이 경계판의 제2 도어를 통해 하부 트랩으로 추락되게 함으로써 상부 트랩에서는 포획된 야생동물이 항상 비어 있도록 하여 연속적인 포획이 가능하다.The wildlife continuous trapp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ild animals entrain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trap to fall into the lower trap through the second door of the boundary plate so that trapped wild animals are always empty in the upper trap, It is possible to capture it.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 트랩이 지하에 매설되게 함으로써 포획한 동물에 의한 어떠한 저항에도 손상이 방지될 수 있어 반 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trap is embedded in the ground, so that any damage caused by the trapped animal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trap can be semi-permanently used.

특히 본 발명은 확인창을 통해 추락한 야생동물의 확인 및 마취총을 이용한 마취가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인 포획이 가능하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wild animals that have crashed through the confirmation window and enable anesthesia using an anesthesia gun to more effectively capture the anim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제1 도어를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상부 트랩 중 면간 연결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경계판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확인창을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설치 구조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ld animal continuous cap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 RTI ID =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irst door of the continuous capturing device for wild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interspac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pper trap of the wild animal continuous tr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oundary plate of the wild animal continuous cat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rmation window of the wild animal continuous cap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ontinuous capturing apparatus for wild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ontinuous capturing apparatus for wild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는 크게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 및 경계판(3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ld animal continuous cap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apparatus of FIG. 1. As shown in FIG. 1, The trap 20 and the boundary plate 30 are combined.

본 발명의 상부 트랩(10)은 복수의 철망틀(11)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철망틀(11)은 복수의 프레임(110)들을 격자형상으로 연결하고, 격자형상의 프레임(110)들 사이는 일정 간격으로 짜여진 철망(111)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이때 격자형상의 프레임(110)간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보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upper tr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metal mesh frames 11 and the metal mesh frame 11 connects the plurality of frames 110 in a lattice shape, And they are covered by the wire mesh 111 woven at regular intervals.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lattice-shaped frames 110 in a diagonal direction so as to reinforce them.

상부 트랩(10)은 이러한 철망틀(11)을 이용하여 사방의 측면(12)과 함께 상부면(13)을 각각 형성하도록 하고, 사방의 측면(12)들은 상단부가 상부면(13)에 맞춤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upper trap 10 is formed with the upper side 13 and the upper side 13 together with the sides 12 of the four sides using the wire mesh frame 11, .

따라서 상부 트랩(10)은 하향 개방되는 구성이며, 사방의 측면(12) 중 앞뒷면에는 한 쌍의 철망틀(11)로서 이루어지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제1 도어(14)가 구비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upper trap 10 is configured to be opened downward, and the first door 14,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a swinging manner,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our side walls 12 as a pair of the metal frame 1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제1 도어를 예시한 평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어(14)는 측면(12)의 앞뒤면에서 각각 한 쌍의 철망틀(11)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이들 각 철망틀(11)은 상호 대응되는 바깥측의 단부가 경첩(15)에 의해 힌지축설되도록 하여 상호 마주보는 단부들이 안쪽으로만 회전하면서 경첩(15)에서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는 스윙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다.FIG.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irst door of the wildlife continuous tr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first door 14 includes a pair of metal mesh frames 11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ide surface 12, The outer ends of the respective metal frame 11 are hinged by the hinge 15 so that the opposing end portions of the metal frame 11 are rotated only inward and the spring restoring force of the hinge 15 In a swing manner.

따라서, 제1 도어(14)는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고, 경첩(15)에서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the first door 14 is opened while being rotated in the inward direction, and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spring restoring force at the hinge 15.

특히 제1 도어(14)의 한 쌍의 철망틀(11)간은 상호 마주보는 단부간이 일정 폭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야생동물이 쉽게 유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In particular, it is more effective to allow wild animals to be easily attracted by a pair of the wire mesh frames 11 of the first door 14 so that mutually opposite end portions are spaced apart by a constant width.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상부 트랩 중 면간 연결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상부 트랩(10)에서 사방의 측면(12)을 이루는 각 철망틀(11)은 각 측면(12)의 단부간 프레임(110)끼리는 경첩(16)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여 철망틀(11)간이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절첩이 가능하도록 한다.FIG. 4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interfacing structure of the upper trap of the wildlife continuous tr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per tra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metal frame 11 constituting the side surfaces 12, And the end frame portions 110 of the side surfaces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16 so that the wire mesh frame 11 is rotatable.

