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39Y1 - 연마구 - Google Patents

연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39Y1
KR200486539Y1 KR2020160006021U KR20160006021U KR200486539Y1 KR 200486539 Y1 KR200486539 Y1 KR 200486539Y1 KR 2020160006021 U KR2020160006021 U KR 2020160006021U KR 20160006021 U KR20160006021 U KR 20160006021U KR 200486539 Y1 KR200486539 Y1 KR 200486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direction
sides
insertion groove
polishing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174U (ko
Inventor
장성진
오다슬
조혁상
Original Assignee
조혁상
장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혁상, 장성진 filed Critical 조혁상
Priority to KR2020160006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39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5/00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 B24D15/04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resilient; with resiliently-mounted operativ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어도 일면에 연마시트를 갖고 다양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는 연마구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와, 지지부의 일측에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몸체; 및 몸체의 삽입홈에 폭 방향 양측이 삽입 결합되는 연마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마구{Polishing tool}
본 고안은 연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일면에 연마시트를 갖고 다양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는 연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표피에 발생되는 각질(굳은살)은 죽은 상피세포로서, 특히 발바닥에 발생되는 각질은 인체 활동간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표피가 아주 굳고 두껍게 형성된다. 이러한 각질은 발바닥의 감각을 무디게 하고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따뜻한 물에 발을 담가 각질을 불린 후 돌로 만든 페디스톤에 문지르거나 각종 각질제거 전용기구를 사용하여 각질을 제거하려고 한다.
그런데, 종래의 각질제거 기구는 그 형태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신체의 각 부위 형상에 맞춰 연마면을 정확하게 밀착시키기가 어렵고, 그 크기 때문에 좁은 틈새나 면적이 작은 부위를 정밀하게 연마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그 무게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에는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손톱이나 발톱의 연마, 그리고 목재가구 등을 수선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며, 따라서 연마면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으면서도 무게가 가볍고 사용이 용이한 연마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마면의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연마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무게가 가볍고 사용이 용이한 연마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거칠기의 연마시트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마구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삽입홈에 폭 방향 양측이 삽입 결합되는 연마시트를 포함하는 연마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원형 단면을 갖도록 둥글게 말려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의 외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하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하향 볼록부와, 상기 하향 볼록부의 끝단에서 상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향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 볼록부의 끝단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상기 삽입홈을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하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하향 볼록부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향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향 볼록부의 끝단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와 상기 상향 볼록부의 끝단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상기 삽입홈을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마시트는, 저면이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밀착되고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연마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마시트는,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상향 볼록부와 상기 하향 볼록부를 둘러서 중간부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이격하는 제2 연마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면 일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 및 폭 방향 양측이 상기 결합부의 삽입홈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연마구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안착되며, 상기 결합부의 삽입홈에 폭 방향 양측이 삽입 결합되는 연마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과 대향하도록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리브와, 상기 한 쌍의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마구에 의하면, 연마면을 자유롭게 변형시켜 좁은 틈새나 작은 면적도 정밀하게 연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마구에 의하면, 무게가 가볍고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마구에 의하면, 원하는 거칠기의 연마시트를 교체 장착함으로써, 황삭부터 정삭까지 다양한 연마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100)는 몸체(200)와, 몸체(200)의 일측에 끼워지는 연마시트(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200)는 유연한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서, 일정 형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몸체(2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210)와, 지지부(210)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230)를 갖는 한 쌍의 결합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결합부(220)는 지지부(210)의 폭 방향 양측 테두리를 따라 지지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결합부(220)의 내측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삽입홈(240)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홈(240)은 결합부(220)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결합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 삽입홈(240)은 후술하는 연마시트(300)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연마시트(300)의 양측이 각각의 결합부(220)의 삽입홈(240)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연마시트(300)는 적어도 일면에 소정의 거칠기를 갖는 연마면이 형성된 것으로, 얇은 두께의 연마지나 연마포 또는 연마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거칠기의 연마시트(300)를 몸체(200)에 교체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마시트(300)의 폭과 길이 등의 규격은 몸체(200)에 장착 가능한 규격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한 규격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몸체(200)의 지지부(210)와 결합부(220)는 사출 또는 압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결합부(220)는 지지부(210)의 폭 방향 양측에서 둥글게 말려서 원형 단면을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20)는 지지부(210)의 폭 방향 양측에서 하향 외측으로 볼록한 반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 볼록부(221)와, 하향 볼록부(221)의 끝단에서 상향 내측으로 볼록한 반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상향 볼록부(222)를 포함한다. 하향 볼록부(221)와 상향 볼록부(222)에 의해 구획되는 결합부(220)의 내부에는 공간부(230)가 형성되며, 상향 볼록부(222)의 끝단이 지지부(2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상측에 이격하게 됨으로써 상향 볼록부(222)의 끝단과 지지부(21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전술한 삽입홈(240)을 이루게 된다.
