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18Y1 - Packing box - Google Patents

Packing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418Y1
KR200486418Y1 KR2020160004412U KR20160004412U KR200486418Y1 KR 200486418 Y1 KR200486418 Y1 KR 200486418Y1 KR 2020160004412 U KR2020160004412 U KR 2020160004412U KR 20160004412 U KR20160004412 U KR 20160004412U KR 200486418 Y1 KR200486418 Y1 KR 200486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fold line
folded
forming pa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41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0385U (en
Inventor
이경재
최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60004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418Y1/en
Publication of KR201800003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8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41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커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포장상자로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 각각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또는 상기 덮개부의 덮개면을 형성하는 팔각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1측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서 한 쌍의 제1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형성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제1측변과 이격되며 마주하는 제2측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서 한 쌍의 제2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형성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제1측변과 상기 제2측변을 이어주는 제3측변 및 상기 제1측면형성부 양측변의 일 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서 4개의 제3측면을 형성하는 제3측면형성부; 및 상기 제1측면형성부 양측변의 일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측면형성부와 나란하도록 접히며 상호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ing box including a body portion and a cover portion that covers the body portion, wherein each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 octagonal base portion forming a part of the cover surface; A first side forming portion extending from a first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folded to form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portion; A second side forming portion extending from a second side facing away from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folded to form an angle with the base portion to form a pair of second side faces; A third lateral side joining the first lateral side and the second lateral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lateral side forming portion and being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portion to form four third lateral sides A third side forming part; And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an area extending from one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side forming portion and being fold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side forming portion.

Description

포장상자{Packing box}Packing box {Packing box}

본 고안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에 상품을 수납하도록 제조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box manufactured to store a product in an internal space.

일반적으로 포장상자는 상품의 보호와 더불어 취급 및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상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플라스틱, 종이, 금속판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중공의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전면, 후면, 다수의 측면 및 저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general, the packaging box is used to protect the merchandise as well a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handling and transportation. The packaging box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paper, metal plate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and may be formed of a front, a rear,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d a bottom surface so as to form a hollow square shape.

최근 포장상자는 상품의 가치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시각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관심을 유발하도록 포장상자에 수납되는 내용물에 따라 포장상자의 형상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및 다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해 본체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Recently, the packaging box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shape of the packaging box forms a rectangular shape, a square shape, and a polygonal shape according to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ckaging box so as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product and to attract the consumer in the visual aspect. Or a lid part for covering the main body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이러한 포장상자는 접이부의 결합 부분 간에 걸림 현상이 발생되고, 결합 부분 간에 결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결합 부분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접이부의 결합 부분에 접착제를 사용함에 의해 제조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such a packaging box, a hooking phenomenon is generat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fold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s are widened because the engaging portions are not engaged well. In addition, the use of an adhesive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olding por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increas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상자가 내측접이선, 외측접이선 및 절취선을 따라 접혀짐에 의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aging box which is folded along an inner folding line, an outer folding line and a perforated line to assemble more firmly without using an adhesi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aging box which can be used as a packaging material.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커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포장상자로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 각각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또는 상기 덮개부의 덮개면을 형성하는 팔각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1측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서 한 쌍의 제1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형성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제1측변과 이격되며 마주하는 제2측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서 한 쌍의 제2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형성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제1측변과 상기 제2측변을 이어주는 제3측변 및 상기 제1측면형성부 양측변의 일 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서 4개의 제3측면을 형성하는 제3측면형성부; 및 상기 제1측면형성부 양측변의 일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측면형성부와 나란하도록 접히며 상호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ing box including a body portion and a cover portion that covers the body portion, wherein each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 octagonal base portion forming a part of the cover surface; A first side forming portion extending from a first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folded to form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portion; A second side forming portion extending from a second side facing away from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folded to form an angle with the base portion to form a pair of second side faces; A third lateral side joining the first lateral side and the second lateral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lateral side forming portion and being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portion to form four third lateral sides A third side forming part; And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an area extending from one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side forming portion and being fold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side forming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제1측변 및 제2측변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lateral side and the second lateral side of the base portion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측면형성부, 상기 제2측면형성부 및 상기 제3측면형성부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수직하게 형성되거나,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and 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se portion in the folded state, or may be inclined at an obtuse angle.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측면형성부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와 구획되는 제1외측면, 상기 제1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제1외측면과 구획되는 제1이격면, 및 상기 제1이격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제1이격면과 구획되는 제1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outer surface that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base portion in an unfolded state and is partitioned from the base portion by an inner fold line, and a second outer surface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A first spacing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by an inner fold line and a second spacing that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first spacing, Sid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측면형성부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외측면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내측면은 상기 제1이격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외측면은 상기 제1내측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is widened in width as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is further away from the base portion in a deployed state, and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is distant from the first spacing surface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측면형성부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외측면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이격면이 상기 제1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나란한 이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내측면이 상기 제1이격면으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in a folded state,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is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base portion to form an outer surface, and the first spacing surface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is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first spaced surface to form an inner sid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측면형성부에는, 전개 상태에서 제1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1내측면과 구획되는 제1지지면이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in the deployed state, and the first support surfac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by an outer fold line.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면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 surface may be outwardly folded along the outer fold line from the first inner side in a folded state, and may be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1내측면과 상기 제1지지면의 경계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제1측변에 위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and the first support surface may be located at a first side of the base portion in a folded state.

