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691Y1 - Button Pad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Button Pad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691Y1
KR200486691Y1 KR2020160006431U KR20160006431U KR200486691Y1 KR 200486691 Y1 KR200486691 Y1 KR 200486691Y1 KR 2020160006431 U KR2020160006431 U KR 2020160006431U KR 20160006431 U KR20160006431 U KR 20160006431U KR 200486691 Y1 KR200486691 Y1 KR 200486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ver
circuit breaker
base member
ai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3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1418U (en
Inventor
서민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91Y1/en
Publication of KR20180001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1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9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6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을 받더라도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는 기중차단기 본체에 설치된 온(On) 버튼 및 오프(Off) 버튼에 대한 접근을 구속 또는 허용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 버튼 및 오프 버튼이 노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멤버; 및 상기 베이스 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 홀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덮개부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멤버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 홀 사이에 경계벽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경계벽에 연결되고 경사면을 갖는 보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padlock device for an air circuit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tton padlock device for an air circuit breaker that does not easily break even under an external impact.
The button padlock device of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tton padlock device of an air circuit breaker that restricts or permits access to an On button and an Off button provided on the air circuit breaker body, A base member having at least one button hole formed therein in which the on button and the off button can be exposed; And a cover having a cover portion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such that the at least one button hole can be opened or closed, wherein a base wall is formed with a boundary wall between the at least one buttonhole, And a protective portion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Description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Button Pad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을 받더라도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padlock device for an air circuit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tton padlock device for an air circuit breaker that does not easily break even under an external impact.

일반적으로,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 ACB)는 저압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공기를 소호 매질로 하여 전력계통의 송수전, 절체 및 정지 등을 계획적으로 수행하는 외에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기기이다.Generally, air circuit breaker (ACB) is installed in low-voltage distribution line, and air is used as a sole medium to conduct power system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and shutdown in a deliberate manner. In addition, overcurrent, short- It is a device that protects people and load devices by blocking circuit when it occurs.

기중차단기(ACB)는 저압 수배전계통의 최상위에 설치되는 차단기로써 높은 사고전류로부터 부하단을 보호하고 있다. 따라서, 기중차단기를 제어할 경우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관계자 외에는 차단기를 제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임의적인 접근을 방지하고자 수동으로 제어하는 버튼부(온(On) 버튼 및/오프(Off Button))부에 잠금장치(Pad Lock Device)를 설치하게 된다. Air Circuit Breaker (ACB) is a circuit breaker installed at the top of low pressure water distribution system and protects the load from high accident current. Therefore, when controlling the air circuit breaker, it should be approached very carefully, and the circuit breaker should not be controlled except the person concerned. Therefore, a pad lock device is installed in the button portion (on button and off button) for manual control to prevent arbitrary access.

도 1 내지 도 3에 종래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버튼 패드락 장치가 적용된 기중차단기의 사시도로서 도 1은 버튼 패드락 장치가 잠긴 상태이고, 도 2는 버튼 패드락 장치가 풀린 상태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버튼 패드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to 3 show a button padlock apparatus of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ir circuit breaker to which a button padlock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pplied. In FIG. 1, a button padlock device is locked, and FIG. 2 is a button padlock devic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pad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차단기 본체(1)의 내부에는 개폐기구부, 소호부 등이 마련되고, 전면부에는 투입 및 차단 작동을 위한 온(On), Off 버튼(2,3) 및 이상전류를 검출하여 트립신호를 전달하는 과부하 계전기(4)가 구비될 수 있다. 차단기 본체(1)의 상부에는 소호부를 이루는 아크 슈트(5)가 일부 노출되어 있다.In the inside of the circuit breaker body 1, there are provided an open / close device, a soffit and the like. On the front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 on / off buttons 2 and 3 for input and shut- An overload relay 4 may be provided. A part of the arc chute 5 constituting the small arc portion is partially ex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

온(On), 오프(Off) 버튼(2,3)의 임의적인 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 패드락 장치가 마련된다. 버튼 패드락 장치는 온 버튼 홀(6a), 오프 버튼 홀(6b)이 형성된 판상의 케이스(6)와 상기 케이스(6)의 배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패드(7) 및 상기 케이스(6)를 차단기 본체(1)에 고정하는 체결수단(8)으로 구성된다.A button padlock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arbitrary manipulation of the On (On) and Off (Off) buttons (2, 3). The button padlock device includes a plate-shaped case 6 formed with on-button holes 6a and off-button holes 6b, a slide pad 7 slidably coupled to a rear portion of the case 6, 6) to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

케이스(6)에는 전방에 돌출되는 제1 걸림부(6c)가 마련되고, 일부에는 슬라이딩 슬릿(6d)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패드(7)에는 전방에 돌출되는 제2 걸림부(7a)가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릿(6d)에 끼워진다.The case 6 is provided with a first latching portion 6c protruding forward, and a sliding slit 6d is formed in a part thereof. The slide pad 7 is provided with a second latching portion 7a protruding for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slit 6d.

