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62Y1 - Buoy for diving - Google Patents

Buoy for di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62Y1
KR200487762Y1 KR2020170003577U KR20170003577U KR200487762Y1 KR 200487762 Y1 KR200487762 Y1 KR 200487762Y1 KR 2020170003577 U KR2020170003577 U KR 2020170003577U KR 20170003577 U KR20170003577 U KR 20170003577U KR 200487762 Y1 KR200487762 Y1 KR 200487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diving
connection ring
buoyant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5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2020170003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6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6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4Buoys container type, i.e. having provision for the storag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Abstract

본 고안은 다이빙용 부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는, 내측이 중공된 튜브 형상으로 외면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일측에 밸브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의 바닥면과 접합되되, 일면에 제1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타면에 제2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바닥시트와, 상기 부력부의 상부면을 개폐하며, 상기 부력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중공간지로 형성된 부표를 형성하여 고압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시에 강한 압력으로 부표 상부를 누르는 경우에도 부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 for diving, wherein a buoy for d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tube shape on the inside, an outer surface formed of a double space, a valve formed on one side, A bottom sheet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oyant portion and having a first connection ring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on ring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portion, And a cover part connected to and fixed to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formed in the hous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orm the buoy formed by the double gaps and inject air at a high pressure, so that the shape of the buoy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upper part of the buoy is pressed with strong pressure at the time of use.

Description

다이빙용 부표{BUOY FOR DIVING}BUOY FOR DIVING

본 고안은 다이빙용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다이빙용 부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 for div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oy for diving using a dual space.

일반적으로, 부표(또는 부자, 부이, 부구 등으로 칭함)는 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다. 부표는 암초, 침몰선 등의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해 사용되고, 어구(漁具)나 닻 등 물 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일정 범위에 어류, 폐류 및 조류 등을 양식하기 위해 설치된 그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Generally, a buoy (or rich, buoy, buoy, etc.) is a float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uoys are used to warn the presence of dangerous vessels such as reefs and sunken ships, and are used to indicate the location of objects in water, such as fishing gear or anchors, and are used to produce fish, It is used to fix the net installed for.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806호(2015.01.06 공고)는 부표에 관한 것으로, 반 구 형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접촉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끼워맞춤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를 구 형상으로 밀착시킬 경우 결합되는 끼워맞춤부를 고정시킴에 의해 구 형상의 부표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mong the conventional technique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5806 (published on May 1, 2015) discloses a buoy, comprising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which are divided into a semi-spherical shape and in which a hollow portion is formed, And a fitt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a contact surface of the lower body. Wh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pherical shape, the fitting portion to be engaged is fixed, thereby forming a spherical buoy.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다이버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물품을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limitations in that diver can take a break or accommodate the article.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된 부표를 형성하여 고압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시에 강한 압력으로 부표 상부를 누르는 경우에도 부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다이빙용 부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buoy formed of a double space and to inject air at a high pressure so that a diving buoy capable of maintaining the shape of a buoy eve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 is pressed with a strong pressure .

또한, 부표를 로프와 연결시 이중으로 결착할 수 있도록 하여 로프가 풀려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다이빙용 부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uoy for diving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when a rope is loosened by allowing a buoy to be doubled when it is connected to a rope.

또한, 부표의 손잡이가 롤링되도록 하여 어깨끈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이빙용 부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uoy for diving that can be used as a shoulder strap by allowing the handle of the buoy to roll.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는, 내측이 중공된 튜브 형상으로 외면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일측에 밸브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의 바닥면과 접합되되, 일면에 제1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타면에 제2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바닥시트와, 상기 부력부의 상부면을 개폐하며, 상기 부력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oy for d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oyant portion having an inner hollow tube shape and an outer surface formed of a double space, a valve formed at one side thereof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A bottom sheet having a first connection ring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on ring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ide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uoyancy portion,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커버부는 메쉬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개폐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is formed in a mesh shape, and an opening / closing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to accommodate the article therein.

또한, 일측이 상기 제1 연결고리에 1차적으로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연결고리에 2차적으로 매듭을 형성하여 고정되고, 타측에 무게추가 연결되며, 상기 부력부의 내측공간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로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may be primarily knotted on the first connection ring, a second knot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nnection ring, and a weight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knot. Lt; RTI ID = 0.0 > ropes < / RTI >

또한, 상기 부력부와 연결된 끈이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손잡이로 사용되고, 상기 끈이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어깨끈으로 사용되는 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olling portion used as a handle when the strap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portion and used as a shoulder strap when the strap is drawn out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부력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formed outside the buoyancy unit to output predetermined illumination.

이에 따라, 이중공간지로 형성된 부표를 형성하여 고압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시에 강한 압력으로 부표 상부를 누르는 경우에도 부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orm the buoy formed by the double gaps and inject air at a high pressure, so that the shape of the buoy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 is pressed with strong pressure at the time of use.