이러한 상부 트랩(10)의 측면(12)들은 상부면(13)을 이루는 철망틀(11)에 맞춤결합되며, 이들간은 용접에 의해서 고정되게 연결할 수도 있으나, 분리 가능하게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체해결이 가능하게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The side surfaces 12 of the upper trap 10 are fitted to the wire mesh frame 11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13 and can be fixedly connected by welding,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connection so that the solution can be solved.

상부 트랩(10)은 지상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부 트랩(10)의 하부에는 일정 깊이의 지하에 매설되도록 하부 트랩(20)이 구비되도록 한다.The upper trap 10 is provided on the ground, and the lower trap 20 is provided below the upper trap 10 so as to be buried in a predetermined depth.

하부 트랩(20)은 상부 트랩(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사이즈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박스형상의 구성이다.The lower trap 20 is formed in a box shape so as to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size as the upper trap 10. [

하부 트랩(20)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프레임(210)들에 평판의 판재(211)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 측판(21)들과 이 측판(21)들의 하단부가 맞춤 결합되도록 하는 평판의 바닥판(22)으로 이루어지는 상향 개방되도록 하는 밀폐형의 구성이다.The lower traps 20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ide plates 21 and the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21 are brought into fitting engagement with a plurality of frames 210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by welding the flat plate members 211 by welding And a bottom plate 22 of a flat plate.

이들 각 측판(21)들은 상부 트랩(10)에서와 마찬가지로 측단부들간 접혀질 수 있도록 경첩(23)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Each of the side plates 21 is connected by a hinge 23 so that it can be folded between the side end portions as in the upper trap 10.

상부 트랩(10)이 지상에 설치되는 것과 달리 하부 트랩(20)은 지하에 매설되는 구성이므로 하부 트랩(20)은 사방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Unlike the case where the upper trap 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since the lower trap 20 is embedded in the underground,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lower trap 20 is closed at all side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경계판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경계판(30)은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의 사이에서 이들 양 트랩(10)(20)의 내부공간을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oundary plate of a wildlife continuous tr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oundary plat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upper and lower traps 10, 10)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경계판(30)은 상부 트랩(10)의 바닥면을 이루는 동시에 하부 트랩(20)의 천정면을 이루는 구성이다.The boundary plate (30) constitu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trap (10) and constitutes the ceiling surface of the lower trap (20).

따라서, 경계판(30)의 상부면 외주연부와 하부면 외주연부에는 상부 트랩(10)의 하단부와 하부 트랩(20)의 상단부가 맞춤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300)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guide groove 300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the boundary plate 30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trap 10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trap 20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경계판(30)에는 하향 회전하도록 하는 제2 도어(31)가 형성되며, 제2 도어(31)는 한 쌍의 판면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판면은 서로 반대측의 제1 도어(14)측 단부가 경첩(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된다. A second door 31 is formed on the boundary plate 30 so as to rotate downward. The second door 31 is formed of a pair of plate surfaces. The plate surfaces of the first door 14, And is rotatably fixed by a hinge (32).

한편, 경계판(30)의 제2 도어(31)는 경첩(32)이 구비되는 반대측 단부를 축으로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하향으로만 일정 각도를 회전하는 스윙방식으로 개방되도록 하며, 개방된 각 도어는 경첩(32)에서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닫혀지게 된다.The second door 31 of the boundary plate 30 is opened by a swinging method in which the opposite end of the second door 31 opposite to the hinge 32 is rotat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door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spring restoring force of the hinge 32. [

제2 도어(31)는 닫혀진 상태일지라도 야생동물이 발버등치면서 제2 도어(31)를 하부로부터 상부로 충격을 가할 수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충격에도 결코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해서 제2 도어(31)는 경첩(32)이 구비되는 면간 상호 밀착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더불어 측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스토퍼 플레이트(34)가 제2 도어(31)의 양측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oor 31 is prevented from being opened to such an impact because the second door 31 can impact the second door 31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while the wild animal strikes against the second door 31. Therefore, 31 may be 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hinge 32 provided therebetween and the stopper plate 34 may be integrally provided at both lower ends of the second door 31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end portions .

