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46Y1 - 와이어 걸이 - Google Patents
와이어 걸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646Y1 KR200487646Y1 KR2020160006148U KR20160006148U KR200487646Y1 KR 200487646 Y1 KR200487646 Y1 KR 200487646Y1 KR 2020160006148 U KR2020160006148 U KR 2020160006148U KR 20160006148 U KR20160006148 U KR 20160006148U KR 200487646 Y1 KR200487646 Y1 KR 20048764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holder
- wire
- fixing
- sh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66—Devices for connecting a suspension wire to a pic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86—Picture rails; Accessories therefor, e.g. hoo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picture rail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Display Rack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에 외곽의 형상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와이어를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이 비어있는 형태의 관체로 형성하면서 내측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부로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상부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판 형태의 결합구가 구비되어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고정부재와 나사결합 되도록 하며,
결합구의 외부로 내측이 비어있는 원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가압부재를 외삽하여 와이어고정구를 구성하고,
상기 와이어고정구를 고정홀더의 내부로 삽입하여 가압부재와 걸림턱과의 접촉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사용하거나,
유동레일 측면에 형성된 고정구수용홈으로 삽입하여 유동되는 형태로 바꾸어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로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상부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판 형태의 결합구가 구비되어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고정부재와 나사결합 되도록 하며,
결합구의 외부로 내측이 비어있는 원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가압부재를 외삽하여 와이어고정구를 구성하고,
상기 와이어고정구를 고정홀더의 내부로 삽입하여 가압부재와 걸림턱과의 접촉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사용하거나,
유동레일 측면에 형성된 고정구수용홈으로 삽입하여 유동되는 형태로 바꾸어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시회에서 작품 등을 설치하는 와이어 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된 형태와 유동가능한 형태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걸이에 관한 것이다.
예술가의 창작 의도에 따라 전시회 등에서는 다양한 장소에 작품을 설치하게 된다.
작품을 받침대 없이 허공에 설치하고 싶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천장에 와이어를 매달아 작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와이어 걸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와이어 걸이는 고정되는 형태로만 사용가능하거나 유동되는 형태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로 출시되고 있어 기존 작품을 제거하고 새로운 작품을 전시하려고 하는 경우 용도에 맞는 와이어 걸이로 교체해서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 작품을 유동하며 설치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유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작품을 고정된 상태로 설치하려면 와이어 걸이를 추가로 구매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금전적 손실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정된 형태와 유동가능한 형태를 바꾸어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걸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에 외곽의 형상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와이어를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이 비어있는 형태의 관체로 형성하면서 내측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부로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상부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판 형태의 결합구가 구비되어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고정부재와 나사결합 되도록 하며,
결합구의 외부로 내측이 비어있는 원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가압부재를 외삽하여 와이어고정구를 구성하고,
상기 와이어고정구를 고정홀더의 내부로 삽입하여 가압부재와 걸림턱과의 접촉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사용하거나,
유동레일 측면에 형성된 고정구수용홈으로 삽입하여 유동되는 형태로 바꾸어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와이어고정구를 고정되는 형태로 결합하기 위한 고정홀더와 설치된 와이어고정구를 유동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고정구를 고정홀더와 유동레일에 호환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와이어고정구가 설치된 작품을 쉽게 이전설치 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와이어고정구가 고정홀더와 유동레일에 호환되며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생산자에게는 제조설비를 감소할 수 있게 되어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구매자에게는 금전적인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와이어고정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와이어고정구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가압부재가 유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와이어고정구와 고정홀더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고정홀더가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단면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고정홀더에서 홀더캡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와이어고정구가 유동레일의 내부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유동레일 내부로 와이어고정구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와이어고정구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가압부재가 유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와이어고정구와 고정홀더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고정홀더가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단면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고정홀더에서 홀더캡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와이어고정구가 유동레일의 내부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유동레일 내부로 와이어고정구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와이어 걸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금속재의 가는 선이 꼬여지며 형성되어 작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11)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재(11)는 외곽의 형상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와이어(110)를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이 비어있는 형태의 관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1)의 내측면 상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부재(11)가 결합부재(12)와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주면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태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고정부재(11)의 외주면과 사용자의 손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높여 고정부재(11)를 쉽게 회전시키며 빠르고 견고하게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1)의 내측으로는 와이어(110)가 관통되는 형태로 수용되는데, 내측으로 수용된 와이어(110)의 끝단에는 이탈방지구(111)가 구비되어있어 와이어(110)가 고정부재(11)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1)의 상부에는 고정홀더(20) 또는 유동레일(1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12)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12)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상부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판 형태의 결합구(13)가 구비되어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12)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고정부재(11)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고정부재(11)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재(12)의 외측으로는 결합부재(12)를 고정홀더(20) 또는 유동레일(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재(14)가 외삽된다.
