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20Y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20Y1
KR200487120Y1 KR2020170005889U KR20170005889U KR200487120Y1 KR 200487120 Y1 KR200487120 Y1 KR 200487120Y1 KR 2020170005889 U KR2020170005889 U KR 2020170005889U KR 20170005889 U KR20170005889 U KR 20170005889U KR 200487120 Y1 KR200487120 Y1 KR 200487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port
pipe
inle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걸
Original Assignee
이상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걸 filed Critical 이상걸
Priority to KR2020170005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075Supports for plates or plat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작이 용이하면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는 상기 제1 열교환판(51)과 제2 열교환판(52)을 순차적으로 용접결합하여, 다수개의 열교환케이스(50)가 상호 적층된 형태의 반제품을 제작하고, 상호 적층된 열교환케이스(50)의 플랜지부(55)의 사이로 밀폐부재(60)를 삽입하여 용접하여 상기 본체(A)를 제작한다.
따라서, 본체(A)의 용접이 매우 용이하여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강도가 매우 높아서, 열교환기에 허용되는 유체의 압력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고안은 열교환효과가 상승되면서, 공급되는 유체의 허용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종류의 유체를 상호 열교환시켜 목적이 되는 유체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이러한 열교환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측면에는 제1 주입구(11)와 제1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제2 주입구(13)와 제2 배출구(14)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10)과, 제1 및 제2 열교환판(23,24)을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호 전후면이 밀착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상기 제1 주입구(11) 및 제1 배출구(12)를 연결하는 제1 유로(21)와 상기 제2 주입구(13)와 제2 배출구(14)를 연결하는 제2 유로(22)를 형성하는 열교환케이스(20)와, 상기 제1 주입구(11)와 제1 배출구(12)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주입관(31) 및 제1 배출관(32)과, 상기 제2 주입구(13)와 제2 배출구(14)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주입관(33) 및 제2 배출관(3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일측에 막음판(15)이 구비된 원통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판(23,24)은 원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된 공급공(25)과 배출공(26)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둘레부에는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7)가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28)가 형성되어, 측방향에서 볼 때 파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28)는 외측단이 상기 플랜지부(27)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 열교환판(23,24)에 형성된 돌출부(28)는 상호 각도가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판(23,24)은 상기 공급공(25)과 배출공(26)이 상기 제1 주입구(11)와 제2 배출구(14)와 일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용접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판(23,24)을 플랜지부(27)가 상호 밀착되도록 용접하여 열교환케이스(20)를 구성하면, 상기 열교환케이스(20)의 내부에 상기 제1 유로(21)가 형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케이스(20)를 상호 적층하면, 열교환케이스(20)의 사이에 상기 제2 유로(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주입관(31) 및 제1 배출관(32)과, 제2 배출구(14) 및 제2 배출관(34)은 서로 다른 온도의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주입관(31) 및 제1 배출관(32)은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주입관(33)에는 고압으로 압축된 LPG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출관(34)에는 LPG를 연소시키는 엔진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보일러를 구동시키면, 상기 제1 주입관(31)으로 공급된 온수는 상기 공급공(25)을 통해 제1 유로(21)로 유입되어 제1 및 제2 열교환판(23,24)을 가열한 후 상기 배출공(26)과 제1 배출관(32)을 통해 보일러로 순환된다.
그리고, 상기 LPG탱크에 저장된 LPG를 상기 제2 주입관(33)으로 공급하면, LPG는 상기 제2 유로(22)를 통과하면서 제1 및 제2 열교환판(23,24)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된 후, 상기 제2 배출관(34)을 통해 엔진으로 공급된다.
한편, 이러한 열교환기를 제작할 때는,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판(23,24)를 상호 용접결합하여, 다수개의 열교환케이스(20)가 상호 용접결합된 형태의 반제품을 제작하고, 이와 같이 제작된 반제품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막음판(15)을 용접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케이스(2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되지 못하여, 상기 제1 유로(21)의 내부로 고압의 유체를 공급할 경우, 열교환케이스(20)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열교환기에 허용되는 유체의 압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2 주입구(13)로 공급된 유체가 상호 용접된 열교환케이스(20) 의 중앙부를 통과할 때 열교환효율이 향상되는데, 이와 같이, 유체가 열교환케이스(20)의 사이를 통과할 때 큰 저항이 발생된다.
