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59Y1 -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59Y1
KR200486559Y1 KR2020130006100U KR20130006100U KR200486559Y1 KR 200486559 Y1 KR200486559 Y1 KR 200486559Y1 KR 2020130006100 U KR2020130006100 U KR 2020130006100U KR 20130006100 U KR20130006100 U KR 20130006100U KR 200486559 Y1 KR200486559 Y1 KR 200486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ov
main body
base
surge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482U (ko
Inventor
김경중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6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5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4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59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딘레일형 서지보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와 링크로 이루어진 장착구조가 형성되어 MOV본체를 베이스로부터 탈거 및 장착하는 경우 원터치 작업으로 쉽게 이루어지며, 장착구조가 MOV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오작업에 의한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된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는 상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MOV본체; 상기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상기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받침레버; 및 상기 MOV본체가 삽입결합될 수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받침레버는 상기 베이스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버가 회동시 상기 베이스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 힘의 반작용에 의해 상기 MOV본체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MOV assembly of Surge Protector}
이 고안은 딘레일형 서지보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와 링크로 이루어진 장착구조가 형성되어 MOV본체를 베이스로부터 탈거 및 장착하는 경우 원터치 작업으로 쉽게 이루어지며, 장착구조가 MOV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오작업에 의한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된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지보호기(Surge Protector 또는 Surge Protective Device)는 과도전압과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장치로서, TVSS (Teansient Voltage Surge Suppressor)라고도 불리며, 서지보호기와 TVSS는 상호 호환되어 사용된다. 서지보호기는 전력선이나 전화선, 데이터 네트웍, CCTV회로, 케이블TV회로 및 전자장비에 연결된 전력선과 제어선에 나타나는 매우 짧은 순간에 발생하는 과도 전압을 감쇄시키도록 설계된 장비이다.
서지보호기는 전력계통에 서지 전류가 들어올 때, 전류가 부하를 통해 흐르지 않고 서지보호기 자신을 통해 흐르도록 함으로써 부하에서 과도한 전압상승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보호기기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지보호기 내에는 보호소자가 포함되어 있다. 보호소자는 동작전압 이하에서는 매우 높은 임피던스를 갖고 있어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동작전압 이상에서는 급격히 임피던스가 낮아져서 큰 전류가 흐를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자이다.
이러한 서지보호기는 형태에 따라 박스(Box)형과 딘레일(din-Rail)형으로 구분된다. 박스형은 보호모듈을 포함한 단로장치, 유지보수 기능 옵션 회로 등이 수용함체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품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크지만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딘레일형은 본체와 베이스(딘레일 취부대)로 구성되는 플러그 인 타입의 제품으로 보호소자별 교체가 가능하고, 유지보수에 편리하다.
종래기술에 따른 딘레일형 서지보호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서지보호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서지보호기(1)는, 그 서지보호기(1)의 입출력 단자가 있는 바디(2)와, 상기 바디(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지보호기(1)의 서지 커팅 기능을 하는 배리스터 어셈블리(varistor assembly)(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배리스터(varistor)는 보호소자로서 가변저항체이다.
