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55Y1 -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off of fruit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off of frui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55Y1
KR200487755Y1 KR2020180002294U KR20180002294U KR200487755Y1 KR 200487755 Y1 KR200487755 Y1 KR 200487755Y1 KR 2020180002294 U KR2020180002294 U KR 2020180002294U KR 20180002294 U KR20180002294 U KR 20180002294U KR 200487755 Y1 KR200487755 Y1 KR 200487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ee
fixing table
support
collect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2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이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민 filed Critical 이승민
Priority to KR2020180002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5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5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1/00Devices for hanging-up harvested fru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과실 낙하 방지 장치 및 고정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과실 낙하 방지 장치는,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나무를 감싸는 고정대; 고정대에 마련되어 낙과를 고정대의 중앙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채집망부; 고정대에 결합되며 나무의 직경에 대응되게 나무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대를 나무에 고정시키는 간격 조절부; 및 고정대에 결합 되며 낙과가 수용되는 낙과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uzzy fall preventing device and a fixing table are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prevention of fruit, comprising: a fixing table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 plurality of frames and encloses a tree; A collection net portion provided on the fixed base to guide the base in a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ixed base; An interval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fixing table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wood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wood to fix the fixing table to the wood; And a female housing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fixing table and houses the female housing.

Description

과실 낙하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OFF OF FRUIT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고안은, 과실 낙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과가 지면으로 떨어지는 방지함과 아울러 낙과가 수용되는 과실 낙하 방지 장치 및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prevention and a fixing table in which a fallopian tube is prevented from falling down to the ground and a fallopian tube is accommodated.

일반적으로 밤, 호두, 대추 등과 같은 과실은 수확기간이 짧고, 수확작업에 다수의 인력이 동원되며, 수확시기에 인부가 부족하여 인부 수급에도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은행 나무의 경우 익은 은행 나무가 거리에 떨어져 미관상 좋지 않고, 익은 은행 나무에서 냄새가 나서 불편한 점이 많다.Fruits such as chestnut, walnut and jujube generally have a short harvest period, and a large number of workers are mobilized for harvesting work. Especially, in the case of ginkgo, the ripe ginkgo is distant from the street, and the smell is not good in the ripe ginkgo.

또한 현재까지 마땅한 과실 수거장치가 없기 때문에 상기 과실의 수확작업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낱개로 따거나, 자연적으로 떨어진 상태의 과실을 줍거나, 대나무와 같은 막대기를 이용해 땅에 일부러 과실을 땅에 떨어뜨린 후 줍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proper fruit collection device, the harvesting work of the fruit is hand-picked individually, picked up naturally fallen fruit, or used a stick such as bamboo to drop fruit on the ground. It is being carried out in the form of a follower.

전술한 수확법은 과실에 흠집이 발생하여 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단기간만 필요한 인력을 다수 확보해야 하므로 현재의 농촌 실정에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The harvesting method described above causes flaws to be caused in fruits and deteriorates the quality, and a large number of manpower requir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must be secur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e current rural situation.

더불어 나무가 식재된 곳이 경사져 있을 경우 경사면 상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과실을 줍는 과정 역시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줍는 과정에서 미끄러져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if the place where the trees are planted is inclined, it is not easy for the worker to manually pick up the fruit on the slope,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plant may slip and get injured during the picking process.

전술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3916호 "과실 낙하 방지망"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에는 과일이 지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과실 채집부와, 과실 채집부에 모아진 과실을 회수할 수 있는 과실 회수부와, 과실 채집부를 나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하부 고정부와 상부 고정부가 개시되어 있다.The prior art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3916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registered in "Fruit Drop Fall Prevention Network". This prior art includes a fruit collection section for preventing fruits from falling on the ground, an fruit collection section for collecting the fruit collected in the fruit collection section, a lower storage section for fixing the fruit collection section to the tree firmly, Additionally disclosed.