구체적으로, 상기 제2측면형성부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와 구획되는 제2외측면, 상기 제2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제2외측면과 구획되는 제2이격면, 및 상기 제2이격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제2이격면과 구획되는 제2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outer surface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base portion in the deployed state and partitioned by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base portion, and a second outer surface extending outward from the second outer surface And a second spacing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second spacing and defined by an inner fold line and a second spacing defined by an inner fold line, Sid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제2측면형성부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2외측면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내측면은 상기 제1이격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외측면은 상기 제2내측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becomes wider as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is further away from the base portion in a deployed state,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is distant from the first spacing surface And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제2측면형성부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외측면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이격면이 상기 제2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나란한 이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내측면이 상기 제2이격면으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folded state,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forms an outer side surface by folding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from the base portion along the inner folding line, and the second spacing surface is formed from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is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second spaced surface to form an inner sid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제2측면형성부에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2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2내측면과 구획되는 제2지지면이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supporting surface that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in the deployed state, and is partitioned from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by an outer fold line.

구체적으로, 상기 제2지지면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upport surface may be outwardly folded along the outer fold line from the second inner side in a folded state, and may be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2내측면과 상기 제2지지면의 경계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제2측변에 위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may be located at the second side of the base portion in a folded state.

구체적으로, 상기 제2측면형성부에는, 전개 상태에서 하나의 상기 제1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1내측면과 구획되는 가림면을 포함하는 가림면형성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includes a shielding surface forming portion, which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one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s in the deployed state and includes a shielding surface which is partitioned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by an outer folding line Can be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가림면형성부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가림면이 상기 제1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겹쳐지는 가림면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folded state, the shielding surface forming portion can form a shielding surface which is folded outward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along the outer folding line to overlap the base portion in a folded state.

구체적으로, 상기 가림면은,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외측면과 마주하는 일측변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를 더 포함하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면과 상기 제1지지면의 경계에 인접한 상기 제1내측면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절개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ielding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itt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one side facing the first outer side face in the deployed state, and in the folded state,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inner side face and the first supporting face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 cutou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able protrusion so that the fittable protrusion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cutout.

구체적으로, 상기 제3측면형성부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와 구획되는 제3외측면, 및 상기 제1외측면의 양측변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제1외측면과 구획되는 제3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may include a third outer surface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base portion in an unfolded state, the third outer surface being partitioned from the base portion by an inner fold line, and a second outer surface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outer surface And a third inner side surface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by an outer fold line.

구체적으로, 상기 제3측면형성부는,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side form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제3외측면은,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외측면 및 상기 제2외측면을 향하는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연장면이 형성되며, 접힌 상태에서 상기 연장면은 제1외측면과 제1내측면 사이 및 제2외측면과 제2내측면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outer surface is formed with an extended surface extending from both sides toward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and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in the expanded state, and in the folded state, the extended surface has a first outer side surface and a first Respectively, and between the second outer surface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제3측면형성부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3외측면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3내측면이 상기 제1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is formed by folding the third outer side surface from the base portion along the inner fold line in the folded state to form the outer side surface, and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is formed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And may be folded outward along the outer fold line to form an inner sid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제3측면형성부에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3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3내측면과 구획되는 제3지지면이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a third support surface which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in an unfolded state, and is partitione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by an outer fold line.

구체적으로, 상기 제3지지면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3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support surface may be folded outwar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along the outer fold line in a folded state, and may be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3내측면과 상기 제3지지면의 경계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제3측변에 위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undary between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and the third support surface may be located at the third side of the base portion in a folded state.

구체적으로, 상기 제3내측면에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3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3내측면과 구획되는 체결면을 포함하는 체결부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on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a fastening portion including a fastening surface which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in the deployed state and which is partitione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by the outer folding line may be connected.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면의 일 영역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로부터 연장된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cut-out portion formed in one region of the fastening surface and extending from the cut-out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3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상기 제2외측면과 상기 제2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 다른 상기 제3내측면에 연결된 상기 체결부의 상기 절결부 및 상기 절취선이 체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astening portion is folded outwar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along the outer fold line in a folded state,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And the cutout portion and the perforated line of the fastening portion can be fastened.

구체적으로, 상기 포장상자의 내측에는, 중간트레이부 및 상품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side of the packaging box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tray portion and a commodity receiving portion.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는, 내측접이선, 외측접이선 및 절취선을 따라 접혀짐에 의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음으로써, 제조공정 및 제조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The pack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more firmly without using the adhesive by folding along the inner fold line, the outer fold line and the perforated line,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manufacturing time can be reduc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본체부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덮개부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중간트레이부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상품안착부의 전개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결합공정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14 및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외면에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packaging box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 lid portion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n intermediate tray portion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a goods receiving portion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6 to 12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view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fixing member on the outer surface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are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본체부의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덮개부의 전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main body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 lid portion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는 덮개부(100a) 및 본체부(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장상자(1)는 접힌 상태에서 덮개부(100a)가 본체부(100b)의 상부에서 결합되면서 본체부(100b)의 개방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덮개부(100a) 및 본체부(100b)가 맞닿는 면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각각의 둘레부가 접촉되며 결합될 수 있다.1 to 3, the packaging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portion 100a and a body portion 100b. At this time, the packaging box 1 can cover the open area of the main body 100b while the cover 100a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main body 100b in a folded state. At this time, the surfaces of the cover portion 100a and the main body portion 100b abutted with each other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so that the peripheries of the cover portion 100a and the body portion 100b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러한 포장상자(1)는 덮개부(100a) 및 본체부(100b)가 구획되도록 포장상자(1)의 내측으로 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내측접이선(20), 외측으로 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측접이선(30) 및 절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취선(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덮개부(100a) 및 본체부(100b)는 내측접이선(20) 및 외측접이선(30)에 의해 다양하게 접히면서 포장상자(1)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ckaging box 1 includes an inner folding line 20 formed to be foldable inward of the packaging box 1 so that the lid portion 100a and the main body portion 100b are partitioned, A line 30 and a perforated line 10 that can be cut can be provided. The lid portion 100a and the main body portion 100b can be configured to form the shape of the packaging box 1 by variously folding the inner fold line 20 and the outer fold line 30. [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먼저 덮개부(100a)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덮개부(100b)는 팔각형의 베이스부(150), 제1측면형성부(110), 제2측면형성부(120), 제3측면형성부(130) 및 체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the lid 100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lid portion 100b may include an octagonal base portion 150, a first side forming portion 110, a second side forming portion 120, a third side forming portion 130, and a fastening portion 140 have.