상기 바디(2)는 일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배리스터 어셈블리(3)가 착탈되도록 배리스터 수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배리스터 수용홈(21)의 양측면에는 후술할 배리스터 어셈블리(3)의 장착돌기(31)가 미끄러지게 삽입되도록 장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리스터 어셈블리(3)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리스터 어셈블리(3)의 양쪽면에는 상기 바디(2)의 장착홈(22)에 삽입되도록 장착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 서지보호기(1)에서는, 상기 배리스터 어셈블리(3)를 바디(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2)와 배리스터 어셈블리(3) 사이에 지그 또는 일자 드라이버(4)를 삽입한 후 그 지그 또는 일자 드라이버(4)를 지렛대와 같이 회동시켜 상기 바디(2)와 배리스터 어셈블리(3)를 분리하는 것이었다.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함을 주는 작업이 될 뿐 아니라, 서지보호기(1)에 긁힘이나 훼손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11-0000877호에 개시된 '탈착기구를 구비한 서지보호기'를 들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고안은 배리스터 조립체(1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오픈레버(130)에 의해 배리스터 조립체(120)를 바디(110)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고안은 오픈레버(130)를 배리스터 조립체(120) 외부에 노출시킴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탈거를 가져올 위험이 있으며, 구성품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레버와 링크로 이루어진 장착구조가 형성되어 MOV본체를 베이스로부터 탈거 및 장착하는 경우 원터치 작업으로 쉽게 이루어지며, 장착구조가 MOV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오작업에 의한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된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는 상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MOV본체; 상기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상기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받침레버; 및 상기 MOV본체가 삽입결합될 수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받침레버는 상기 베이스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버가 회동시 상기 베이스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 힘의 반작용에 의해 상기 MOV본체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레버는 레버몸체와 상기 레버몸체 하방에 돌출되어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다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레버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다리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머리부에 타단이 결합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에 의하면, MOV본체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하거나 장착할 경우 원터치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MOV본체 탈착기구가 MOV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오작업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MOV본체를 탈거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작용도로서 MOV본체가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 MOV본체가 베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는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된 MOV본체(10); 상기 개구부(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20); 상기 레버(20)에 연결되는 받침레버(40); 및 상기 MOV본체(10)가 삽입결합될 수 있는 베이스(5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레버(40)는 상기 베이스(50) 위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20)가 회동시 상기 베이스(50)에 가하는 힘의 반작용에 의해 상기 MOV본체(10)를 상기 베이스(5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는 크게 MOV본체(10)와 베이스(50)를 포함한다.
MOV본체(10)에는 MOV 보호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본체이다. MOV(Metal Oxide Varistor, 산화아연 바리스터)는 보호소자의 일종으로 가변저항체이다. MOV는 전압에 따라 현저하게 저항값이 변화하는 성질이 있다. 정상상태에서 설정된 전압까지는 높은 임피던스가 유지되어 절연상태에 있으나, 최대허용전압을 넘는 서지전압이 유입되면 급격히 임피던스가 저하되어 서지전류가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즉, 서지전압에 의한 전류가 부하로 흐르지 않고 MOV를 통해 흐르도록 함으로써 부하에 대규모의 전류가 흐르고 과도하게 전압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MOV는 전류가 많이 흘러도 전압상승률이 매우 적으므로 안정적으로 부하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MOV본체(10)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비어있는 상자형이다. 도면에서, 전술한 내용 중 서지전압 감쇄와 관련된 전기적인 사항은 본 고안의 주요한 특징이 아니므로 이에 관한 세부적인 구성요소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MOV본체(10)의 상부면 일측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1)에는 후술하는 레버(2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개구부(11)의 일부에는 레버(20)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12)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MOV본체(10)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돌기(13)가 형성되어 베이스(50)에 끼움결합되게 된다.
레버(20)는 전체적으로 레버몸체(21)와 레버다리(25)로 이루어져 있다. 레버몸체(21)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레버몸체(21)의 일측에는 돌기부(22)가 양쪽으로 한 쌍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2)에 끼워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개구부(11)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레버몸체(21)에 홈부가 형성되어 레버(20)가 개구부(11)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레버몸체(21)의 타측에는 손잡이부(23)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레버다리(25)는 레버몸체(21)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작용면에서 유리하다. 레버다리(25) 하부에는 링크홀(26)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링크(30)가 장착될 수 있다.
레버(20)는 절연성과 제조비용을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합성수지물로 제조될 수 있다.
링크(30)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20)와 후술하는 받침레버(40)를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링크(30)의 일단은 상기 레버(20)의 링크홀(26)에 결합되고, 링크(30)의 타단은 후술하는 받침레버(40)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20)가 회동하여 링크(30)를 가압하면, 이 가압력을 받침레버(40)에 전달하게 된다.
