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72Y1 - A connecting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connecting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72Y1
KR200487172Y1 KR2020130009828U KR20130009828U KR200487172Y1 KR 200487172 Y1 KR200487172 Y1 KR 200487172Y1 KR 2020130009828 U KR2020130009828 U KR 2020130009828U KR 20130009828 U KR20130009828 U KR 20130009828U KR 200487172 Y1 KR200487172 Y1 KR 200487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module
module base
present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8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2155U (en
Inventor
박현상
여진환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9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72Y1/en
Publication of KR20150002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15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7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 부품 설치에 있어 회로 기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전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의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로 기판 자체의 단락 등의 문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 단자의 형상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ion terminal comprising: an extension; An insertion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extended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that is bent upward from the inser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ircuit board is not required in the install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the space required for mounting the circuit board can be reduced and the entire product can be miniaturiz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st and effort required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circuit board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ircuit failure which may be caused by a short circuit or the like of the circuit board itself, thereby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tably supported,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A connecting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ensing module,

본 고안은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18494호에 개시되는 전지모듈은, 다수의 전지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모듈로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와 전기적 접속되어 있는 전압 센싱용 단자들, 및 전압 센싱용 단자들과 연결되어 있고 전압 센싱용 단자들의 검출 전압을 모듈 제어부로 전송하는 도전부를 포함하는 전압 센싱부; 및 도전부의 쇼트 발생시 검출 전압의 전송을 중단시키기 위해, 전압 센싱용 단자들과 도전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신호 차단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modul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18494 is a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includes voltage sensing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of the battery cells, A voltage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sensing terminals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detection voltage of the voltage sensing terminals to the module control unit; And a signal block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voltage sensing terminals and the conductive portion for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detection voltage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conductive portion.

또한, 상기 신호 차단부는 퓨즈를 내장하고 있는 퓨즈 박스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퓨즈 박스는 솔더링에 의해 퓨즈를 장착하고 있는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을 보호하기 위해 밀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blocking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fuse box having a built-in fuse. The fuse box is composed of a cover for seal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board on which the fuse is mounted by soldering.

이러한 전지모듈의 신호 차단부에는, 퓨즈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연결 단자들이,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 장착되어 하나의 회로를 구성한다. 따라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 비용, 시간 및 노력이 요구되었다. In the signal blocking portion of such a battery module, fuses and connection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ion ar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to form a single circuit. Therefore, the space, cost,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mounting the circuit board have been required.

본 고안의 목적은 회로 기판 없이, 전자 부품을 직접 설치할 수 있는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directly install electronic components without a circuit board.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ion terminal comprising: an extension; An insertion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extended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that is bent upward from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경사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The extending portion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formed at least partly upwardly inclined, and the inserting portion may be bent downward from the inclined portion.

상기 연장부는,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단부는 상기 삽입부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The extending portion may include a bent end portion bent downward, and the bent en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sertion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상기 결합 돌기의 돌출 길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The projecting length of the engaging projection may decreas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상기 연장부, 삽입부 및 접속부는 통전이 가능한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tension, the inser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은, 퓨즈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 베이스; 상기 모듈 베이스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일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1 연결 단자; 상기 모듈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타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2 연결 단자; 및 상기 모듈 베이스에 결합되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 및 제 2 연결 단자는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module includes: a module base for providing a space for installing a fus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located at one side of the module base and coupled to one terminal of the fuse;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base and coupl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use; And a module cover coupled to the module bas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An insertion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extended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that is bent upward from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모듈 베이스는, 하측으로 함몰되는 수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될 수 있다.The module base includes a receiving groove which is downwardly recessed, and the insertion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A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to prevent the insertion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ng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engaging projection, and at least one engaging groove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to engage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상기 걸림 홈의 깊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The depth of the latching groove can be reduc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 단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 방출 홀이 천공될 수 있다.And a heat emitting hole for emitting heat generated at the connection terminal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상기 모듈 베이스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은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The module ba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bs, and the receiving groove may be defined as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베이스 및 모듈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모듈 커버의 하면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may be 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cover in a state where the module base and the module cover are engaged.

