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89Y1 -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 - Google Patents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489Y1
KR200486489Y1 KR2020160002633U KR20160002633U KR200486489Y1 KR 200486489 Y1 KR200486489 Y1 KR 200486489Y1 KR 2020160002633 U KR2020160002633 U KR 2020160002633U KR 20160002633 U KR20160002633 U KR 20160002633U KR 200486489 Y1 KR200486489 Y1 KR 200486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pair
body portion
ball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968U (ko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김종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운 filed Critical 김종운
Priority to KR2020160002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48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4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간편한 조절에 따라 목침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호 폭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지압볼이 길이방향의 양측에 마련되어 다양한 신체 부위를 지압할 수 있는 지압구를 겸용하는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은, 일정 형상으로 제작되고, 후두부를 받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구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지압볼과; 상기 한 쌍의 지압볼이 상기 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서 상호간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지압볼 사이에 결합되는 폭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FUNCTIONAL WOODEN PILLOW HAVING MASSAGE BALLS}
본 고안은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간편한 조절에 따라 목침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호 폭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지압볼이 길이방향의 양측에 마련되어 다양한 신체 부위를 지압할 수 있는 지압구를 겸용하는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침, 경침은 사용자가 누울 때 목뼈를 바르게 잡아주고 경직된 뒷목 근육과 피부를 지압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남녀노소 관계없이 널리 애용된다.
그러나 오래전의 경침(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등의 재질로 단순한 형태로 제작되어 경추 등을 자극할 수 있는 베개 이상의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던 실정이었다.
이에, 최근에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 물질과 자기치료효과가 발생되도록 기능성 자석이 구비되어 있는 목침 또는 경침 등이 시중에 많이 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288호(2009.06.25) "기능성 수지 자석 지압구가 구비된 다용도 경침"에서는 베개형 몸체로 구성된 경침에 있어서,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발생 기능성 광물질과, 건강에 이로운 소형 자석을 목 받침부에 내장하여 경추와 접촉되어 지압 효과를 갖도록 하는 등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492호(2006.07.20) "목침"에서는 목침 본체에 자석을 설치하고, 목침 본체의 일측에 함실을 형성하여 함실 내부에 약재나 향료를 넣어 사용함으로써 취침시 건강 증진에 좋은 영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경침 또는 목침에 사용자의 후두부 또는 목 부분이 받쳐지도록 누운 상태에서 단순한 자극 효과가 발생되도록 사용되는 방식으로 거리 미달이나 기능성 물질의 효능 저하로 그 효과가 제한되는 단순 기능의 한계점이 있었으며, 전자의 기술과 같은 경우 누운 자세에서 중력에 의해 신체의 목이나 허리 부분의 특정 부위에만 지압 효과가 미치게 되어 인위적인 마사지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머리나 경추를 받쳐주는 목침으로서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부위를 자극할 수 있는 지압구로서의 사용을 겸할 수 있는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한 쌍의 지압볼이 각각 다른 높이와 간격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는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은, 일정 형상으로 제작되고, 후두부를 받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구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지압볼과; 상기 한 쌍의 지압볼이 상기 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서 상호간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지압볼 사이에 결합되는 폭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은, 상기 폭 조절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각각 일정 깊이를 갖도록 절개 형성된 회전가이드홈과, 상기 몸체부의 전방 또는 후방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교차 통과되도록 상기 몸체부 내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축과, 일정 길이를 갖고 일측이 상기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측에 상기 지압볼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 가능한 회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은, 상기 한 쌍의 지압볼은, 상기 회전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은,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아이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은,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안착홈이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에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안착홈은 깊이가 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안착홈에는 옥 재질의 경추자극부재 및 경혈자극부재가 각각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은 누운 상태에서 머리나 경추를 받쳐주는 목침으로서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부위를 자극할 수 있는 지압구로서의 사용을 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은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한 쌍의 지압볼이 각각 다른 높이와 간격을 이루도록 간편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경침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의 지압볼이 잠김 및 풀림되게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의 지압볼이 회전되어 각도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의 사용 예를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이하에서는 "기능성 목침"이라 한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의 지압볼이 잠김 및 풀림되게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의 지압볼이 회전되어 각도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1)은 몸체부(10)와, 한 쌍의 지압볼(21,22)과, 폭 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일정 형상을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누웠을 경우 경추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후두부를 받칠 수 있는 