또한, 부표를 로프와 연결시 이중으로 결착할 수 있도록 하여 로프가 풀려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uoy is connected to the rope, it can be doubled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loosening the rope.

또한, 부표의 손잡이가 롤링되도록 하여 어깨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It can also be used as a shoulder strap by allowing the handle of the buoy to rol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 중 부력부와 커버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 중 바닥시트의 상부와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에 롤링부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롤링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ving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uoyant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n the diving buoy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bottom sheet of the diving buoy according to Fig. 1,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ectional configuration of a diving buoy according to FIG. 1;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a rolling part in addition to the diving buoy according to Fig. 1;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lling part according to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precedent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s defin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when specifical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 중 부력부와 커버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 중 바닥시트의 상부와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ng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buoyant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n the diving buo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ectional configuration of a diving buoy according to FIG. 1.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100)는 부력부(110), 바닥시트(120) 및 커버부(130)를 포함한다.1 to 4, a buoy 100 for d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oyant portion 110, a bottom sheet 120, and a cover portion 130.

부력부(110)는 내측이 중공된 튜브 형상으로 외면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된다. 이 경우, 부력부(110)의 일측에 밸브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을 가지게 된다. 부력부(110)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도록 형성된다. 부력부(110)의 외측면에는 고리형상으로 복수의 연결부(111)가 형성된다. 부력부(110)의 연결부(111)는 후술하는 커버부(130)가 연결되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력부(110)의 크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The buoyant portion 110 has a hollow tube shape on the inside and an outer surface formed of a double space. In this case, a val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uoyancy portion 110, and external air is injected to have buoyancy. The buoyant portion 110 is formed as a double space and is formed to have high durability against ultraviolet ray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oyant portion 110,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111 are formed in a ring shape. The connection portion 111 of the buoyancy portion 110 serves to connect and fix the cover portion 130 to be described later. The size of the buoyant portion 110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setting.

부력부(110)는 PVC 소재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있어 장시간 일광에 노출되더라도 사용시 피부에 달라붙는 성질이 없다, 또한, PVC 시트지는 마찰계수가 적어서 수면상에서 다이버가 부표를 밀면서 이동하는데 필요한 힘을 상당부분 줄여준다. 부력부(110)는 이중공간지를 사용한 구조이므로 일반적이 에어펌프로 용이하게 공기 주입이 가능하면서도 고압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시에 강한 압력으로 부표 상부를 누르는 경우에도 부이의 형상에 변형이 생기지 않게된다. 또한, 이중공간지의 특성상 상면이 평면 형상으로 제작되고, 물리력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다이버가 팔을 걸치고 휴식을 취하기가 용이하며, 위에 장비를 올려 놓는 등 사용이 편리하다.Since the buoyancy part 110 is made of PVC material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it does not stick to the skin even when exposed to sunlight for a long time. Also, the PVC sheet has a low friction coefficient, . Since the buoyant portion 110 is a structure using a double space, air can be injected at a high pressure while air can be easily injected by the air pump. Therefore, eve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 is pressed with strong pressure during use, No deformation occurs.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double space, the upper surface is made in a planar shape, and the diver can easily rest on the arm because it is not deformed by the physical force.

바닥시트(120)는 부력부(110)의 바닥면과 접합되며, 이중공간지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시트(120)는 일면에 제1 연결고리(121)가 형성되고, 타면에 제2 연결고리(122)가 형성된다. 제1 연결고리(121) 및 제2 연결고리(122)는 로프(140) 또는 고리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닥시트(120)d는 복수의 배수공(123)이 형성된다. 부력부(110)의 중공된 영역으로 유입된 물은 배수공(123)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또한, 바닥시트(120)는 부력부(110)의 중공된 영역에 사용자의 물품들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The bottom sheet 120 is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oyant portion 110 and may be formed as a double space. The bottom sheet 120 has a first connection loop 121 on one side and a second connection loop 122 on the other side. The first connection loop 121 and the second connection loop 122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rope 140 or the loop. A plurality of drain holes 123 are formed in the bottom sheet 120 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ollow region of the buoyant portion 110 may be drained through the drain hole 123. In addition, the bottomsheet 120 serves to accommodate the user's items in the hollow region of the buoyancy portion 110.