상기 모듈 베이스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와 밀착되는 절곡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dule base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extending outwardly to support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may include a bent end portion folded downwar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상기 연장부, 삽입부 및 접속부는 통전이 가능한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tension, the inser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을 지지하기 위한 셀 프레임; 상기 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연결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커넥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퓨즈; 상기 퓨즈의 일측 단자와 결합 가능한 제 1 연결 단자; 및 상기 퓨즈의 타측 단자와 결합 가능한 제 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 및 제 2 연결 단자는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는,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ll frame for supporting a battery cell; A sensing modu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ell frame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nd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sensing module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battery cell to the outside, wherein the sensing module includes: a fuse capable of shutting off power supplied to the connector;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being engaged with one terminal of the fuse;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being engaged with the other terminal of the fus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use,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 삽입부 및 접속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Extension; An insertion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extended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bent upward from the insertion portion, wherein the extending portion, the inser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integrally formed.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 부품 설치에 있어 회로 기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전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ircuit board is not required in the install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the space required for mounting the circuit board can be reduced and the entire product can be miniaturized.

또한, 회로 기판의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st and effort required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circuit board can be reduced.

또한, 회로 기판 자체의 단락 등의 문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ircuit failure which may be caused by a short circuit or the like of the circuit board itself, thereby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고안의 연결 단자의 형상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tably supported,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에서 모듈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연결 단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연결 단자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에 제 2 연결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7의 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odule cover is detach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module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 in a state where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coupled to a module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셀 프레임(20)과, 커넥터(30)와, 제 1 센싱 모듈(200)과, 제 2 센싱 모듈(300)과, 상기 커넥터(30) 및 제 1 센싱 모듈(200)을 연결하는 제 1 연결 라인(40)과, 상기 커넥터(3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을 연결하는 제 2 연결 라인(5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ll frame 20, a connector 30, a first sensing module 200, a second sensing module A first connection line 40 connecting the connector 30 and the first sensing module 200 and a second connection line 40 connecting the connector 30 and the second sensing module 300. [ 50).

상기 셀 프레임(20)은,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셀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cell frame 20 is for supporting a battery cell (not shown).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을 통하여 전달된 전류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nnector 30 is for transmit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cell to the outside. The connector 30 may transmit the current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sensing module 200 and the second sensing module 300 to the outside.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상기 배터리 셀의 각각의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전기적 접속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module 200 and the second sensing module 300 may be connected to respectiv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 The first sensing module 200 and the second sensing module 300 may selectively block the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r current supplied from the battery cell.

한편,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센싱 모듈일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이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을 편의상 센싱 모듈(200)이라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에 대한 설명은 제 2 센싱 모듈(300)에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first sensing module 200 and the second sensing module 300 are shown as separate members,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ne sensing module. Hereinafter, the first sensing module 200 and the second sensing module 300 will be described as being separate members. The first sensing module 200 and the second sensing module 30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Hereinafter, the first sensing module 200 is referred to as a sensing module 200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sensing module 200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sensing module 300 without the contrary descrip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에서 모듈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module in which a module cover is de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200)은, 모듈 베이스(210)와, 모듈 커버(220)와, 퓨즈(230)와, 제 1 연결 단자(250) 및 제 2 연결 단자(27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a sens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ule base 210, a module cover 220, a fuse 230, a first connection terminal 250,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270.

상기 모듈 베이스(210)는, 상기 퓨즈(230)를 비롯하여 각종 전자 부품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210)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부(212)와,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지지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dule base 210 can provide an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cluding the fuse 230. The module base 21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212 for support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0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214 for supporting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70 have.

상기 제 1 지지부(212) 및 제 2 지지부(214)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12) 및 제 2 지지부(214)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가 제공하는 설치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21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4 may extend outwardly of the module base 210. The first support portion 21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4 may b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an installation space provided by the module base 210.

