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928Y1 -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928Y1
KR200487928Y1 KR2020170005662U KR20170005662U KR200487928Y1 KR 200487928 Y1 KR200487928 Y1 KR 200487928Y1 KR 2020170005662 U KR2020170005662 U KR 2020170005662U KR 20170005662 U KR20170005662 U KR 20170005662U KR 200487928 Y1 KR200487928 Y1 KR 200487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group
connector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환
반민우
Original Assignee
(주)휴니드 테크놀러지스
(주)서울스탠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니드 테크놀러지스, (주)서울스탠다드 filed Critical (주)휴니드 테크놀러지스
Priority to KR2020170005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9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방 단부를 따라 걸림작용을 하는 플랜지(110)가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관(tube) 형상의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며 전면부에 LED(210) 및 상기 LED(21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2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후면부에 배선커넥터(23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LED조립판(200);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LED조립판(200)에 구비된 스위치(220)를 눌러주는 스위치캡(3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LED조립판(200)의 배선커넥터(230) 형태에 따른 제1커넥터절개부(410)가 구비된 후방덮개(400); 상기 후방덮개(400)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커넥터절개부(410)에 대응하도록 절개된 제2커넥터절개부(510)가 구비된 고정판(500); 및, 전면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절개부(410) 및 상기 제2커넥터절개부(510)를 통과하여 상기 LED조립판(200)의 배선커넥터(230)와 결합되는 연결커넥터(610)가 구비되고, 후면부에는 다수 개의 연결용단자(620)가 돌출되는 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플랜지(110)와 상기 후방덮개(400)의 전단부 사이에 장비 본체의 외장재(11)가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Connector Type Pushbutton Switch}
본 고안은 자동제어용판넬, 방송장비, 군용장비 등에 사용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쇄필름의 손상을 방지하고, 확산판의 교체로 손쉽게 해당 푸시버튼 스위치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고, 외부 배선 연결시 별도의 납땜이 필요 없으며, 일부 LED의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푸시버튼 스위치의 빛이 지속적으로 발산되어 기능 저하가 발생되지 않는 새로운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푸시버튼스위치란 자동제어용판넬, 통신, 방송장비, 철도, 엘리베이터, 선박, 항공, 의료, 군용장비 등에 사용되는데 정확성, 안전성, 내구성이 뛰어나고 견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푸시버튼스위치에는 LED램프를 이용한 조명식 푸시버튼스위치와 무조명식 푸시버튼스위치가 있다.
도1에 도시된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의 경우 스위치캡을 누르게 되면 납땜단자가 구비된 스위치를 작동시키고 스위치캡의 램프접점과 스위치의 램프전원단자 사이의 접점이 유지되어 스위치캡 내부에 설치된 LED가 빛을 발하게 되는 구조인데, 이러한 종래의 푸시버튼스위치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램프접점과 램프전원단자 사이의 접점이 불안정하여 스위치캡을 눌러도 LED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둘째, 스위치캡이 전방으로 쉽게 분리되어 망실 우려가 높다.
셋째, 푸시버튼스위치를 교체하는 경우 납땜단자에서 배선을 떼어내어야만 교체가 가능하여 작업이 번거롭고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넷째,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폐구조가 기본적으로 내장되지 않아 전자방해 차폐구조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비용이 추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기존 제품의 전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 공간을 과다하게 점유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푸시버튼 스위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푸시버튼 스위치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 확산판(330)의 전면에 부착되는 인쇄필름(331)과 보호필름(332)이 단순히 중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인쇄필름(331)과 보호필름(332)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게 되고 스위치 조작시 보호필름(332)이 눌러지면서 보호필름(332)이나 인쇄필름(331)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의 확산판(330)은 유백색(milky white color)으로만 제작되어 스위치캡(300)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내장되는 LED를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연결되는 외부 배선이 모두 납땜 방식으로 연결되어 배선 재작업이 번거롭고 납땜용 단자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다수의 LED가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LED만 불량(고장)이 발생하여도 전체 그룹이 빛을 발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확산판의 전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과 인쇄필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스위치 구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확산판의 변경만으로 스위치캡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새로운 스위치 구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외부 배선 연결 구조로 단자아답타를 채택함으로써 납땜 작업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스위치 구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일부 LED의 불량(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스위치캡의 조명이 유지될 수 있는 새로운 스위치 