경계판(30)에는 제2 도어(31)와 함께 제2 도어(31)의 바깥측인 제1 도어(14)측의 판면에는 확인창(33)이 구비되도록 한다.A check window 33 is provid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door 14 side which is the outside of the second door 31 together with the second door 31 in the boundary plate 3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확인창을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확인창(33)은 하부 트랩(20)에 야생동물이 포획되었는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포획된 야생동물을 꺼내기 전에 마취총으로 마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개구(330)와 이 개구(330)를 개폐하는 제3 도어(331)으로 이루어진다.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rmation window of the wildlife continuous capt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rmation window 33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whether wildlife is trapped in the lower trap 20, And a third door 331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330. The third door 331 has a relatively small opening 330 allowing an anesthetic to be anesthetized before the wild animal is taken out.

확인창(33)의 개구(330)는 하부 트랩(2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나 하부 트랩(20)에서 야생동물이 머리나 발을 노출시킬 경우 자칫 사고를 유발할 수가 있으므로 경계판(30) 저면에는 개구(330)를 가로 지르는 형상으로 복수의 창살(332)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opening 330 of the check window 33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identify the inside of the lower trap 20 or may cause an accident if the wild animal exposes the head or foot in the lower trap 20, It is most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ashes 332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sh 30 so as to cross the opening 330.

그리고 확인창(33)의 개구(330)는 제3 도어(331)에 의해서 항상 닫혀진 상태가 되도록 하고, 필요한 순간에만 개방하도록 한다.The opening 330 of the confirmation window 33 is always closed by the third door 331, and is opened only when necessary.

다만, 제1 도어(14)와 제2 도어(31)가 스윙식 도어인 것과는 달리 제3 도어(331)는 일단을 축으로 상향 개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However, unlike the first door 14 and the second door 31 are swing-type doors, the third door 331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opened upward.

확인창(33)은 앞뒷쪽에서 양측으로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어떠한 방향에서도 하부 트랩(20)의 내부를 확인하기 용이하다.It is easy to check the inside of the lower trap 20 in any direction so that the check window 33 is provided as one pair from the front to the back.

한편, 하부 트랩(20)에서의 야생동물 포획여부를 확인창(33)을 통해 직접적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트랩(20)의 내부나 제2 도어(31)에 CCTV나 무선감지장치가 구비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capturing of wild animals in the lower trap 20 without being directly confirmed through the check window 33, Or a wireless sensor may be provided.

특히,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하부 트랩(20)과 경계판(30)의 결합으로만 형성도 가능하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only by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trap 20 buried in the basement and the boundary plate 30.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제작 및 설치하는 방법과 함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서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and installing the wild animal continuous catc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method of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우선 본 발명은 상부 트랩(10)을 이루는 철망틀(11)로서 사방의 측면(12)과 상부면(13)을 각각 제작하고, 하부 트랩(20)은 복수의 프레임(210)에 평판의 판재(211)를 결합하여 사방의 측판(21)을 이루고, 이 측판(21)들의 하단부에는 바닥판(22)이 맞춤결합되도록 제작한다.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forms four side walls 12 and an upper side 13 of a wire mesh frame 11 constituting an upper trap 10 and each of the lower traps 20 comprises a plurality of frames 210, And a bottom plate 22 is fitted to the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21. The bottom plate 21 is formed as a flat plate.

각각 분리되게 제작한 상부 트랩(10)의 측면(12)들은 각각 사이드측의 프레임(110)간을 경첩(16)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여 도 6과 같이 완전히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The side surfaces 12 of the upper trap 10, which are separately manufactured, can be completely folded as shown in FIG. 6 by connecting the side frames 110 by the hinges 16.

상부 트랩(10)의 측면(12)간을 경첩(16)에 의해 접혀지도록 하여 면간 겹쳐지게 하면 이동 시 운반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적재가 용이하므로 최소한의 적재면적으로 최대한 적재 및 보관이 가능하다.Since the side surfaces 12 of the upper trap 10 are folded by the hinges 16 so as to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t is convenient to carry while being moved, and is easy to load.

