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71Y1 -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 - Google Patents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71Y1
KR200486571Y1 KR2020160006084U KR20160006084U KR200486571Y1 KR 200486571 Y1 KR200486571 Y1 KR 200486571Y1 KR 2020160006084 U KR2020160006084 U KR 2020160006084U KR 20160006084 U KR20160006084 U KR 20160006084U KR 200486571 Y1 KR200486571 Y1 KR 200486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glove
blade
finger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201U (ko
Inventor
이희주
이상규
김성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60006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7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2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94Protective gloves with accessories, e.g. tools,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작업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갑과, 상기 장갑의 손가락 끝단부에 결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장갑의 손가락 끝마디 부위에 모종삽이 성형된 캡을 다수개 부착하여 손을 오므렸을 때 하나의 깔데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오므린 채로 땅속을 파고 다시 손가락을 펼쳐 모종을 심을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Glove}
본 고안은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별도의 도구없이 전용장갑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밭의 이랑에 구멍을 파고 모종을 심을 수 있도록 하는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각종 작물을 재배할 때, 작물 성장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화분 등에 파종을 하고,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모종을 밭으로 옮겨심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모종 이식 작업이라 하며, 종래에는 모종을 이식할 곳에 미리 땅을 파놓고 모종을 직접 심었으며, 모종을 이식하기 위해 땅을 파는 작업이 번거로워 모종을 이식하는 땅을 쉽게 파기위해 모종홈 이식기가 개발되었으나, 모종홈을 형성하면서 모종을 이식할 수 있는 모종 이식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기계적 장치에 이식 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대량 이종 작업을 가능하게 하였고, 특히, 농촌이 현대화되면서 트랙터 같은 기계적 장치에 의존하여 대량 모종이식 작업을 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소규모의 농가에서는 트랙터와 같은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모종을 이식하기에는 농기계의 고가 비용 또는 지형의 불리함 등으로 인해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을 통해 모종 이식 작업을 해야 했다.
따라서, 일정한 간격과 깊이로 모종을 이식하기 위해 다양한 모종 이식기가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498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일반적인 장갑의 손가락 끝마디 부위에 모종삽이 성형된 캡을 다수개 부착하여 손을 오므렸을 때 하나의 깔데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오므린 채로 땅속을 파고 다시 손가락을 펼쳐 모종을 심을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 장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 장갑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수작업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갑과, 상기 장갑의 손가락 끝단부에 결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캡부는 끝단부가 뾰족하게 성형되어 땅을 파거나 고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땅을 팔 수 있도록 형성된 삽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상기 착용부는 골무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손가락을 삽입하므로 손가락의 외부를 감쌀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착용부의 내측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도록 고무재로 형성된 보호부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띠형상의 판재를 구부려 원형상으로 형성하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지 않고 떨어지게 형성하여 작업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착용부의 원주를 달리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날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이 판상 부재로서, 땅을 팔 수 있도록 하방으로 그 폭이 좁아지며 흙을 퍼 올릴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돌기를 형성하여 슬릿패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부는 착용부의 저측부터 삽날의 끝단부까지의 길이를 대락 2~5cm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가락 각각에 모두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땅속을 파낼때에는 손을 오므려 삽날과 다른 삽날이 서로 모아지므로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고안에 의한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 장갑은 종래의 이식기 사용시 2인 일조로 구멍을 파는 사람과 모종을 심는 사람이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한사람이 구멍을 파고 모종을 심는 일련의 과정을 한꺼번에 진행하므로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고안은 일반적인 장갑에 탈부착이 가능한 캡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할때만 캡을 부착하며, 손마디 끝부분에 부착되므로 크기가 작아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 장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장갑에 포함된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장갑에 포함된 캡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 장갑을 이용하여 땅을 파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 장갑을 이용하여 모종을 심을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장갑에 포함된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적으로 기술된 설명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 장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장갑에 포함된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장갑에 포함된 캡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 장갑을 이용하여 땅을 파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 장갑을 이용하여 모종을 심을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갑(10)과, 상기 장갑(10)의 손가락 끝단부에 결착되는 캡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장갑(10)은 작업자의 손 및 손 주위 신체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으로, 면이나 고무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장갑(10)은 시중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기 장갑(10)에 대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캡부(20)는 상기 장갑(10)의 손가락 끝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골무형상의 착용부(21)와, 상기 착용부(21)의 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땅을 팔 수 있도록 형성된 삽날(22)을 포함하며, 상기 착용부(21)의 내측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도록 고무재로 형성된 보호부재(23)을 포함한다.
상기 착용부(21)는 골무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손가락을 삽입하므로 손가락의 외부를 감쌀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착용부(21)의 길이는 최소 1cm에서 최대 4cm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용부(21)는 후술되는 삽날(22)이 착용부(21)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착용부(21)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후술되는 삽날(2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착용부(21)와 삽날(22)은 일체형으로 사출되거나, 착용부(21)의 배면에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삽날(22)을 접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날(22)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이 판상 부재로서, 땅을 팔 수 있도록 하방으로 그 폭이 좁아지며 흙을 퍼 올릴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날(22)의 내측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돌기(221)를 형성하여 슬릿패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땅을 파거나 모으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부재(23)는 상기 착용부(21)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고무재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보호부재(23)는 작용자의 손가락에 실질적으로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톱을 보호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부재(23)의 외면은 상기 작용부(21)의 내면과 맞닿아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보호부재(23)의 내면에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와의 손 또는 장갑(10)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캡부(20)가 작업자의 손으로부터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캡부(20)는 착용부(21)의 저측부터 삽날(22)의 끝단부까지의 길이를 대락 2~5cm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가락 각각에 모두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땅속을 파낼때에는 손을 오므려 삽날(22)과 다른 삽날(22)이 서로 모아지므로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모종을 심을 때는 모았던 손가락을 펼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멍파기 전용장갑에 포함된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손가락 끝단부에 설치되는 캡부(20')는 착용부(21')와 삽날(22')을 포함하되, 상기 착용부(21')를 골무형태가 아닌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착용부(21')는 띠형상의 판재를 구부려 원형상으로 형성하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지 않고 떨어지므로 착용부(21')의 원주를 달리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다양한 손가락의 굵기를 갖는 작업자들에게 편안하게 착용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날(22')은 상기 착용부(21')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이 판상 부재로서, 땅을 팔 수 있도록 하방으로 그 폭이 좁아지며 흙을 퍼 올릴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날(22')의 내측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돌기(221')를 형성하여 슬릿패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땅을 파거나 모으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장갑
20 : 캡부
21 : 착용부
22 : 삽날
23 : 보호부재