전술한 선행기술은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를 나무에 각각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상부 고정부의 경우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장착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나무에 보다 편리하게 장착함과 아울러 다른 나무에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는 새로운 개선책이 요구된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the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fix the upper fixing part and the lower fixing part to the wood,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upper fixing part, since it is arranged at a higher position and is difficult to mount, New improvements are needed for convenient mounting.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tructure is a background technology for assisting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ology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호(장호선) 2014. 01. 28.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Bulletin No. 20- (Chang Ho-sun) 2014. 01. 28.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나무의 직경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고 낙과를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는 과실 낙하 방지 장치 및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prevention and a fixing stand which can be conveniently mounted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a tree and can easily accommodate fallopian tubes.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나무를 감싸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마련되어 낙과를 상기 고정대의 중앙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채집망부;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며 상기 나무의 직경에 대응되게 상기 나무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대를 나무에 고정시키는 간격 조절부; 및 상기 고정대에 결합 되며 상기 낙과가 수용되는 낙과 수용부를 포함하는 과실 낙하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frame having a plurality of frames detachably mounted thereon, A collecting net portion provided on the fixing table and guiding the compartment in a direction of a center of the fixing table; An interval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fixing table and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tre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tree to fix the fixing table to the tree; And a mist receiving portion coupled to the fixing stand and receiving the mist.

상기 고정대는, 상기 나무의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제1 프레임; 상기 나무의 나머지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가져 상기 제1 프레임과 같이 나무의 주변을 감싸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frame comprising: a first frame having a radius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tree; A second frame having a radius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radius of the tree and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tree, such as the first frame; And a frame engaging portion detachably coupl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고정대과 상기 나무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판; 일단부는 상기 고정대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대의 외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대; 상기 복수의 연결대의 상기 타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 및 일단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각각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대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의 하측부에는 상기 고정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무의 외벽에 지지되는 연장부가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interval adjusting unit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table and the tree; One end portion of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through the fix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fixing member; A plurality of support posts provided respectively at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which are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at one end and are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posts to provide elasticity for elastically moving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And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xing table and supported by the outer wall of the tree may be provided on the s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나무의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제1 프레임; 나무의 나머지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가져 상기 제1 프레임과 같이 나무의 주변을 감싸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외벽에 마련되며 떨어지는 낙과를 상기 나무의 중앙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채집망부의 채집망 지지부재가 결합 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고정대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frame having a radius corresponding to a radius of a tree; A second frame having a radius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radius of the tree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tree like the first frame; A frame engaging portion detachably coupl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plurality of supports, which are provided on the outer wall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to which the gathering net supporting members of the collecting net are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tree.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나무의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제1 프레임, 나무의 나머지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가져 상기 제1 프레임과 같이 나무의 주변을 감싸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외벽에 마련되며 떨어지는 낙과를 상기 나무의 중앙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채집망부의 채집망 지지부재가 결합 되는 복수의 지지대가 구비된 고정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하단부가 결합 되는 복수의 채집망 지지부재, 상기 복수의 채집망 지지부에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나무에서 떨어지는 낙과를 상기 고정대의 중앙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채집망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채집망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 되는 복수의 캡 부재가 구비된 상기 채집망부; 상기 고정대과 상기 나무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판, 일단부는 상기 고정대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대의 외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대, 상기 복수의 연결대의 상기 타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 및 일단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각각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대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체가 구비된 간격 조절부; 및 상기 낙과가 수용되는 낙과 수용 바디, 상기 낙과 수용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낙과 수용 바디를 개방시키는 지퍼 부재, 상기 낙과 수용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 고리, 상기 낙과 수용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나무에 고정되는 끈 부재 및 상기 낙과 수용 바디에 마련되어 나무에 접촉되는 나무 접촉면부가 구비된 낙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의 하측부에는 상기 고정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무의 외벽에 지지되는 연장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낙하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first frame having a radius corresponding to a radius of a tree, a second frame having a radius corresponding to a remaining radius of the tree, A frame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gathering net support member provided on an outer wall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 plurality of support rods to which the plurality of support rods are coupled; A plurality of collecting net supporting members to which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llecting net supporting member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llecting net supporting members, a plurality of collecting net members for guiding the nacelle falling from the tree to the center of the net, The collecting net comprising: a plurality of cap members respectively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collecting net support member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arranged between the fixing table and the tree, one end of each of the support plates being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through the fixing table and the other end being disposed outside the fixing table, A plurality of support posts and one end of each of which is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posts to provide elasticity for elastically movi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An interval adjusting unit; A zipper that is provided on the body and accommodates the body; a zipper which is provided on the body and opens the body to open the body; a plurality of connecting ring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to extend downward from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ed by the outer wall of the tree,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of fru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고정대에 결합되며 나무의 직경에 대응되게 나무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대를 나무에 고정시키는 간격 조절부에 의해 나무의 직경에 관계없이 본 실시 예들을 편리하게 나무에 장착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embodiments conveniently on a tree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tree by means of a spacing portion coupled to the fixture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tre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tree, can do.