슬라이드 패드(7)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제1 걸림부(6c)와 제2 걸림부(7a)가 나란하게 놓이게 되어 자물쇠(9)를 걸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 패드(7)는 온 버튼 홀(6a) 및 오프 버튼 홀(6b)을 가리게 되어 온 버튼(2) 및 오프 버튼(3)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하게 되어 임의적인 조작이 방지된다.When the slide pad 7 is moved upward, the first latching portion 6c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7a are placed side by side so that the lock 9 can be hooked. In this case, the sliding pad 7 becomes inaccessible to the button 2 and the off button 3 which are supposed to cover the on button hole 6a and the off button hole 6b, and arbitrary operation is prevented.

자물쇠(9)를 풀고 슬라이드 패드(7)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제2 걸림부(7a)가 제1 걸림부(6c)로부터 벗어나고, 온 버튼(2) 및 오프 버튼(3)이 노출되어 투입 또는 차단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lock 9 is released and the slide pad 7 is moved downwar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7a is released from the first latching portion 6c and the ON button 2 and the OFF button 3 are exposed, The blocking operation becomes possible.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버튼 패드락 장치에 있어서는 제1 걸림부(6c)와 제2 걸림부(7a)가 전방에 돌출되고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취약하다. 따라서, 운반이나 사용중에 외부의 충격을 받으면 파손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However, in the button padlock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first latching portion 6c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7a protrude forward and are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which is vulnerable to external force. Therefore, there is a risk of damage if the external impact is applied during transportation or use.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버튼 패드락 장치의 자물쇠 걸림부가 국부적인 돌출부를 배제하고 완만한 경사부를 이루도록 하여 운반이나 사용시에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한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interrupter for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breakage during transportation or use by eliminating a local protrusion and forming a gentle slope Button padlock devic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는 기중차단기 본체에 설치된 온(On) 버튼 및 오프(Off) 버튼에 대한 접근을 구속 또는 허용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 버튼 및 오프 버튼이 노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멤버; 및 상기 베이스 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 홀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덮개부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멤버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 홀 사이에 경계벽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경계벽에 연결되고 경사면을 갖는 보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padlock device of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tton padlock device of an air circuit breaker that restricts or permits access to an On button and an Off button provided on the air circuit breaker body, A base member having at least one button hole formed therein in which the on button and the off button can be exposed; And a cover having a cover portion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such that the at least one button hole can be opened or closed, wherein a base wall is formed with a boundary wall between the at least one buttonhole, And a protective portion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여기서, 상기 커버는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ver is provided as a symmetrical pair.

또한, 상기 경계벽에는 하부에 자물쇠가 걸릴 수 있는 자물쇠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with a lock hole to which a lock can be attached.

또한, 상기 경계벽은 중앙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해 낮게 경사 형성되는 상부 경사면과, 중앙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낮게 경사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undary wall has an upper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lower portion from a central portion toward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lower portion from a central portion toward a lower end.

또한, 상기 베이스 멤버의 양측면에는 각각 측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side wall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member.

또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자물쇠홀에 연결되는 제2 자물쇠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ector may have a second lock hole connected to the lock hole.

또한, 상기 베이스 멤버의 상단부에는 상기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회전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축홈에 걸릴 수 있는 회전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end of the base member may be formed with a rotation shaft groove through which the cover may be rotatably coupled, and a rotation shaft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ver to engage with the rotation shaft groove.

또한, 상기 베이스 멤버의 배면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astening hole that can be screwed to the breaker body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member.