그런데, 이러한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케이스(20)의 둘레부가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으로 부터 이격될 뿐 아니라, 상기 플랜지부(27)에 의해 열교환케이스(20)의 둘레부에 공간부가 형성됨으로, 상기 제2 주입구(13)으로 공급된 유체가 열교환케이스(20)의 둘레부를 통과하게 됨으로, 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210673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열교환효과가 상승되면서, 공급되는 유체의 허용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측면에는 제1 주입구(41)와 제1 배출구(42)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주입구(41) 및 제1 배출구(42)를 연결하는 제1 유로(45)와 상기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를 연결하는 제2 유로(46)가 형성된 본체(A)와,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1 배출구(42)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주입관(91) 및 제1 배출관(92)과, 상기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주입관(93) 및 제2 배출관(94)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A)는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을 상호 수밀하게 용접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제1 유로(45)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2 유로(46)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열교환케이스(50)와,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전후측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유로(46)의 전후측을 밀폐함과 동시에 제2 유로(46)의 상하측에 상기 제2 주입관(93) 및 제2 배출관(94)이 연결되는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밀폐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은 공급공(53)과 배출공(54)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후방과 전방으로 돌출된 플랜지부(55)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후방 또는 전방으로 각각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56)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55)가 상호 밀착되도록 용접결합되며, 상기 밀폐부재(60)는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플랜지부(55)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부(55)의 측면에 용접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A)는 상기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에 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제2 주입관(93) 및 제2 배출관(94)이 결합되는 통공(73)이 형성된 상하측 덮개부재(71,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A)는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양단에 밀착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판(80)을 더 포함하며, 일측의 마감판(80)에는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2 주입구(4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2 주입구(43)는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공급공(53)과 배출공(54)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는 상기 제1 열교환판(51)과 제2 열교환판(52)을 순차적으로 용접결합하여, 다수개의 열교환케이스(50)가 상호 적층된 형태의 반제품을 제작하고, 상호 적층된 열교환케이스(50)의 플랜지부(55)의 사이로 밀폐부재(60)를 삽입하여 용접하여 상기 본체(A)를 제작한다.
따라서, 본체(A)의 용접이 매우 용이하여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접강도가 매우 높아서, 열교환기에 허용되는 유체의 압력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열교환기의 평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열교환기의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열교환기의 측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열교환기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상측 덮개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8 및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한 것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측면에는 제1 주입구(41)와 제1 배출구(42)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주입구(41) 및 제1 배출구(42)를 연결하는 제1 유로(45)와 상기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를 연결하는 제2 유로(46)가 형성된 본체(A)와,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1 배출구(42)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주입관(91) 및 제1 배출관(92)과, 상기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주입관(93) 및 제2 배출관(94)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A)는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을 상호 수밀하게 용접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제1 유로(45)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2 유로(46)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열교환케이스(50)와,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전후측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유로(46)의 전후측을 밀폐함과 동시에 제2 유로(46)의 상하측에 상기 제2 주입관(93) 및 제2 배출관(94)이 연결되는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밀폐부재(60)와, 상기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에 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제2 주입관(93) 및 제2 배출관(94)이 결합되는 통공(73)이 형성된 상하측 덮개부재(71,72)와,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양측에 용접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판(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은 원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된 공급공(53)과 배출공(54)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둘레부에는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55)가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56)가 형성되어, 측방향에서 볼 때 파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28)는 외측단이 상기 플랜지부(55)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에 형성된 돌출부(56)는 상호 각도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을 플랜지부(55)가 상호 밀착되도록 용접하면,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내부에 상기 제1 유로(45)가 형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케이스(50)를 상호 적층하면, 열교환케이스(50)의 사이에 상기 제2 유로(46)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의 기본적인 형태와 기능은 종래의 열교환기에 구비된 제1 및 제2 열교환판과(23,24)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밀폐부재(6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이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의 지름에 비해 조금 작은 호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플랜지부(55)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부(55)의 측면에 용접결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60)는 반원에 비해 작은 각도, 예를 들어 440°의 호형상으로 구성되며, 상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6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부재(60)를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플랜지부(55)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삽입하면, 상기 밀폐부재(60)에 의해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46)의 전후측 둘레부가 밀폐됨으로써, 상기 절전도케이스의 상하측에 각각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44)는 도 8과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A)의 상하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하측 덮개부재(71,72)는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44)의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44)의 폭에 대응되는 지름을 갖는 반원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밀폐부재(60)의 연장부(61)에 용접결합된다.