안착홈(10a,10b)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딱딱한 목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편백나무를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테두리 부분은 라운드진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은 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은 후술되는 상기 폭 조절수단(30)을 통해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또는 하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은 옥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옥에는 다량의 산화마그네슘이 함유되어 있어 심장근, 연근, 신경자극전달물질, 신경근장해, 탄수화물 합성경로와 같은 에너지에 관련된 효소계의 작용을 하며 특히 옥(玉)에서 발산되는 기(氣)의 파장(波長)이 인체에 발산되는 파장과 동일하여 혈액 순환 개선과 체내 노폐물 제거 등의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은 후술되는 상기 폭 조절수단(30)의 회전연결부재(33)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21a,22a)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그 결합구조는 상기 회전연결부재(33)의 구성을 통해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폭 조절수단(30)은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 사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이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또는 하부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서 상호간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폭 조절수단(30)은 회전가이드홈(31)과, 연결축(32)과, 회전연결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가이드홈(31)은 후술되는 상기 회전연결부재(33)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몸체부(10)의 양단 각각에서 일정 깊이와 폭을 갖도록 내측 방향으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가이드홈(3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측과 하부측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축(32)은 후술되는 상기 회전연결부재(33)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연결축(32)은 상기 몸체부(10)의 전방 또는 후방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의 일단에서 몸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0)의 전방 또는 후방의 일단에서 상기 회전가이드홈(31)과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전후 방향을 향하여 수평하게 파이거나 관통되는 삽입공(11a,11b)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연결축(32)은 상기 삽입공(11a,11b) 각각의 내부로 삽입된 경우 상기 회전가이드홈(31)에 교차 통과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축(32)은 상기 삽입공(11a,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접착재 등으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연결축(32)이 고정된 경우 상기 삽입공(11a,11b)은 상기 몸체부(10)와 동일한 재질 즉, 편백나무 재질의 막음판으로 표면이 마감되어 견고한 강도를 위해 금속재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연결축(32)의 노출로 인해 미관을 해치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연결부재(33)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상기 회전가이드홈(31)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연결부재(33)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의 막대 형상으로 일측 말단부에 소정 크기의 구멍을 갖도록 링 형상의 걸고리부(33a)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회전연결부재(33)는 상기 연결축(32)이 상기 삽입공(11a,11b)에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걸고리부(33a)가 상기 삽입공(11a,11b)의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가이드홈(3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32)이 상기 걸고리부(33a)의 구멍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은 상기 회전연결부재(33)의 타측, 즉 상기 걸고리부(33a)가 형성된 타측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은 상기 결합공(21a,22a)이 상기 회전연결부재(33)의 타측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1)은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이 상기 회전연결부재(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폭 조절수단(30)은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의 결합공(21a,22a)에 내설되는 결합너트(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재(33)는 상기 걸고리부(33a)가 형성된 타측에 일정 길이만큼 나사산부(33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너트(34)는 상기 결합공(21a,22a)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연결부재(33)의 나사산부(33b)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연결부재(33)의 타측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조임 및 풀림되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연결부재(33)는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축(32)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은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상호간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절될 수 있고, 상기 몸체부(10)의 양측으로 완전히 펼쳐지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가이드홈(31)은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측과 하부측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이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상호 간격 조절이 보다 넓거나 좁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신체 부위의 지압 실시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의 간격 조절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이 상기 회전연결부재(33)의 나사산부(33b)를 따라 조임되도록 계속하여 회전 작동시킨 경우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이 상기 몸체부(10)의 표면에 단단히 밀착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작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은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쉽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연결부재(33)는 아이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축(32)과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이 양측에서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걸고리부(33a)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나사산부(33b)가 형성되어 있는 아이볼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회전연결부재(33)의 구성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널리 통용되어 있는 상기 아이볼트를 이용하여 본 고안 기능성 목침(1)을 보다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1)은 