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94Y1 - 다기능 침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94Y1
KR200486594Y1 KR2020160005966U KR20160005966U KR200486594Y1 KR 200486594 Y1 KR200486594 Y1 KR 200486594Y1 KR 2020160005966 U KR2020160005966 U KR 2020160005966U KR 20160005966 U KR20160005966 U KR 20160005966U KR 200486594 Y1 KR200486594 Y1 KR 200486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d
space
vertical parti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146U (ko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퍼니
Priority to KR2020160005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9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1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측면이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1침대과 제2침대로 구성되는 침대본체와 상기 침대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장과 침대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장으로 구성되되, 침대본체, 상부장 및 하부장에는 다양한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실용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침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침대{MULTI-FUNCTION BED}
본 고안은 다기능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이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1침대과 제2침대로 구성되는 침대본체와 상기 침대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장과 침대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장으로 구성되되, 침대본체, 상부장 및 하부장에는 다양한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실용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침대에 관한 것이다.
수납장을 구비한 다양한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일례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131811호에서는 "일렬로 정렬된 수납함들을 덮을 수 있도록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단에 하향으로 고정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측벽들을 구비한 프레임들과, 프레임의 상판 저면에 고정되어 상판을 보강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을 구비한 침대"를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에 침대는 침대의 하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기술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보다 다양한 수납공간은 개시하고 있지 않으며, 침대 이외의 기능이 없다는 점에서 실용성 및 기능성의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1침대과 제2침대로 구성되는 침대본체와 상기 침대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장과 침대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장으로 구성되며, 침대본체, 상부장 및 하부장에는 각각 다양한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실용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제1침대 및 상기 제1침대의 후측면과 전측면이 접하도록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2침대로 구성되는 침대본체와; 상기 침대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수납장과; 침대본체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수납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침대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는 제1침대, 제2침대, 제1수납장 및 제2수납장에는 다양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실용성이 향상되며, 특히 원룸과 같은 공간이 좁은 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침대 뿐만 아니라 쇼파, 책상, 식탁 등 다양한 용도로 겸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제1침대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제2침대의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제1수납장의 사시도이며,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제2수납장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제1침대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제2침대의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제1수납장의 사시도이며,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제2수납장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침대는 침대본체(100), 제1수납장(400) 및 제2수납장(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침대본체는 제1침대(200)와 제2침대(300)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침대(200), 제2침대(300), 제1수납장(400) 및 제2수납장(500) 총 4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침대를 구성하며, 상기 침대가 필요에 따라 쇼파나 책상/식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침대본체(100)는 제1침대(200) 및 상기 제1침대(100)의 후측면과 전측면이 접하도록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2침대(2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침대(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11), 전면판(212), 후면판(213) 및 후측면판(214)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212)과 후면판(213) 사이에는 가로격판(215)이 형성되어 가로격판(215)을 중심으로 상측에는 상부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에는 다수개의 세로격판(216)이 가로격판(215)과 상판(211)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공간이 