상기 마감판(80)은 상기 본체(A)의 양측단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상호 적층된 다수개의 열교환케이스(50) 중에서 가장 외에 위치된 열교환케이스(50)의 전면과 후측면과, 상기 상하측 덮개부재(71,72)의 양단에 수밀하게 용접결합된다.
이때, 상기 마감판(80)과 양측의 열교환케이스(50)의 사이에는 상기 밀폐부재(60)에 비해 측방향 폭이 좁은 보조밀폐부재(61)가 용접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80)에는 일측의 마감판(80)에는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2 주입구(4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마감판(80)은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2 주입구(43)가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공급공(53)과 배출공(54)에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 주입관(91)과 제1 배출관(92)은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공급공(53)과 배출공(54)에 연결되도록 상기 통공(73)에 용접결합된다.
상기 제2 주입관(93)과 제2 배출관(94)은 상기 상하측 덮개부재(71,72)의 통공(73)에 용접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열교환판(51)과 제2 열교환판(52)을 순차적으로 용접결합하여, 다수개의 열교환케이스(50)가 상호 적층된 형태의 반제품을 제작한다.
이때,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은 플랜지부(55)와 공급공(53) 및 배출공(54)의 둘레부가 상호 수밀하게 용접결합된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과정에서 제작된 반제품에 구비된 플랜지부(55)의 사이에 상기 밀폐부재(60)를 삽입한 후, 밀폐부재(60)를 상기 플랜지부(55)에 용접결합한다.
이때, 밀폐부재(60)의 상하단으로 연장된 연장부(61) 사이의 틈은 용접봉을 녹여 채워 넣음으로써, 연장부(61) 사이의 틈을 밀폐한다.
그리고, 상호 적층된 다수개의 열교환케이스(50) 중에서 가장 외에 위치된 열교환케이스(50)의 전면과 후측면에 상기 마감판(80)을 용접결합하고, 상기 마감판(80)과 양측의 열교환케이스(50)의 사이에 상기 보조밀폐부재(60)를 삽입한 후 용접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60)의 상하단으로 연장된 연장부(61)에 상기 상하측 덮개부재(71,72)를 용접결합하고, 상기 마감판(80)의 통공(73)에 상기 제1 주입관(91)과 제1 배출관(92)을 용접결합하고, 상기 상하측 덮개부재(71,72)의 통공(73)에 상기 제2 주입관(93)과 제2 배출관(94)을 용접결합함으로서, 열교환기의 제작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는 상기 제1 열교환판(51)과 제2 열교환판(52)을 순차적으로 용접결합하여, 다수개의 열교환케이스(50)가 상호 적층된 형태의 반제품을 제작하고, 상호 적층된 열교환케이스(50)의 플랜지부(55)의 사이로 밀폐부재(60)를 삽입하여 용접하여 상기 본체(A)를 제작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케이스(50)가 상기 밀폐부재(60)에 의해 지지되어 열교환케이스(50)의 강도가 향상됨으로, 열교환기에 허용되는 유체의 압력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은 공급공(53)과 배출공(54)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후방과 전방으로 돌출된 플랜지부(55)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후방 또는 전방으로 각각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56)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55)가 상호 밀착되도록 용접결합되며, 상기 밀폐부재(60)는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플랜지부(55)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부(55)의 측면에 용접결합됨으로, 상기 플랜지부(27)에 의해 열교환케이스(20)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공간부가 상기 밀폐부재(60)에 의해 막혀서 열교환케이스(20)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제2 주입구(43)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상기 열교환케이스(20)의 중앙부를 통과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A)는 상기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에 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제2 주입관(93) 및 제2 배출관(94)이 결합되는 통공(73)이 형성된 상하측 덮개부재(71,72)가 더 구비됨으로, 상기 본체(A)의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에 손쉽게 제2 주입관(93)과 제2 배출관(94)을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A)는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양단에 밀착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판(80)이 구비되며, 일측의 마감판(80)에는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2 주입구(4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2 주입구(43)는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공급공(53)과 배출공(54)에 연통되도록 형성됨으로, 본체(A)의 양단을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으며, 본체(A)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본체(A)의 제1 주입구(41)와 제1 배출구(42)는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1 배출구(42)는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케이스(50)는 원판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열교환케이스(50)는 사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A, 본체 50. 열전도케이스
61. 제1 주입관 62. 제1 배출관
63. 제2 주입관 64. 제2 배출관

Claims (4)

  1. 삭제
