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10Y1 -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10Y1
KR200488110Y1 KR2020150005341U KR20150005341U KR200488110Y1 KR 200488110 Y1 KR200488110 Y1 KR 200488110Y1 KR 2020150005341 U KR2020150005341 U KR 2020150005341U KR 20150005341 U KR20150005341 U KR 20150005341U KR 200488110 Y1 KR200488110 Y1 KR 200488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subframe
bone density
present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652U (ko
Inventor
김계선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2020150005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1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5Supports or holders, e.g., articulated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는 검사 대상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검사 대상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메인 프레임, 검사 대상자의 발이 접촉될 수 있고,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포함되는 삼각기둥 형상의 서브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어 검사 대상자의 발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BONE DENSITY MEASUREMENT AUXILIARY EQUIPMENT}
본 고안은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 대상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에 발목이 접촉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다공증은 가장 흔한 대사성 골질환의 하나로 대퇴골, 척추, 손목 등에서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미국에서는 800만명의 여성이 골다공증, 2200만명이 골감소증으로 추정된 바 있으며, 국내에서도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이 10%, 골감소증이 30% 전후로 보고될 정도로 유병률이 높은 질환이다.
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골밀도 측정기가 사용되고 있고, 보다 정확한 골밀도 측정을 위해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가 골밀도 측정 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는 대상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와 발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받침대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존재하므로, 의료진 등의 사용자는 골밀도 측정 시, 측정 상황에 따라 거치대 또는 고정용 받침대를 번갈아 사용해야 하고, 이에 따라 골밀도 촬영을 위한 준비 시간도 늘게 되어 골밀도 검사 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치대와 고정용 받침대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존재하므로 검사실(또는 측정실) 내부에서의 보관 등에 있어서 공간활용도가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검사 대상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검사 대상자의 발목이 접촉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의 활용성을 높이고, 검사 공간 내부에서의 보관의 편의성도 개선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로써, 검사 대상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검사 대상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메인 프레임, 검사 대상자의 발이 접촉될 수 있고,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포함되는 삼각기둥 형상의 서브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어 검사 대상자의 발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에는 통풍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면 이외의 면에 소정의 크기의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은 이동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면에 장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보조 장치가 베드 상에서 이동될 때 베드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이 이루는 각도는 서브 프레임의 빗변이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서브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장착 가능하고, 지탱부재와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탱부재는 가죽, 고무 및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된 스트랩을 포함하고, 체결부재는 버튼, 벨크로, 후크 및 지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골밀도 측정 시 종래에는 상이한 형태의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를 교환해가면서 번갈아 사용했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검사 대상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검사 대상자의 발목이 접촉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골밀도 측정보조 장치(예컨대, 종래와 같은 거치대, 고정용 받침대 등)를 검사용 베드에 올리거나 내리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손쉽게 골밀도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서브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보조장치의 보관 등에 있어서 검사실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이 형성된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포함한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체결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서브 프레임 빗변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에 장착된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100)는 검사 대상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검사 대상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메인 프레임(10), 검사 대상자의 발이 접촉될 수 있고,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 포함되는 삼각기둥 형상의 서브 프레임(20) 및 서브 프레임(20)에 장착되어 검사 대상자의 발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100)는 전면(11)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전면(11)과 후면(12)이 개방되어 통풍에 보다 유리할 수 있는 경량의 보조장치(100)가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예로써 전면(11)과 평면(15)이 개방될 수도 있고, 이러한 형태의 보조장치(100)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검사 대상자의 대퇴부를 정위치에 보다 수월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보조장치(100)가 검사용 베드 또는 환자 테이블 상에서 이동될 때 베드 등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등일 수 있다. 또한, 베드 등에서의 이동성 향상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실크, 시트, 부직포 등의 재질이 코팅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이 형성된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메인 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면 이외의 면에 소정의 크기의 관통홀(예컨대, h1, h2, h3, h4)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통풍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전면(11) 이외에, 후면(12)에 형성된 제 1 관통홀(h1)과 제 2 관통홀(h2)은 전면(11) 등과 함께 통풍로 역할을 수행하고, 좌측면(13)에 형성된 제 3 관통홀(h3)과 우측면(14)에 형성된 제 4 관통홀(h4)도 통풍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13)에 형성된 제 3 관통홀(h3)과 우측면(14)에 형성된 제 4 관통홀(h4)은 보조장치(100)의 이동 시 양측 손잡이 역할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포함한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메인 프레임(10)은 이동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면에 장착된 손잡이부(1 또는 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1)의 상측에는 막대 또는 바 형태의 손잡이부(1)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12)의 상측에는 막대 또는 바 형태의 손잡이부(1')가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때 후면(12)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체결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서브 프레임 빗변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0)에는 서브 프레임(20)이 고정부재(33)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서브 프레임(20)과 메인 프레임(10)이 이루는 각도는 서브 프레임(20)의 빗변이 메인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위치를 검사 대상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조정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상 시에는 P1-P1'의 위치에 서브 프레임(20)을 위치하여 고정시켜서 사용하다가, 하반신 사용이 불편한 검사 대상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브 프레임(20)의 고정 위치를 P5-P5'으로 변경함으로써 검사 대상자가 무리하여 자세를 잡지 않고도 서브 프레임(20)의 각도 또는 위치를 변경함을 통하여 수월하게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에 장착된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20)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장착 가능하고, 지탱부재(31)와 체결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탱부재(31)는 가죽, 고무 및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된 스트랩 등을 포함하고, 체결부재(32)는 버튼, 벨크로, 후크 및 지퍼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검사 대상자의 발을 고정하게 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100)는 메인 프레임(10)과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20) 및 서브 프레임(20)에 장착되어 검사 대상자의 발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0)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통풍 또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에컨대, h1 내지 h4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100)는 전면(11)의 상단부에 손잡이부(1)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6b에서와 같이,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100)의 좌측면(13)은, 예를 들면, 반원형으로 일부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일부 개방된 좌측면(13)을 갖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검사 대상자의 발목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부 개방된 좌측면(13)을 통한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서의 사용자의 손 사용 자유도가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는 고정부(30)로써 검사 대상자의 발목을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 대상자도 메인 프레임(10)의 내부로 자신의 발을 손쉽게 옮길 수 있다.
또한, 도 6c에서와 같이,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100)의 좌측면(13) 뿐만 아니라 우측면(14)도, 예를 들어, 반원형으로 일부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양 측면(예컨대, 13 및 14)의 개방으로 인하여 메인 프레임(10) 내부로의 통풍이 원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검사 대상자의 발목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 대상자도 메인 프레임(10)의 내부로 자신의 발을 손쉽게 옮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100)는 검사 대상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10)에 발목이 접촉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20)을 포함함으로써, 검사실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프레임을 번갈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손잡이부 h1 : 제 1 관통홀
h2 : 제 2 관통홀 h3 : 제 3 관통홀
h4 : 제 4 관통홀 10 : 메인 프레임
11 : 전면 12 : 후면
13 : 좌측면 14 : 우측면
15 : 평면 16 : 저면
20 : 서브 프레임 30 : 고정부
31 : 지탱부재 32 : 체결부재
33 : 고정부재 100 :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Claims (7)