다수개의 소공간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상기 분할된 소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거나 서랍을 수납시켜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가로격판(215)에 의해 분할된 제1침대의 하부공간에는 쇼파겸용수납대(220)가 수납되는 데, 상기 쇼파겸용수납대는 상판(221), 전면판(222), 후면판(223), 후측면판(224), 하판(225) 및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제된 다수의 세로격판(226)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세로격판(226)에 의해 분할된 공간은 수납공간으로 사용되거나 서랍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상판(221)은 제1침대의 가로격판(215)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전면판(222)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부분과 후면판(223)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부분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221)의 상측에는 매트(M)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쇼파겸용수납대(220)의 전면판(222)의 외면과 후면판(223) 외면에는 레일(R1)이 각각 형성되고, 제1침대의 전면판 내면과 후면판 내면에는 상기 레일이 결속되는 레일안내구(R2)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쇼파겸용수납대가 레일과 레일안내구의 작용에 의해 서랍타입으로 하부공간에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과 레일안내구는 서랍에 주로 적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쇼파겸용수납대(220)를 하부공간에 인입시켜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고 쇼파로 사용할 경우에는 쇼파겸용수납대(200)를 하부공간에 인출시킨 후 쇼파겸용수납대의 상판에 배치된 매트(M)에 앉는 방식으로 쇼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매트(M)는 쇼파겸용수납대의 상판(221)이 가로격판(215)과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판(221)과 가로격판(215)의 사이의 공간으로 수용되므로 가로격판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쇼파겸용수납대의 출입을 용이하게 되도록 쇼파겸용수납대의 하판 저면에는 바퀴(H)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침대(3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침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판(311), 전면판(312), 후면판(313), 전측면판(314), 후측면판(315) 및 하판(316)을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되도록 내부에는 다수의 수직격판(317)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311)은 수직격판의 간격에 대응되게 분할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311)은 후측면판(315)과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침대(300)는 다수의 수직격판(317)에 의해 분할된 공간을 다양한 수납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침대(200)와 제2침대(300)는 제1침대의 후측면과 제2치대의 전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침대본체 상측에 요나 매트를 깔아 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수납장(400)은 침대본체(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침대본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1), 전면판(412), 후면판(413), 후측면판(414) 및 하판(415)으로 구성되어 전면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내부가 좌측공간과 우측공간으로 분할되도록 내부에는 수직격판(416)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공간에는 개방된 전면측으로 인출되는 수납서랍(420)이 설치되며, 우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411)은 좌측공간마감용 상판(411-1)과 우측공간마감용 상판(411-2)으로 분리되되, 상기 좌측공간마감용 상판(411-1)은 전면판(412) 및 후면판(143)에 고정되게 형성되고, 상기 우측공간마감용 상판(411-2)은 전면판(412)과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우측공간마감용 상판을 개폐하여 우측공간의 수납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수납장은 침대본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511), 전면판(512), 전측면판(513), 후측면판(514) 및 하판(515)으로 구성되어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내부가 좌측공간과 우측공간으로 분할되도록 내부에는 수직격판(516)이 형성되며, 상기 전측면판과 수직격판 사이 및 수직격판과 후측면판 사이에는 각각 다수의 수평격판(517)이 설치되어 제2수납장 내부공간을 다수의 소공간으로 분할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침대와 제2침대를 밀착시켜 배치한 다음 침대본체의 전면에는 제1수납장(400)을 배치하고 침대본체의 후면에는 제2수납장을 배치함으로써 완성된다.
이 때, 제1침대, 제2침대, 제1수납장 및 제2수납장에는 다양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룸과 같은 공간이 좁은 집에 설치할 경우 다양한 수납공간으로 인해 실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쇼파겸용수납대가 제1침대에서 인출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파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제1수납장과 제2수납장이 침대본체 보다 높이가 높기 때문에 제1수납장의 상판은 책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2수납장의 상판은 식탁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침대 뿐만 아니라 쇼파, 책상, 식탁등 다기능을 구현하는 침대가 제공된다.
100: 침대본체 200: 제1침대
300: 제2침대 400: 제1수납장
500: 제2수납장

Claims (4)