상기 가압부재(14)는 내측이 비어있는 원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15)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15)은 고정부재(11)의 상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가압부재(14)의 내측 상부면을 밀어내며 가압부재(14)가 상부방향으로 압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4)의 외주면에는 높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 복수개 구비되어 사용자가 미끄러짐 없이 가압부재(14)를 파지하고 하부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와이어고정구(1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고정구(10)는 작품을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홀더(20)와 결합된다.
상기 고정홀더(20)는 결합구(13)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면에 결합구(13)의 상부면 형상을 갖는 결합구삽입홈(21)을 형성한다.
또한, 고정홀더(20)의 내측으로 결합구(13)의 길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홈인 회전홈(23)을 형성하여 고정홀더(20)의 내측으로 수용된 결합구(13)가 고정홀더(2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삽입홈(21)의 주위로는 수용된 결합구(13)의 하부면과 접촉되어 결합구(13)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20)의 상부에는 양측면의 하부로 돌출부(24')가 형성된 홀더캡(24)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홀더(20)의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홀더캡(24)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홀더(20)와 홀더캡(24)을 자유롭게 분해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홀더캡(24)은 중심부에 피스홀이 형성되어 있어 피스홀 내부로 피스를 삽입하여 홀더캡(24)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 고안의 와이어 걸이(1)를 구성한다.
상기 와이어고정구(10)는 와이어 걸이(1)에서 분리하여 유동레일(100)과 결합하여 유동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동레일(100)은 내부로 와이어고정구(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측면에 고정구수용홈(101)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구수용홈(101)이 형성된 유동레일의 하부 양측에는 개구된 고정구수용홈(101)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레일가이드(102)가 형성되는데, 상기 레일가이드(102)의 상부면이 결합구(13)의 하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품을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하기 위하여 홀더캡(24)에 형성된 피스홀의 내부로 피스를 삽입하여 홀더캡(24)을 천장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홀더캡(24)을 고정홀더(24)의 상부 일측면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하여 고정홀더(20)를 천장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은 손쉽게 고정홀더(20)를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고정홀더(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와이어고정구(10) 상부에 구비된 결합구(13)를 고정홀더(20)의 결합구삽입홈(21) 내부로 삽입하고, 와이어고정구(10)를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결합구(13)의 하부면이 걸림턱(22)의 상부면과 접촉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구(13)가 고정홀더(20)의 내부로 삽입되면 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밀려나는 가압부재(14)의 상부면이 걸림턱(22)의 하부면을 가압하며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고정구(10)를 유동가능한 형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가압부재(14)를 파지하여 내린상태에서 와이어고정구(10)를 90도 각도 회전시켜 고정홀더(20)에서 분리한다.
이후, 작품을 유동가능한 형태로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천장에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레일(100)을 설치한다.
상기 유동레일(100)이 설치되면 측면에 형성된 고정구수용홈(101)의 내부로 결합부재(12)를 삽입한다.