그리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경계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낮게 형성되는 날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ector may have a wing portion that is lower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undary wall.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에 의하면 자물쇠 걸림부가 국부적인 돌출부로 형성되지 않고 완만한 경사부로 형성되도록 하여 운반이나 사용시에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button padlock apparatus of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catching portion is formed as a gentle slope portion rather than being formed as a local protrusion,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breakage during transportation or use.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버튼 패드락 장치가 적용된 기중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버튼 패드락 장치가 잠긴 상태, 도 2는 버튼 패드락 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버튼 패드락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락이 적용된 기중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버튼 패드락 장치가 잠긴 상태, 도 5는 버튼 패드락 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에 적용된 버튼 패드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 도 9는 도 6에서 베이스 멤버의 전면 사시도, 후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서 커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락이 적용된 기중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적용된 버튼 패드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4, 도 15는 도 12에서 베이스 멤버의 전면 사시도, 후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에서 커버의 전면 사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ir circuit breaker to which a button padlock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pplied.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tton padlock device is locked, and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tton padlock device is open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pad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ir circuit breaker using a pad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tton padlock device is locked, and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tton padlock device is open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padlock device applied to Fig.
Fig. 7 is a side view of Fig. 6. Fig.
Figs. 8 and 9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member in Fig. 6;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i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ircuit breaker to which a pad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padlock device applied to Fig.
13 is a side view of Fig.
14 and 15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member in Fig.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in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such a manner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category of the design is limited.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락이 적용된 기중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버튼 패드락 장치가 잠긴 상태, 도 5는 버튼 패드락 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에 적용된 버튼 패드락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 도 9는 도 6에서 베이스 멤버의 전면 사시도, 후면 사시도, 도 10은 도 6에서 커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ir circuit breaker using a pad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tton padlock device is locked, and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tton padlock device is opene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padlock device applied to Fig. 4, Fig. 7 is a side view of Fig. 6, Figs. 8 and 9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member in Fig. to be. The button padlock device of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는 기중차단기 본체(10)에 설치된 온(On) 버튼(12) 및 오프(Off) 버튼(11)에 대한 접근을 구속 또는 허용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 버튼(12) 및 오프 버튼(11)이 노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 홀(21)이 형성되는 베이스 멤버(20); 및 상기 베이스 멤버(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 홀(21)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덮개부(31)를 갖는 커버(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멤버(20)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 홀(21) 사이에 경계벽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30)에는 상기 경계벽(22)에 연결되고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padlock device of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limit or permit access to the On button 12 and the Off button 11 provided on the air circuit breaker body 10 A button padlock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comprising: a base member (20) formed with at least one button hole (21) through which the ON button (12) and the OFF button (11) can be exposed; And a cover (30)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20) and having a cover portion (31) through which the one or more button holes (21) can be opened or closed, wherein the base member (20) A boundary wall is formed between the at least one buttonhole 21 and the cover 30 is formed with a projection 31 connected to the boundary wall 22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도 4 및 도 5에 차단기 본체(10)가 나타나 있다. 차단기 본체(10)의 내부에는 개폐기구부, 소호부 등이 마련되고, 전면부에는 투입 및 차단 작동을 위한 온 버튼(12), 오프 버튼(11) 및 이상전류를 검출하여 트립신호를 전달하는 과부하 계전기(13)가 구비될 수 있다. 차단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소호부를 이루는 아크 슈트(14)가 일부 노출되어 있다.4 and 5 show the breaker main body 10. [ The front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n on-off button 12, an off button 11, and an overload for detecting an abnormal current and transmitting a trip signal. A relay 13 may be provided. A part of the arc chute 14 constituting the small-diameter portion is partially ex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0.

온 버튼(12)과 오프 버튼(11)의 임의적인 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 패드락 장치(100)가 마련된다. A button padlock device 100 is provided to prevent arbitrary manipulation of the ON button 12 and the OFF button 11. [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100)는 주요하게 차단기 본체(10)에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 멤버(20)와 상기 베이스 멤버(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button padlock device 100 of the air circuit breaker may be mainly composed of a base member 20 fixedly coupled to the circuit breaker body 10 and a cover 30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20.

베이스 멤버(20)는 온 버튼(12) 및 오프 버튼(11)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3)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3)에는 상기 온 버튼(12) 및 오프 버튼(11)이 노출될 수 있는 한 쌍의 버튼 홀(21)이 형성된다. 한 쌍의 버튼 홀(21)을 통하여 사용자는 온 버튼(12) 또는 오프 버튼(11)에 접근할 수 있다.The base member 20 includes a base plate 23 sized to cover the ON button 12 and the OFF button 11. The base plate 23 is formed with a pair of button holes 21 through which the ON button 12 and the OFF button 11 can be exposed. The user can access the ON button 12 or the OFF button 11 through the pair of button holes 21. [

베이스 플레이트(23)의 중앙부, 즉 한 쌍의 버튼 홀(21) 사이에 경계벽(22)이 마련된다. 경계벽(22)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경계벽(22)은 버튼 홀(21)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급적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버틸 수 있는 충분한 저항력 및 지지력을 갖도록 한다. 경계벽(22)은 세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 boundary wall 2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23, that is, between the pair of button holes 21. [ The boundary wall 2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boundary wall 22 is formed as thick as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volve the buttonhole 21. [ So that it has sufficient resistance and bearing capacity to withstand external impacts. The boundary wall 22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경계벽(22)에는 일부에 자물쇠(19)를 걸 수 있는 자물쇠홀(22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계벽(22)의 하부에 자물쇠홀(22a)이 형성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자물쇠홀(22a)은 경계벽(22) 부분에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잘 견딜 수 있게 된다.The partition wall 22 is formed with a lock hole 22a to which a lock 19 can be attached. In this embodiment, a state in which the lock hole 22a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22 is shown. The lock hole 22a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22 so as to be able to withstand external impacts.