구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방 단부를 따라 걸림작용을 하는 플랜지(110)가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관(tube) 형상의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며 전면부에 LED(210) 및 상기 LED(21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2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후면부에 배선커넥터(23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LED조립판(200);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LED조립판(200)에 구비된 스위치(220)를 눌러주는 스위치캡(3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LED조립판(200)의 배선커넥터(230) 형태에 따른 제1커넥터절개부(410)가 구비된 후방덮개(400); 상기 후방덮개(400)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커넥터절개부(410)에 대응하도록 절개된 제2커넥터절개부(510)가 구비된 고정판(500); 및, 전면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절개부(410) 및 상기 제2커넥터절개부(510)를 통과하여 상기 LED조립판(200)의 배선커넥터(230)와 결합되는 연결커넥터(610)가 구비되고, 후면부에는 다수 개의 연결용단자(620)가 돌출되는 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플랜지(110)와 상기 후방덮개(400)의 전단부 사이에 장비 본체의 외장재(11)가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산판의 전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과 인쇄필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인쇄필름(331)과 보호필름(332)을 광접합(optical bonding)하여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인쇄필름(331)과 보호필름(332)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층을 제거하고 스위치캡(300)을 반복적으로 터치하더라도 인쇄필름(331)이나 보호필름(33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확산판의 변경만으로 스위치캡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확산판(330)의 전면에는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된 칼라필터(333)가 광접합(optical bonding)되어 필요에 따라 확산판(330)만 교체하여 스위치캡(300)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스위치캡(300)의 색상 변경을 위하여 LED(210)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셋째, 외부 배선 연결 구조로 단자아답타를 채택함으로써 납땜 작업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자아답타(700)의 클램프(710) 일측에는 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600)의 연결용단자(620)가 삽입되어 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600)과 단자아답타(700)가 탈착식으로 결합되고, 클램프(710)의 타측에는 연결되는 외부 배선의 심선(22)이 삽입되어 압착고정되는 구조가 되어 별도의 납땜 작업 없이 각각의 스위치 모듈들을 외부 배선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일부 LED의 불량(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스위치캡의 조명이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LED조립판(20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LED(210)가 다수의 그룹(group)으로 이루어진 병렬구조로 연결되어 작동되던 그룹의 불량이 발생하면 대기 상태에 있던 다른 그룹이 새롭게 작동되어 스위치캡(300)의 조명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의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은 또 다른 종래기술의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a)종래의 LED조립판(200)에 배열되는 LED(210) 배선구조, 및 (b)본 고안의 LED조립판(200)에 배열되는 LED(210) 배선구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확산판(330)과 칼라필터(333)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인쇄필름(331)과 보호필름(332)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8은 단자아답타(700)와 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6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관(tube) 형상의 구조를 하고 있으며, 하우징(100)의 전방 단부를 따라 걸림작용을 하는 플랜지(110)가 형성된다.
지지판(13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치캡(300)과 LED조립판(2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지지판(130)의 중앙부에 스위치캡(300)의 스위치캡지지대(350) 후면에 구비된 스위치누름봉(355)이 통과하는 제1중공(131)과 LED(210)의 빛이 통과하는 조명통과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물망메쉬(140)는 지지판(130)에 부착되는데 그물망메쉬(140)에도 스위치누름봉(355)이 통과하는 제2중공(141)이 형성된다.
그물망메쉬(140)는 EMI차폐를 위한 전도성 메쉬로서 구리와 니켈이 도금된 폴리에스터 섬유를 짜서 만든 것이 사용된다.
스프링(15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누름봉(355)에 삽입되어 지지판(130)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며, 스위치캡(30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0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캡(300)의 프레임(310)에 형성된 걸림돌기부(315)를 수용하며, 스위치캡(300)의 누름작용과 복귀작용을 허용하는 정도의 공간을 제공하는 걸림돌기부수용홈(120)가 구비된다.
걸림돌기부(315)의 작용으로 스위치캡(300)의 분리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LED조립판(200)은 하우징(10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는데, LED조립판(200)의 전면부에는 LED(210) 및 이러한 LED(21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2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LED조립판(200)의 후면부에는 배선커넥터(23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LED조립판(20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LED(210)는 도5(a)에 도시된 종래의 LED(210)와는 달리 도5(b)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그룹(group)이 병렬구조로 연결되어 배열된다.
LED(210)를 구성하는 다수의 그룹 가운데 어느 한 그룹이 동작 그룹으로 미리 지정되어 작동된다.