먼저, 베이스부(150)는 포장상자(1)의 덮개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평평한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베이스부(150)는 팔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측면형성부(110)는 베이스부(150)의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측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측면형성부(120)는 베이스부(150)의 일측변과 인접한 한 쌍의 제2측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50)의 제1측변과 제2측변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측변형성부(130)는 제1측변과 제2측변을 이어주는 제3측변 및 제1측면형성부(110) 양측변의 일 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base part 150 forms a cover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1, and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t this time, the base part 150 may be formed in an octagonal shape.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art 110 may extend from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facing the base part 15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art 120 may exten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150 And a pair of second lateral sides adjacent to the first lateral side. Here,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base part 150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third side deformable portion 130 may extend from a third side edge connecting the first side edge to the second side edge and a second side edge of the first side edge forming portion 110, respectively.

이와 같이, 제1측면형성부(110), 제2측면형성부(120) 및 측면연결부(130)는 베이스부(15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접힌 상태에서 덮개부(100a)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팔각형으로 형성된 베이스부(150)의 한 쌍의 제1측변에 제1측면형성부(110)가 형성되고, 베이스부(150)의 한 쌍의 제2측변에 제2측면형성부(120)가 형성되며, 베이스부(150)의 4개의 제3측변에 제3측면형성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덮개부(100a)의 둘레에는 제1측면형성부(110), 제2측면형성부(120) 및 제3측면형성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50)가 팔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art 110,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art 120 and the side connecting part 130 are formed to exte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part 150, Thereby forming a side surface. That is, a first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110 is formed on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of an octagonal base portion 150, and a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120 (not shown) is formed on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150 And 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art 130 may be formed on the four third side surfaces of the base part 150. [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110,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120, and 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130 may be provided around the lid portion 100a in the folded state.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150 is formed as an octag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베이스부(150)의 제1측면형성부(110)는 제1외측면(111), 제1이격면(112) 및 제1내측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외측면(111)은 전개 상태에서 베이스부(1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측접이선에 의해 베이스부(150)와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격면(112)은 전개 상태에서 제1외측면(11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측접이선에 의해 제1외측면(111)과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제1내측면(113)은 전개 상태에서 제1이격면(11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측접이선에 의해 제1이격면(112)과 구획될 수 있다.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110 of the base portion 150 may include a first outer surface 111, a first spacing surface 112 and a first inner surface 113.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base portion 150 in an unfolded state and may be partitioned from the base portion 150 by an inner fold line. The first spacing surface 112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111 in an unfolded state and may be partitioned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111 by an inner fold line.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first spacing surface 112 in the deployed state and can be partitioned from the first spacing surface 112 by an inner folding line.

이때, 제1측면형성부(110)는 전개 상태에서 제1외측면(111)이 베이스부(15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내측면(113)은 제1이격면(112)을 기준으로 제1외측면(111)과 대칭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접은 상태에서 다른 부분들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포장상자(1)의 내측면으로 형성되는 제1내측면(113)이 제1외측면(111)보다 다소 작게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art 110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is gradually widened as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is further away from the base part 150 in an expanded state. The first inner surface 113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symmetrical to the first outer surface 111 with respect to the first spacing surface 112. However,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other parts in the folded state,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formed by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1 may be provided somewhat smaller than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이러한 제1측면형성부(110)는 전개 상태에서 제1내측면(113)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1지지면(114)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지지면(114)은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1내측면(113)과 구획될 수 있다.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ar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114 so as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in an unfolded state and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114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ide folding line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can be partitioned.

덮개부(100a)의 제2측면형성부(120)는 제2외측면(121), 제2이격면(122) 및 제2내측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전개 상태에서 제2외측면(121)은 베이스부(1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측접이선에 의해 베이스부(150)와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격면(122)은 제2외측면(12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측접이선에 의해 제2외측면(121)과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제2내측면(123)은 제2이격면(12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측접이선에 의해 제2이격면(122)과 구획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120 of the lid portion 100a may include a second outer surface 121, a second spacing surface 122 and a second inner surface 123.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base portion 150 and can be partitioned from the base portion 150 by an inner fold line. The second spacing surface 122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second outer surface 121 and can be partitioned from the second outer surface 121 by an inner fold line.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second spacing surface 122 and can be partitioned from the second spacing surface 122 by an inner folding line.

이때, 제2측면형성부(120)는 전개 상태에서 제2외측면(121)이 베이스부(15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내측면(123)은 제2이격면(122)을 기준으로 제2외측면(121)과 대칭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접은 상태에서 다른 부분들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포장상자(1)의 내측면으로 형성되는 제2내측면(123)이 제2외측면(121)보다 다소 작게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is gradually widened as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is further away from the base portion 150 in its deployed state.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symmetrical with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with respect to the second spaced surface 122. However,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other parts in the folded state,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formed by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1 may be provided somewhat smaller than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

이러한 제2측면형성부(120)는 전개 상태에서 제2내측면(123)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2지지면(124)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지지면(124)은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2내측면(123)과 구획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ar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124 so as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in the unfolded state and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124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ide fold line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can be partitioned.

그리고, 덮개부(100a)의 제3측면형성부(130)는 접힌 상태에서의 내측면과 외측면이 이어지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3측면형성부(130)는 제3외측면(131) 및 제3내측면(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전개 상태에서 제3외측면(131)은 베이스부(1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측접이선에 의해 베이스부(150)와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전개 상태에서 제3내측면(133)은 제1외측면(111)의 양측변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게 형성되어,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1외측면(111)과 구획될 수 있다.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art 130 of the lid part 100a may not be formed so as to connect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in a folded state. That is, 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art 130 may include a third outer side surface 131 and a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In the deployed state, the third outer side surface 131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base portion 150, and can be partitioned from the base portion 150 by an inner fold line. In the expanded state,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and can be partitioned from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by an outer fold line.