  2. 측방향으로 연장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측면에는 제1 주입구(41)와 제1 배출구(42)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주입구(41) 및 제1 배출구(42)를 연결하는 제1 유로(45)와 상기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를 연결하는 제2 유로(46)가 형성된 본체(A)와,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1 배출구(42)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주입관(91) 및 제1 배출관(92)과, 상기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주입관(93) 및 제2 배출관(94)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A)는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을 상호 수밀하게 용접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제1 유로(45)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2 유로(46)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열교환케이스(50)와,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전후측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유로(46)의 전후측을 밀폐함과 동시에 제2 유로(46)의 상하측에 상기 제2 주입관(93) 및 제2 배출관(94)이 연결되는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밀폐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판(51,52)은 공급공(53)과 배출공(54)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후방과 전방으로 돌출된 플랜지부(55)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후방 또는 전방으로 각각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56)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55)가 상호 밀착되도록 용접결합되며,
    상기 밀폐부재(60)는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플랜지부(55)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부(55)의 측면에 용접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A)는 상기 제2 주입구(43)와 제2 배출구(44)에 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제2 주입관(93) 및 제2 배출관(94)이 결합되는 통공(73)이 형성된 상하측 덮개부재(71,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A)는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양단에 밀착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판(80)을 더 포함하며,
    일측의 마감판(80)에는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2 주입구(4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주입구(41)와 제2 주입구(43)는 상기 열교환케이스(50)의 공급공(53)과 배출공(54)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2020170005889U 2017-11-17 2017-11-17 열교환기 KR200487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89U KR200487120Y1 (ko) 2017-11-17 2017-11-17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89U KR200487120Y1 (ko) 2017-11-17 2017-11-17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120Y1 true KR200487120Y1 (ko) 2018-08-07

Family

ID=6320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889U KR200487120Y1 (ko) 2017-11-17 2017-11-17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2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673B1 (ko) 2008-04-04 2012-12-10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KR20140009220A (ko) * 2010-12-31 2014-01-22 파테루스 오와이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와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140271A (ko) * 2013-04-04 2015-12-15 파테루스 오와이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및 플레이트형 열교환기에 다중 패스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KR20150143532A (ko) * 2013-04-16 2015-12-23 피베 크리오 듀얼 기능 분배 헤드 연결 조립체를 갖는 열 교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673B1 (ko) 2008-04-04 2012-12-10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KR20140009220A (ko) * 2010-12-31 2014-01-22 파테루스 오와이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와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140271A (ko) * 2013-04-04 2015-12-15 파테루스 오와이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및 플레이트형 열교환기에 다중 패스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KR20150143532A (ko) * 2013-04-16 2015-12-23 피베 크리오 듀얼 기능 분배 헤드 연결 조립체를 갖는 열 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88868B (zh) 换热器
CN104748582B (zh) 换热器及其制造方法
US10066874B2 (en) Plate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ultiple passes in the plate heat exchanger
KR20130083289A (ko) 쉘앤튜브 열교환기의 튜브시트와 튜브의 접합방법 및 쉘앤튜브 열교환기
CN113169391A (zh) 板状流体容器和电池温度控制组件
WO2018116370A1 (ja) 熱交換装置
JP2013142535A (ja) シェルアンドチューブ型熱交換器のチューブシートとチューブの接合方法及びシェルアンドチューブ型熱交換器
FR2999695A1 (fr) Tube plat pour echangeur de chaleur d'air de suralimentation et echangeur de chaleur d'air de suralimentation correspondant.
KR102452541B1 (ko) 차량용 열교환기
KR200487120Y1 (ko) 열교환기
CN110108137A (zh) 一种换热器及具有该换热器的燃气热水器
KR100978811B1 (ko) 열교환기
KR101468607B1 (ko) 하이브리드 반용접형 주전열면 열교환기
IT201800008013A1 (it) Scambiatore di calore e relativo metodo di realizzazione
CN204693771U (zh) 一种能承受高压力的电加热装置
CN107851866B (zh) 导热性基础部件和组装导热性基础部件的方法
JP7257877B2 (ja) 熱交換装置
GB1596616A (en) Heat exchanger for a gas- or oil-fired continuous-flow water heater
KR101773724B1 (ko) 열교환기용 코어 어셈블리
CN214666237U (zh) 换热装置及换热组件
CN216744896U (zh) 一种封头、内胆及双胆热水器
KR102139943B1 (ko) 용접식 판형 열교환기
JP2005214471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
RU2529957C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теплообменная пластин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BR112020006005A2 (pt) aparelho e méto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