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03Y1 -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 Google Patents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03Y1
KR200487403Y1 KR2020180002927U KR20180002927U KR200487403Y1 KR 200487403 Y1 KR200487403 Y1 KR 200487403Y1 KR 2020180002927 U KR2020180002927 U KR 2020180002927U KR 20180002927 U KR20180002927 U KR 20180002927U KR 200487403 Y1 KR200487403 Y1 KR 200487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terminal
guide hole
tilt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재
변윤지
변성윤
Original Assignee
조항재
변윤지
변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항재, 변윤지, 변성윤 filed Critical 조항재
Priority to KR2020180002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펜 단말의 단부에 구조 단말이 설치되되, 온 제어시, 기울임의 감지에 따라 위급상황을 판단하고, 위급상황이 판단되면,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관할서(예를 들면, 소방서, 경찰서 등)로 신고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신고할 수 있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관할서로의 신고시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거나, 구조대 등이 도착하였을 때,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호흡을 위한 소정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설계 조건에 따라서 상기 구조 단말을 이용하여 해상의 선박 등이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되어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PEN DEVICE FOR NOTIFIED OF EMERGENCY SITUATION BASED BY TILT}
본 고안은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펜 단말의 단부에 구조 단말이 설치되되, 온 제어시, 기울임의 감지에 따라 위급상황을 판단하고, 위급상황이 판단되면,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관할서(예를 들면, 소방서, 경찰서 등)로 신고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신고할 수 있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관할서로의 신고시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거나, 구조대 등이 도착하였을 때,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호흡을 위한 소정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설계 조건에 따라서 상기 구조 단말을 이용하여 해상의 선박 등이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되어도 사용할 수 있다.
가스 사고의 유형을 보면 작업자가 혼자 또는 2인이 작업하다가, 이산화탄소 중독으로 쓰러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 통상적으로 1인이 작업하는 경우 신속한 조치가 불가능하고, 2인이 작업하더라도, 인접한 거리에 없는 경우가 많아서, 일명 골든타임을 놓쳐 사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작업장에 가스 측정기를 통해 안전한 수치임을 확인하고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호흡에 따라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나 돌발상황으로 인해 가스에 중독되는 사고가 발생되기 때문에, 안전의무를 다하더라도, 사고를 예방하는 것은 사실상 힘든 일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사고의 인식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IoT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관할서에 바로 신고하도록 한다면,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가스 사고에 관련하여, 종래 관련된 기술들을 보면 대부분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개념이라. 이러한 경우, 피해자(사고자)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피해자가 있음을 가정하여 구조를 하기엔 너무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756521호에 가스 위험 감지 스마트 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탄성볼; 상기 탄성볼 내부에 수용된 가스 감지센서; 상기 가스 감지센서와 연통되어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 농도 측정기; 상기 산소 농도 측정기와 연결되어 감지된 가스 정보를 빛으로 표시하는 램프와 음성으로 출력되는 스피커, 산소 농도와 유해 가스량을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표시창을 포함하는 인지부; 상기 인지부와 연결되어 감지된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 를 포함하는 가스 위험 감지 스마트볼에 관한 것으로, 작업 전 또는 작업 간 유해가스 누출 여부와 산소 농도를 감지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1483호에는 화재·가스 감지 및 경보기능이 탑재된 모바일폰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화재ㆍ가스 감지 및 경보기능이 탑재된 모바일폰에 관한 것으로, 일산화탄소(CO) 농도를 측정하는 CO감지 센서(100)와; 온도를 측정하는 열감지 센서(200)와; 연기량을 측정하는 연기감지 센서(300)와;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감지 센서(400)와; 일산화탄소(CO)의 설정 농도와 설정온도 및 가스의 설정 농도값을 저장하는 모바일 USIM(500)과; 상기 CO감지 센서(100)와 열감지 센서(200), 연기감지 센서(300) 및 가스감지 센서(400) 각각이 측정한 측정값과 대응하는 모바일 USIM(500)에 저장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화재나 가스의 누설을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600; CPU)와; 상기 중앙처리장치(600; CPU)의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되는 스피커(700) 및; 상기 스피커(700)의 경보 원인을 표시하는 표시부(800)로 구성되어 화재감지센서를 CO센서와 열감지 센서 및 연기감지 센서로 세분화하여 화재감지를 정밀하게 하면서도 누설되는 가스를 감지하여 음성멘트와 싸이렌으로 위험 상태를 경보함으로써 화재시에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화재 경보기 등 경보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도 효율적으로 화재 및 가스 누설을 경보하여 안전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장기간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탁월하면서 수명이 긴 각별한 장점을 갖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들은, 가스의 누출만을 감지할 뿐, 피해자의 존재를 파악하고, 피해자를 구조하는데에 유용하지 못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56521호(2017.07.12.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1483호(2017.01.04.)