이와 같은 상부 트랩(10)의 측면(12)들은 동일한 방식의 철망틀(11)로서 이루어지는 상부면(13)에 각 상단부의 프레임(110)이 단순히 맞춤결합에 의해 연결되게 할 수도 있고, 이렇게 맞춤결합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해결이 가능하게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The side surfaces 12 of the upper trap 10 may be such that the frame 110 of each upper end portion is simp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3 formed of the same type of the wire netting frame 11 by fitting, It is possible to fix the sieve solution so that the sieve solution can be solved by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ans in a combined state.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야생동물이 넘어갈 수 없는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void the use of separate fastening means, it is desirable to have a height sufficient for the wild animals to fall over.

상부 트랩(10)과 마찬가지로 하부 트랩(20)도 사방의 측면을 이루는 측판(21)들간 경첩(23)에 의해서 연결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측면들이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Like the upper trap 10, the lower traps 20 are also connected by the hinges 23 between the side plates 21 forming the four sides of the sides so that the sides can be folded as a whole.

다만 하부 트랩(20)은 각 측판(21)의 하단부가 바닥판(2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홈에 맞춤결합되게 할 수도 있고,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체해결이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However, the lower traps 20 may be formed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21 are fitted to the guide groove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2, .

이와 같이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이 각각 제작되면 하부 트랩(20)의 상부로 경계판(30)이 맞춤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경계판(30)의 상부로는 다시 상부 트랩(10)의 하단부가 맞춤 결합되도록 한다.When the upper and lower traps 10 and 20 ar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boundary plate 30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rap 20 and the upper trap 10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ng portions 22 and 24 are brought into fitting engagement.

경계판(30)에 각각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이 맞춤 결합되도록 하면 하부 트랩(20)의 내부에서 야생동물이 경계판(30)에 충격을 가하게 되더라도 경계판(30)은 상부 트랩(10)의 하중에 의해 전혀 충격을 받지 않게 되므로 야생동물들을 안전하게 가둬둘 수가 있게 된다.If the upper trap 10 and the lower trap 20 are fit to the boundary plate 30 so that the wild animal impacts the boundary plate 30 in the lower trap 20, It is not affected by the load of the upper trap 10 at all, so that the wild animals can be safely trapped.

하지만 야생동물들에 의해 경계판(30)으로의 충돌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므로 하부 트랩(20)의 높이 또한 상부 트랩(10)과 같이 야생동물에 의한 접촉이 불가한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lision impact on the boundary plate 30 is not applied by the wild animals, so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trap 20 is set to a height sufficient to make contact with wild animals, such as the upper trap 10, To be formed.

다만 경계판(30)으로부터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해서 언제라도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upper trap 10 and the lower trap 20 are detachably fixed at any time using separate fastening means so that the upper trap 10 and the lower trap 20 are not separated from the boundary plate 30.

이렇게 본 발명은 각각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현장에서 맞춤조립되게 하면서 설치되도록 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hile being separately assembled and assembled in the field.

야생동물이 자주 출현하는 길목에 우선 하부 트랩(20)이 수용될 수 있는 사이즈로 땅을 판 후 하부 트랩(20)이 먼저 매설되도록 하고, 이 하부 트랩(20)의 상단부에 경계판(30)을 덮은 후 경계판(30)의 상부로 상부 트랩(10)이 지상에서 노출되도록 함에 의해 간단히 설치가 되도록 한다.The lower trap 20 is first buried in the ground where the lower trap 20 can be accommodated and the boundary plate 3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trap 20, And then the upper trap 10 is exposed on the ground to the upper part of the boundary plate 30, there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설치 구조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가 설치되고, 상부 트랩(10)의 내부에서 상부면 철망틀(11)의 중간에 야생동물이 즐겨 먹는 미끼를 달아두게 되면 모든 설치는 완료된다.FIG. 7 is a structural view of an apparatus for capturing wild animals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wild animal continuous cap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upper trap 10, If you put the favorite bait on the wildlife, all the installation is complete.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로 야생동물이 접근하면 상부 트랩(10)에 형성한 제1 도어(14)의 철망틀(11)간을 일정 폭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야생동물의 유인이 좀더 쉽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Since the wild animal continuous approa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ild type animal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wire mesh frames 11 of the first door 14 formed in the upper trap 10, Can be achieved.

즉, 제1 도어(14)의 양측 철망틀(11) 사이가 일정 폭으로 벌어져 있게 되면 이 틈 사이로 미끼가 보여지면서 경계심이 한층 가벼워지게 되므로 야생동물이 보다 안심하고 제1 도어(14)를 밀고 상부 트랩(1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wickets 11 on both sides of the first door 14 are opened at a predetermined width, the bait is seen between the gaps, so that the wickedness is further reduced, so that the wild animals can push the first door 14 more safely And then enters the inside of the upper trap 10.