경계벽(22)은 베이스 플레이트(23)의 하부에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자물쇠홀(22a)은 경계벽(22)이 베이스 멤버(20)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자물쇠홀(22a)이 베이스 플레이트(23)의 하부에 형성되므로 자물쇠를 거는 작업을 수행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boundary wall 22 can be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23. The lock hole 22a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partition wall 22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member 20. Since the lock hole 22a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23,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performing the lock operation.

경계벽(22)의 상면(도면상 전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계벽(22)은 중앙부가 가장 높이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로 갈수록 낮게 형성되도록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즉, 경계벽(22)은 중앙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하여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 형성되는 상부 경사면(22b) 및 중앙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22c)을 가질 수 있다. 경계벽(22)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측면 충격을 적게 받게 되고, 차단기 본체(10)의 정면에서 수직으로 받는 충격에 대해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the front surface in the drawing) of the boundary wall 22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e boundary wall 22 may be inclined such that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formed at the highest height and formed to be lower toward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That is, the partition wall 22 may have an upper inclined face 22b inclined in a direction of lowering from a central portion toward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inclined face 22c inclined in a direction of lowering from a central portion toward a lower end. Since the boundary wall 22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t receives less side impact and slips against impact received vertically at the front face of the circuit breaker body 10, so that the impact can be mitigated.

경계벽(22)의 배후부에는 차단기 본체(10)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29)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차단기 본체(10)의 전면판을 관통하여 체결홀(29)에 결합되는 나사(18)에 의해 베이스 멤버(20)는 차단기 본체(10)에 고정 결합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9 for screwing the circuit breaker body 10 may be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2. The base member 20 is fixedly coupled to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0 by a screw 18 passing through the front plate of the circuit breaker body 10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29. [

베이스 플레이트(23)의 양측면에 측벽(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24)은 베이스 플레이트(23)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벽(24)의 두께는 경계벽(2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Side walls 24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23. [ The side walls 24 may be provid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23.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24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undary wall 22.

측벽(24)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힌지부(24a)가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24a)에는 커버(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 hinge portion 24a protruding inward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4. [ The cover 30 can be rotatably mounted on the hinge portion 24a.

측벽(24)은 상부 경사면(24b) 및 하부 경사면(24c)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측면에서 보았을 때, 측벽(24)의 상부 경사면(24b)은 경계벽(22)의 상부 경사면(22b)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벽(24)의 상부 경사면(24b)은 경계벽(22)의 상부 경사면(22b)과 동일한 높이(본 설명에서 높이는 차단기 본체의 전면판으로부터의 거리를 뜻한다. 이하 같다.)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wall 24 may have an upper inclined surface 24b and a lower inclined surface 24c. At this time, the upper inclined surface 24b of the side wall 24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b of the boundary wall 22 when viewed from the side. That is, the upper inclined surface 24b of the side wall 24 has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b of the boundary wall 22 (the height in the present description means the distance from the front plate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Respectively.

측벽(24)의 하부 경사면(24c)은 급격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측벽(24)은 자물쇠홀(22a)을 가리지 않게 된다.The lower inclined surface 24c of the side wall 24 may have a sharp inclination angle. As a result,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side wall 24 does not cover the lock hole 22a.

경계벽(22)과 측벽(24) 사이에 버튼 홀(21)을 둘러싸며 돌출 형성되는 단차부(25)가 마련될 수 있다. 단차부(25)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거꾸로 된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25)는 경계벽(22)의 상부 경사면(22b) 또는 측벽(24)의 상부 경사면(24b)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25)는 경계벽(22) 및 측벽(24)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때, 단차부(25)와 경계벽(22)의 높이차는 커버(30)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25)는 커버(3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커버(30)는 정상상태에서 단차부(25)에 얹힌 상태로 놓일 수 있다.A stepped portion 2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oundary wall 22 and the side wall 24 so as to surround the buttonhole 21 and protrude therefrom. The step 25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U'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tepped portion 25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upper inclined face 22b of the boundary wall 22 or the upper inclined face 24b of the side wall 24. [ The stepped portion 25 is formed lower than the boundary wall 22 and the side wall 24. At this tim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tepped portion 25 and the boundary wall 22 may b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ver 30. The step 25 can support the cover 30. That is, the cover 30 may be placed on the stepped portion 25 in a steady state.