또한, 나무를 감싸는 고정대가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나무에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rames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ing table for wrapping the wood so that they can be easily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wood.

나아가, 고정대에 결합 되며 낙과가 수용되는 낙과 수용부에 의해 낙과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Further, the female compartment can be conveniently stored by the female compartment which is coupled to the fixed table and accommodates the female compartmen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실 낙하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좌측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채용되는 낙과 수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of fru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Fig.
3 is a bottom view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5 is a front view as viewed from the left side of Fig.
6 is a plan view of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emale housing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s attain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the descrip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실 낙하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좌측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채용되는 낙과 수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3 is a bottom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side view of a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lan view of FIG. 4,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emale housing uni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실 낙하 방지 장치(1)는,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나무를 감싸는 고정대(100)와, 고정대(100)에 마련되어 낙과를 고정대(100)의 중앙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채집망부(200)와, 고정대(100)에 결합되며 나무의 직경에 대응되게 나무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대(100)를 나무에 고정시키는 간격 조절부(300)와, 고정대(100)에 결합 되며 상기 낙과가 수용되는 낙과 수용부(4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prevention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xing table 100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rames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encloses a tree, a fixing table 100 provided on the fixing table 100, (300) coupled to the fixing table (100) and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tre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tree to fix the fixing table (100) to the tree, And a drop receiving part 400 coupled to the fixing table 100 and receiving the drop.

고정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나무의 주위를 감쌀 수 있고, 채집망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xing table 100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s a whole, and can be wrapped around the tree, and can support the gathering net 200.

본 실시 예에서 고정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0)과, 제1 프레임(110)의 양단부에 단부가 각각 접촉되는 제2 프레임(120)과,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부(130)와,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외벽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대(140)를 포함한다.4, the fixing table 100 includes a first frame 110, a second frame 120 having ends at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110,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40 provided on the outer walls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respectively, a frame coupling portion 130 detachably coupling the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

고정대(100)의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반 원형 또는 반 타원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결합된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of the fixing table 100 may be provided in a semicircular or semi-elliptical shape,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Also,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in which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re combined may have a circ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and may have a polygonal shape.

본 실시 예에서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은 도 2에 도시된 채집망부(200)를 지지하기 위해 일정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support the gathering net 200 shown in FIG.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단부는 서로 접촉될 수도 있고, 일정 거리 이격될 수도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ends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고정대(100)의 프레임 결합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접하는 영역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이 탈착 가능하도록 볼트 결합될 수 있다.4, the frame engaging portion 130 of the fixing table 100 may be coupled to an area where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frame 120 may be bolted to be detachable.

본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130)는 납작한 판 형상이며 복수의 홀을 갖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를 통하여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에 각각 나사 결합 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rame coupling part 130 may include a plate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bolt screwed to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through the plate, respectively .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저면부에 전술한 방식에 의해 마련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rame coupling part 13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s shown in FIG.

고정대(100)의 지지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외벽에 복수로 마련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집망 지지부재(210)를 지지한다.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40 are provided on the outer walls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nd supports the net support member 210.