이때, 제3외측면(131) 및 제3 내측면(133)은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150)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이등변 삼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전개 상태에서 제3외측면(131)은 제1외측면(111) 및 제2외측면(121)을 향하는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연장면(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면(132)은 제3외측면(131)과 제1외측면(111) 사이, 및 제3외측면(131)과 제2외측면(121) 사이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면(132)과 제1외측면(111)이 맞닿는 선 및 제3외측면(131)과 제2외측면(121)이 맞닿는 선은 절취선(10)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outer side surface 131 and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may be formed in a triangle shape, and may be an isosceles triangle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50. In the expanded state, the third outer side surface 131 may be formed with the extending surface 132 from both sides toward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and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respectively. The extended surface 132 may be formed to fill between the third outer surface 131 and the first outer surface 111 and between the third outer surface 131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121. A line connecting the extension surface 132 and the first outer surface 111 and a line connecting the third outer surface 131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121 may be formed as a perforated line 10.

이러한 제3측면형성부(130)는 전개 상태에서 제3내측면(133)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3지지면(134)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3지지면(134)은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3내측면(133)과 구획될 수 있다.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ar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supporting surface 134 so as to extend outwar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while the third supporting surface 134 is connected to the outer side fold line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can be partitioned.

또한, 제3내측면(133)에는 전개 상태에서 제3내측면(133)으로부터 외측으로 체결부(140)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40)는 베이스부(150)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제3내측면(133)에 연결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140 may exten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to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in an expanded state. The fastening portion 14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50.

이때, 체결부(140)는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3내측면(133)과 구획되는 체결면(1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면(141)에는 일 영역이 제거된 절결부(1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절결부(142) 끝단으로부터 체결면(141) 내측으로 절취선(143)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결부(142) 및 절취선(143)은 전개 상태에서 베이스부(150)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40 may include a fastening surface 141 that is separate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by an outer folding line and the fastening surface 141 may have a cutout part 142, And a perforated line 143 can be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cutout portion 142 to the inside of the fastening surface 141. Here, the notch portion 142 and the perforated line 143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50 in the unfolded state.

도 3에 도시된 포장박스(1)의 본체부(100b)는 앞서 설명한 덮개부(100a)와 다른 구성은 동일하되, 전개 상태에서 제1측면형성부(11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된 제1지지면(114)을 대신하여, 가림면형성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림면형성부(160)는 포장박스(1)가 다 접힌 후 본체부(100b)의 바닥면에 위치된 제1지지면(114), 제2지지면(124) 및 제3지지면(134)를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The main body 100b of the packaging box 1 shown in FIG. 3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lid 100a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first side Instead of the surface 114, a shielding surface forming portion 160 may be formed. The shielding surface forming portion 160 is formed with a first supporting surface 114, a second supporting surface 124, and a third supporting surface (not shown)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b after the package box 1 is folded 134).

가림면형성부(160)는 전개 상태에서 제1내측면(11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1내측면(113)과 구획되는 가림면(16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림면형성부(160)는 전개 상태에서 제1외측면(111)과 마주하는 가림면(161)의 일측변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부(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ielding surface forming part 160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in the deployed state and include a shielding surface 161 which is partitioned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by an outer folding line can do. The shielding surface forming portion 16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itting portion 162 projecting from one side of the shielding surface 161 facing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in the deployed state.

또한, 포장박스(1)가 접힌 상태에서 제1내측면(113)과 제1지지면(114)의 경계에 인접한 제1내측면(113)에는 끼움부(162)와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부(11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힌 상태에서 포장박스(1)의 절개부(113a)에 끼움부(162)가 삽입되며 가림면형성부(160)가 베이스부(150)의 내면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adjacent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and the first support surface 114 in the folded state of the packaging box 1 is provided with a cut- (113a). Accordingly, in the folded state, the fitting portion 162 is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113a of the packaging box 1, and the blocking surface forming portion 160 can be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50 and fixed.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중간트레이부의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상품안착부의 전개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view of an intermediate tray portion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a product placement portion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간트레이부(170)는 중앙에 베이스부중첩면(171), 베이스부중첩면(171)의 양측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4내측면(172), 및 각 제4내측면(172)의 양측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4외측면(173)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includes a base portion overlapping surface 171, a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overlapping surface 171, And a fourth outer side surface 173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both sides of each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

여기서, 제4내측면(172)은 베이스부중첩면(171)과 내측접이선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제4외측면(173)은 제4내측면(172)과 외측접이선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중첩면(171)은 베이스부(150)와 동일한 팔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내측면(172)과 제4외측면(173)은 그 사이에 위치된 외측접이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can be partitioned by the base overlapping surface 171 and the inner fold line and the fourth outer side surface 173 can be partitioned by the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and the outer fold line. . The base portion overlapping surface 171 may be formed in the same octagon as the base portion 150. In addition, the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and the fourth outer side surface 173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uter fold line located therebetween.

이러한 중간트레이부(170)는 제4내측면(172)이 베이스부중첩면(171)으로부터 내측 접이되고, 제4외측면(173)이 제4내측면(172)으로부터 외측 접이되어 포장상자(1)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4외측면(173)에는 제4내측면(172)과 외측 접이되어 맞닿는 일측변에 제4지지면(17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트레이부(170)는, 접힌 상태에서 베이스부중첩면(171)이 본체부(100b)의 베이스부(150) 내측에 안착되고, 제4내측면(172) 및 제4외측면(173)이 덮개부(100a)의 제1내측면(113)과 본체부(100b)의 제1내측면(113)에 접촉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is folded inward from the base portion overlapping surface 171 and the fourth outer side surface 173 is folded outward from the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1). At this time, a fourth supporting surface 17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ourth outer side surface 17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so as to be outwardly folded. In the folded state, the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is seated in the base portion 150 of the main body portion 100b and the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and the fourth outer side surface 173 Can be seated so as to contact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of the lid portion 100a and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of the main body portion 100b.