아울러 LED조립판(200)에는 도5(b)에 도시된 것처럼 전류감지IC(240)와 전류스위치IC(250)가 구비된다.
전류감지IC(240)는 미리 지정된 동작 그룹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지정된 동작 그룹에 속하는 LED(210)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류스위치IC(250)는 전류감지IC(240)에서 감지되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수치 이하로 저하될 경우 지정된 동작 그룹에 속하는 LED(210)의 불량(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작동이 되고 있지 않던 다른 그룹을 새롭게 동작 그룹으로 지정하고, 새롭게 지정된 동작 그룹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5(b)에 도시된 것처럼, LED(210)는 스위치(220)를 중심으로 좌측에 A-1그룹과 A-2그룹이 병렬구조로 연결되고, 스위치(220)를 중심으로 우측에 B-1그룹과 B-2그룹이 병렬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초기 작동시 A-1그룹과 B-2그룹이 동작 그룹으로 지정될 수 있는데, A-1그룹과 B-2그룹이 함께 작동하다가 A-1그룹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A-2그룹이 새로운 동작 그룹으로 지정되어 B-2그룹과 함께 작동하고, B-2그룹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B-1그룹이 새로운 동작 그룹으로 지정되어 A-1그룹과 함께 작동되고, A-1그룹과 B-2그룹 모두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A-2그룹과 B-1그룹이 새로운 동작 그룹으로 지정되어 함께 작동하게 되어 스위치(22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 각각의 2개 그룹 가운데 최소 1개 그룹은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일부 LED(210)의 불량이 발생하여도 동일하게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스위치캡(300)은 도4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0)의 전방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며, LED조립판(200)에 구비된 스위치(220)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위치캡(300)은 프레임(310), 가스켓(320), 확산판(330), 전면덮개(340), 및 스위치캡지지대(3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310)은 하우징(100)의 내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의 관(tube) 형상을 하고 있으며, 프레임(310)의 후방 단부 양측에는 걸림돌기부(315)가 형성되어 하우징(100)에 구비된 걸림돌기부수용홈(120)에 결착된다.
가스켓(320)은 프레임(310)의 테두리에 삽입되며, 프레임(310)과 하우징(100) 내부면 사이 틈새의 수밀성을 유지하여 이물질이나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확산판(330)은 프레임(310)의 전방 단부 내측면에 결합되며 LED(210)의 빛을 확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확산판(330)은 유백색(milky white color)과 같은 반투명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확산판(330)의 전면에는 도6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된 칼라필터(333)가 광접합(optical bonding)되어 필요에 따라 확산판(330)만 교체하여 스위치캡(300)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스위치캡(300)의 색상 변경을 위하여 LED(210)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칼라필터(333)의 전면부에는 도4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버튼의 기능이 인쇄된 인쇄필림(331)과 이를 보호하는 보호필림(332)이 부착되기도 하는데, 보호필름(332)은 인쇄필름(331)의 전면에 광접합(optical bonding)함으로써 보호필름(332)과 인쇄필름(331)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스위치캡(300)을 장기간 터치하더라도 인쇄필름(331)이나 보호필름(332)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전면덮개(340)는 칼라필터(333), 인쇄필름(331) 및 보호필름(332)이 부착된 확산판(3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프레임(31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다.
스위치캡지지대(350)는 프레임(310)의 후방 단부 내측면에 결합되는데 LED조립판(200)에 구비된 스위치(220)를 눌러주는 스위치누름봉(355)이 후면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확산판(330)과 마찬가지로 유백색과 같은 반투명 재질로 만들어져 LED(210)의 빛을 확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후방덮개(400)는 도4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삽입되어 하우징(100)과 결합되는데, 후방덮개(400)의 중앙부에는 LED조립판(200)의 배선커넥터(230) 형태에 따른 제1커넥터절개부(410)가 구비되어 배선커넥터(230)가 이를 통하여 후방덮개(400)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는 도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하우징(100)의 플랜지(110)와 후방덮개(400)의 전단부 사이에 장비 본체의 외장재(11)가 밀착결합되는 구조가 된다.
고정판(500)은 후방덮개(400)의 후면부에 결합되는데, 제1커넥터절개부(410)에 대응하도록 절개된 제2커넥터절개부(510)가 구비된다.
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600)의 전면부에는 제1커넥터절개부(410) 및 제2커넥터절개부(510)를 통과하여 LED조립판(200)의 배선커넥터(230)와 결합되는 연결커넥터(610)가 구비되고, 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600)의 후면부에는 다수 개의 연결용단자(620)가 돌출된다.