경계벽(22)의 상단 배후부 및 힌지부(24a)의 배후부에 회전축홈(22d,24d)이 형성된다. 회전축홈(22d,24d)에는 커버(3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홈(22d,24d)은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므로 커버(30)를 설치하기 용이하다. 즉, 커버(30)의 회전축(35a)을 베이스 멤버(20)의 커버(30)의 회전축홈(22d,24d)에 단순히 끼움으로서 커버(30)는 베이스 멤버(20)에 결합된다. 커버(30)의 회전축(35a)은 베이스 멤버(20)와 차단기 본체(10)의 전면부 사이에 결합된다.Rotation shaft grooves 22d and 24d are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wall of the partition wall 22 and the rear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24a. The cover 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grooves 22d and 24d. Since the rotary shaft grooves 22d and 24d are formed to open rearward, it is easy to install the cover 30. [ That is, the cover 30 is engaged with the base member 20 by simply fitting the rotary shaft 35a of the cover 30 into the rotary shaft grooves 22d, 24d of the cover 30 of the base member 20. [ The rotary shaft 35a of the cover 30 is coupled between the base member 2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body 10. [

커버(30)는 온 버튼(12) 및 오프 버튼(11)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커버(30,30')는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버(30,30')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The cover 30 is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ON button 12 and the OFF button 11. The covers 30 and 30 'may be provided in symmetrical pairs. Since the pair of covers 30 and 30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only one will be described.

커버(30)는 상기 온 버튼(12) 또는 오프 버튼(11)을 폐쇄할 수 있는 덮개부(31)를 갖는다. 덮개부(31)는 상기 경계벽에 매끄럽게 연결되고 경사면을 갖는 보호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보호부는 상기 덮개부(3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단차부(25)에 얹힐 수 있는 제1 경사면(32)과 상기 단차부(25)의 하단부을 덮게 되는 제2 경사면(33)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ver 30 has a cover portion 31 capable of closing the ON button 12 or the OFF button 11. The lid portion 31 may have a protective portion smoothly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and having a sloped surface. Here, the protective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ortion 31. [ The protector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32 that can be laid on the step 25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33 that covers the lower end of the step 25. [

제1 경사면(32)은 단차부(25)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경계벽(22) 및 측벽(24)과 동일한 높이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계벽(22)의 상부 경사면(22b), 커버(30)의 제1 경사면(32), 측벽(24)의 상부 경사면(24b)은 동일한 면으로 매끄럽게 연결된다.The first inclined surface 3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nd inclination angle as the boundary wall 22 and the side wall 24 in a state where the stepped portion 25 is covered. Thus, the upper inclined surface 22b of the partition wall 22, the first inclined surface 32 of the cover 30,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24b of the side wall 24 are smoothly connected to the same surface.

제2 경사면(33)은 제1 경사면(32)의 일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경사면(32)과 제2 경사면(33)이 이루는 각은 수직에 가까울 수 있다. 제2 경사면(33)은 측벽(24)의 하부 경사면(24b)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면(33)은 단차부(25)의 하면부(25a)를 감싸게 될 수 있다.The second inclined surface (33) is formed as a surface projecting downward from a par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32). At this time,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32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3 may be close to a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3 may be formed at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lower inclined surface 24b of the side wall 24.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3 may cover the lower surface 25a of the step 25. [

제1 경사면(32)의 하단부(32a)는 제2 경사면(33)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하단부(31a)를 손으로 잡고 커버(30)를 들어올릴 수 있다.The lower end portion 32a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3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3. Accordingly, the cover 30 can be lifted by holding the lower end 31a by hand.

제2 경사면(33)의 양측면 중에서 베이스 멤버(20)의 경계벽(22)이 접하는 측면에는, 하방으로 보조 측벽(34)이 형성된다. 보조 측벽(34)은 두께만 다를 뿐, 경계벽(22)의 하부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 측벽(34)에는 자물쇠(19)가 걸릴 수 있는 제2 자물쇠홀(34a)이 형성되고, 상면(도 6에서 전면)은 경계벽(22)의 하부 경사면(22c)과 동일한 높이와 경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side wall 34 is formed downwar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member 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22 on both sides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3. The auxiliary sidewall 34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2 only in thickness. A second lock hole 34a is formed in the auxiliary side wall 34 so that the lock 19 can be caught by the auxiliary side wall 34. The upper surface (the front surface in FIG. 6) has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inclined surface 22c of the boundary wall 22, As shown in FIG.

커버(30)의 상단부에는 회전축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35)는 경계벽(22)의 상단부 및 측벽(24)의 힌지부(24a)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회전축부(35)에는 양측으로 회전축(35a)이 돌출 형성된다. 회전축(35a)은 베이스 플레이트(23)의 회전축홈(22d,24d)에 끼워져 커버(30)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The rotary shaft portion 35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30. [ The rotary shaft portion 35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oundary wall 22 and the hinge portion 24a of the side wall 24. A rotary shaft 35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35 to protrude therefrom. The rotary shaft 35a is fitted in the rotary shaft grooves 22d and 24d of the base plate 23 so that the cover 30 is rotatable.