그러면, 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가압부재(14)의 상부면이 유동레일(10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가이드(102)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현재의 위치에 고정되는데, 상기 가압부재(14)를 파지하여 아래로 내린상태에서 와이어고정구(10)를 이동한 뒤 원하는 장소에 작품이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가압부재(14)가 레일가이드(102)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고정구(10)는 고정홀더(20) 및 유동레일(100)과 호환되며 사용이 가능하여 쉽고 빠르게 작품의 설치와 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간단한 사용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와이어 걸이 10 : 와이어고정구
11 : 고정부재 12 : 결합부재
13 : 결합구 14 : 가압부재
15 : 스프링 20 : 고정홀더
21 : 결합구삽입홈 22 : 걸림턱
23 : 회전홈 24 : 홀더캡
24': 돌출부 100 : 유동레일
101 : 고정구수용홈 102 : 레일가이드
110 : 와이어 111 : 이탈방지구
11 : 고정부재 12 : 결합부재
13 : 결합구 14 : 가압부재
15 : 스프링 20 : 고정홀더
21 : 결합구삽입홈 22 : 걸림턱
23 : 회전홈 24 : 홀더캡
24': 돌출부 100 : 유동레일
101 : 고정구수용홈 102 : 레일가이드
110 : 와이어 111 : 이탈방지구
Claims (1)
- 하부에 외곽의 형상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와이어(110)를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이 비어있는 형태의 관체로 형성하면서 내측면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11)를 구비하고,
상부로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 상부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판 형태의 결합구(13)가 구비되어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결합부재(12)를 구비하여 고정부재(11)와 나사결합 되도록 하며,
결합구의 외부로 내측이 비어있는 원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15)을 구비하는 가압부재(14)를 외삽하여 구성된 와이어고정구(10)와,
상기 와이어고정구(10)를 구성하는 결합구(13)는 작품을 고정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홀더(20)의 내부로 삽입하여 가압부재(14)와 걸림턱(22)과의 접촉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홀더(20)는, 결합구(13)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면에 결합구(13)의 상부면 형상을 갖고 결합구(13)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2)을 갖는 결합구삽입홈(21)이 형성되고, 고정홀더(20)의 내측으로 결합구(13)의 길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홈인 회전홈(23)을 형성하여 고정홀더(20)의 내측으로 수용된 결합구(13)가 고정홀더(2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홀더(20)의 상부 일측면에는 홀더캡(24)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어 홀더캡(24)을 자유롭게 분해 및 결합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홀더캡(24)은 중심부에 피스홀이 형성되어 있어 피스홀 내부로 피스를 삽입하여 홀더캡(24)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걸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148U KR200487646Y1 (ko) | 2016-10-24 | 2016-10-24 | 와이어 걸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148U KR200487646Y1 (ko) | 2016-10-24 | 2016-10-24 | 와이어 걸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236U KR20180001236U (ko) | 2018-05-03 |
KR200487646Y1 true KR200487646Y1 (ko) | 2018-12-10 |
Family
ID=6216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6148U KR200487646Y1 (ko) | 2016-10-24 | 2016-10-24 | 와이어 걸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646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8399B1 (ko) | 2008-07-11 | 2009-11-23 | 김진호 | 벽걸이형 패널 장착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54794A (ja) * | 1994-12-05 | 1996-06-18 | Hisatoshi Kondo | 天井レール用フック |
KR100905014B1 (ko) | 2002-12-13 | 2009-06-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의 검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검사 장비 |
KR20170051998A (ko) * | 2015-11-03 | 2017-05-12 | 권기현 | 그림걸이 몰딩 |
-
2016
- 2016-10-24 KR KR2020160006148U patent/KR20048764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8399B1 (ko) | 2008-07-11 | 2009-11-23 | 김진호 | 벽걸이형 패널 장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236U (ko) | 2018-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19258B2 (en) | String fastening device | |
US9822924B2 (en) | Rotation type sliding bar with quick assembly and disassembly | |
US9334887B2 (en) | Clip | |
US9138890B2 (en) | Hand tool part holding device | |
US9732785B2 (en) | Suction cup device | |
KR101824499B1 (ko) | 슬라이더형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
TWI535510B (zh) | Elastic chuck | |
US9463559B1 (en) | Tool positioning device | |
US20180128421A1 (en) | Microphone stand mounting clip | |
US20170210000A1 (en) | Hand tool | |
KR200487646Y1 (ko) | 와이어 걸이 | |
EP3271634B1 (en) | Interlock arrangement for a luminaire | |
US20150182040A1 (en) | Hook Device for Hanging Objects | |
CN102003442B (zh) | 升降杆组件 | |
JPH0447454Y2 (ko) | ||
CN103982878A (zh) | 一种旋转灯头 | |
KR101580913B1 (ko) | 튜브밀착형 튜브클립 | |
US6254296B1 (en) | Automatic pencil structure | |
CN203702786U (zh) | 一种立柱与底座的弹片卡位固定装置 | |
KR102633268B1 (ko) | 체결 장치 및 체결 어셈블리 | |
AU2014202762B2 (en) | Improved pipe support | |
US20170050301A1 (en) | Detachable tool assembly for screwdriver | |
US20130255449A1 (en) | Hand tool | |
JP6083542B2 (ja) | レール型の真空吸着治具 | |
TWM479809U (zh) | 彈力夾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