이러한 연결용단자(620)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은 연결커넥터(610)와 배선커넥터(230)를 통하여 LED(210)에 공급된다.
단자아답타(700)에는 도4 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관 형태의 전도성 재질로 제작된 다수의 클램프(710)가 내장된다. 즉, 단자아답타(700)를 구성하는 몸체를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 각각에 클램프(710)가 장착되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클램프(710)의 일측에는 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600)의 후면부에서 돌출된 연결용단자(620)가 삽입되어 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600)과 단자아답타(700)가 탈착식으로 결합되고, 클램프(710)의 타측에는 연결되는 외부 배선의 심선(22)이 삽입되어 압착고정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별도의 납땜 작업 없이 각각의 스위치 모듈들을 외부 배선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1:외장재
22:심선
100:하우징
110:플랜지
120:걸림돌기부수용홈
130:지지판
131:제1중공 132:조명통과공
140:그물망메쉬
141:제2중공
150:스프링
200:LED조립판
210:LED
220:스위치
230:배선커넥터
240:전류감지IC
250:전류스위치IC
300:스위치캡
310:프레임
315:걸림돌기부
320:가스켓
330:확산판
331:인쇄필름 332:보호필름 333:칼라필터
340:전면덮개
350:스위치캡지지대
355:스위치누름봉
400:후방덮개
410:제1커넥터절개부
500:고정판
510:제2커넥터절개부
600: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
610:연결커넥터
620:연결용단자
700:단자아답타
710:클램프

Claims (7)

  1. 전방 단부를 따라 걸림작용을 하는 플랜지(110)가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관(tube) 형상의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며 전면부에 LED(210) 및 상기 LED(21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2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후면부에 배선커넥터(23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LED조립판(200);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LED조립판(200)에 구비된 스위치(220)를 눌러주는 스위치캡(300);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LED조립판(200)의 배선커넥터(230) 형태에 따른 제1커넥터절개부(410)가 구비된 후방덮개(400);
    상기 후방덮개(400)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커넥터절개부(410)에 대응하도록 절개된 제2커넥터절개부(510)가 구비된 고정판(500); 및,
    전면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절개부(410) 및 상기 제2커넥터절개부(510)를 통과하여 상기 LED조립판(200)의 배선커넥터(230)와 결합되는 연결커넥터(610)가 구비되고, 후면부에는 다수 개의 연결용단자(620)가 돌출되는 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6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플랜지(110)와 상기 후방덮개(400)의 전단부 사이에 장비 본체의 외장재(11)가 밀착결합되며,
    상기 LED조립판(20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상기 LED(210)는 다수의 그룹(group)이 병렬구조로 연결되어 배열되며,
    상기 LED조립판(200)에는,
    상기 LED(210)를 구성하는 어느 한 그룹이 동작 그룹으로 미리 지정되며, 미리 지정된 동작 그룹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지정된 동작 그룹에 속하는 LED(210)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전류감지IC(240); 및,
    상기 전류감지IC(240)에서 감지되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수치 이하로 저하될 경우 지정된 동작 그룹에 속하는 상기 LED(210)의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작동이 되고 있지 않던 다른 그룹을 새롭게 동작 그룹으로 지정하여 새롭게 지정된 동작 그룹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류스위치IC(25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2. 제1항에서,
    상기 LED(210)는,
    상기 스위치(220)를 중심으로 좌측에 A-1그룹과 A-2그룹이 병렬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220)를 중심으로 우측에 B-1그룹과 B-2그룹이 병렬구조로 연결되며,
    초기 작동시 A-1그룹과 B-2그룹이 동작 그룹으로 지정되어 함께 작동하다가 A-1그룹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A-2그룹이 새로운 동작 그룹으로 지정되어 B-2그룹과 함께 작동하고, B-2그룹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B-1그룹이 새로운 동작 그룹으로 지정되어 A-1그룹과 함께 작동되고, A-1그룹과 B-2그룹 모두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A-2그룹과 B-1그룹이 새로운 동작 그룹으로 지정되어 함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3. 제1항에서,
    원통관 형태의 전도성 재질로 제작된 다수의 클램프(710)가 내장된 단자아답타(700);
    가 더 포함되며,
    상기 클램프(710) 일측에는 상기 연결용단자(620)가 삽입되어 상기 외부배선연결용조립판(600)과 상기 단자아답타(700)가 탈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710)의 타측에는 연결되는 배선의 심선(22)이 삽입되어 압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4. 제1항에서,
    상기 스위치캡(300)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의 관(tube)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방 단부 양측에는 걸림돌기부(315)가 형성된 프레임(310);
    상기 프레임(310)의 테두리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31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면 사이 틈새의 수밀성을 유지하는 가스켓(320);