본 고안의 목적은, 펜 단말의 단부에 구조 단말이 설치되되, 온 제어시, 기울임의 감지에 따라 위급상황을 판단하고, 위급상황이 판단되면,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관할서(예를 들면, 소방서, 경찰서 등)로 신고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신고할 수 있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관할서로의 신고시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거나, 구조대 등이 도착하였을 때,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호흡을 위한 소정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구조 단말을 이용하여 해상의 선박 등이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되어도 사용할 수 있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펜 단말(1)의 단부에 결합되는 구조 단말(2)을 포함하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펜 단말(1)은 일단부에,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홈(10)이 형성되고,
상기 구조 단말(2)은,
상기 고정홈(1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몸체(21)와, 상기 고정몸체(21)의 상측에서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팽창몸체(22)와, 상기 팽창몸체(22)의 상측에서 구조 단말(2)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몸체(23)로 구성되되,
상기 팽창몸체(22)는,
상기 고정몸체(21)의 상측에 결합되고,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자동보빈(221) 및 실린더(222)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몸체(23)는,
상기 팽창몸체(22)의 상측에 결합되며, 이의 상면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팽창몸체(22)의 상면까지 관통된 가이드홀(23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232)이 형성되지 않은 내부 일측에 상기 자동보빈(221)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어유닛(231)과 기울기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홀(232) 내부 중, 팽창몸체(22)의 상면 일측에는 제어유닛(231)에 연결되어 온 인식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버튼(234)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홀(232)의 내부에는 온/오프 스위치(233)가 가이드홀(232)의 상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오프 스위치(233)는 가이드홀(232)의 상부에서 노출된 단부에 가이드홀(232)보다 직경이 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232)의 내부에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233)의 기둥부분을 감싸도록 함께 내장된 스프링이 가이드홀(232)의 최하단인 팽창몸체(22)의 상면에서부터, 가이드홀(232)의 헤드 저면까지 닿는 길이로 구성되어,
상기 조작버튼(234)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 스위치(233)가 눌림으로써, 제어유닛(231)이 온(On)/오프(Off) 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기울기센서의 센서값을 수신하는 센서값 수신부와,
상기 온/오프 스위치(233)의 신호를 수신하여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온/오프 제어부에 의해 온(On) 동작 된 상태에서 센서값 수신부가 센서값을 수신하면, 단말기로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온/오프 제어부에 의해 온(On) 동작 된 상태에서 센서값 수신부가 센서값을 수신하면 자동보빈(221)을 제어하는 보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팽창몸체(22)는,
이의 외면 일측에는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면 발광 또는 LED 발광을 수행하는 광판(223)을 포함하되,
상기 광판(223)은,
힌지로 연결된 다른 단부의 일면에 상기 팽창몸체(22)와 접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탈착부와, 제어유닛(231)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와,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광판(223)을 제어하는 광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팽창몸체(22)는 일측에 안테나 방식으로 다단으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되는 길이조절관(224)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관(224)의 단부에는 튜브(22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2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형태로 구성되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막(211)이 형성되고, 상기 막(211)의 중심영역에는 개구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의하면,
첫째, 맨홀(가스) 사용자뿐만 아니라 사람의 통행이 빈번하지 않은 곳에서 혼자 근무하는 근무자의 원인미상의 기절, 작업 중 미끄러짐에 의한 전도사고 발생 시 이를 주변에 알릴 수 있다.