본 실시 예에서 지지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6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대(140)에는 채집망 지지부재(210)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a total of six support rods 140 may be provided. At each support rope 140, the ends of the collection net support member 210 may be detachably inserted have.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고정대(100)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table 100 may be formed of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채집망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00)의 상부에 마련되어 나무에서 떨어지는 낙과를 고정대(100)로 안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llecting net 20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table 100, and can guideways falling from the tree to the fixing table 100.

본 실시 예에서 채집망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대(140)에 각각 결합되는 채집망 지지부재(210)와, 채집망 지지부재(210)에 가장자리가 결합되어 낙과를 고정대(100)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복수의 채집망 부재(220)와, 복수의 채집망 지지부재(21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 되는 복수의 캡 부재(230)를 포함한다.3, the collection net 200 includes a collection net support member 210 coupled to a plurality of supports 140, respectively, and an edge coupled to the collection net support member 210 And a plurality of cap members 230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acquisition net support members 210. The plurality of capture net support members 210 includes a plurality of cap members 230,

채집망부(200)의 채집망 지지부재(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llecting net support member 210 of the collecting net 200 may have a long bar shape as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 채집망 지지부재(2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망 부재(220)의 가장자리가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an edge of the collection net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collection net support member 210.

채집망부(200)의 채집망 부재(220)는, 양 가장자리가 채집망 지지부에 결합 될 수 있고, 그물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llecting net member 220 of the collecting net 200 may have both edges coupled to the collecting net support and may have a net-like shape.

본 실시 예에서 채집망 부재(220)는 양 가장자리에 확장부가 마련되어 채집망 지지부재(21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lecting net member 220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at both edges thereof, and can be engaged with the gathering net support member 210 in a sliding manner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채집망부(200)의 캡 부재(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망 지지부재(210)의 상단부에 끼워 맞춤 결합되어 채집망 부재(220)가 채집망 지지부재(2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the cap member 230 of the collecting net 200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net support member 210 so that the collecting net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collecting net support member 210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viated to the outside.

간격 조절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00)에 결합 되어 나무의 직경에 관계 없이 고정대(100)를 나무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4, the interval adjusting unit 300 is coupled to the fixing table 100 to fix the fixing table 100 to the wood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wood.

본 실시 예에서 간격 조절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00)과 나무(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판(310)과, 일단부는 고정대(100)를 관통하여 복수의 지지판(310)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대(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대(320)와, 복수의 연결대(320)의 타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330)와, 일단부는 복수의 지지판(310)에 각각 지지되고 타단부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330)에 각각 지지되어 복수의 연결대(320)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체(340)를 포함한다.4, the gap adjusting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310 disposed between the fixing table 100 and a tree (not shown), and one end of the gap adjusting unit 300 includes a fixing table 100 A plurality of support posts 320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310 through the through holes 320 and which ar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sts 310,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330 that are support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310 and the other ends of which are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posts 330 to elastically move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320, 340).

간격 조절부(300)의 복수의 지지판(3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고정대(100)의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타원 형상을 가져 나무의 외벽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310 of the interval adjusting unit 300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central portion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table 100, and may be in tight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tree.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판(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00)의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h) 돌출되게 연장부가 마련되어 나무의 외벽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예를 나무에 장착 시 연장부(도면부호 미표시)가 나무에 추가적으로 접촉되어 고정대(100)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310 are provided with extension portions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h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fixing table 100,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tree. In this case, when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a tree, an extension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ree to support the fixing table 100 more stably.

특히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지지대(140)에 채집망 부재(220)가 결합 된 복수의 채집망 지지부재(210)가 결합되어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에 하중이 집중되고, 이 경우 고정대(100)는 나무로부터 미끄러지거나 기울어져 처음 장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collection net support members 210 coupled to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4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that load is concentrated on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In this case, the fixing table 100 may slip or be tilted from the tree, so that the first mount position can not be maintained.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지지대(140)에 연장부가 마련되어 나무의 외벽에 추가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채집망부(200)의 하중에 관계없이 고정대(1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40 are provided with extension portions so that additional supporting force can be secur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olding rods 100 can be stably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load of the collection net portion 200 .