    상기 프레임(310)의 전방 단부 내측면에 결합되는 확산판(330);
    상기 확산판(3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31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는 전면덮개(340); 및,
    상기 프레임(310)의 후방 단부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LED조립판(200)에 구비된 스위치(220)를 눌러주는 스위치누름봉(355)이 후면부에 돌출된 스위치캡지지대(350);
    가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캡(300)과 상기 LED조립판(200)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부에 상기 스위치누름봉(355)이 통과하는 제1중공(131)과 상기 LED(210)의 빛이 통과하는 조명통과공(132)이 형성된 지지판(130); 및,
    상기 스위치누름봉(355)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130)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스프링(150);
    이 포함되고,
    상기 확산판(330)의 전면에는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된 칼라필터(333)가 광접합(optical bonding)되어 상기 확산판(330)을 교체할 경우 상기 스위치캡(300)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걸림돌기부(315)를 수용하며 상기 스위치캡(300)의 누름작용과 복귀작용을 허용하는 정도의 공간을 제공하는 걸림돌기부수용홈(1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5. 제4항에서,
    상기 칼라필터(333)의 전면에 부착되며, 다양한 정보가 인쇄되는 인쇄필름(331); 및,
    상기 인쇄필름(331)의 전면에 광접합(optical bonding)되는 보호필름(332);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지지판(130)에 부착되고 상기 스위치누름봉(355)이 통과하는 제2중공(141)이 형성된 그물망메쉬(14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7. 삭제
KR2020170005662U 2017-11-02 2017-11-02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KR200487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62U KR200487928Y1 (ko) 2017-11-02 2017-11-02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62U KR200487928Y1 (ko) 2017-11-02 2017-11-02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928Y1 true KR200487928Y1 (ko) 2018-11-23

Family

ID=6455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662U KR200487928Y1 (ko) 2017-11-02 2017-11-02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92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888A (ko) * 2004-12-01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커넥터구조
KR200450497Y1 (ko) * 2010-06-09 2010-10-07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조명식 푸시버튼스위치
KR20130010599A (ko) * 2011-07-19 2013-01-29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기판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04952A (ko) * 2012-07-03 2014-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인성을 향상시킨 스위치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888A (ko) * 2004-12-01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커넥터구조
KR200450497Y1 (ko) * 2010-06-09 2010-10-07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조명식 푸시버튼스위치
KR20130010599A (ko) * 2011-07-19 2013-01-29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기판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04952A (ko) * 2012-07-03 2014-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인성을 향상시킨 스위치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09818A (ja) 液晶表示装置
JPH10134897A (ja) インジケータライト付きモジュラジャック
CN110709639A (zh) 信号灯监控器
WO2015145957A1 (en) Switch device
AU2020260521B2 (en) Chassis connector
CN112739955B (zh) 照明式电力插座
TW202032602A (zh) 背光模組
US6759613B2 (en) Key switch
KR101801601B1 (ko) 무배선 led 조명등
JP2011243461A (ja) 面発光モジュール及び面発光照明装置
KR200487928Y1 (ko) 커넥터 타입 푸시버튼 스위치
US5196712A (en) Printed circuit board apparatus with optical switching
KR200450497Y1 (ko) 조명식 푸시버튼스위치
EP2843296B1 (en) Lighting module for LED-based lighting
DK2202856T3 (en) Electrical installer
US7439487B2 (en) Optical encoder apparatus for removable connection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s of assembling optical encoder apparatus.
JP2015050013A (ja) スイッチ装置
US8926153B2 (en) Integrated light pipe and LED
CN203617189U (zh) 键盘的发光模组
US20110315534A1 (en) Light guide sheet, movable contact body using same, and switch
CN110874996B (zh) 一种旅客信号指示牌
CN212901152U (zh) 一种车载面板指示灯
CN211919020U (zh) 一种机载设备中的按键式导光面板结构
CN211607003U (zh) 光模块写码器
JP2018163985A (ja) 電子回路ユニット及び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