몸체(200)에 연마시트(300) 장착시, 연마시트(300)의 폭 방향 양측이 삽입홈(240)을 따라 삽입되며, 사용자는 몸체(200)에 장착된 연마시트(300)를 연마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시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파지하고 있는 몸체(200)의 형태를 대상물의 굴곡면에 따라 변형시킴으로써 연마시트(300)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연마면 전체 또는 일부분만을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시켜 연마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100)는 도 3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를 위쪽으로 볼록하게 구부려서 사용할 수도 있고,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를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구부려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볼록하게 변형된 몸체(200)의 곡률 반경 즉, 몸체(200)를 어느 정도로 구부릴 것인지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시트(300)가 장착된 몸체(200)의 상면을 위쪽으로 볼록하게 구부린 경우, 연마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이 평면이면 일부 영역만을 연마시트(300)에 접촉시켜 집중 연마할 수 있으며, 오목한 홈 부위의 내측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연마시트(300)가 장착된 몸체(200)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변형시킨 경우에는, 연마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외주면을 넓게 감싸면서 연마하거나 돌출 부위의 일부 영역을 집중 연마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100)에 의하면, 연마시트(300)가 장착된 몸체(200)를 대상물의 표면 굴곡 형상에 따라 적절히 구부리거나 비틀어 변형시킴으로써 대상물의 국소부위를 집중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의 굴곡면에 따라 연마시트(300)의 연마면을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연마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연마시트(300)보다 폭이 더 넓은 연마시트(300a)를 준비하여, 연마시트(300a)의 양측이 결합부(220)를 감싸도록 몸체(2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연마시트(300a)의 폭 방향 양측이 하향 볼록부(221)의 외측과 상향 볼록부(222)를 감싸게 되며, 폭 방향 양측 끝단은 삽입홈(240)에 삽입된다. 이때, 연마시트(300a)의 연마면은 양쪽 하향 볼록부(221)를 가로질러 지지부(210)의 하부에 이격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100a)의 경우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몸체(200)를 위쪽(실선 표시)이나 아래쪽(이점 쇄선 표시)으로 볼록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시트(300a)가 장착된 몸체(200)의 하면을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변형시킨 경우, 연마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이 평면인 경우 일부 영역만을 연마시트(300a)에 접촉시켜 집중 연마할 수 있으며, 오목한 홈 부위의 내측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연마시트(300a)가 장착된 몸체(200)의 하면을 위쪽으로 오목하게 변형시킨 경우에는, 연마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외주면을 넓게 감싸면서 연마하거나 돌출 부위의 일부 영역을 집중 연마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연마시트(300a)가 결합부(2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밀착된다. 이에 따라, 연마시트(300a)의 폭 방향 양측의 연마면은 결합부(220)의 곡면 형상으로 변형되어 전술한 제1 실시예보다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폭이 좁은 홈의 내측면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몸체(200)에 힘을 가하여 지지부(210)를 변형시키지 않고도 대상물의 표면에 결합부(220) 부분을 접촉시켜 국부 부위를 용이하게 집중 연마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100b)의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처럼 몸체(200)의 지지부(210) 상면에 제1 연마시트(301)를 장착함과 동시에,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2 실시예처럼 몸체(200)의 지지부(210) 하부에 제1 연마시트(301)보다 폭이 더 넓은 제2 연마시트(302)를 장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1,제2 연마시트(301,302)의 폭 방향 양측은 모두 삽입홈(240)에 삽입 결합되며, 이 경우 사용자는 몸체(200)의 지지부(210) 양면에 각각 배치된 제1,제2 연마시트(301,302)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연마시트(302)를 사용하여 대상물을 연마할 때, 결합부(220)의 표면에 밀착된 부분을 이용하여 폭이 좁은 홈의 내측면을 연마하거나 대상물의 국소 부위를 집중 연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마시트(300,300a)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100c)는 몸체(200c)와, 몸체(200c)의 일측에 끼워지는 연마시트(300,300a)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200c)는 유연한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서, 일정 형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몸체(200c)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210c)와, 지지부(210c)의 폭 방향 양측에 지지부(210c)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한 쌍의 결합부(220c)를 포함한다.