커버(30)가 닫힌 상태에서 자물쇠홀(22a) 및 제2 자물쇠홀(34a)을 통과하는 자물쇠(19)에 의해 개방이 구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임의로 온 버튼(12)이나 오프 버튼(11)에 접근하지 못하게 된다.The opening can be restrained by the lock 19 passing through the lock hole 22a and the second lock hole 34a in a state where the cover 30 is closed. In this case, the user can not arbitrarily approach the ON button 12 or the OFF button 11. [

또한, 자물쇠(19)가 결합되는 부분만 국부적으로 돌출되지 않고, 제1 경사면(32)에 연결되어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제1 경사면(32)(상부 경사면(22b) 또는 상부 경사면(24b)도 마찬가지로 작용한다)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어 정면에 대한 수직충격은 분산된다. 또한, 경계벽(22)이 형성되어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강화된다.Further, only the portion to which the lock 19 is engaged is not locally protruded, but is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32 to relieve the impact. Also, the first inclined face 32 (the upper inclined face 22b or the upper inclined face 24b also works similarly) has a gentle inclination, so that the vertical impact with respect to the front face is dispersed. Further, the boundary wall 22 is formed to enhance the resistance against impact.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101)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락이 적용된 기중차단기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커버(130)가 하나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2는 도 11에 적용된 버튼 패드락 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 도 15는 도 12에서 베이스 멤버의 전면 사시도, 후면 사시도, 도 16은 도 12에서 커버의 전면 사시도이다.11 to 16, the button padlock device 101 of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ircuit breaker to which a pad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ere, only one cover 130 is opene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padlock device applied to Fig. 11, Fig. 13 is a side view of Fig. 12, Figs. 14 and 15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member in Fig. to be.

차단기 본체(10)는 전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breaker main body 10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vious embodiment.

이 실시예에 따른 버튼 패드락 장치(101)도 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요하게 차단기 본체(10)에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 멤버(120)와 상기 베이스 멤버(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button padlock device 10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lso includes a base member 120 fixedly coupled to the breaker main body 10 and a cover 130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120, ).

베이스 멤버(120)는 온 버튼(12) 및 오프 버튼(11)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3)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23)에는 상기 온 버튼(12) 및 오프 버튼(11)이 노출될 수 있는 한 쌍의 버튼 홀(121)이 형성된다. 한 쌍의 버튼 홀(121)을 통하여 사용자는 온 버튼(12) 또는 오프 버튼(11)에 접근할 수 있다.The base member 120 includes a base plate 123 that is sized to cover the ON button 12 and the OFF button 11. The base plate 123 is formed with a pair of button holes 121 through which the ON button 12 and the OFF button 11 can be exposed. The user can access the ON button 12 or the OFF button 11 through the pair of button holes 121. [

베이스 플레이트(123)의 중앙부, 즉 한 쌍의 버튼 홀(121) 사이에 경계벽(122)이 마련된다. 경계벽(122)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경계벽(122)은 버튼 홀(121)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급적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버틸 수 있는 충분한 저항력 및 지지력을 갖도록 한다. 경계벽(122)은 세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 boundary wall 122 is provided betwee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23, that is, between the pair of buttonholes 121. [ The boundary wall 122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boundary wall 122 is formed as thick as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volve the buttonhole 121. So that it has sufficient resistance and bearing capacity to withstand external impacts. The boundary wall 122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경계벽(122)에는 일부에 자물쇠(19)를 걸 수 있는 자물쇠홀(122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계벽(122)의 하부에 자물쇠홀(122a)이 형성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자물쇠홀(122a)은 경계벽(122) 부분에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잘 견딜 수 있게 된다.The partition wall 122 is formed with a lock hole 122a through which a lock 19 can be hooked. In this embodiment, a state in which the lock hole 122a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22 is shown. The lock hole 122a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22 to be able to withstand external impacts.

경계벽(122)의 상면(도 14에서 전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사면은 유연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계벽(122)은 중앙부가 가장 높이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로 갈수록 낮게 형성되도록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즉, 경계벽(122)은 상부 경사면(122b) 및 하부 경사면(122c)을 가질 수 있다. 경계벽(122)은 곡면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측면 충격을 적게 받게 되고, 차단기 본체(10)의 정면에서 수직으로 받는 충격에 대해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The top surface (the front surface in FIG. 14) of the boundary wall 122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is inclined surface can be formed into a flexible curved surface. The boundary wall 122 may be inclined such that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formed at the highest height and formed to be lower toward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That is, the boundary wall 122 may have an upper inclined surface 122b and a lower inclined surface 122c. Since the boundary wall 122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of a curved surface, the side impact is less received, and slippage occurs to the impact received perpendicularly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body 10, so that the impact can be mitigated.

경계벽(122)의 배후부에는 차단기 본체(10)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129)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차단기 본체(10)의 전면판을 관통하여 체결홀(129)에 결합되는 나사(18)에 의해 베이스 멤버(120)는 차단기 본체(10)에 고정 결합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29 may be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22 so as to be screwed into the circuit breaker body 10. The base member 120 is fixedly coupled to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0 by a screw 18 passing through the front plate of the circuit breaker body 10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29.