받침레버(40)는 전체적으로 누운 'T'자형으로 형성된다. 지지부(41)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발(42)이 양 단부에 각각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43)는 상기 지지부(41)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머리부(43)의 상부에는 링크홀(44)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3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레버(20)와 받침레버(40)는 중간에 개재되는 링크(30)없이 직접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레버다리(25)에 형성되는 돌기와 받침레버(40)에 형성되는 호형의 홈에 의해 결합되어 레버(20)의 회전운동이 받침레버(40)의 상하운동을 일으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MOV본체(10)가 베이스(5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버(20)의 손잡이부(23)를 밀어올리면 레버(20)는 돌기부(22)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레버(20)의 회전에 따라, 레버(20) 하부에 있는 레버다리(2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링크(30)를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링크(30)는 병진운동 및 하방운동을 하면서 링크(30)의 하단에 연결된 받침레버(4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받침레버(40)는 지지부(41) 하부에 있는 베이스(50)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반작용으로 MOV본체(10)는 베이스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즉, 레버(20)의 손잡이부(23)에 대한 원터치 동작만으로 MOV본체(10)를 베이스(5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장착 시에는 MOV본체(10)를 베이스(50)에 끼우는 작업을 통해 받침레버(40)가 베이스(50) 면에 압착됨에 따라 상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링크(30)와 레버다리(25)를 거쳐 레버(2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레버(20)의 손잡이부(23)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장착이 완료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MOV본체 11 개구부
12 고정홈 13 장착돌기
20 레버 21 레버몸체
22 돌기부 23 손잡이부
25 레버다리 26 링크홀
30 링크 40 받침레버
41 지지부 42 지지발
43 머리부 44 링크홀
50 베이스

Claims (4)

  1. 상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MOV본체;
    일측이 상기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MOV본체의 측면에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레버몸체 및 상기 레버몸체 하방에 돌출되어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다리로 이루어지는 레버;
    일단이 상기 레버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링크;
    상기 링크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받침레버; 및
    상기 MOV본체가 삽입결합될 수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레버는 상기 베이스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버가 회동시 상기 베이스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 힘의 반작용에 의해 상기 MOV본체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받침레버는 누운 T자형으로 형성되어, 평판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양단부에 상기 베이스에 면접촉하는 지지발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30006100U 2013-07-22 2013-07-22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 KR200486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100U KR200486559Y1 (ko) 2013-07-22 2013-07-22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100U KR200486559Y1 (ko) 2013-07-22 2013-07-22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82U KR20150000482U (ko) 2015-01-30
KR200486559Y1 true KR200486559Y1 (ko) 2018-06-07

Family

ID=5248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100U KR200486559Y1 (ko) 2013-07-22 2013-07-22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5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950A (ko) * 2004-09-24 2006-03-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US20110163837A1 (en) * 2004-09-13 2011-07-07 Matthew Rain Darr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and devices with tripping coil
KR20110099450A (ko) * 2010-03-02 2011-09-08 이종택 탈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671U (ko) * 2011-01-28 2012-08-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탈착기구를 구비한 서지보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3837A1 (en) * 2004-09-13 2011-07-07 Matthew Rain Darr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and devices with tripping coil
KR20060027950A (ko) * 2004-09-24 2006-03-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20110099450A (ko) * 2010-03-02 2011-09-08 이종택 탈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82U (ko) 201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2104B2 (en) Electrical socket
CA2558297C (en)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a protective shutter
JP4557043B2 (ja) 押し込み操作型電子部品
US9418036B2 (en) Data terminal with a connection structure of USB interface
WO2004093282A2 (en) Surge suppressor
TWI413997B (zh) 開關模組
US20100130064A1 (en) Safety socket structure
US7241176B2 (en) Multifunctional power jack
IL291955A (en) A plug for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US8335069B2 (e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KR200486559Y1 (ko) 서지보호기 mov본체 장착구조
KR20010030922A (ko) 일체형 안전 스위치를 가진 오우버-센터 토글 래치
CA2258364A1 (en) Transient voltage surge suppressor having a switch with overtravel protection
WO2013067923A1 (zh) 电涌保护器的脱扣机构和电涌保护器
CN214958700U (zh) 一种阻断式浪涌保护器脱扣装置
US20180331465A1 (en) Power plug with leakage current protection device
CN209921220U (zh) 用于车辆电气控制器的电源输入结构及车辆电气控制器
KR20170002853U (ko) 전자접촉기와 서지보호기의 조립 구조
KR20120005671U (ko) 탈착기구를 구비한 서지보호기
CN208352235U (zh) 电子式脱扣保护器
CN205406515U (zh) 一种电路保护器件
CN209805416U (zh) 一种浪涌保护装置的可插拔式防雷模块
CN216390479U (zh) 漏电保护装置
KR200490842Y1 (ko) 서지 보호기의 실장 구조
TWM461212U (zh) 具防水功能之電連接器以及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