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02Y1 - 전구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전구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02Y1
KR200487402Y1 KR2020170000933U KR20170000933U KR200487402Y1 KR 200487402 Y1 KR200487402 Y1 KR 200487402Y1 KR 2020170000933 U KR2020170000933 U KR 2020170000933U KR 20170000933 U KR20170000933 U KR 20170000933U KR 200487402 Y1 KR200487402 Y1 KR 200487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extension
flange
fixing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632U (ko
Inventor
송종호
Original Assignee
송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호 filed Critical 송종호
Priority to KR2020170000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0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구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구 체결구(11) 및 상기 전구 체결구(11)가 삽입되는 중공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구 체결구(11)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12b)가 형성된 헤드(12)를 포함하는 전구 고정부(10); 및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장 바(21) 및 상기 연장 바(21)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2)를 포함하는 연장부(20)을 포함하여,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상기 헤드(12)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상기 연장부(20)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구교환장치{Bulb changing device}
본 고안은 전구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 등 높은 곳에 설치되는 조명 기구의 전구를 필요에 따라 임시결속하여 착탈 및 교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전구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또는 야외 조명을 위하여 다양한 조명 기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천정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구를 포함하는 조명 기구는 실내 또는 야외 조명의 일반적인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조명 기구의 특성상 천정과 같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구의 수명이 다함에 따라 전구의 교체가 필요 시, 교체 대상인 전구가 통상 높은 곳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으므로 통상 사다리나 의자 등을 이용하여 손으로 수명이 다한 전구를 제거하고 새로운 전구를 결합하는 전구 교체작업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상기 전구교체 작업에 있어 사다리나 의자 등 적절한 도구가 없는 경우에는 전구의 교체 자체가 불가능한 반면, 상기 사다리나 의자는 작업현장으로 이동 및 보관이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적절한 높이의 사다리나 의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상 위협이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다리나 의자 등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구를 교체할 수 있는 적절한 도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으며, 이와 같은 도구로 하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은 연장된 바 부분과 전구를 임시 체결하는 전구 체결구로 및 손잡이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형 전구교체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바형 전구교체 장치의 경우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전구에 사용할 수 있지 않거나, 설치 위치에 대응하기 불편하거나 긴 길이로 보관이 불편한 문제가 있으며, 긴 길이의 특성상 전구의 착탈을 위해 회전에 많은 힘이 소요되거나 회전이 불안정 문제를 가지고 있어 널리 보급 및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전구에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설치 위치에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보관이 편리하고, 전구의 착탈을 위해 회전에 많은 힘이 소요되지 않고 전구의 착탈을 위한 회전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구교환장치의 개발 내지 개량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29865호(고안의 명칭 : 전구교환용 치구, 공고일자 : 1998년12월15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33698호(고안의 명칭 : 전구식 삼파장형광램프용 교환구, 공고일자 : 2006년12월13일)
따라서 본 고안은 다양한 전구 크기에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전구에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설치 위치에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보관이 편리한, 개량된 구조의 전구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부 구성품의 추가 및 교체로 새로운 종류 및 크기의 전구에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설치 위치에 대응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전구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전구에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설치 위치에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보관이 편리하면서도, 전구의 착탈을 위해 회전에 많은 힘이 소요되지 않고 전구의 착탈을 위한 회전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구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구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구 체결구(11) 및 상기 전구 체결구(11)가 삽입되는 중공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구 체결구(11)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12b)가 형성된 헤드(12)를 포함하는 전구 고정부(10); 및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장 바(21) 및 상기 연장 바(21)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2)를 포함하는 연장부(20)을 포함하여,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상기 헤드(12)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상기 연장부(20)의 상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전구의 외주면에 부합하는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상단에는 플렌지(11a)가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11a)의 헤드(12)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돌기(11b)가 상기 고정부(12b)의 위치에 대응하여 성형 되고, 상기 고정부(12b)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11b)가 끼움결합되는 결합홀을 포함하여, 상기 헤드의 중공의 삽입홈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구 체결구(11)의 플렌지(11a)는 중공의 삽입홈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을 가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탄성재질의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고, 상기 고정부(12b)는 상기 중공의 삽입홈의 입구로부터 상기 플렌지(11a)의 두께만큼 후퇴한 위치에 형성되어, 플렌지(11a)는 상기 중공의 삽입홈의 입구부분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여기서,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엘라스토머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20)는 일단이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삽입되어 볼트(23b) 및 너트(23a)에 의하여 고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20)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결합 가능한 2개 이상의 연장 바(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전구 각각의 외주면과 각각 동일한 형상의 중공을 가지는 복수의 전구 고정부(10)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는 상기 연장 바(21)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복수의 손잡이부(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손잡이부(22)는 각각 상이한 직경(R1, R2, R3)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전구에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설치 위치에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보관이 편리한, 개량된 구조의 전구교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일부 구성품의 추가 및 교체로 새로운 종류 및 크기의 전구에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설치 위치에 대응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전구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는,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전구에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설치 위치에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보관이 편리하면서도, 전구의 착탈을 위해 회전에 많은 힘이 소요되지 않고 전구의 착탈을 위한 회전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주요구성의 분해도로 사용개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전구 고정부(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결합 및 분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연장 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손잡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다양한 사용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명백히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전구교환장치 또는 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일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전구교환장치 또는 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형태가 실시예의 특정 형태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형태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구교환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주요구성의 분해도로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전구교환창치는 천정과 같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전구(2)의 수명이 다함에 따라 교체가 필요 시, 교체 대상인 전구를 임시체결하여 분리하거나, 새로운 전구를 임시체결하여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사용시 각 구성요소가 결합되고 되고, 보관시 각 구성요소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전구 고정부(10) 및 연장부(20)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전구 고정부(10)는, 전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구 체결구(11) 및 상기 전구 체결구(11)가 삽입되는 중공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구 체결구(11)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12b)가 형성된 헤드(12)를 포함한다.