상기 모듈 커버(220)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22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설치 공간과 오버랩되고, 상기 제 1 지지부(212) 및 제 2 지지부(214)와는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The module cover 220 may be coupled to the module base 210 to cover the installation space. The module cover 220 may overlap the installation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not overlap the first support portion 21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4.

상기 퓨즈(230)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10) 및 제 2 연결 단자(27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퓨즈(230)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10) 및 제 2 연결 단자(270) 사이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전기적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퓨즈(230)가 단락되면, 상기 커넥터(30)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모듈(10)과 연결된 장치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The fuse 23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70. The fuse 230 may block the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r current flow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70. When the fuse 230 is short-circuited, the voltage or current supplied to the connector 30 is cut off,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10. [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일측은 상기 퓨즈(230)의 일측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0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module base 210.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0 may be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fuse 230 and the other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의 일측은 상기 퓨즈(230)의 타측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연결 라인(40)(또는 제 2 연결 라인(50))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3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70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base 210.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70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use 23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line 40 (or the second connection line 50) Lt; / RTI >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연결 단자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연결 단자(250)는, 연장부(252)와, 상기 연장부(252)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253)와, 상기 삽입부(253)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252, an insertion portion 253 bent downward from the extension portion 252, And a connection portion 251 that is bent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253.

상기 접속부(251)는, 상기 퓨즈(230)의 일측 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51)는, 예를 들어 이격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의 공간에 상기 퓨즈(230)의 일측 단자가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251 may be coupled to one terminal of the fuse 230. The connection portion 2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terminal of the fuse 230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o be pressed and fixed b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have.

상기 연장부(252)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52a)와,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 단부(25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nded portion 252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252a at least partially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and a bent end portion 252b bent downward.

상기 경사부(252a)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 및 모듈 커버(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 커버(220)의 하면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는 상기 설치 공간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inclined portion 252a may be 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cover 220 in a state where the module base 210 and the module cover 220 are engaged. With this structur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0 can be firmly fixed within the installation space.

상기 절곡 단부(252b)는, 그 형상에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부(212)와 밀착되어,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가 상기 모듈 베이스(21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The bent end portion 252b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 212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thereof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0 is firmly fixed to the module base 210. [

상기 삽입부(253)는, 예를 들어 상기 연장부(252)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251)는 상기 제 3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253)는, 후술할 수용 홈(216, 도 7 참조)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가, 상기 모듈 베이스(21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The insertion portion 253 may include a first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extension portion 252, a second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251 may be formed in the third portion. The insertion portion 253 may be inserted into a receiving groove 216 (see FIG. 7)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0 is fixed to the module base 210.

한편, 상기 연장부(252)가 경사부(252a)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253)는 상기 경사부(252a)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52)가 절곡 단부(252b)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253)는 상기 절곡 단부(252b)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extended portion 252 includes the inclined portion 252a, the insertion portion 253 may be understood to be bent downward from the inclined portion 252a. When the extended portion 252 includes the bent end portion 252b, the insertion portion 253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ent end portion 252b.

한편, 상기 접속부(251), 연장부(252) 및 삽입부(253)는 통전이 가능한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는 "센싱 부스바"라고 할 수도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251, the extending portion 252, and the inserting portion 253 may be integrally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0 may be referred to as a "sensing bus bar ".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연결 단자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연결 단자(270)는, 접속부(271)와, 연장부(272)와, 삽입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접속부(250), 연장부(252) 및 삽입부(253)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의 접속부(271), 연장부(272) 및 삽입부(273)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271, an extension portion 272, and an insertion portion 273. The description of the connecting part 250, the extending part 252 and the inserting part 253 of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250 is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onnecting part 271 of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270, It can be applied to the extension portion 272 and the insertion portion 27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연장부(272)는, 연결 라인(40)(5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72a)(27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nsion 272 may include securing portions 272a, 272b for securing the connection lines 40, 50.