커버부(130)는 부력부(110)의 상부면을 개폐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30)는 복수의 연결끈(131)이 부력부(110)의 연결부(111)와 연결되어 고정되면서 부력부(110)의 중공된 상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커버부(130)는 부력부(110)의 중공된 영역에 물품을 보관시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를 폐쇄시킨다. 커버부(130)는 메쉬형태로 형성되어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일측에 개폐부(132)가 형성되어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ver portion 130 opens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portion 110. 2, the cover 130 may close a hollow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portion 110 while a plurality of connecting straps 131 are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11 of the buoyant portion 110 . The cover portion 130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portion 110 to prevent loss when the article is stored in the hollow region. The cover part 130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to facilitate drainage, and the opening / closing part 132 may be formed on one side to house the article therein.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100)는 로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프(140)는 일측이 제1 연결고리(121)에 1차적으로 매듭을 형성하고, 제2 연결고리(122)에 2차적으로 매듭을 형성하여 고정된다. 로프(140)의 타측에는 무게추(141)가 연결되며 부력부(110)의 중공된 내측공간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시트(120)의 제1 연결고리(121)에는 제1 보조고리(121-1)가 연결되고, 제2 연결고리(122)에는 제2 보조고리(122-1)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보조고리(121-1) 및 제2 보조고리(122-1)는 로프(140)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로프(140)가 2중으로 연결됨으로써 로프(140)가 풀려서 생기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buoy 100 for d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pe 140. The rope 140 is fixed by forming a knot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loop 121 and forming a knot on the second connection loop 122 on the second side. A weight 141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pe 140 and can be received and stored in the hollow inner space of the buoyant portion 110. 4, the first auxiliary loop 121-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oop 121 of the bottom sheet 120 and the second auxiliary loop 12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loop 122, 1) may be connected. The first auxiliary ring 121-1 and the second auxiliary ring 122-1 can be connected to the rope 140. Accordingly, a safety accident caused by loosening the rope 140 due to the double connection of the rope 140 can be prevented.

도 5는 도 1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에 롤링부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롤링부의 단면 구성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a rolling part in addition to the diving buoy according to Fig. 1,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rolling part according to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100)는 롤링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링부(150)는 부력부(110)와 연결된 와이어(151)가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손잡이로 사용되고, 와이어(151)가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어깨끈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링부(150)는 탄성부(150-1), 가압부(150-2), 이동부(150-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buoy 100 for d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lling part 150. The rolling part 150 is used as a handle when the wire 151 connected to the buoyancy part 110 is drawn in and can be used as a shoulder strap when the wire 151 is drawn out. Specifically, the rolling part 150 includes an elastic part 150-1, a pressing part 150-2, and a moving part 150-3.

탄성부(150-1)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끈이 감겨지도록 가압될 수 있다. 탄성부(150-1)에 감겨진 끈은 외력에 의해 인출될 수 있으며, 외력이 해제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150-2)는 U자형의 형상으로 양 단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50-2)는 탄성력이 있어 이동부(150-3)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가압부(150-2)의 양단 돌기는 탄성부(150-1)의 일측을 가압하고 있어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동부(150-3)는 가압부(150-2)의 중심부와 연결된다. 이동부(150-3)가 가압되어 가압부(150-2)를 밀어내면 탄성부(150-1)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된다. 이동부(150-3)의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가압부(150-2)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양단의 돌기가 탄성부(150-1)를 가압하면서 끈의 위치가 고정된다.The elastic portion 150-1 may be formed in a leaf spring shape so as to be pressed so that the string is wound. The string wound on the elastic portion 150-1 may be drawn out by an external force, and is preferably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pressing portion 150-2 may be U-shaped and protrusions may be formed at both ends. The pressing portion 150-2 has an elastic force and its position can be changed when it is pressed by the moving portion 150-3. Both end projections of the pressing portion 150-2 press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150-1 to fix the position. The moving part 150-3 is connected to the center part of the pressing part 150-2. When the moving part 150-3 is pressed to push the pressing part 150-2, the pressure applied to the elastic part 150-1 is released. When the pressurization of the moving part 150-3 is released, the pressing part 150-2 is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projections at both ends press the elastic part 150-1 to fix the position of the string.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빙용 부표(100)는 조명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60)는 부력부(1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한다. 조명부(160)는 LED를 통해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부(160)는 내부의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조명부(160)는 기 설정된 점멸 패턴으로 조명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uoy 100 for d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160. The illumination unit 16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oyancy unit 110 and outputs predetermined illumination. The illumination unit 160 may be realized by an LED. The lighting unit 160 can receive power through an internal battery or a solar panel. The illumination unit 160 may also output illumination in a preset blink pattern.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which is intended to cover obvious vari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mbodiments.