야생동물이 미끼에 가까이 근접하는 순간 야생동물의 체중이 경계판(30)의 제2 도어(31)에 얹혀지는 순간 제2 도어(31)가 하향 개방되면서 야생동물을 하부 트랩(20)으로 떨어지도록 한다.At the moment when the wild animal comes close to the bait, the moment the weight of the wild animal is put on the second door 31 of the boundary plate 30, the second door 31 is opened downward and the wild animal is dropped into the lower trap 20 .

하부 트랩(20)에 일단 떨어지게 되면 제2 도어(31)는 자동으로 경첩(32)에서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폐쇄되는 상태가 되므로 야생동물은 하부 트랩(20)에 갇히는 상태가 된다.The second door 31 is automatically raised and closed by the spring restoring force of the hinge 32 so that the wild animal is trapped in the lower trap 20. [

하부 트랩(20)은 지하에 매설되므로 하부 트랩(20)의 내부는 빛이 거의 없어 하부 트랩(20)에 갇힌 야생동물은 처음엔 좀 당황할 수가 있으나 시간이 지나지면서 조용하게 있게 된다.Since the lower trap 20 is buried in the ground, the wild trapped animal trapped in the lower trap 20 may be somewhat embarrassed at the beginning of the trap trap 20, but it will be quiet over time.

이와 같이 상부 트랩(10)에 유인되어 하부 트랩(20)으로 야생동물이 갇히게 되면 상부 트랩(10)은 처음과 동일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또 다른 야생동물을 연속해서 유인할 수가 있다.If the wild trapped animal is caught by the upper trap 10 and trapped by the lower trap 20, the upper trap 10 remains in the same state as the first trap, so that other wild animals can be continuously attracted.

연속해서 야생동물이 상부 트랩(10)의 내부로 유인되어 순간적으로 하부 트랩(20)에 떨어지게 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야생동물의 포획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하부 트랩(20)에 갇힌 야생동물은 확인창(33)을 통해서 쉽게 관찰이 가능하므로 확인창(33)을 통한 야생동물의 포획 여부 및 상태를 체크하고, 포획된 야생동물은 확인창(33)을 통해 마취총을 이용하여 마취가 되도록 한다.The wild animals can be captured repeatedly by allowing the wild animals to fall into the lower trap 20 instantaneously while being attract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trap 10 and the wild animals trapped in the lower trap 20 can be caught by the check window 33, So that the capturing of the wild animals through the check window 33 is checked, and the trapped wild animals are anesthetized by using the anesthesia gun through the check window 33.

야생동물이 마취되면 인력이나 장비를 동원하여 상부 트랩(10)과 경계판(30)을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하부 트랩(2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하부 트랩(20)으로부터 마취된 상태의 야생동물만을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야생동물을 꺼내도록 한다.When the wild animal is anesthetized, the upper trap 10 and the partition plate 30 are sequentially separated by using gravity or equipment to make the upper part of the lower trap 20 open, and in this state, Take wild animals out of the way by lifting only wild animals.

다만 야생동물이 하부 트랩(20)에 언제 갇히게 되는지를 확인창(33)을 통한 육안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하부 트랩(20) 또는 경계판(30)에 설치되도록 한 CCTV나 무선감지장치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포획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인력의 손실 또는 야생동물을 하부 트랩(20)에 장시간 방치하게 되는 사례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한다.However, when the wildlife is trapped in the lower trap 20, it can be detected not only by the naked eye through the window 33 but also at the remote place through the CCTV or the wireless sensor which is installed in the lower trap 20 or the boundary plate 30. [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manpower for confirming the capture or the case in which the wild animal is left in the lower trap 20 for a long time.

따라서, 야생동물이 포획되는 즉시 그 사실을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빠른 시간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면 야생동물을 장시간 방치함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안전한 포획이 가능하도록 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apture the facts immediately after capturing wild animals and to cope with them in a short time, so that safe capturing is possible with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by leaving wild animals for a long time.