베이스 플레이트(123)의 상단부에는 힌지부(124)가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124)에는 커버(1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 hinge portion 124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plate 123. The cover 130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hinge portion 124. [

힌지부(124)의 배후부에 회전축홈(125)이 형성된다. 회전축홈(125)에는 커버(13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홈(125)은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므로 커버(130)를 설치하기 용이하다. 커버(130)의 회전축은 베이스 멤버(120)와 차단기 본체(10)의 전면부 사이에 결합된다.A rotation shaft groove 125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124. The cover 1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groove 125. Since the rotary shaft groove 125 is formed to open rearward, it is easy to install the cover 130. The rotation axis of the cover 130 is coupled between the base member 12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body 10. [

온 버튼(12) 및 오프 버튼(11)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커버(130)가 마련된다. 커버(130,30')는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버(130,130')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A cover 130 is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on button 12 and the off button 11. The covers 130 and 30 'may be provided in symmetrical pairs. Since the pair of covers 130 and 130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only one will be described.

커버(130)는 상기 온 버튼(12) 또는 오프 버튼(11)을 폐쇄할 수 있는 덮개부(131)를 갖는다. 덮개부(131)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130 has a lid portion 131 capable of closing the ON button 12 or the OFF button 11. The lid part 131 may be formed as a flat plate.

덮개부(131)에는 커버(13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경계벽(122)과 인접하여 동일한 곡면으로 연결되는 보호부(1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13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part 131 may protrude from the protection part 132, which is adjacent to the boundary wall 122 and connected to the same curved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130 is closed. The protection portion 132 may be formed in a U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보호부(132)는 경계벽(122)과 인접한 부분은 경계벽(12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132)의 상부는 경계벽(1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날개부(133)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133)는 경계벽(122)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도록 완만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사용자는 날개부(133)를 잡고 커버(130)를 들어올릴 수 있다.The protective portion 132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partition wall 122 adjacent to the partition wall 122.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ve portion 132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undary wall 122 to form a wing 133. Here, the wing portion 133 may have a gentle slope so as to be lowered away from the boundary wall 122. The user can hold the wing 133 and raise the cover 130. [

보호부(132)에는 제2 자물쇠홀(132a)이 형성된다. 커버(130)가 닫힌 상태에서, 제2 자물쇠홀(132a)은 자물쇠홀(122a)에 연결된다. A second lock hole 132a is formed in the protector 132. With the cover 130 closed, the second lock hole 132a is connected to the lock hole 122a.

커버(130)의 상단부에는 회전축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135)는 경계벽(122)의 상단부 및 측벽(124)의 힌지부(124a)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회전축부(135)에는 양측으로 회전축(135a)이 돌출 형성된다. 회전축(135a)은 베이스 플레이트(123)의 회전축홈(122d,24d)에 끼워져 커버(130)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The rotation shaft portion 135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130. The rotary shaft portion 135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oundary wall 122 and the hinge portion 124a of the side wall 124. [ A rotary shaft 135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135 in a protruding manner. The rotary shaft 135a is fitted in the rotary shaft grooves 122d and 24d of the base plate 123 so that the cover 130 is rotatable.

커버(130)가 닫힌 상태에서 자물쇠홀(122a) 및 제2 자물쇠홀(134a)을 통과하는 자물쇠(19)에 의해 커버(130)의 개방이 구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임의로 온 버튼(12)이나 오프 버튼(11)에 접근하지 못하게 된다.The opening of the cover 130 can be restricted by the lock 19 passing through the lock hole 122a and the second lock hole 134a in a state where the cover 130 is closed. In this case, the user can not arbitrarily approach the ON button 12 or the OFF button 11. [

또한, 자물쇠(19)가 결합되는 부분만 국부적으로 돌출되지 않고, 보호부(132) 및 날개부(133)가 형성되어 충격이 완화된다. Further, only the portion where the lock 19 is engaged is not locally protruded, and the protection portion 132 and the wing portion 133 are formed, so that the impact is mitigated.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at i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단기 본체 11 오프 버튼
12 오프 버튼 13 과부하 계전기
14 아크 슈트 18 나사
19 자물쇠 20 베이스 멤버
21 버튼 홀 22 경계벽
22a 자물쇠홀 22b 상부 경사면
22c 하부 경사면 22d,24d 회전축홈
23 베이스 플레이트 24 측벽
24a 힌지부 24b 상부 경사면
24c 하부 경사면 25 단차부
25a 하면부 29 체결홀
30,30' 커버 31 덮개부
32 제1 경사면 33 제2 경사면
34 보조 측벽 34a 제2 자물쇠홀
35 회전축부 35a 회전축
10 Breaker body 11 Off button
12 Off button 13 Overload relay
14 arc suit 18 screws
19 Locks 20 base member
21 Buttonhole 22 Perimeter Wall
22a lock hole 22b upper inclined surface
22c lower inclined surfaces 22d, 24d,
23 base plate 24 side wall
24a hinge portion 24b an upper inclined surface
24c Lower inclined plane 25 step
25a,
30, 30 'cover 31 cover
32 First inclined plane 33 Second inclined plane
34 secondary side wall 34a second lock hole
35 rotating shaft portion 35a rotating shaft