100 : 다이빙용 부표
110 : 부력부
111 : 연결부
120 : 바닥시트
121 : 제1 연결고리
121-1 : 제1 보조고리
122 : 제2 연결고리
122-1 : 제2 보조고리
123 : 배수공
130 : 커버부
131 : 연결끈
132 : 개폐부
140 : 로프
141 : 무게추
150 : 롤링부
150-1 : 탄성부
150-2 : 가압부
150-3 : 이동부
151 : 와이어
160 : 조명부
100: Buoy for diving
110: buoyancy part
111:
120: bottom sheet
121: first connection ring
121-1: First auxiliary ring
122: second connection link
122-1: Second auxiliary ring
123: drainage
130:
131: connection cord
132:
140: Rope
141: Weights
150:
150-1:
150-2:
150-3:
151: wire
160:

Claims (5)

내측이 중공된 튜브 형상으로 외면이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일측에 밸브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는 부력부;
상기 부력부의 바닥면과 접합되되, 일면에 제1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타면에 제2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바닥시트;
상기 부력부의 상부면을 개폐하며, 상기 부력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커버부;
일측이 상기 제1 연결고리에 제1 보조고리를 이용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고리에 제2 보조고리를 통해 고정되고, 타측에 무게추가 연결되며, 상기 부력부의 내측공간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로프; 및
상기 부력부와 연결된 끈이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손잡이로 사용되고, 상기 끈이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어깨끈으로 사용되는 롤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롤링부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끈이 감겨지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와, U자형의 형상으로 양 단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밀어내어 상기 탄성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다이빙용 부표.
A buoyant portion having an inner hollow tube shape and an outer surface formed of a double space and having a valve formed at one side thereof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 bottom sheet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oyant portion, the bottom sheet having a first connection ring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on ring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A cover which opens and closes an upper surface of the buoyant portion and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uoyant portion;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ring using a first auxiliary ring, the second connection ring is fixed to the second connection ring via a second auxiliary ring, and the other side is further connected to the weight, rope; And
And a rolling part used as a handle when the string connected to the buoyancy part is drawn in and used as a shoulder strap when the string is drawn out,
The rolling unit includes:
An elastic portion formed in a leaf spring shape to press the string so as to be wound; a pressing portion formed in a U-shape to form a projection at both ends to press the elastic portion; and a pressure And a moving part for releasing the diving buo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메쉬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개폐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하는 다이빙용 부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portion
The buoy for diving is formed in a mesh form and has an opening / closing pa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house the inside of the buo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다이빙용 부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ghting unit formed outside the buoyancy unit for outputting predetermined illumin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70003577U 2017-07-10 2017-07-10 Buoy for diving KR20048776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77U KR200487762Y1 (en) 2017-07-10 2017-07-10 Buoy for di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77U KR200487762Y1 (en) 2017-07-10 2017-07-10 Buoy for div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62Y1 true KR200487762Y1 (en) 2018-10-29

Family

ID=6404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577U KR200487762Y1 (en) 2017-07-10 2017-07-10 Buoy for di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62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198U (en) * 1988-06-29 1990-01-17
JPH0535596U (en) * 1991-09-12 1993-05-14 日本酸素株式会社 Underwater diving float
US20090242570A1 (en) * 2008-03-25 2009-10-01 Churchill Robert L Inflatable Floating Cooler
CN201338717Y (en) * 2009-02-01 2009-11-04 林为熙 Swimming life-sav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198U (en) * 1988-06-29 1990-01-17
JPH0535596U (en) * 1991-09-12 1993-05-14 日本酸素株式会社 Underwater diving float
US20090242570A1 (en) * 2008-03-25 2009-10-01 Churchill Robert L Inflatable Floating Cooler
CN201338717Y (en) * 2009-02-01 2009-11-04 林为熙 Swimming life-sa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7807B1 (en) Inflatable personal bodywear flotation device
US9809281B2 (en) Submersible buoy, inflation control system and kit
CN104590509A (en) Underwater life-saving device
US6976894B1 (en) Combination wet suit and flotation device
KR200487762Y1 (en) Buoy for diving
KR20100028223A (en) Buoyancy bag
US2864101A (en) Buoyant receptacle for a diving device
EP3577020B1 (en) Extensible life-preserving device
US9233741B2 (en) Life saving dan buoy
KR200462068Y1 (en) A waterproof cover of auto expanion type air jacket
JP6419740B2 (en) Pendant life preserver
CN104554662A (en) Buoyant apparatus
CN212267802U (en) Water emergency life saving device
RU2550597C1 (en) Individual life-saving raft
US20030040235A1 (en) Child locator buoy
CN109131788B (en) Heat-insulation life buoy
CN111746762A (en) Water emergency life saving device
KR200469794Y1 (en) swimming tube
US20030068939A1 (en) Adult flotation device
CN105214232A (en) Drowning person survives breathing, water surface alarm
CN204996014U (en) Drowner existence is breathed, surface of water alarm
US20120270453A1 (en) Fully shrouded self-rescue inflatable boat
KR200356069Y1 (en) Underwater Breathing System
CN214648883U (en) Inflatable surfboard with multiple functions
KR200381854Y1 (en) a belt for the ocean activities with safet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