이때, 덮개부(100a)의 제1내측면(113)과 접촉되는 중간트레이부(170)의 제4내측면(172)의 측변의 길이(d1)는 본체부(100b)의 제1내측면(113)과 접촉되는 중간트레이부(170)의 제4내측면(172)의 측변의 길이(d2)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d1 of the side surface of the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of the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of the lid portion 100a is smaller than the length d1 of the side surface of the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of the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D2) of the side surface of the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of the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surface 113 of the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

또한, 도 5의 상품안착부(180)는 안착홈(182)이 형성된 안착면(181)과, 안착면(181)으로부터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지지면(183) 및 제6지지면(18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안착부(180)는 중간트레이부(170) 안착 후 본체부(100b)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제5지지면(183)은 본체부(100b)의 제2내측면(123)과 접촉되고, 제6지지면(184)은 본체부(100b)의 제1내측면(113)과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5 includes a seating surface 181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182 and a fifth supporting surface 183 extending from the seating surface 181 in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sixth support surface 184. The fifth mounting surface 183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b of the main body portion 100b and the third mounting surface 180b may b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b after the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is seated. And the sixth support surface 184 may be positioned to contact the first inner surface 113 of the body portion 100b.

이에 의해 본체부(100b) 내측에 중간트레이부(170) 및 상품안착부(180)가 안착된 후, 본체부(100b) 상부에서 덮개부(100a)를 결합할 시, 중간트레이부(170)의 제4내측면(172) 및 제4외측면(173)에 의해 덮개부(100a)가 고정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and the goods receiving portion 180 are seated in the main body portion 100b and then the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is opened when the lid portion 100a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100b. The lid portion 100a can be fixed by the fourth inner side surface 172 and the fourth outer side surface 173 of the cover portion 100a.

도 6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결합공정도이다.FIGS. 6 to 12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의 덮개부(100a) 및 본체부(100b)를 접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덮개부(100a)는 본체부(100b)에 비하여 가림면형성부(160)만을 더 포함하므로, 이에 대하여는 도 10에서 설명하고, 이하에서는 주로 본체부(100b)의 접는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덮개부(100a)의 외측면에는 각 구성이 결합되는 형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덮개부(100a)를 뒤집은 상태로 덮개부(100a)의 내측면이 보이도록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6 to 12, a process of folding the lid 100a and the main body 100b of the packaging box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 the lid 100a further includes only the covering surface forming portion 160 as compared with the main body 100b.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Hereinafter, the folding process of the main body 100b will be mainly described.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100a does not show a shape in which the respective components are combined,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100a is seen in a state in which the lid 100a is turned upside down for explanatory convenience.

포장상자(1)는 상품이 수납되는 본체부(100b) 및 포장상자(1)의 덮개가 되는 덮개부(100a)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00b)는 베이스부(150)의 마주하는 제1측면에 구비된 한 쌍의 제1측면형성부(110)와, 베이스부(150)의 마주하는 제2측면에 구비된 한 쌍의 제2측면형성부(120), 베이스부(150)의 제3측면에 구비된 4개의 제3측면형성부(130), 및 체결부(140)가 절취선(10), 내측접이선(20) 및 외측접이선(30)에 의해 베이스부(15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접이되어 본체부(100b)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측면형성부(110), 제2측면형성부(120) 및 제3측면형성부(130)는 접힌 상태에서 베이스부(150)의 내측과 수직하거나,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ackaging box 1 may be composed of a main body 100b for storing goods and a lid 100a for covering the packaging box 1. [ The main body portion 100b includes a pair of first side surface forming portions 110 provided on a first facing side of the base portion 150 and a pair of first side surface forming portions 110 provided on a second facing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50 The fourth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130 and the fastening portion 140 provided on the third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50 are connected to the perforated line 10 and the inner side fold line 20 and the outer fold line 30 to form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b by being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periphery of the base portion 150. [ At this time,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art 110,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art 120 and 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art 130 may b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inside of the base part 150 in the folded state, have.

보다 상세하게,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1측면형성부(110)는 제1외측면(111)이 베이스부(150)로부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외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격면(112)이 제1외측면(111)으로부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베이스부(150)와 나란한 이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내측면(113)이 제1이격면(112)으로부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6,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of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ortion 110 may be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base portion 150 to form an outer surface. The first spacing surface 112 may be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111 to form a spaced-apart surface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150. In additio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may be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first spacing surface 112 to form an inner side surface.

상기와 같이 제1이격면(112)에 의해 상부 측의 제1외측면(111)과 제1내측면(113) 사이는 이격될 수 있으며, 제1내측면(113)과 제1지지면(114)의 경계는 베이스부(150)의 제1측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하부 측의 제1외측면(111)과 제1내측면(113) 사이에는 공간 없이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면(114)은 제1내측면(113)으로부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베이스부(150)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and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spacing surface 112 and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and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114 may be located at the first side of the base portion 150. [ That is,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and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of the lower side can be closely contacted without space. The first support surface 114 may be outwardly folded along the outer fold line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and may be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50.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부(140)가 제3내측면(133)으로부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서로 다른 제3내측면(133)에 연결된 체결부(140)의 절결부(142) 및 절취선(143)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40)는 제2측면형성부(120)와 나란하도록 접힐 수 있다.7, the fastening part 140 is folded outwardly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along the outer folding line so that the fastening part 140 of the fastening part 140, which is connected to the different third inner side surfaces 133, The joint 142 and the tear line 143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astening portion 140 may be folded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side forming portion 120.