한편, 본 발명은 상부 트랩(10)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지하에 매설한 하부 트랩(20)의 상단부에 경계판(30)을 맞춤 조립한 후 경계판(30)을 주위의 위장물로 위장시킨 상태로도 사용은 가능하다.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upper trap 10 is removed, the boundary plate 30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trap 20 buried in the ground, and then the boundary plate 30 is camouflaged with surrounding camouflage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다만 이때의 경계판(30)은 상부로 개방될 수도 있으므로 별도의 체결장치를 통해 체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the boundary plate 30 at this time may be opened to the upper side, it is more preferable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dev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 트랩(20)이 지하에 매설되도록 하여 지상에서는 포획된 야생동물이 보이지 않게 야생동물이 포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생동물의 연속적인 포획이 가능토록 하는 동시에 포획된 야생동물의 포획 확인과 마취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야생동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trap 20 is embedded in the ground so that wild animals can be captured without seeing captured wild animals on the ground, thereby enabling continuous capturing of wild animals,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wild animals more safely while providing convenience of operation to enable easy confirmation and anesthesia.

10 : 상부 트랩 11 : 철망틀
110 : 프레임 111 : 철망
12 : 측면 13 : 상부면
14 : 제1 도어 15,16 : 경첩
20 : 하부 트랩 21 : 측판
22 : 하부판 23 : 경첩
30 : 경계판 31 : 제2 도어
32 : 경첩 33 : 확인창
330 : 개구 331 : 제3 도어
332 : 창살 34 : 스토퍼 플레이트
10: upper trap 11: wire mesh frame
110: frame 111: wire mesh
12: side surface 13: upper surface
14: first door 15,16: hinge
20: Lower trap 21: Side plate
22: bottom plate 23: hinge
30: boundary plate 31: second door
32: Hinges 33: Confirmation window
330: opening 331: third door
332: grate 34: stopper plate

Claims (11)

복수의 프레임들을 격자형상으로 연결하면서 각 프레임들간은 철망으로 커버되도록 한 철망틀로서 이루어지는 사방의 측면과 상부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측면 중 앞뒷면에는 한 쌍의 철망틀을 상호 반대측 단부가 경첩으로 연결되게 하여 각각 안쪽으로만 회전하면서 개방되도록 하며,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닫혀지도록 제1 도어를 형성하고, 지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하향 개방되게 구비되는 상부 트랩;
상기 상부 트랩의 하부에서 복수의 프레임들에 평판의 판재를 결합한 사방의 측판들 하단부가 하부판에 맞춤결합되도록 하고, 상향 개방되는 밀폐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하부 트랩;
상기 상부 트랩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트랩의 상단부가 맞춤결합되면서 상부 트랩과 하부 트랩의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며, 한 쌍의 판면이 서로 반대측의 단부가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단부는 하향으로만 일정 각도를 회전하여 상기 경첩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는 스윙형식으로 구비되는 제2 도어를 형성하고, 제2 도어의 바깥측 판면에는 복수의 확인창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계판;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A plurality of frames are connected in a lattice shape, and the frames are covered with a wire netting, and the side faces and the upper face are formed as a metal netting frame. An upper trap which is opened downward to be opened on the ground, a first door which is closed by being returned by a spring restoring force,
A lower trap embed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p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coupled with the plate members of the plate to the plurality of frames are fitted to the lower plate and formed into an upwardly open closed box shape;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trap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trap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separate a space between the upper trap and the lower trap, and the end portions of the pair of plates are rotatably fixed by hinges, A second door formed in a swing type in which the second door is rotated in a downward direction by a spring restoring force of the hinge so as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lurality of check windows are openably and closably provid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door;
Of the wild animal.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한 쌍의 철망틀간 상호 마주보는 단부간을 일정 폭으로 이격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oor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width between opposite ends of a pair of wire mesh fram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랩의 각 측면은 상부면과 체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side surface of the upper trap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by a fastening means so as to be able to solve the upper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랩과 상기 하부 트랩은 사방의 측면과 측판이 인접하는 측단부간 각각 경첩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판면간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trap and the lower trap are folded between the plate surfaces by connecting the side faces of the four sides and the side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by hinges.
복수의 프레임들에 평판의 판재를 결합한 사방의 측판들 하단부가 하부판에 맞춤결합되도록 하고, 상향 개방되는 밀폐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하부 트랩;
상기 하부 트랩의 상단부가 맞춤결합되며, 한 쌍의 판면이 서로 반대측의 단부가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단부는 하향으로만 일정 각도를 회전하여 상기 경첩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는 스윙형식으로 구비되는 제2 도어를 형성하고, 제2 도어의 바깥측 판면에는 복수의 확인창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계판;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A lower trap embedded in a basement so that a lower end of each of the side plates coupled to a plurality of frames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and is formed into an upwardly open closed box shape;
The upper end of the lower trap is fitted and coupled so that the opposite end portions of the pair of plate surfaces are rotatably fixed by the hinge, while the end portions facing each other are rotated downward only by a certain angle, And a plurality of check windows are openably and closably provid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door.
Of the wild anima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랩은 사방의 측판이 인접하는 측단부간 각각 경첩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판면간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wer trap allows the side plates of each of the four sides to be connected by the respective hinges between the adjacent side end portions so as to be folded between the plate surface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판의 상부면 외주연부와 하부면 외주연부에는 상기 상부 트랩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트랩의 상단부가 맞춤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an upper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and a lower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the boundary plate so th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trap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trap can be fitted and inserted.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랩에는 내부에 포획된 야생동물의 포획 여부 또는 상태를 원격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CCTV 또는 무선감지장치가 설치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CCTV or the wireless sens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lower trap so that capturing or capturing of the captured wildlife can be confirmed remotely.
KR1020140045031A 2014-04-15 2014-04-15 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 KR1016251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031A KR101625188B1 (en) 2014-04-15 2014-04-15 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031A KR101625188B1 (en) 2014-04-15 2014-04-15 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857A KR20150118857A (en) 2015-10-23
KR101625188B1 true KR101625188B1 (en) 2016-05-27