둘째, 위의 사고 뿐만 아니라, 초고령 사회 진입을 얼마 남겨놓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의 1인 가구 노인 및 핵가족화에 따라 혼자 있는 시간이 많은 사람들의 1인 가구, 독거노인의 가정 내 미끄러짐 사고를 외부에 빠르게 알릴 수 있어 효과적이다.
셋째, 센서의 정보를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본인의 휴대전화를 통해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어 요구조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넷째, 본 고안을 선박에 적용하는 경우, 선박이 순식간에 전복되는 사고에서도, 사고자를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고, 또한 팽창몸체를 팽창시키는 경우, 해상에서 부유하여 사고자가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서 펜 단말과 구조 단말을 결합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서 구조 단말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서 제어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고안은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펜 단말의 단부에 구조 단말이 설치되되, 온 제어시, 기울임의 감지에 따라 위급상황을 판단하고, 위급상황이 판단되면,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관할서(예를 들면, 소방서, 경찰서 등)로 신고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신고할 수 있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관할서로의 신고시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거나, 구조대 등이 도착하였을 때,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자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호흡을 위한 소정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설계 조건에 따라서 상기 구조 단말을 이용하여 해상의 선박 등이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되어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고안은, 주요하게 펜 단말(1)과 구조 단말(2)을 포함한다.
이때, 펜 단말(1)은 일반적인 통상의 펜으로서, 펜심이 돌출되는 단부의 반대 단부에 구조 단말(2)이 결합되도록 일부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하면, 구조 단말(2)의 결합을 위하여 고정홈(1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10)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서 펜 단말과 구조 단말을 결합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조 단말(2) 내부에는 구조를 위한 제어구동을 위한 구성이 마련된다.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서 구조 단말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서 제어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구조 단말(2)은, 펜 단말(1)에 직접 결합되는 고정몸체(21)와, 상기 고정몸체(21)의 상측에서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팽창몸체(22)와, 상기 팽창몸체(22)의 상측에서 구조 단말(2)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몸체(2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몸체(21)는 상기 고정홈(10) 내면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된다. 즉, 고정몸체(21)와 고정홈(10)은 나사산에 의해 체결되어, 펜 단말(1)과 구조 단말(2)을 결합시킨다.
상기 제어몸체(23)는 상면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팽창몸체(22)의 상면까지 관통된 가이드홀(232)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홀(232)이 형성되지 않은 제어몸체(23)의 내부 일측에는 제어유닛(231)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어유닛(231)은 팽창몸체(22) 내부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후술되는 자동보빈(221)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홀(232) 내부 중, 팽창몸체(22)의 상면 일측에는 제어유닛(231)에 연결되어 온 인식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버튼(234)이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홀(232)의 내부에는 온/오프 스위치(233)가 가이드홀(232)의 상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오프 스위치(233)는 가이드홀(232)의 상부에서 노출된 단부에 가이드홀(232)보다 직경이 큰 헤드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홀(232)의 내부에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233)의 기둥부분을 감싸도록 함께 내장된 스프링(도 1의 청색영역)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스프링은 가이드홀(232)의 최하단인 팽창몸체(22)의 상면에서부터, 가이드홀(232)의 헤드 저면까지 닿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233)를 누르면, 조작버튼(234)이 눌려, 온 인식신호를 제어유닛(231)으로 송출하여 온(On)을 인식하고, 다시 한번 온/오프 스위치(233)를 누르면, 조작버튼(234)이 다시 눌려, 오프 인식신호를 제어유닛(231)으로 송출하여 오프(Off)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온/오프의 인식이 필요한 이유는,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펜 장치를 소지한채 휴식 등을 위하여 누웠을 때,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안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제어유닛(231)의 구성을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르면, 제어유닛(231)은 센서값 수신부, 통신부, 온/오프 제어부, 보빈 제어부, 및 광판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된 온/오프 스위치(233)의 눌림에 따른 인식신호를 수신하여 온/오프 제어부가 구조 단말(2)의 구동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센서값 수신부는, 구조 단말(2)의 제어몸체(23) 일측에 구성된 기울기센서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여 기울어짐을 감지한다.