이때, 결합부(220c)는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지지부(210c)의 폭 방향 양측에서 하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하향 볼록부(221c)와, 지지부(210c)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향 볼록부(222c)를 포함한다.
하향 볼록부(221c)와 상향 볼록부(222c)는 각각 원호 단면 형태로 형성되며, 결합부(220c) 내부의 공간부는 지지부(210c)에 의해 상측 공간부(231c)와 하측 공간부(232c)로 구획된다. 하향 볼록부(221c)의 끝단과 지지부(210c)의 저면 사이, 그리고 상향 볼록부(222c)의 끝단과 지지부(210c)의 상면 사이에는 각각 틈새가 형성되는데, 이들 틈새는 연마시트(300,300a,300e)의 장착을 위한 삽입홈(240c)을 이루게 된다. 한 쌍의 상향 볼록부(222c)의 내측에는 한 쌍의 삽입홈(240c)이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형성되며, 한 쌍의 하향 볼록부(221c)의 내측에는 한 쌍의 삽입홈(240c)이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 실시예처럼 하나의 연마시트(300)가 지지부(210c)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밀착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연마시트(300)가 지지부(210c)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밀착하도록 각각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예처럼 하나의 연마시트(300a)가 지지부(210c)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이격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연마시트(300a)가 지지부(210c)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이격하도록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제3 실시예처럼 지지부(210c)의 일면에 하나의 연마시트(300)가 밀착하도록 장착되고, 타면에는 지지부(210c)로부터 이격하도록 또 하나의 연마시트(300a)가 장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일측 또는 양측의 결합부(220c)에만 연마시트(300e, 도 9 참조)가 결합부(220c)의 외주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100d)의 몸체(200d)는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측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삽입홈(240d)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220d)와, 폭 방향 양측이 한 쌍의 결합부(220d)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재(210d)를 포함하며, 연마시트(300,300a,300e)는 폭 방향 양측이 일측 결합부(220d)의 삽입홈(240d)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거나, 한 쌍의 결합부(220d)의 삽입홈(240d)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20d)는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즉, 결합부(220d)는 내부에 공간부(230d)를 갖고 외주면 일측에는 공간부(230d)와 연통하도록 소정의 폭으로 삽입홈(240d)이 절개 형성되는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의 결합부(220d) 일측에 삽입홈(240d)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형태이다.
한 쌍의 결합부(220d)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때 각각의 결합부(220d)의 삽입홈(240d)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한 쌍의 결합부(220d)의 내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삽입홈(240d)이 각각 형성된다.
결합부(220d)의 내주면에는 삽입홈(240d)과 대향하도록 한 쌍의 리브(250d)가 결합부(220d)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리브(250d) 사이에 결합홈(260d)이 형성된다. 이 결합홈(260d)은 지지부재(210d)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재(210d)의 폭 방향 양측이 삽입홈(240d)으로 삽입되어 지지부재(210d)의 폭 방향 양단이 결합홈(260d)에 각각 끼움 결합된다.