연장부(20)는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장 바(21) 및 상기 연장 바(21)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2)를 포함하는 연장부(2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상기 헤드(12)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상기 연장부(20)의 상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전구에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설치 위치에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보관이 편리한 개량된 구조의 전구교환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전구 고정부(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전구 고정부(10)는 전구 체결구(11)는 상기 헤드(12)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전구의 외주면에 부합하는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상단에는 플렌지(11a)가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11a)의 헤드(12)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돌기(11b)가 상기 고정부(12b)의 위치에 대응하여 성형 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전구 체결구(11)의 플렌지(11a)는 헤드(12)의 중공의 삽입홈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탄성재질의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고, 상기 고정부(12b)는 상기 고정부(12b)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11b)가 끼움결합되는 결합홀을 포함하여 상기 헤드(12)의 중공의 삽입홈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의 삽입홈의 입구로부터 상기 플렌지(11a)의 두께만큼 후퇴한 위치에 형성되어,중공의 삽입홈 내부에서 플렌지(11a)의 결합을 위한 단턱을 형성하며, 플렌지(11a)는 상기 중공의 삽입홈의 입구부분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결합돌기(11b)는 각각 대응하는 결합홀에 끼움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플렌지(11a)의 두께는 3mm 정도인 경우 헤드(12)의 중공의 삽입홈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12b)는 상기 중공의 삽입홈의 입구로부터 3mm 정도 후퇴하여, 중공의 삽입홈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12b)의 결합홀 부분이 중공의 삽입홈 내부에서 플렌지(11a)의 결합을 위한 단턱의 기능을 수행하여, 전구 체결구(11)가 헤드(12)에 결합시 전구 체결구(11)의 플렌지(11a)를 헤드(12)의 중공의 삽입홈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전구 체결구(11)가 헤드(12)로 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탄성재질의 재료로서 엘라스토머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전구교환장치의 전구 고정부(10)를 구성하는 전구 체결구(11)와 헤드(12)가 착탈가능한 구조를 통해, 본 고안의 전구교환장치는 복수의 전구 각각의 외주면과 각각 동일한 형상의 중공을 가지는 복수의 전구 고정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전구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결합 및 분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상기 연장부(20)의 상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본 실시예의 연장부(20)는 일단이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삽입되어 볼트(23b) 및 너트(23a)에 의하여 고정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연장부(20)의 타단에는 손잡이부(2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손잡이부(22)를 제거하거나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 바(21)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복수의 손잡이부(22)를 포함하여 전구교환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손잡이부(22)는 각각 상이한 직경(R1, R2, R3)이 상이하여, 교체되는 전구의 크기 및 결합력과 기타 특징에 따라 적합한 직경의 손잡이를 선택하여 교체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전구의 착탈을 위해 회전에 많은 힘이 소요되지 않거나 전구의 착탈을 위한 회전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연장 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경우, 상기 연장부(20)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결합 가능한 2개 이상의 연장 바(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결합 바는 중공의 관 형태로 제작되며, 복수의 결합바는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 내지 가공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일단이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의 결합부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공이 가공된 결합부를 가지는 결합 바(21-1), 2개의 일반 결합 바(21-2, 2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로서 결합부가 형성된 일단이 다른 결합 바의 타단의 관의 개방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결합방식으로는 관의 개방부의 내면 및 결합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시키는 나사결합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결합 바들(21-1,21-2,21-3)의 결합부에 볼트공을 가공하고, 관의 개방부에 이에 대응하는 볼트공을 가공하여 전구 고정부(10)와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상기 볼트공을 통해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결합하거나 핀 등 결합 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결합 바들(21-1,21-2,21-3)을 모두 동일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손잡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전구교환장치는 상기 연장 바(21)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복수의 손잡이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손잡이부(22)는 각각 상이한 직경(R1, R2, R3)을 갖는 복수의 손잡이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교체되는 전구의 크기 및 결합력과 기타 특징에 따라 적합한 직경의 손잡이를 선택하여 교체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전구의 착탈을 위해 회전에 많은 힘이 소요되지 않거나 전구의 착탈을 위한 회전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구교환장치의 다양한 사용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전구 고정부(10)의 전구 체결구(11) 및/또는 헤드(12)의 교체를 통해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전구에 사용할 수 있고, 복수의 연장 바(21)를 통한 연장부(20)의 선택적인 구성에 의하여 다양한 설치 위치에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보관이 편리한, 개량된 구조의 전구교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전구 고정부 20 : 연장부