이때, 기울기센서란 볼을 이용한 볼 기울기센서 또는 수은을 이용한 수은 기울기센서 등 다양할 수 있는데, 특정의 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기울기센서는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하여, 센서값 수신에 따라 판단, 그리고 판단에 따른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로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는,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블루투스, 지그비, Wireless, 와이파이 등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모든 통신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나, 아두이노 기반의 구동을 위해서는 블루투스의 적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관할서로 위급상황을 신고할 수 있는데, 이때 자신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구조 단말(2)에 GPS 구성을 부가하여, 단말기와 통신시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신고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보빈 제어부는, 팽창몸체(22)에 구비된 자동보빈(221)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센서값 수신부를 통해 기울기가 감지되면, 상기 자동보빈(221)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보빈에 권취된 연결줄이 더 권취되어 길이가 짧아지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자동보빈(221)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면에서 생략되어 있으나, 보빈이라는 단어로 하여금 통상의 기술자라면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자동보빈(221)에 권취된 연결줄의 단부는 실린더(222)의 일측에 연결되는데, 이때, 실린더(222)는 이산화탄소 실린더 또는 산소 실린더로서, 일측에 마개가 구비되어, 마개 개방시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를 방출하는 것이다. 즉, 자동보빈(221)의 연결줄 단부는 실린더(222)의 마개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실린더(222)는 단순한 수용병과 다르게 내부에 압력과 함께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를 포함함으로써, 마개의 급작스런 개방에 의해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를 급작스럽게 분출함으로써, 팽창몸체(22)가 팽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팽창몸체(22)는 팽창시 파손되지 않도록 실리콘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팽창몸체(22)의 외면 일측에는 힌지를 통해 연결된 광판(223)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광판(223)은 힌지로 연결된 다른 단부의 일면에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를 통해 팽창몸체(22)에 접착될 수 있다.
즉, 팽창몸체(22)가 팽창되면서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탈착부의 접착된 일면이 떨어지면서 힌지를 통해 회동되어 광판(223)이 도 2와 같이 탈착되게 된다.
이러한 광판(223)은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같이 제어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데, 이는 온/오프 제어부에 의해 온 제어가 인식된 뒤, 기울임 감지에 따라, 제어유닛(231)의 광판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수신부가 수신한다.
다시 말해, 기울임이 감지되면, 팽창몸체(22)가 팽창됨에 따라, 광판(223)이 탈찰되어 회동되고, 광판(223)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되게 된다.
이때, 판(223)의 팽창몸체(22) 측 일면은 면 발광구조 또는 LED가 1개 이상 내장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며,
제어신호를 수신한 광판(223)은, 발광 제어부를 통해 상기 면 발광 또는 LED 발광이 되도록 한다. 광판(223)의 상술된 구동을 위한 전력의 확보를 위한 소형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발광 제어부는 PCB 회로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위급이 감지되어 팽창몸체(22)가 구동되면, 통신부를 통해 관할서에 신고 뒤, 구조대원이 출동하는 현장이 어두운 공간인 경우라도, 대상자를 찾는데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이때, 팽창몸체(22)가 팽창되기 위하여, 팽창몸체(22)와 고정몸체(21)는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르면, 고정몸체(21)와 팽창몸체(22)가 결합되는 일측 중, 상기 팽창몸체(22)의 하부 둘레 일측에는 1개 이상의 임시고정판(2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임시고정판(225)는 내부가 비어있는 고정몸체(21)의 내면 일측에 부착되거나 약하게 결합되어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팽창몸체(22)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임시고정판(225)이 고정몸체(21) 및/또는 팽창몸체(22)와 분리됨에 따라 팽창몸체(22)가 고정몸체(21)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팽창몸체(22)의 외면 일측으로는 길이조절관(224)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안테나 방식으로 길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관(224)은 내부가 관통된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최 단부에는 튜브(22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관(224)은, 팽창몸체(22)에 연결된 연결부위에 밸브를 구성할 수 있는데, 체크밸브로 구성하는 경우, 실린더(222)가 산소 실린더인 경우 산소가 길이조절관(224)을 통해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자 위급상황 시 산소 공급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튜브(224a)를 코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몸체(2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의 