지지부재(210d)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 등 외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삽입홈(240d)의 폭이 지지부재(210d)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220d)의 끝단과 지지부재(210d)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며, 연마시트(300,300a,300e)는 이 틈새를 통해 폭 방향 양측이 삽입홈(240d)을 관통하여 결합부(220d)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결합부(220d)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마시트(300,300a,300e)는 전술한 제4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6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마구(100e)는 한 쌍의 원형 단면 형상의 결합부(220d)와, 한 쌍의 결합부(220d)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재(210d)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5 실시예와 그 구성이 유사하며, 다만 일측의 결합부(220d)와 타측의 결합부(220d)의 규격(직경)이 서로 상이하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5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마시트(300,300a,300e)는 전술한 제5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210d)의 폭 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220d)와 지지부재(210d)의 폭 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결합부(220d)의 직경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20d)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연마시트(300e)를 장착하면, 일측의 결합부(220d)를 감싸도록 장착된 연마시트(300e)의 곡률 반경과 타측의 결합부(220d)를 감싸도록 장착된 연마시트(300e')의 곡률 반경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연마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규격이나 형상에 맞춰 적절한 곡률 반경을 갖는 쪽의 연마시트(300e,300e')를 택하여 연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결합부(220,220c,220d)의 규격이 서로 동일한 예를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의 한 쌍의 결합부(220,220c,220d)도 제6 실시예처럼 서로 상이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a,100b,100c,100d,100e : 연마구
200,200c,200d : 몸체
210,210c : 지지부
210d : 지지부재
220,220c,220d : 결합부
221,221c : 하향 볼록부
222,222c : 상향 볼록부
230,230d : 공간부
231c : 상측 공간부
232c : 하측 공간부
240,240c,240d : 삽입홈
250d : 리브
260d : 결합홈
300,300a,300e : 연마시트

Claims (11)

  1.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삽입홈에 폭 방향 양측이 삽입 결합되는 연마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둥글게 말려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의 외경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하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하향 볼록부와, 상기 하향 볼록부의 끝단에서 상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향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 볼록부의 끝단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상기 삽입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하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하향 볼록부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향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향 볼록부의 끝단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와 상기 상향 볼록부의 끝단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상기 삽입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구.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마시트는, 저면이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밀착되고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연마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마시트는, 폭 방향 양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상향 볼록부와 상기 하향 볼록부를 둘러서 중간부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이격하는 제2 연마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구.
  9.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면 일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 및
    폭 방향 양측이 상기 결합부의 삽입홈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안착되며, 상기 결합부의 삽입홈에 폭 방향 양측이 삽입 결합되는 연마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과 대향하도록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리브와, 상기 한 쌍의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구.
KR2020160006021U 2016-10-19 2016-10-19 연마구 KR200486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21U KR200486539Y1 (ko) 2016-10-19 2016-10-19 연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21U KR200486539Y1 (ko) 2016-10-19 2016-10-19 연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74U KR20180001174U (ko) 2018-04-27
KR200486539Y1 true KR200486539Y1 (ko) 2018-06-01

Family

ID=6207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021U KR200486539Y1 (ko) 2016-10-19 2016-10-19 연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3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16Y1 (ko) * 2002-11-11 2003-01-29 방태욱 낙하방지용 테이블 마감부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483Y1 (ko) * 1994-12-09 1998-10-15 지병천 굳은 살 제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16Y1 (ko) * 2002-11-11 2003-01-29 방태욱 낙하방지용 테이블 마감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74U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72369S1 (en) Lamp for curing gel nail polish
USD551839S1 (en) Footwear
US9849599B2 (en) Razor having free movability of the razor head
US20060177626A1 (en) Matting product
US20070062068A1 (en) Shoe cushion for safety shoes
US6379237B1 (en) Abrasive sponge grip
BRPI0519885A2 (pt) cabo de aparelho para barbear
KR200486539Y1 (ko) 연마구
US1562414A (en) Hand block for abrasives, etc.
PL1644160T3 (pl) Urządzenie do obróbki powierzchniowej powierzchni optycznej
KR200481442Y1 (ko) 지압기
WO2005016105A3 (en) Multi-functional hand-held tool
US10124463B2 (en) Sanding pad
USD875501S1 (en) Sanding tool
US20190282257A1 (en) Foot abrasion assembly
US9326581B1 (en) Nail abrading implement
KR200441556Y1 (ko) 시트지 밀착기구
KR101648303B1 (ko) 속눈썹 손질용 트레이
US20160157579A1 (en) Fingernail Filing Device
USD640115S1 (en) Manual knife dressing tool
BE1014438A3 (nl) Inrichting voor het aan elkaar bevestigen van twee elementen.
JP3104492U (ja) 爪磨き器
JP2008228856A (ja) 爪磨き具
USD1022646S1 (en) Base unit for a powered abrasive belt sharpener
JP3224577U (ja) 履物の機能向上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