11 : 전구 체결구 21 : 연장 바
12 : 헤드 22 : 손잡이부

Claims (10)

  1. 삭제
  2. 전구교환장치에 있어서,
    전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구 체결구(11) 및 상기 전구 체결구(11)가 삽입되는 중공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구 체결구(11)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12b)가 형성된 헤드(12)를 포함하는 전구 고정부(10); 및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장 바(21) 및 상기 연장 바(21)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2)를 포함하는 연장부(20)을 포함하여,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상기 헤드(12)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상기 연장부(20)의 상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전구의 외주면에 부합하는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상단에는 플렌지(11a)가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11a)의 헤드(12)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돌기(11b)가 상기 고정부(12b)의 위치에 대응하여 성형 되고, 상기 고정부(12b)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11b)가 끼움결합되는 결합홀을 포함하여, 상기 헤드의 중공의 삽입홈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교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구 체결구(11)의 플렌지(11a)는 중공의 삽입홈의 형상과 동일한 외주면을 가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교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탄성재질의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고, 상기 고정부(12b)는 상기 중공의 삽입홈의 입구로부터 상기 플렌지(11a)의 두께만큼 후퇴한 위치에 형성되어, 플렌지(11a)는 상기 중공의 삽입홈의 입구부분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교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구 체결구(11)는 엘라스토머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교환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0)는 일단이 상기 전구 고정부(10)의 하단에 삽입되어 볼트(23b) 및 너트(23a)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교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0)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결합 가능한 2개 이상의 연장 바(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교환장치.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구 각각의 외주면과 각각 동일한 형상의 중공을 가지는 복수의 전구 고정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교환장치.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바(21)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복수의 손잡이부(22)를 포함하는 전구교환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손잡이부(22)는 각각 상이한 직경(R1, R2, R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교환장치.
KR2020170000933U 2017-02-27 2017-02-27 전구교환장치 KR200487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33U KR200487402Y1 (ko) 2017-02-27 2017-02-27 전구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33U KR200487402Y1 (ko) 2017-02-27 2017-02-27 전구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32U KR20180002632U (ko) 2018-09-05
KR200487402Y1 true KR200487402Y1 (ko) 2018-09-12

Family

ID=6358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933U KR200487402Y1 (ko) 2017-02-27 2017-02-27 전구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0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384Y1 (ko) * 2001-03-16 2001-10-26 정치원 다용도 신축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865Y1 (ko) 1995-12-18 1998-12-15 김태구 전구교환용 치구
KR100480966B1 (ko) 2002-10-15 2005-04-07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유도초음파 탐지를 통한 배관 파이프의 스케일 진단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384Y1 (ko) * 2001-03-16 2001-10-26 정치원 다용도 신축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32U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7148A (zh) 灯耗件装容和更换系统
KR200487402Y1 (ko) 전구교환장치
KR100626978B1 (ko) 조명등용 체결구
CN101709852B (zh) 一种卤钨灯固定结构以及具有该固定结构的灯具
US10851972B2 (en) Detachable lamp assembly
CN209920357U (zh) 一种夹持机构、胶囊夹具及硫化装置
CN210014283U (zh) 一种可拆卸led灯具
CN201621638U (zh) 路灯灯头快拆结构
KR200427411Y1 (ko) 전기조명등의 전구교체도구
US10845035B1 (en) Detachably assembled and independently used LED mother-son lamp
JP3111089U (ja) 管球交換器
KR200275485Y1 (ko) 하향식 조명기구의 결합구조
CN215061545U (zh) 一种便捷维修路灯
KR200376068Y1 (ko) 조명등 장착구조
KR200275484Y1 (ko) 상향식 조명기구의 결합구조
CN216790011U (zh) 一种室内嵌入式易维护的吸顶灯
KR200431936Y1 (ko) 소켓일체형 가로등헤드
CN213630329U (zh) 一种灯具安装结构、预制天花板及拼装式房间
CN210687955U (zh) 一款新型吸顶安装结构
CN219640139U (zh) 灯具安装结构
KR200190896Y1 (ko) 조명기구의 조명커버 착탈구
CN211551377U (zh) 一种多功能灯挂件
KR100809302B1 (ko) 피결속체 결속장치
TWM446864U (zh) 發光二極體吊燈
US20230191564A1 (en) Deep-Hole Socket Driving Shan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