최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개구홀은 상기 튜브(224a)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길이조절관(224)의 가장 큰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튜브(224a)를 개구홀을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몸체(21)의 하면 내벽에는 'ㄱ'자 형태로 마주하는 고정돌기가 상기 튜브(224a)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홀을 통과한 튜브(224a)가 고정돌기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는 고정몸체(2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르면, 고정몸체(21)는 팽창몸체(22)와 결합되는 일면이 개방된 형태이되, 내면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막(211)이 형성되고, 상기 막(211)의 중심 영역에는 개구부(212)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막(211)의 움직임을 통해 산소가 공급되고 있음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고, 개구부(212)에 의해 산소의 공급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만약 펜 단말(1) 없이 구조 단말(2)만 사용하는 경우, 크기를 크게 제작함으로써, 배 등의 선박이 침몰하는 경우에도 구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늘 또는 해상에서 광판(223)에서 발광되는 광(光)을 기반으로 구조자를 쉽게 찾을 수 있고,
특히, 고정몸체(21)가 커짐에 따라, 산소공급기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입에 대고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팽창몸체(22)가 팽창됨에 따라, 부표로 사용되어, 해상에서 사용자가 신체를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제어몸체(23)의 일측에 제어유닛(231)에 연결된 리셋버튼(도면에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231)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타이머와 리셋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기울기센서에서 기울기가 감지되면, 상술된 동작을 하기에 앞서, 타이머를 통해 소정의 시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기울기가 감지되면 타이머는 위험 상황 알림 및 팽창몸체(22)의 팽창에 앞서,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5초, 10초 등) 동안 위 동작의 구동을 딜레이 시키도록 한다. 이때, 알람부를 더 포함하여 소정의 진동 또는 청각적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약간의 기울어짐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펜 장치가 구동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울리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기대어 앉거나, 작업을 위해 약간 기울인 동작을 취하여,기울기센서가 구동되는 경우, 알람을 전달받은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리셋버튼을 누르면, 상기 리셋버튼에 연결된 리셋모듈에 의해, 기울임 감지에 따라 위험 상황 알림 및 팽창몸체(22)의 팽창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한다.
이후, 리셋모듈은 타이머의 시간 카운트 역시 초기화하도록 연동되어 구성됨이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 : 펜 단말
10 : 고정홈
2 : 구조 단말
21 : 고정몸체
211 : 막
212 : 개구부
22 : 팽창몸체
221 : 자동보빈
222 : 실린더
223 : 광판
224 : 길이조절관
224a : 튜브
225 : 임시고정판
23 : 제어몸체
231 : 제어유닛
232 : 가이드홀
233 : 온/오프 스위치
234 : 조작버튼

Claims (6)

  1. 펜 단말(1)의 단부에 결합되는 구조 단말(2)을 포함하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펜 단말(1)은 일단부에,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홈(10)이 형성되고,
    상기 구조 단말(2)은,
    상기 고정홈(1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된 고정몸체(21)와,
    상기 고정몸체(21)의 상측에서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팽창몸체(22)와,
    상기 팽창몸체(22)의 상측에서 구조 단말(2)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몸체(23)로 구성되되,
    상기 팽창몸체(22)는,
    상기 고정몸체(21)의 상측에 결합되고,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자동보빈(221) 및 실린더(222)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몸체(23)는,
    상기 팽창몸체(22)의 상측에 결합되며, 이의 상면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팽창몸체(22)의 상면까지 관통된 가이드홀(23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232)이 형성되지 않은 내부 일측에 상기 자동보빈(221)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어유닛(231)과 기울기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홀(232) 내부 중, 팽창몸체(22)의 상면 일측에는 제어유닛(231)에 연결되어 온 인식신호를 전송하는 조작버튼(234)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홀(232)의 내부에는 온/오프 스위치(233)가 가이드홀(232)의 상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오프 스위치(233)는 가이드홀(232)의 상부에서 노출된 단부에 가이드홀(232)보다 직경이 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232)의 내부에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233)의 기둥부분을 감싸도록 함께 내장된 스프링이 가이드홀(232)의 최하단인 팽창몸체(22)의 상면에서부터, 가이드홀(232)의 헤드 저면까지 닿는 길이로 구성되어,
    상기 조작버튼(234)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 스위치(233)가 눌림으로써, 제어유닛(231)이 온(On)/오프(Off) 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기울기센서의 센서값을 수신하는 센서값 수신부와,
