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858Y1 - 컵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858Y1
KR200486858Y1 KR2020160003895U KR20160003895U KR200486858Y1 KR 200486858 Y1 KR200486858 Y1 KR 200486858Y1 KR 2020160003895 U KR2020160003895 U KR 2020160003895U KR 20160003895 U KR20160003895 U KR 20160003895U KR 200486858 Y1 KR200486858 Y1 KR 200486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opening
water receiving
circular ho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156U (ko
Inventor
박상천
Original Assignee
박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천 filed Critical 박상천
Priority to KR2020160003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5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주면에 경사지게 구성한 경사안착부를 갖춘 컵부를 컵홀더의 원형 구멍에 끼우는 것만으로 컵을 경사지게 꺼꾸로 걸어서 간단히 건조할 수 있음은 물론, 물수용안착부를 갖춘 컵부의 개구 반대쪽을 컵홀더의 원형 구멍으로 끼우게 되면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도 물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담긴 상태로 잠시 거치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컵(1000)은,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수용부를 갖춘 컵부를 포함하되, 상기 컵부(1100)의 외주면(1110)에 수용부(1120)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경사안착부(1200)가 구비되어, 컵홀더(2000)의 원형 구멍(2100)에 컵부(1100)의 개구(1121)쪽을 끼우는 것만으로도 경사안착부(1200)가 컵홀더(2000)의 상부에 밀착되어 컵부(1100)를 경사지게 꺼꾸로 걸어서 건조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컵{CUP}
본 고안은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을 때 경사지게 꺼꾸로 걸어서 건조할 수 있도록 된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서 사용하는 컵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거치대나 선반에 올려두기 때문에 비눗물이나 먼지등의 컵의 내부로 침입이 용이하여 비위생적이며, 마르지 않는 습기 때문에 곰팡이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
종래 이러한 양치질용 컵의 결점을 개량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1999-0084117호 "위생적인 컵걸이와 컵"이 공개되어 있는바, 컵걸이용 원형링을 양치질용 컵의 외주면과 동일한 내경으로 하여 그 링의 내주면에 스프링에 의해 탄지 되면서 출몰되는 다수개의 출몰핀을 탄설한 링으로 한 것이나, 컵걸이용 링을 컵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하고 그 링의 일정부위를 절개하여 개방부를 형성한 링으로 한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링으로 하고, 컵걸이의 벽고정용 브라켓에 장착할 부위는 구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구형이 내장되어 회전되도록 구형홈을 형성하되, 상기 구형이나 구형홈 중 어느 하나에는 일정 각도마다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출몰되는 탄성볼을 장착하고 다른 하나에는 반구형요홈을 형성하여 구형을 구형홈에서 일정 각도 회전시마다 탄성볼이 요홈에 걸려 구형이 스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링에 삽탈되는 컵의 외주면의 일정높이에는 원형용구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컵걸이와 컵은 컵을 컵걸이용 링에 끼우고 링을 회전시켜 컵의 상하를 전도시키면 컵의 개방부가 아래로 향하게 되어 오물이 컵내로 침입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컵걸이는 스프링과 출몰핀, 구형, 구형홈, 탄성볼등이 필요하여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비용이 상승하는 결점이 있고, 또 컵은 자체적으로 만 사용 할 경우 개방부가 아래로 향하게 계지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참조문헌 : 대한민국 특허공개 1999-0084117호 "위생적인 컵걸이와 컵".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컵홀더의 원형 구멍에 컵부의 개구쪽을 끼우는 것만으로도 경사안착부가 컵홀더의 상부에 밀착되어 컵부를 경사지게 꺼꾸로 걸어서 건조 할 수 있도록 된 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컵홀더의 원형 구멍에 컵부의 개구쪽 반대쪽을 끼우는 것만으로 컵을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도 물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담긴 상태로 잠시 거치할 수 있도록 된 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컵은,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수용부를 갖춘 컵부를 포함하되, 상기 컵부의 외주면에 수용부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경사안착부가 구비되어, 컵홀더의 원형 구멍에 컵부의 개구쪽을 끼우는 것만으로도 경사안착부가 컵홀더의 상부에 밀착되어 컵부를 경사지게 꺼꾸로 걸어서 건조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컵부의 외주면이면서 상기 개구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안착부의 하부에 상기 수용부의 중심축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물수용안착부가 더 구비되어, 컵홀더의 원형 구멍에 컵부의 개구쪽 반대쪽을 끼우는 것만으로 컵을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도 물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담긴 상태로 잠시 거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안착부와 물수용안착부는 각각 환형의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안착부와 물수용안착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경사안착부와 물수용안착부는 상기 컵부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환형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안착부와 물수용안착부는 상기 컵부와의 사이에 리브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에 의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컵홀더의 원형 구멍에 컵부의 개구쪽을 끼우는 것만으로도 컵부의 외주면에 수용부의 중심축 또는 바닥면과 경사지게 구성한 경사안착부가 컵홀더의 상부에 밀착되어 컵부를 경사지게 꺼꾸로 걸어서 건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컵에 의하면, 컵부의 외주면에 수용부의 축중심에 수직하게 또는컵부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설치한 물수용안착부를 갖춘 상태로 컵홀더의 원형 구멍에 컵부의 개구쪽 반대쪽을 끼우는 것만으로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도 물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담긴 상태로 잠시 거치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컵으로 물을 받을 때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의 컵을 건조할 때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컵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10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에 개구(1121)가 형성된 수용부(1120)를 갖춘 컵부(1100)와, 상기 컵부(1100)의 외주면(1110)에 수용부(1120)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경사안착부(12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컵홀더(2000)의 원형 구멍(2100)에 컵부(1100)의 개구(1121)쪽을 끼우는 것만으로도 경사안착부(1200)가 컵홀더(2000)의 상부에 밀착되어 컵부(1100)를 경사지게 꺼꾸로 걸어서 건조 할 수 있게 되므로 수용부(1120)로 이물질이사 비눗물이 들어가지 않게 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위생적으로 컵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컵부(1100)의 외주면(1110)이면서 상기 개구(1121)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안착부(1200)의 하부에 상기 수용부(1120)의 중심축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물수용안착부(13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컵홀더(2000)의 원형 구멍(2100)에 컵부(1100)의 개구(1121) 반대쪽을 끼우는 것만으로 컵을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도 물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담긴 상태로 거치할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안착부(1200)와 물수용안착부((13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 환형의 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경사안착부(1200)와 물수용안착부(1300)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경사안착부(1200)와 물수용안착부(1300)는 상기 컵부(1100)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환형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안착부와 물수용안착부는 상기 컵부와의 사이에 리브(R)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환형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사안착부(1200)와 물수용안착부((1300)가 리브(R)에 의해 컵부(1100)와 환형링 형상의 경사안착부(1200)와 물수용안착부((1300)가 사출 성형시 수축이 일어나지 않게 일정한 두께로 성형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컵 1100: 컵부
1110: 외주면 1120: 수용부
1121: 개구 1200: 경사안착부
1300: 물수용안착부 R-리브
2000: 컵홀더 2100: 원형구멍