간격 조절부(300)의 연결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지지대(14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외부에 배치되어 나무의 직경에 맞게 복수의 지지판(310)이 이동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4,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140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s shown in FIG. So that the distance by which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310 can b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of the tree can be secured.

본 실시 예에서 연결대(320)의 일단부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지지판(310)은 연결대(32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320 is provided with a thread, and the supporting plate 310 may be detachably screwed to the connecting rod 320. [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연결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rod 320 may have a bar shape as shown in FIG.

간격 조절부(300)의 지지 포스트(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대(320)의 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잡이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4, the support post 330 of the gap adjusting unit 300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a connecting rod 320 disposed outside the holding rod 100 and may be provided as a handle of a user.

본 실시 예에서 지지 포스트(330)는 연결대(32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연결대(320)와 별도로 제작되어 연결대(32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ost 3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rod 320, separately formed from the connecting rod 320,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320.

간격 조절부(300)의 탄성체(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지지판(31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지지 포스트(330)에 지지되어 연결대(320)가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높이 방향과 수직되게 이동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4, one end of the elastic body 340 of the gap adjusting unit 3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34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sts 330,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 예에서 탄성체(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지지판(310)에 지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에는 탄성체(340)에 대응되는 나사산홀이 마련되어 탄성체(340)가 나사산홀에 걸려 탄성체(34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나사산홀에 걸리는 탄성체(340)의 영역과 지지판(310)에 지지되는 탄성체(340)의 길이를 나사산홀로 조절하여 탄성체(34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body 340 may be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310 through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re provided with threaded holes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bodies 340 so that the elastic bodies 340 are caught by the threaded holes to adjust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ies 340. That i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34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rea of the elastic body 340 that is caught in the threaded hole and the length of the elastic body 340 tha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310.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탄성체(340)는 일단부가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외벽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지지 포스트(330)에 지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elastic body 340 may be supporte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nd the other end may be supported on the support post 330.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탄성체(34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body 340 includes a coil spring.

낙과 수용부(400)는, 고정대(100)와 나무에 결합되어 채집망부(200)에 의해 고정대(100)로 안내되는 낙과를 수용할 수 있다.The rack receiving unit 400 can receive a rack coupled to the rack 100 and to the rack 100 by the rack 200.

본 실시 예에서 낙과 수용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과가 수용되는 낙과 수용 바디(410)와, 낙과 수용 바디(410)에 마련되어 낙과 수용 바디(410)를 개방시키는 지퍼 부재(420)와, 낙과 수용 바디(410)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 고리(430)와, 낙과 수용 바디(410)에 마련되어 나무에 고정되는 끈 부재(440)와, 낙과 수용 바디(410)에 마련되어 나무에 접촉되는 나무 접촉면부(45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낙과 수용부(4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emale housing 400 includes a female housing 410 in which the female housing is received, a zipper receiving body 410 provided in the housing receiving body 410, A plurality of connecting rings 43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body 410, a string member 440 provided on the receiving body 410 to be fixed to the tree, 410, and is in contact with the woo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drop holders 400 may be provided.

낙과 수용부(400)의 낙과 수용 바디(4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구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eceiving and receiving body 410 of the receiving and receiving unit 400 may have a basket shape as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 낙과 수용 바디(410)는 나무 접촉면부(450)에 의해 나무의 외벽에 접촉될 수 있고, 끈 부재(440)에 의해 나무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연결 고리(430)를 이용하여 고정대(100)의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또는 지지대(14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 되어 나무와 고정대(100)의 사이 공간으로 떨어지는 낙과를 수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neck and neck receptacle body 41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tree by the wood contact surface part 450, coupled to the wood by the string member 440, Can be receiv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110, the second frame 120 and the support frame 140 of the fixed frame 100 to fall into the space between the frame and the fixed frame 100.

낙과 수용부(400)의 지퍼 부재(4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과 수용 바디(410)의 바닥부에 마련되어 낙과 수용 바디(410)의 바닥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The zipper member 420 of the receiving unit 400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unit 41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bottom of the receiving unit 410 as shown in FIG.