  1.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에 있어서,
    검사 대상자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검사 대상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메인 프레임;
    상기 검사 대상자의 발이 접촉될 수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포함되는 삼각기둥 형상의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검사 대상자의 발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통풍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방된 면 이외의 면에 소정의 크기의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이동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면에 장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보조 장치가 베드 상에서 이동될 때 상기 베드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빗변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장착 가능하고, 지탱부재와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부재는 가죽, 고무 및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된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버튼, 벨크로, 후크 및 지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KR2020150005341U 2015-08-11 2015-08-11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KR200488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41U KR200488110Y1 (ko) 2015-08-11 2015-08-11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41U KR200488110Y1 (ko) 2015-08-11 2015-08-11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52U KR20170000652U (ko) 2017-02-21
KR200488110Y1 true KR200488110Y1 (ko) 2018-12-13

Family

ID=5826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341U KR200488110Y1 (ko) 2015-08-11 2015-08-11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492B1 (ko) 2018-12-26 2019-06-18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744Y1 (ko) 2005-12-23 2006-05-08 모성희 골밀도 및 성장판 진단장치
JP2008022960A (ja) 2006-07-19 2008-02-07 Aloka Co Ltd 骨密度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879B1 (ko) * 2001-10-26 2004-06-11 주식회사 비.엠.텍 21 초음파 골밀도 측정 장치
KR100458391B1 (ko) * 2002-07-24 2004-11-26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회전형 손잡이를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744Y1 (ko) 2005-12-23 2006-05-08 모성희 골밀도 및 성장판 진단장치
JP2008022960A (ja) 2006-07-19 2008-02-07 Aloka Co Ltd 骨密度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52U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1028B2 (ja) マルチモダリティ医療手技マットレスベースデバイス
NL1041488B1 (en) Device for fixating a medical instrument.
KR101569284B1 (ko) 의료영상검사용 신체부위고정장치
US9254235B2 (en) Medical head restraint and medical bed system using the same
CA2801484C (en) Device for measuring the knee laxity
US99498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knee rehabilitation
US20170143250A1 (en) Floating patella sensor, knee stabilizer with same and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with same
JP2003290166A (ja) 立位型身体組成測定装置
JP2010069249A (ja) 内臓脂肪測定装置
KR101883055B1 (ko) 경추보호대
KR200488110Y1 (ko)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CN107928695B (zh) 踝关节固定装置
CN209932786U (zh) 固定下肢体位的装置
CN208926630U (zh) 一种采血固定装置
US201201090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runcal control
US20210059570A1 (en) Diagnostic measurement devices and methods
SE535035C2 (sv) Dorsal underarmsplatta
CN204932172U (zh) 下肢主动功能康复训练带
CN203914939U (zh) 一种ct检查床
CN107028612B (zh) 一种医用腰椎负荷背带装置
CN217987578U (zh) 一种人体膝关节生物力学特性测试装置
CN212661821U (zh) 一种影像放射科幼儿胸部拍片辅助装置
CN217090748U (zh) 用于跟骨轴位dr摄影的辅助装置
CN212118164U (zh) 膝关节应力位x线摄影辅助装置
JP4800016B2 (ja) 膝蓋骨可動性評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