그리고 나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측면형성부(120)가 체결부(140)를 감싸도록 접이될 수 있다. 즉, 제2측면형성부(120)는 제2외측면(121)이 베이스부(150)로부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외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격면(122)이 제2외측면(121)으로부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베이스부(150)와 나란한 이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내측면(123)이 제2이격면(122)으로부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second side forming portion 120 may be folded to enclose the fastening portion 140. That is,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of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art 120 may be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base part 150 to form an outer surface. The second spacing surface 122 may be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second outer surface 121 to form a spaced-apart surface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150. In addition,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may be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second spacing surface 122 to form an inner side surface.

상기와 같이 제2이격면(122)에 의해 상부 측의 제2외측면(121)과 제2내측면(123) 사이는 이격될 수 있으며, 제2내측면(123)과 제2지지면(124)의 경계는 베이스부(150)의 제2측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하부 측의 제2외측면(121)과 제2내측면(123) 사이에는 공간 없이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면(124)은 제2내측면(123)으로부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베이스부(150)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second spacing surface 122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and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124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side of the base portion 150. [ That is, between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on the lower side. The second support surface 124 may be outwardly folded along the outer fold line from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and may be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50.

도 10은 덮개부(100a)에서 가림면형성부(160)가 베이스부(150)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림면(161)이 제1내측면(113)으로부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베이스부(150)에 가림면(161)이 겹쳐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림면형성부(160)의 끼움부(162)는 제1내측면(113)의 절개부(113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체부(100b)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0b)측에 중간트레이부(170) 및 상품안착부(180)가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2와 같이, 덮개부(100a)가 본체부(100b) 상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ielding surface forming portion 160 is seated on the base portion 150 in the lid portion 100a and the shielding surface 161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along the outer fold line So that the shielding surface 161 can be overlapped with the base portion 150. At this time, the fitting portion 162 of the shielding surface forming portion 160 can be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113a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and fixed. As shown in FIG. 11, the main body 100b thus assembled can be seated with the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and the goods receiving portion 180 sequentially on the main body 100b side. Then, as shown in Fig. 12, the cover portion 100a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00b.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전개도이고, 도 14 및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외면에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3 is an exploded view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4 and 1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fixing member on an outer surface of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체부(100b)와 덮개부(100a)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90)는 본체부(100b)와 덮개부(100a)의 베이스부(150) 외측과, 제2측면형성부(120)의 외측을 감싸며, 본체부(100b)와 덮개부(100a) 간을 고정시킬 수 있다.13 to 15, in a state where the body portion 100b and the lid portion 100a are engaged, the fixing member 190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base portion 150 of the body portion 100b and the lid portion 100a And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art 120, and can fix the body part 100b and the lid part 100a.

이때, 고정부재(190)는 본체부(100b)의 베이스부(150) 외측과 맞닿는 제1고정면(191)과, 제1고정면(191)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본체부(100b) 및 덮개부(100a)의 제2측면형성부(120)의 외측과 맞닿는 제2고정면(192) 및 제3고정면(193)과, 제3고정면(19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덮개부(100b)의 베이스부(150) 외측과 맞닿는 제4고정면(19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90)는 제2고정면(192)으로부터 연장된 접착면(195)을 포함하여, 접착면(195)이 제4고정면(192)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90 includes a first fixing surface 191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base portion 150 of the main body portion 100b and a second fixing surface 191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fixing surface 191, A second fixing surface 192 and a third fixing surface 193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second side forming portion 120 of the lid portion 100a and a third fixing surface 193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third fixing surface 193, And a fourth securing surface 194 that abuts the outer side of the base portion 150 of the base 100b. The fixing member 190 may include an adhesive surface 195 extending from the second fixing surface 192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195 may be adhered to the fourth fixing surface 192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이와 같이, 고정부재(190)가 본체부(100b)와 덮개부(100a)의 외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본체부(100b)와 덮개부(100a)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90 is formed so as to enclose the main body 100b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100a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ody 100b and the lid 100a can be further strengthened.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such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insofar as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 포장상자 10 : 절취선
20 : 내측접이선 30 : 외측접이선
100a : 덮개부 100b : 본체부
110 : 제1측면형성부 111 : 제1외측면
112 : 제1이격면 113 : 제1내측면
113a : 절개부 114 : 제1지지면
115 : 돌출부 120 : 제2측면형성부
121 : 제2외측면 122 : 제2이격면
123 : 제2내측면 124 : 제2지지면
130 : 제3측면형성부 131 : 제3외측면
132 : 연장면 133 : 제3내측면
134 : 제3지지면 140 : 체결부
141 : 체결면 142 : 절결부
143 : 절취선 150 : 베이스부
160 : 가림면형성부 161 : 가림면
162 : 끼움돌기
1: packing box 10: perforated line
20: Inner fold line 30: Outside fold line
100a: lid part 100b:
110: first side forming part 111: first outside side
112: first spacing surface 113: first inner surface
113a: incision section 114: first supporting surface
115: protruding portion 120: second side forming portion
121: second outer surface 122: second spaced surface
123: second inner side surface 124: second supporting surface
130: third side forming part 131: third outside side
132: extension surface 133: third inner surface
134: third supporting surface 140: fastening part
141: fastening surface 142:
143: Perforation line 150: Base portion
160: shielding surface forming portion 161: shielding surface
162:

Claims (29)