낙과 수용부(400)의 연결 고리(4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과 수용 바디(410)의 상측부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connecting links 430 of the receiving unit 4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and receiving body 410.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연골 고리와 고정대(100)를 끈이나 와이어로 연결하여 낙과 수용 바디(410)의 상측부를 고정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cartilage rings and a fixing table 100 are connected by a string or a wire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and accommodating body 41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table 100.

낙과 수용부(400)의 끈 부재(4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 접촉면부(450)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고, 본 실시 예는 끈 부재(440)를 나무의 외벽에 결합시켜 도 7을 기준으로 낙과 수용 바디(410)의 정면부를 나무에 밀착시킬 수 있다.7, the string member 440 of the receiving compartment 40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ood contact surface portion 450. In this embodiment, the string member 44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wood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41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ree based on FIG.

낙과 수용부(400)의 나무 접촉면부(4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과 수용 바디(41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나무의 외벽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wood contact surface portion 450 of the housing receiving portion 40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410 and directly contact the outer wall of the tree.

본 실시 예는 나무 접촉면부(450)가 나무의 외벽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낙과 수용 바디(410)의 다른 부분이 나무와의 마찰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s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wood contact surface portion 450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tree to prevent the other portion of the fallable and receiving body 410 from being worn by friction with the wood.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고정대에 결합되며 나무의 직경에 대응되게 나무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대를 나무에 고정시키는 간격 조절부에 의해 나무의 직경에 관계없이 본 실시 예들을 편리하게 나무에 장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embodiments can be conveniently used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tree by the interval adjusting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fixing table and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tre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tree, Can be mounted on wood.

또한, 나무를 감싸는 고정대가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나무에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rames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ing table for wrapping the wood so that they can be easily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wood.

나아가, 고정대에 결합 되며 낙과가 수용되는 낙과 수용부에 의해 낙과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Further, the female compartment can be conveniently stored by the female compartment which is coupled to the fixed table and accommodates the female compartment.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과실 낙하 방지 장치
100 : 고정대
200 : 채집망부
300 : 간격 조절부
400 : 낙과 수용부
1: Fruit drop prevention device
100:
200:
300:
400:

Claims (5)

나무의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제1 프레임, 나무의 나머지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가져 상기 제1 프레임과 같이 나무의 주변을 감싸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외벽에 마련되며 떨어지는 낙과를 상기 나무의 중앙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채집망부의 채집망 지지부재가 결합 되는 복수의 지지대가 구비된 고정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하단부가 결합 되는 복수의 채집망 지지부재, 상기 복수의 채집망 지지부에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나무에서 떨어지는 낙과를 상기 고정대의 중앙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채집망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채집망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 되는 복수의 캡 부재가 구비된 상기 채집망부;
상기 고정대과 상기 나무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판, 일단부는 상기 고정대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대의 외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대, 상기 복수의 연결대의 상기 타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 및 일단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각각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대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체가 구비된 간격 조절부; 및
상기 낙과가 수용되는 낙과 수용 바디, 상기 낙과 수용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낙과 수용 바디를 개방시키는 지퍼 부재, 상기 낙과 수용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 고리, 상기 낙과 수용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나무에 고정되는 끈 부재 및 상기 낙과 수용 바디에 마련되어 나무에 접촉되는 나무 접촉면부가 구비된 낙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의 하측부에는 상기 고정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무의 외벽에 지지되는 연장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낙하 방지 장치.
A first frame having a radius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tree, a second frame having a radius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radius of the tree and surrounding the perimeter of the tree like the first frame,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being removable And a plurality of support rods provided on outer wall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having a gathering net support member for guiding the fallen rod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tree,
A plurality of collecting net supporting members to which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collecting net supporting member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llecting net supporting members, a plurality of collecting net members for guiding the nacelle falling from the tree to the center of the net, The collecting net comprising: a plurality of cap members respectively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collecting net support member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arranged between the fixing table and the tree, one end of each of the support plates being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through the fixing table and the other end being disposed outside the fixing table, A plurality of support posts and one end of each of which is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posts to provide elasticity for elastically movi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locks An interval adjusting unit; And
A zipper which is provided on the body and accommodates the body, a zipper which is provided on the body to open the body and the body, a plurality of connecting ring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a neck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on the neck and the accommodating body and having a wood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wood,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xing table and being supported by an outer wall of the tree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80002294U 2018-05-28 2018-05-28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off of fruits KR20048775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94U KR200487755Y1 (en) 2018-05-28 2018-05-28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off of fru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94U KR200487755Y1 (en) 2018-05-28 2018-05-28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off of frui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55Y1 true KR200487755Y1 (en) 2018-10-29