상기 고정부(272a)(272b)는, 상기 연장부(272)의 테두리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272a)(272b)는, 서로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제 1 고정부(272a)와, 서로 이격되는 갈고리 형상의 제 2 고정부(27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72a)(272b)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고정부(272a)(272b)를 이용하여 연결 라인(40)(5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는, "센싱 터미널"이라고 할 수도 있다.The fixing portions 272a and 272b may be bent inward from the edge of the extended portion 272. [ The fixing portions 272a and 272b may include an annular first fixing portion 272a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fixing portion 272b having a hook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to be noted that 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s 272a and 272b is mere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lines 40 and 50 can be firmly fixed using the fixing portions 272a and 272b.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70 may be referred to as a "sensing terminal ".

상기 삽입부(27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7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273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 돌기(273a)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삽입부(253)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insertion portion 273 may include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273a.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273a will be given later. Needless to say, the coupling protrusion 273a may be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253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0. [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에 제 2 연결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7의 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module b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module b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210)는, 리브(215)와, 수용 홈(216)과, 걸림 돌기(217)와, 걸림 홈(218)과, 열 방출 홀(219)를 포함할 수 있다. 7 and 8, a module base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b 215, a receiving groove 216, a latching protrusion 217, a latching groove 218, And may include a heat releasing hole 219.

상기 리브(215)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리브(215)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The ribs 21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module base 210. The ribs 215 can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module base 210.

상기 수용 홈(216)은, 하측으로 함몰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수용 홈(216)에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삽입부(253) 또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의 삽입부(27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216)은 상기 리브(215)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규정되는 상기 복수 개의 리브(215) 사이의 공간일 수도 있다. The receiving groove 216 may be a space which is recessed downward. The insertion portion 253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50 or the insertion portion 273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7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6. The receiving groove 216 may be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215 defined by forming a plurality of ribs 215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상기 걸림 돌기(217)는, 상기 삽입부(253)(273)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217)는 상기 수용 홈(21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217)는 상기 수용 홈(216)에 인접한 리브(215)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The latching protrusion 217 can prevent the insertion portions 253 and 273 from being separated upward. The latching protrusion 217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6. The latching protrusion 217 may b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ib 215 adjacent to the receiving recess 216.

상기 걸림 돌기(217)의 상면은 상기 수용 홈(216)의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는 다른 리브(215)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연결 단자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latching protrusion 217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6. Further, the ribs 215 having the latching protrusions 217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ribs 215. This is to facilitate the deformation of the rib 215 where the latching protrusion 217 is formed. Through such a structure, the force required to install the connection terminal can be reduced.

상기 걸림 홈(218)은, 상기 결합 돌기(273a)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250)(27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218)은 상기 수용 홈(216)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218)은 상기 수용 홈(216)에 인접한 리브(215)로부터 함몰되는 홈일 수 있다.The engaging groove 218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273a to prevent the connection terminals 250 and 270 from being detached.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218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6. The latching groove 218 may be a groove recessed from the rib 215 adjacent to the receiving groove 216.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218)의 깊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홈(218)에 대응하는 결합 돌기(273a)의 돌출 길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연결 단자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면서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depth of the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218 can be reduc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engaging protrusion 273a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 218 can be reduc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rough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c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connection terminal from being reduced, while not being easily released.