Claims (5)

  1. 수작업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갑과, 상기 장갑의 손가락 끝단부에 결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캡부는 끝단부가 뾰족하게 성형되어 땅을 파거나 고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캡부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땅을 팔 수 있도록 형성된 삽날을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상기 착용부는 골무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손가락을 삽입하므로 손가락의 외부를 감쌀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착용부의 내측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도록 고무재로 형성된 보호부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날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이 판상 부재로서, 땅을 팔 수 있도록 하방으로 그 폭이 좁아지며 흙을 퍼 올릴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날의 내측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돌기를 형성하여 슬릿패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띠형상의 판재를 구부려 원형상으로 형성하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지 않고 떨어지게 형성하여 작업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착용부의 원주를 달리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착용부의 저측부터 삽날의 끝단부까지의 길이를 대락 2~5cm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가락 각각에 모두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땅속을 파낼때에는 손을 오므려 삽날과 다른 삽날이 서로 모아지므로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
KR2020160006084U 2016-10-20 2016-10-20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 KR2004865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84U KR200486571Y1 (ko) 2016-10-20 2016-10-20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84U KR200486571Y1 (ko) 2016-10-20 2016-10-20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01U KR20180001201U (ko) 2018-04-30
KR200486571Y1 true KR200486571Y1 (ko) 2018-06-11

Family

ID=6207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084U KR200486571Y1 (ko) 2016-10-20 2016-10-20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1561A (zh) * 2019-07-29 2020-01-07 兰陈华 一种园林种植用挖土手套
KR102356327B1 (ko) * 2019-10-30 2022-01-26 박매진 손가락 착용형 잡초 제거기 및 손가락 착용형 잡초 제거기가 구비된 작업용 장갑
KR102306863B1 (ko) 2020-08-26 2021-09-29 김호식 치매 예방 게임용 다용도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410A (ja) 1998-10-28 2000-05-16 Dainichi Kasei Kogyo Kk 手 袋
JP3199319B2 (ja) * 1987-12-08 2001-08-20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多軸多系統数値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303A (ja) * 1997-10-20 1999-04-27 Kuniyoshi Sago 草取り用爪付き手袋
KR20040072498A (ko) 2004-06-28 2004-08-18 신윤성 지도를 이용한 ′한 장의 시트에 편집된 형태(형상)의정보매체′
KR20090083018A (ko) * 2008-01-29 2009-08-03 이영태 작업용 장갑
KR101003923B1 (ko) * 2008-07-12 2010-12-30 박찬문 장갑에 장착되는 자성손톱
JP3199319U (ja) * 2015-01-19 2015-08-20 佐藤 嘉一 穴掘り手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319B2 (ja) * 1987-12-08 2001-08-20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多軸多系統数値制御方法
JP2000136410A (ja) 1998-10-28 2000-05-16 Dainichi Kasei Kogyo Kk 手 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01U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71Y1 (ko) 모종 정식을 위한 구멍파기 전용장갑
EA200801177A1 (ru) Однопроходные плуги
US5452478A (en) Gardening glove
KR200470481Y1 (ko) 비료공급 및 절개를 위한 멀칭비닐 천공기구
US20160007663A1 (en) Gardening Glove
CN104823811A (zh) 链条刀出土导流和安全防护机构
KR102356327B1 (ko) 손가락 착용형 잡초 제거기 및 손가락 착용형 잡초 제거기가 구비된 작업용 장갑
KR20150114836A (ko) 잡초 제거가 가능한 다용도 낫
CN210610281U (zh) 一种提高残膜回收效率的播种机械
CN212936956U (zh) 一种广藿香的种苗培育种植装置
CN209497812U (zh) 花椒种植专用翻土铲
RU2604290C1 (ru) Способ посадки картофеля
RU2615003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полосных культур сосны кедровой сибирской
KR101383462B1 (ko) 해조류 채묘용 캡슐
CN219305479U (zh) 一种果树高位嫁接装置
CN220383573U (zh) 一种简易秧苗移栽器
CN215601948U (zh) 一种油茶种植用除草机
US1490582A (en) Garden tool
KR200367205Y1 (ko) 칼 수납구를 가지는 모자
KR20230174885A (ko) 멀칭비닐용 절단기
KR20060000369A (ko) 반영구적인 잡초 방지용 원형 검은 비닐 덮개
UA149868U (uk) Універсальна сапа
KR200259764Y1 (ko) 딸기전용 원예 필름
Garren et al. Comparative Responses of a Virginia Runner and a Virginia Bunch Peanut to Cultural Control of Stem Rot 1
KR20100006295A (ko) 농작물 성장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