Family

ID=5442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031A KR101625188B1 (en) 2014-04-15 2014-04-15 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18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68Y1 (en) 2019-01-28 2019-11-08 김달하 Trap for capture hamful wild animal
KR102124812B1 (en) 2019-09-30 2020-07-07 주식회사 피스 Hazardous Animal Trap device
KR102165053B1 (en) 2020-01-10 2020-10-13 김지영 Trap apparatus for capturing wild anim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790B (en) * 2018-09-30 2020-12-18 嘉兴恒益安全服务股份有限公司 Mouse trapping device with four-side inl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240B1 (en) * 2006-01-10 2007-04-09 대한민국 Live animal trap
JP2008283930A (en) * 2007-05-21 2008-11-27 Hotoku Sekizai:Kk Trapp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240B1 (en) * 2006-01-10 2007-04-09 대한민국 Live animal trap
JP2008283930A (en) * 2007-05-21 2008-11-27 Hotoku Sekizai:Kk Trapp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68Y1 (en) 2019-01-28 2019-11-08 김달하 Trap for capture hamful wild animal
KR102124812B1 (en) 2019-09-30 2020-07-07 주식회사 피스 Hazardous Animal Trap device
KR102165053B1 (en) 2020-01-10 2020-10-13 김지영 Trap apparatus for capturing wild anim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857A (en)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6184B (en) Versatile pest station with interchangeable inserts
KR101049146B1 (en) Animal catching device
KR101625188B1 (en) 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
US4899484A (en) Humane animal trap
KR102090426B1 (en) Trap apparatus for wild boar
KR101071875B1 (en)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nimal trap
KR102124812B1 (en) Hazardous Animal Trap device
KR101211511B1 (en) Sticky trap case
KR101071876B1 (en) Gate device of animal trap
KR102463241B1 (en) Wild animal capture frame
US107091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rd control
KR100703240B1 (en) Live animal trap
US20140259873A1 (en) Humane mousetrap with a novel entrance device
JP2011024446A (en) Box type trap
US3828460A (en) Rodent trap
CN202406896U (en) Continuous mousetrap
JP5475741B2 (en) Animal trap
KR20200065235A (en) Trap apparatus for hamful animuls
KR102052609B1 (en) Assembly animal trap
KR101842060B1 (en) dropping capture trap
KR200488175Y1 (en) Trap for Capture Harmful Wild Animal
JP4266884B2 (en) Small animal trap
JP2014128223A (en) Enclosure trap, cage, and enclosure trap with cage
JP3170855U (en) 猪 deer
KR20060116506A (en) A animal catch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