Family

ID=6404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294U KR200487755Y1 (en) 2018-05-28 2018-05-28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off of frui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55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9297A (en) * 2019-03-01 2019-05-03 南京林业大学 Harvester is vibrated with the blueberry for connecing fruit device
CN110402689A (en) * 2019-08-29 2019-11-05 陕西理工大学 A kind of receipts jujube equipment
CN114568148A (en) * 2022-03-18 2022-06-03 陈振明 Manipulator for pruning large-diameter trees for landscap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84B1 (en) * 2009-12-07 2012-05-16 김형섭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
KR101315830B1 (en) * 2012-10-16 2013-10-14 유한회사 성원산업 Device for harvesting fruits
KR20160083510A (en) * 2014-12-31 2016-07-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ruit collector
KR101758731B1 (en) * 2016-11-25 2017-07-17 윤양수 Collector for Falling Fruits of a Ginkgo Tre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84B1 (en) * 2009-12-07 2012-05-16 김형섭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
KR101315830B1 (en) * 2012-10-16 2013-10-14 유한회사 성원산업 Device for harvesting fruits
KR20160083510A (en) * 2014-12-31 2016-07-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ruit collector
KR101758731B1 (en) * 2016-11-25 2017-07-17 윤양수 Collector for Falling Fruits of a Ginkgo Tre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호(장호선) 2014. 01. 28.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9297A (en) * 2019-03-01 2019-05-03 南京林业大学 Harvester is vibrated with the blueberry for connecing fruit device
CN110402689A (en) * 2019-08-29 2019-11-05 陕西理工大学 A kind of receipts jujube equipment
CN114568148A (en) * 2022-03-18 2022-06-03 陈振明 Manipulator for pruning large-diameter trees for landscap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755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off of fruits
CN109328649B (en) Semi-automatic jujube picking and transporting trolley
AU201235663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planting of olive trees for the continuous mechanical harvesting of the olives
CN104718890A (en) Mountain land lowbush blueberry picking device
CN210695176U (en) Cotton plant prevents down protector
CN210054075U (en) Seedling traction fixing device
KR100996868B1 (en) A cultivation device for corps runner
CN211152812U (en) High-frequency vibration's red date picks device
CN211152813U (en) Adjustable self-collecting fruit picking equipment
CN211322094U (en) Automatic fruit tree picking device
CN209776491U (en) watermelon handling device
CN210226842U (en) Garden fruit and vegetable cleaning device
CN211792998U (en) Branch fruit picking device
US4901514A (en) Fruit harves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CN213880962U (en) Fruit picking device convenient to classify
CN218604190U (en) Plant climbing frame
CN214430731U (en) Easy clear sapling transplanting device
CN210987291U (en) But reuse's single trunk tomato growth support frame
CN214155553U (en) Nursery is with transplanting device that grows seedlings
CA2391546C (en) System for harvesting seed from a coniferous tree
CN218072652U (en) Building device for vegetable cultivation
CN220571040U (en) Picking device for apple planting
CN218634865U (en) Traction planting frame with vine protection structure
CN216310632U (en) Wireless transmission intelligent agricultural temperature monitor
CN218526949U (en) A canopy lower carriage and have its rack that is used for two harvests of a year of grosvenor momordica to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