  1. 제1침대(200) 및 상기 제1침대의 후측면과 전측면이 접하도록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2침대(300)로 구성되는 침대본체(100)와; 상기 침대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수납장(400)과; 침대본체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수납장(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침대(200)는 상판(211), 전면판(212), 후면판(213) 및 후측면판(214)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는 가로격판(215)이 형성되어 가로격판을 중심으로 상측에는 상부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에는 다수개의 세로격판(216)이 가로격판과 상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공간이 다수개의 소공간으로 분할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2침대(300)는 제1침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판(311), 전면판(312), 후면판(313), 전측면판(314), 후측면판(315) 및 하판(316)을 포함하고,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되도록 내부에는 다수의 수직격판(317)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311)은 수직격판의 간격에 대응되게 분할되어, 후측면판과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침대의 하부공간에는 쇼파겸용수납대(220)가 수납되되,
    상기 쇼파겸용수납대는 상판(221), 전면판(222), 후면판(223), 후측면판(224), 하판(225) 및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제된 다수의 세로격판(226)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221)은 제1침대의 가로격판(215)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전면판(222)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부분과 후면판(223)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부분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판(221)의 상측에는 매트(M)가 설치되며,
    상기 쇼파겸용수납대의 전면판(222)의 외면과 후면판(223) 외면에는 레일(R1)이 각각 형성되고, 제1침대의 전면판(212) 내면과 후면판(213) 내면에는 상기 레일이 결속되는 레일안내구(R2)가 형성되어 상기 쇼파겸용수납대가 하부공간을 서랍타입으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판의 저면에는 바퀴(H)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침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장(400)은 침대본체(10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며, 상판(411), 전면판(412), 후면판(413), 후측면판(414) 및 하판(415)으로 구성되어 전면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내부가 좌측공간과 우측공간으로 분할되도록 내부에는 수직격판(416)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공간에는 개방된 전면측으로 인출되는 수납서랍(420)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411)은 좌측공간마감용 상판(411-1)과 우측공간마감용 상판(411-2)으로 분리되되, 상기 좌측공간마감용 상판은 전면판(412) 및 후면판(413)에 고정되게 형성되고, 상기 우측공간마감용 상판은 전면판(412)과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장(500)은 침대본체(10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며, 상판(511), 전면판(512), 전측면판(513), 후측면판(514) 및 하판(515)으로 구성되어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내부가 좌측공간과 우측공간으로 분할되도록 내부에는 수직격판(516)이 형성되며, 상기 전측면판과 수직격판 사이 및 수직격판과 후측면판 사이에는 각각 다수의 수평격판(517)이 설치되어 제2수납장 내부공간을 다수의 소공간으로 분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침대.
KR2020160005966U 2016-10-17 2016-10-17 다기능 침대 KR200486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966U KR200486594Y1 (ko) 2016-10-17 2016-10-17 다기능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966U KR200486594Y1 (ko) 2016-10-17 2016-10-17 다기능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46U KR20180001146U (ko) 2018-04-25
KR200486594Y1 true KR200486594Y1 (ko) 2018-06-08

Family

ID=6207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966U KR200486594Y1 (ko) 2016-10-17 2016-10-17 다기능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3903C2 (en) * 2019-06-04 2021-09-21 Ikea Supply Ag A furniture frame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466A (ja) * 1998-08-13 2000-04-25 Otaki Komuten:Kk 寝 台
JP2010273769A (ja) * 2009-05-27 2010-12-09 Simmons Corp ベッド構成部材、及びベ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918U (ko) * 2014-04-17 2015-10-27 주식회사 리아젠 다기능 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466A (ja) * 1998-08-13 2000-04-25 Otaki Komuten:Kk 寝 台
JP2010273769A (ja) * 2009-05-27 2010-12-09 Simmons Corp ベッド構成部材、及びベ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46U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161B1 (ko) 서랍형 침대 프레임
NO20050887L (no) Uttrekksskuff, sammenstilling derav, samt fly og tog utstyrt med slike sammenstillinger
KR102474192B1 (ko) 냉장고
KR200486594Y1 (ko) 다기능 침대
KR102503852B1 (ko) 냉장고
JP2015510799A (ja) 家具引出し
CN210870343U (zh) 一种多功能办公桌
KR20170103338A (ko) 개량형 붙박이장
KR20150003918U (ko) 다기능 침대
JP2013085912A (ja) 収納トレイ
JP7417890B2 (ja) 引き出し
CN209965734U (zh) 一种可调整空间的隐藏式浴室柜抽屉结构
KR101221199B1 (ko) 냉장고 선반커버
JP4325582B2 (ja) 収納キャビネット
JP2016128295A (ja) 車両
CA2467146A1 (en) Book rack and pencil tray combination
CN211380460U (zh) 一种底部储物功能的席梦思床
CN217804515U (zh) 一种拖挂房车工具箱
CN211673241U (zh) 一种学生用组合书桌柜
JP6455216B2 (ja) 収納庫
JP3192043U (ja) システムユニット畳家具セット
JP2004358013A (ja) 収納ソファベッド
KR101331715B1 (ko) 수납공간의 활용이 용이한 수납가구
KR200493042Y1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침대 프레임
JP2010154990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