본체부(100b) 및 상기 본체부(100b)를 커버하는 덮개부(100a)를 포함하는 포장상자(1)로서,
상기 본체부(100b) 및 상기 덮개부(100a) 각각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b)의 바닥면 또는 상기 덮개부(100a)의 덮개면을 형성하는 팔각형의 베이스부(150);
상기 베이스부(150)의 마주하는 제1측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150)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서 한 쌍의 제1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형성부(110);
상기 베이스부(150)의 상기 제1측변과 이격되며 마주하는 제2측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150)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서 한 쌍의 제2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형성부(120);
상기 베이스부(150)의 상기 제1측변과 상기 제2측변을 이어주는 제3측변 및 상기 제1측면형성부(110) 양측변의 일 영역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150)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서 4개의 제3측면을 형성하는 제3측면형성부(130); 및
상기 제1측면형성부(110) 양측변의 일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측면형성부(120)와 나란하도록 접히며 상호 체결되는 체결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형성부(110)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50)와 구획되는 제1외측면(111),
상기 제1외측면(11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제1외측면(111)과 구획되는 제1이격면(112), 및
상기 제1이격면(11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제1이격면(112)과 구획되는 제1내측면(113)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형성부(120)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50)와 구획되는 제2외측면(121),
상기 제2외측면(12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제2외측면(121)과 구획되는 제2이격면(122), 및
상기 제2이격면(12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제2이격면(122)과 구획되는 제2내측면(123)을 포함하고,
상기 제3측면형성부(130)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50)와 구획되는 제3외측면(131), 및
상기 제1외측면(111)의 양측변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제1외측면(111)과 구획되는 제3내측면(133)을 포함하며,
상기 제3외측면(131)은,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외측면(111) 및 상기 제2외측면(121)을 향하는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연장면(132)이 형성되며, 접힌 상태에서 상기 연장면(132)은 제1외측면(111)과 제1내측면(113) 사이 및 제2외측면(121)과 제2내측면(123) 사이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3측면형성부(130)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3외측면(131)이 상기 베이스부(150)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3내측면(133)이 상기 제1내측면(113)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내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1측면형성부(110) 및 상기 제2측면형성부(120)의 사이에서 상기 제3측면형성부(130)가 평평한 삼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A packaging box (1) comprising a main body part (100b) and a lid part (100a) covering the main body part (100b)
Each of the main body portion 100b and the lid portion 100a, in the folded state,
An octagonal base portion 150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b or a cov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00a;
A first side forming part 110 extending from a first side facing the base part 150 and folded to form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at an angle with the base part 150;
A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art extending from a second side facing away from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150 and folded to form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at an angle with the base part 150 120);
A third lateral side joining the first lateral side of the base part 150 to the second lateral side and a lateral side of the first lateral side forming part 110, A third side forming part 130 folded to form four third side faces; And
And a fastening part 140 extending outwardly from a reg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side forming part 110 and folded to be parallel with the second side forming part 120,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art 110 may include a first side surface-
A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base portion 150 in an unfolded state and partitioned by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base portion 150,
A first spacing surface 112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111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111 by an inner fold line,
And a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first spaced surface (112)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paced surface (112) by an inner folding line,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art 120 may be formed of a metal,
A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base portion 150 in an unfolded state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portion 150 by an inner fold line,
A second spacing surface 122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second outer surface 121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outer surface 121 by an inner fold line,
And a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second spaced surface (122)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spaced surface (122) by an inner fold line,
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art 130 may be formed,
A third outer side surface 131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base part 150 in an unfolded state and partitioned by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base part 150,
And a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by an outer fold line,
The third outer surface (131)
An extended surface 132 is formed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outer surface 111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121 in the expanded state and the extended surface 132 is formed in the first outer surface 111 and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and between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art 130 may be formed,
The third outer side surface 131 is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base portion 150 to form an outer side surface,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is outwardly folded along the outer fold line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to form an inner side surface,
Wherein the third side forming part (130) is provided in a flat triangular shape between the first side forming part (110) and the second side forming part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50)의 상기 제1측변 및 제2측변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base portion (150)
And are form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형성부(110), 상기 제2측면형성부(120) 및 상기 제3측면형성부(130)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50)와 수직하게 형성되거나,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art (110), the second side surface forming part (120) and the third side surface forming part (130)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se part (150) in a folded state, or formed to be inclined at an obtuse ang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형성부(110)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외측면(111)이 상기 베이스부(15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내측면(113)은 상기 제1이격면(1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외측면(111)은 상기 제1내측면(113)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ide forming part (110)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is formed in a trapezoid shape having a wider width as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is further away from the base portion 150 in a deployed state, Wherein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형성부(110)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외측면(111)이 상기 베이스부(150)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이격면(112)이 상기 제1외측면(111)으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150)와 나란한 이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내측면(113)이 상기 제1이격면(112)으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내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side forming portion (110)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is folded inwar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base portion 150 to form an outer side surface,
The first spacing surface 112 is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first outer surface 111 to form a spaced-apart surface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150,
Wherei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is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first spacing surface (112) to form an inner side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형성부(110)에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면(11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접이선에 의해 상기 제1내측면(113)과 구획되는 제1지지면(11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side surface forming part (110)
And a first supporting surface (114)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in an unfolded state and partitioned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by an outer folding line Box.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114)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면(113)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150)의 내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support surface (114)
Folded along the outer fold line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in a folded state, and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5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면(113)과 상기 제1지지면(114)의 경계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50)의 제1측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inner surface (113) and the first support surface (114)
And is loc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base portion (150) in a folded st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형성부(120)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2외측면(121)이 상기 베이스부(15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내측면(123)은 상기 제2이격면(1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외측면(121)은 상기 제2내측면(123)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ide forming portion (120)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is formed in a trapezoid shape having a wider width as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is moved away from the base portion 150 in a deployed state, Wherein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형성부(120)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외측면(121)이 상기 베이스부(150)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이격면(122)이 상기 제2외측면(121)으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150)와 나란한 이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내측면(123)이 상기 제2이격면(122)으로부터 상기 내측접이선을 따라 내측 접이되어 내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econd side forming portion (120)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is folded inwar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base portion 150 to form an outer side surface,
The second spacing surface 122 is folded inwar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second outer surface 121 to form a spaced-apart surface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150,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is inwardly folded along the inner fold line from the second spaced surface (122) to form an inner side surfa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형성부(120)에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2내측면(12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2내측면(123)과 구획되는 제2지지면(12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econd side forming part (120)
And a second supporting surface (124)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in an unfolded state and partitioned from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by an outer folding line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면(124)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내측면(123)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150)의 내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support surface (124)
Folded along the outer fold line from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in a folded state, and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5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측면(123)과 상기 제2지지면(124)의 경계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50)의 제2측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 boundary between the second inner surface (123)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124)
And is located at a second side of the base portion (150) in a folded st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형성부(120)에는,
전개 상태에서 하나의 상기 제1내측면(11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1내측면(113)과 구획되는 가림면(161)을 포함하는 가림면형성부(16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econd side forming part (120)
A shielding surface forming portion 160 (see FIG. 1) including a shielding surface 161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one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s 113 in the deployed state and partitioned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by an outer folding line ) Is further form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면형성부(160)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가림면(161)이 상기 제1내측면(113)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150)에 겹쳐지는 가림면(16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1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shielding surface forming part (160)
Wherein the shielding surface (161) folds outward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along the outer fold line in a folded state to form a shielding surface (161) overlapping the base portion (150) Box.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면(161)은,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1외측면(111)과 마주하는 일측변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162)를 더 포함하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면(113)과 제1지지면(114)의 경계에 인접한 상기 제1내측면(113)에는 상기 끼움돌기(162)와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부(113a)를 더 포함하여, 상기 끼움돌기(162)가 상기 절개부(113a)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1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shielding surface (16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fitting protrusion (162) protruding from one side facing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111) in an unfolded state, wherei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and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3 adjacent to the boundary of the insertion protrusion 162 further includes an incision 113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rotrusion 162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162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113a A packaging box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측면형성부(130)에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3내측면(13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3내측면(133)과 구획되는 제3지지면(13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side forming part (130)
Is connected to a third support surface (134) which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in an unfolded state and is partitione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by the outer fold line Box.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면(134)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3내측면(133)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상기 베이스부(150)의 내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4. The apparatus of claim 23, wherein the third support surface (134)
Folded along the outer fold line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in a folded state, and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5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내측면(133)과 상기 제3지지면(134)의 경계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50)의 제3측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boundary between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and the third support surface (134)
And is located on the third side of the base portion (150) in a fold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내측면(133)에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제3내측면(13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접이선에 의해 제3내측면(133)과 구획되는 체결면(141)을 포함하는 체결부(14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A fastening part 140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in an unfolded state and including a fastening surface 141 which is separated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by an outer folding line is connected Packing box characterized by.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체결면(141)의 일 영역에 절결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142)로부터 연장된 절취선(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7. The apparatus of claim 26,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140)
Wherein a cutout portion (142)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fastening surface (141) and a perforated line (143) extending from the cutout portion (14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40)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3내측면(133)으로부터 상기 외측접이선을 따라 외측 접이되어 상기 제2외측면(121)과 상기 제2내측면(123)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 다른 상기 제3내측면(133)에 연결된 상기 체결부(140)의 상기 절결부(142) 및 상기 절취선(143)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140)
Folded along the outer fold line from the third inner side surface (133) in a folded state and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121)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123) (142) and the tear line (143) of the fastening part (140) connected to the fastening part (133) are fast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1)의 내측에는,
중간트레이부(170) 및 상품안착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The packaging box (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side the packaging box (1)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tray portion (170) and a merchandise receiving portion (180).
KR2020160004412U 2016-07-29 2016-07-29 Packing box KR20048641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12U KR200486418Y1 (en) 2016-07-29 2016-07-29 Pack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12U KR200486418Y1 (en) 2016-07-29 2016-07-29 Packing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85U KR20180000385U (en) 2018-02-07
KR200486418Y1 true KR200486418Y1 (en) 2018-06-27