Claims (9)

기중차단기 본체에 설치된 온(On) 버튼 및 오프(Off) 버튼에 대한 접근을 구속 또는 허용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 버튼 및 오프 버튼이 노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멤버; 및
상기 베이스 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 홀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덮개부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멤버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버튼 홀 사이에 경계벽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경계벽에 연결되고 경사면을 갖는 보호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각 버튼 홀마다 구비되고,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경계벽은 상기 커버 사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
A button padlock device for an air circuit breaker which restricts or permits access to an On button and an Off button provided on an air circuit breaker body,
A base member having at least one button hole formed therein in which the on button and the off button can be exposed; And
And a cover having a cover portion that is pivotal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such that the one or more button holes can be opened or closed,
Wherein the base member is formed with a boundary wall between the at least one buttonhole,
Wherein the cover is formed with a protective portion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cover is provided for each button hole,
Wherein the barrier is exposed between the cover and the cover when the cover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is symmetrically arr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벽에는 하부에 자물쇠가 걸릴 수 있는 자물쇠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lock hol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rrier wall to lock the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벽은 중앙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해 낮게 경사 형성되는 상부 경사면과, 중앙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낮게 경사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The apparatus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barrier wall has an upper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lower portion from a central portion toward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lower portion from a central portion toward a lower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멤버의 양측면에는 각각 측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 The apparatus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side wall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자물쇠홀에 연결되는 제2 자물쇠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protector has a second lock hole connected to the lock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멤버의 상단부에는 상기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회전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축홈에 걸릴 수 있는 회전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otary shaft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member so that the cover is rotatably engaged, and a rotary shaft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ver to engage with the rotary shaft groove. Button pad lock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멤버의 배면에는 상기 기중차단기 본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locking hole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base member to be screwed into the air circuit breaker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경계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낮게 형성되는 날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The apparatus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protector has a wing portion that is lower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undary wall.
KR2020160006431U 2016-11-03 2016-11-03 Button Pad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KR2004866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31U KR200486691Y1 (en) 2016-11-03 2016-11-03 Button Pad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31U KR200486691Y1 (en) 2016-11-03 2016-11-03 Button Pad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18U KR20180001418U (en) 2018-05-11
KR200486691Y1 true KR200486691Y1 (en) 2018-07-20

Family

ID=6216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31U KR200486691Y1 (en) 2016-11-03 2016-11-03 Button Pad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91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3225U (en) * 1987-11-26 1989-06-02
KR20090114869A (en) * 2008-04-30 2009-11-04 이원재 Switch knob of protection cover combination device
KR20120015678A (en) * 2010-08-12 2012-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Terminal cover mechanism for manual motor star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3225U (en) * 1987-11-26 1989-06-02
KR20090114869A (en) * 2008-04-30 2009-11-04 이원재 Switch knob of protection cover combination device
KR20120015678A (en) * 2010-08-12 2012-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Terminal cover mechanism for manual motor sta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18U (en)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8816A (en) Circuit breaker handle interlock arrangement
EP2667467B1 (en) Shutter do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panel
KR200486691Y1 (en) Button Pad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EP3594986B1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JP4994979B2 (en) Residential distribution board
KR20190041335A (en) Releasing Device of Door Interlock of Circuit Breaker
WO2013063875A1 (en) Handle locking device for modularized terminal appliance
US2806098A (en) Enclosed circuit interrupter operating mechanisms
US6963037B1 (en) Lockout box for a pendant
US20150041467A1 (en) Selectable locking flip cover
CN215183804U (en) External handle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KR20230000915U (en) locking device for electrical equipment
JP5126826B2 (en) Switchgear
US20060220797A1 (en) Doorbell blocking device
JP2001165393A (en) Control panel with interlock mechanism
KR20140004366U (en) The outside operating handle system for circuit breaker
JP3684693B2 (en) External circuit handle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2428559B1 (en) Electric control box with sequential closing device
US2215299A (en) Electric switch enclosure
KR20160002615U (en) Hinge for distribution pannel having a spring
JP2009027780A (en) Distribution panel for residence
JPS6346526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hibiting one mode or more of manual control member
JP2005197253A (en) Switching mechanism for motor protection breaker
KR200164668Y1 (en) An interlock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1138189B1 (en) Lock circuit breaker using seperating le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