상기 열 방출 홀(219)은, 상기 연결 단자(250)(27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 방출 홀(219)은, 상기 수용 홈(216)의 일측에 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 방출 홀(219)은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의 일측에 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연결 단자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heat releasing holes 219 are for releasing heat generated at the connection terminals 250 and 270. The heat releasing hole 219 may be formed i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6. For example, the heat-releasing hole 219 may be formed in one side of the rib 215 where the latching protrusion 217 is formed. This is to facilitate the deformation of the rib 215 where the latching protrusion 217 is formed. Through such a structure, the force required to install the connection terminal can be reduced.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 부품 설치에 있어 회로 기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전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의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로 기판 자체의 단락 등의 문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 단자의 형상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ircuit board is not required in the install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the space required for mounting the circuit board can be reduced and the entire product can be miniaturiz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st and effort required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circuit board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ircuit failure which may be caused by a short circuit or the like of the circuit board itself, thereby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tably supported,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differences between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퓨즈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 베이스;
상기 모듈 베이스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일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1 연결 단자;
상기 모듈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타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2 연결 단자; 및
상기 모듈 베이스에 결합되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 및 제 2 연결 단자는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베이스는,
하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삽입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 및
상기 수용 홈에 장착된 삽입부가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센싱 모듈.
A module base providing a space for installing a fus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located at one side of the module base and coupled to one terminal of the fuse;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base and coupl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use; And
And a module cover coupled to the module bas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a connection terminal,
Extension;
An insertion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extended portion;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bent upward from the insertion portion,
The module base includes:
A receiving groove recessed downward and receiving the insertion portion; And
And a latch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insertion portion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from being released upw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센싱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engaging projection,
And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to be engaged with the latching protrus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의 깊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depth of the latching groove de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 단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 방출 홀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heat dissipating hole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in the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베이스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은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되는 센싱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dule base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is defined as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베이스 및 모듈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모듈 커버의 하면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xtending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ormed with an upward inclination,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is press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cover with the module base and the module cover engag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베이스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와 밀착되는 절곡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dule base includes a support portion extending outwardly to support the extension portion,
Wherein the extending portion includes a bent end portion folded downwar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portion.
삭제delete
KR2020130009828U 2013-11-28 2013-11-28 A connecting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048717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828U KR200487172Y1 (en) 2013-11-28 2013-11-28 A connecting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828U KR200487172Y1 (en) 2013-11-28 2013-11-28 A connecting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55U KR20150002155U (en) 2015-06-05
KR200487172Y1 true KR200487172Y1 (en) 2018-08-16

Family

ID=5351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828U KR200487172Y1 (en) 2013-11-28 2013-11-28 A connecting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7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758A (en) * 2020-11-03 2022-05-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for battery and making method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1660B (en) * 2016-10-26 2022-04-19 三星Sdi株式会社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battery system includ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KR20220166052A (en) * 2021-06-09 2022-12-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Comprising Bent Sensing Unit and Electrode Device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822B1 (en) * 2009-10-21 2013-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56B1 (en) * 2004-12-24 2008-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Detachable connecting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101802926B1 (en) * 2011-04-25 2017-11-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Battery having Sensing Assembly Structure for Processing Signal of Cell
KR101505026B1 (en) * 2013-06-20 2015-03-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Terminal for bulb holder brack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822B1 (en) * 2009-10-21 2013-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758A (en) * 2020-11-03 2022-05-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for battery and making method the same
KR102567485B1 (en) * 2020-11-03 2023-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for battery and making method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55U (en)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4938B2 (en) High voltage electrical junction box
US7408765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100952773B1 (en) Terminal for connecting bus bar to printed circuit board
EP2432091B1 (en) Bracket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box
EP2940759A1 (en)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JP5051465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487172Y1 (en) A connecting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130098412A (e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KR102320036B1 (en) A battery module assembly
JP2006012842A (en) Relay and connector assembly
US9972823B2 (en) Fusible link
JP2007006612A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69161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JP2017220470A (en) Board unit
KR102138549B1 (en) A terminal, a circuit-board comprising the termianl and manufacture methods thereof
KR100759123B1 (en) Connector assembly for junction box
JP2006115638A (en) Electric junction box
JP2011147265A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205960262U (en) Connection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US9078356B2 (en) Electrical component device
KR100547277B1 (en) Terminal installation structure of junction box board
KR20180071155A (en) Connector
KR101636288B1 (en) Junction box
KR101439144B1 (en) Alarm Structure of Fuse Box Cover For Unsuitable Combination
CN109196744B (en) Substrat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