Claims (5)

  1.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수용부를 갖춘 컵부와, 상기 컵부의 외주면이면서 개구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수용부의 중심축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물수용안착부가 구비되어, 컵홀더의 원형 구멍에 컵부의 개구 반대쪽을 끼우는 것만으로 컵을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도 물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담긴 상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된 컵에 있어서,
    상기 컵부(1100)의 외주면(1110)이면서 개구(1121)와 물수용안착부(13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용부(1120)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경사져 상기 컵홀더(2000)의 원형 구멍(2100)에 컵부(1100)의 개구(1121)쪽을 끼우는 것만으로 경사안착부(1200)가 컵홀더(2000)의 상부에 밀착되어 컵부(1100)를 경사지게 꺼꾸로 걸어서 건조 할 수 있도록 된 경사안착부(1200)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안착부(1200)와 물수용안착부(1300)는 컵부(1100)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착부(1200)와 물수용안착부(1300)는 상기 컵부(1100)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환형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안착부와 물수용안착부는 상기 컵부와의 사이에 리브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KR2020160003895U 2016-07-05 2016-07-05 KR200486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95U KR200486858Y1 (ko) 2016-07-05 2016-07-0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95U KR200486858Y1 (ko) 2016-07-05 2016-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56U KR20180000156U (ko) 2018-01-15
KR200486858Y1 true KR200486858Y1 (ko) 2018-07-06

Family

ID=6127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895U KR200486858Y1 (ko) 2016-07-05 2016-07-05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5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172A (ja) * 1994-08-23 1996-03-05 Kasai Kogyo Co Ltd 内装部品における緩衝構造
KR20020056885A (ko) * 1999-09-01 2002-07-10 키요마사 스즈키 경사도립가능한 컵과 경사도립용 컵의 지지구
KR20110027273A (ko) * 2009-09-10 2011-03-16 김용명 양치용 컵
JP2011153478A (ja) * 2010-01-28 2011-08-11 Sekisui Chem Co Ltd 耐火排水集合継手
KR101474428B1 (ko) * 2008-02-12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172A (ja) * 1994-08-23 1996-03-05 Kasai Kogyo Co Ltd 内装部品における緩衝構造
KR20020056885A (ko) * 1999-09-01 2002-07-10 키요마사 스즈키 경사도립가능한 컵과 경사도립용 컵의 지지구
KR101474428B1 (ko) * 2008-02-12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10027273A (ko) * 2009-09-10 2011-03-16 김용명 양치용 컵
JP2011153478A (ja) * 2010-01-28 2011-08-11 Sekisui Chem Co Ltd 耐火排水集合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56U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94670S1 (en) Beverage container cup
USD814236S1 (en) Cap
USD814857S1 (en) Cap
USD866751S1 (en) Injection device
USD861859S1 (en) Injection device and cap for injection device
USD920322S1 (en) Mobile device holder with cup holder insert
USD865646S1 (en) Cup holder adaptor for holding items
US8307755B2 (en) Container with an improved structure
US7938300B2 (en) Nestable hanger with integrated cascade hook
CN105979835A (zh) 用于小孩的便携式马桶装置
WO2011146416A3 (en) Cup carrier with thumb holds and curved stabilizing walls
USD890077S1 (en) Accessory base
US9307838B1 (en) Fishing rod holder
KR200486858Y1 (ko)
US3054211A (en) Bar soap holder
USD875480S1 (en) Cup holder insert
US20030201369A1 (en) Suction cup with rivet cap assembly
USD976439S1 (en) Test device comprising a pipette holder
USD934035S1 (en) Clip for a cup or beverage holder or carrier
US9669140B2 (en) Drying rack
KR200470852Y1 (ko) 텀블러 뚜껑
JP5535781B2 (ja) カップホルダ
US11576488B2 (en) Surface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same
CN210902476U (zh) 一种杯盖及包含其的杯子
USD868847S1 (en) Sewing machine with holding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