상기 안착홈(10a,10b)이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에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안착홈(10a,10b)은 그 깊이가 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착홈에는 옥 재질의 경추자극부재(12) 및 경혈자극부재(13a,13b)가 각각 내설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경추자극부재(12) 및 경혈자극부재(13a,13b)는 옥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납작한 원판형으로 가공되어 상기 안착홈(10a,10b)의 표면 상에 내장됨으로써 사용자가 본 고안 기능성 목침(1)을 베고 누운 경우 목 주변 즉, 경추 및 경혈 주위의 지압 효과와 함께 옥의 이로운 효능이 인체에 미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기능성 목침(1)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목침(1)을 베고 누운 경우 통상적인 목침으로서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의 간격을 조절하여 목 주변이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에 끼인 상태로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기능성 목침(1)의 안착홈(10a,10b)에 후두부가 받쳐지도록 누운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을 바람직한 간격으로 조절하고, 머리 부분을 맞닿도록 하여 문지르는 동작을 통해 지압 효과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을 바람직한 간격으로 조절하여 종아리나 허벅지 등의 지압과, 엉덩이 부분의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 상기 기능성 목침(1)은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몸체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사용자 본인 또는 주변인으로부터 지압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은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압시 큰 통증 없이 신체와의 마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을 바람직한 간격으로 조절한 후 배 부위, 머리, 목, 어깨, 팔, 무릎, 등, 허리 등의 각 신체 부위를 다양하게 마사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눈을 감고 상기 한 쌍의 지압볼(21,22) 중 어느 하나의 지압볼로 눈 마사지를 하는 경우 시력회복에 증진 효과가 발생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지압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기능성 목침
10 몸체부
10a,10b 안착홈
11a,11b 삽입공
12 경추자극부재
13a,14b 경혈자극부재
21,22 한 쌍의 지압볼
21a,22a 결합공
30 폭 조절수단
31 회전가이드홈
32 연결축
33 회전연결부재
33a 걸고리부
33b 나사산부
34 결합너트

Claims (5)

  1. 일정 형상으로 제작되고, 후두부를 받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구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지압볼과; 상기 한 쌍의 지압볼이 상기 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서 상호간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지압볼 사이에 결합되는 폭 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폭 조절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각각 일정 깊이를 갖도록 절개 형성된 회전가이드홈과,
    상기 몸체부의 전방 또는 후방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교차 통과되도록 상기 몸체부 내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축과,
    일정 길이를 갖고 일측이 상기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측에 상기 지압볼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 가능한 회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압볼은, 상기 회전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아이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안착홈이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에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안착홈은 깊이가 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안착홈에는 옥 재질의 경추자극부재 및 경혈자극부재가 각각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
KR2020160002633U 2016-05-16 2016-05-16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 KR200486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33U KR200486489Y1 (ko) 2016-05-16 2016-05-16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33U KR200486489Y1 (ko) 2016-05-16 2016-05-16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68U KR20170003968U (ko) 2017-11-24
KR200486489Y1 true KR200486489Y1 (ko) 2018-05-25

Family

ID=6048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633U KR200486489Y1 (ko) 2016-05-16 2016-05-16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4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593B1 (ko) * 2019-04-18 2020-06-26 장성혁 신체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761B2 (ja) * 1989-08-21 2001-03-05 ザ・ビーオーシー・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二酸化炭素含有供給物から実質的に純粋な二酸化炭素を製造するプロセス
KR200281785Y1 (ko) * 2002-03-07 2002-07-13 박금례 목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0835U (ko) * 1985-10-28 1988-10-20
JP3140761U (ja) * 2008-01-28 2008-04-10 ▲しず▼夫 田中 指圧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761B2 (ja) * 1989-08-21 2001-03-05 ザ・ビーオーシー・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二酸化炭素含有供給物から実質的に純粋な二酸化炭素を製造するプロセス
KR200281785Y1 (ko) * 2002-03-07 2002-07-13 박금례 목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68U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7324B2 (en) Therapeutic ball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CN105563469A (zh) 一种可调式六自由度人体头部按摩保健机器人
KR200446800Y1 (ko) 기능성 수지 자석 지압구가 구비된 다용도 경침
CN103783913B (zh) 颈椎康复红外辐射振动按摩磁疗枕
KR200486489Y1 (ko) 지압볼이 구비된 기능성 목침
KR20170052453A (ko) 복부마사지기
KR200486384Y1 (ko) 마사지 기구
CN108853725B (zh) 能对头、颈及肩部施行电疗按摩的装置
CN205411413U (zh) 一种腰椎矫正治疗仪
CN203447490U (zh) 多种按摩头深层次肌肉按摩器
KR200401869Y1 (ko) 경락 경혈 지압구
KR101717962B1 (ko) 림프관 및 노폐물 배설촉진용 공기압파동 연질 마사지봉
CN203776539U (zh) 颈椎康复红外辐射振动按摩磁疗枕
CN202218963U (zh) 腰脊康复组合辊
KR200402733Y1 (ko) 진동 경락 경혈 지압구
KR20170006499A (ko) 경추 마사지용 지압기
JP3196604U (ja) 腰部保護織物
KR102581449B1 (ko)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목침
EP1824573B1 (en) Therapeutic ball
EP2735291B1 (de) Prothese oder Orthese
CN209033051U (zh) 一种应力可调的针灸针刀治疗椅
KR200261509Y1 (ko) 세라믹스 경추베개
CN209474769U (zh) 一种下肢骨牵引足踝部内外旋角度调节固定装置
KR100718647B1 (ko) 치료보조용 척추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