Family

ID=6128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412U KR200486418Y1 (en) 2016-07-29 2016-07-29 Packing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418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9820A (en) 2008-10-08 2010-04-22 Rengo Co Ltd Fixing material
JP3198418U (en) 2015-04-20 2015-07-02 昭 深井 Paper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4722A (en) * 1998-05-22 1999-12-07 Hiroo Ichikawa Tray
KR100930367B1 (en) * 2007-12-05 2009-12-08 나종수 Packing box
KR20100009220U (en) * 2009-03-11 2010-09-24 (주)초록피앤디 Keeping box for food
KR20120007939U (en) * 2011-05-12 2012-11-21 이성월 Packing bo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9820A (en) 2008-10-08 2010-04-22 Rengo Co Ltd Fixing material
JP3198418U (en) 2015-04-20 2015-07-02 昭 深井 Paper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85U (en)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4471U (en) packing box
KR100526830B1 (en) Packaging
TWM497637U (en) Package box
KR200486051Y1 (en) Packing box
KR20190104097A (en) Packaging case combined by interference
KR200486418Y1 (en) Packing box
JP6890961B2 (en) Blanks and cartons
JP2009023713A (en) Package box
US20070295794A1 (en) Curvilinear product package
KR20180000437U (en) Packing box
KR200491886Y1 (en) Packing paper box
KR101735937B1 (en) Packaging box
JP2015009884A (en) Packaging case
EP2189391A1 (en) Box, for instance for a BIB package, blank for such a box, and assembly of a box and an inner bag
JP6347661B2 (en) Packaging box with buffer function
KR20210019262A (en) 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KR20210000496A (en) 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KR101623971B1 (en) Folded Large Packing Box
JP3141543U (en) Assembled box
JP2003200967A (en) Packaging material for can
JP7378722B2 (en) Internal board and packaging box
KR20190001397U (en) Box for packing cake
JP2019026354A (en) Packing box
JP7144243B2 (en) Packaging tools and packaging boxes
JP4848570B2 (en) Packag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