    상기 온/오프 스위치(233)의 신호를 수신하여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온/오프 제어부에 의해 온(On) 동작 된 상태에서 센서값 수신부가 센서값을 수신하면, 단말기로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온/오프 제어부에 의해 온(On) 동작 된 상태에서 센서값 수신부가 센서값을 수신하면 자동보빈(221)을 제어하는 보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팽창몸체(22)는,
    이의 외면 일측에는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면 발광 또는 LED 발광을 수행하는 광판(223)을 포함하되,
    상기 광판(223)은,
    힌지로 연결된 다른 단부의 일면에 상기 팽창몸체(22)와 접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탈착부와, 제어유닛(231)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와,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어유닛은,
    상기 광판(223)을 제어하는 광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팽창몸체(22)는,
    일측에 안테나 방식으로 다단으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되는 길이조절관(224)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관(224)의 단부에는 튜브(22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형태로 구성되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막(211)이 형성되고,
    상기 막(211)의 중심영역에는 개구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KR2020180002927U 2018-06-26 2018-06-26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KR200487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27U KR200487403Y1 (ko) 2018-06-26 2018-06-26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27U KR200487403Y1 (ko) 2018-06-26 2018-06-26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403Y1 true KR200487403Y1 (ko) 2018-09-13

Family

ID=6358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927U KR200487403Y1 (ko) 2018-06-26 2018-06-26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764A (ko) * 2018-12-13 2020-06-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터디 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470A (ko) * 2015-03-04 2016-09-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 위험 감지 스마트 볼
KR20170001483A (ko) 2015-06-26 2017-01-04 유건철 화재ㆍ가스 감지 및 경보기능이 탑재된 모바일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470A (ko) * 2015-03-04 2016-09-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 위험 감지 스마트 볼
KR101756521B1 (ko) 2015-03-04 2017-07-1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 위험 감지 스마트 볼
KR20170001483A (ko) 2015-06-26 2017-01-04 유건철 화재ㆍ가스 감지 및 경보기능이 탑재된 모바일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764A (ko) * 2018-12-13 2020-06-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터디 펜
KR102207596B1 (ko) * 2018-12-13 2021-01-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터디 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1307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gainst swimming accidents, in particular for the early detection of drowning persons, and the like
US8091422B2 (en) Breathing gas supply visual broadcast apparatus
EP2645349B1 (en) Method to activate emergency alarm on a personal alarm safety system device
BRPI0718361B1 (pt) Processo para reconher perigo de afogamento de pessoa dentro d'água e equipamento para executar o processo
US20180148144A1 (en) Personal Safety Device
KR102217765B1 (ko)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101835689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호흡장치
KR200487403Y1 (ko) 기울임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펜 장치
US8248251B2 (en) Personal water safety device
CN109480406B (zh) 一种游泳安全监测系统
KR20100028993A (ko) 낙상폰과 낙상폰을 이용한 구조시스템
WO2009048569A1 (en) Optical display apparatus for breathing gas reserve in a tank
US20220309897A1 (en) Wearable Safety Device for Swimming
KR101834206B1 (ko) 수압 측정 경보 장치 및 경보 시스템
KR20200055372A (ko) 절전형 영유아 체온감시 장치 및 방법
JP7094019B2 (ja) 呼気アルコール検知器
CN106237558A (zh) 一种气压智能报警系统
CN206871018U (zh) 一种车用儿童看护系统及其应用的车辆
KR20210050730A (ko)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경보장치
JP2016180924A (ja) ホイッスル
CN113015562A (zh) 具有加速度计以延长电子部件的电池寿命的scba面罩组件
KR102666714B1 (ko) 인명구조장치 및 인명구조관리서버
CN215775703U (zh) 一种带定位功能的旅游袖带
KR20160007111A (ko) 응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상황 알림 방법
KR102464679B1 (ko) Led 랜턴을 이용한 구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