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262A - 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 Google Patents

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262A
KR20210019262A KR1020190098224A KR20190098224A KR20210019262A KR 20210019262 A KR20210019262 A KR 20210019262A KR 1020190098224 A KR1020190098224 A KR 1020190098224A KR 20190098224 A KR20190098224 A KR 20190098224A KR 20210019262 A KR20210019262 A KR 2021001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wick
pair
hard wick
fol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윤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이상윤
이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이영훈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90098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262A/en
Publication of KR2021001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262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 B65D5/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 B65D5/32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and two further opposed body panels formed from two essentially plana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sides permanently secured to adjacent sides, with sid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by adhesive strips, or with sides held in place solely by rigidity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2External coverings o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이 상호 좁혀지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호 벌어짐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변환될 수 있게 형성된, 내함; 및 상기 바닥면이 부착되는 받침면과 상기 내함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과 겹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지지면을 갖는, 외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제1 하드심지 및 상기 제1 하드심지를 감싸는 내함 겉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드심지는,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기 위한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의 바깥쪽 면에 부착되는 제1날개부와, 상기 제2 측면의 안쪽 면으로 접혀져 상기 제2측면의 안쪽 면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보강 날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folding-type paper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orthogonal to the pair of first sides, and the one From a state in which the first side of the pair and the second side of the pair are erec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side of the pair is mutually narrowed, and the second side of the pair is mutually open, so that it can be converted into a folded state. Formed, inner box; And an enclosure having a support surface to which the bottom surface is attached, a cover surfac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box, and at least one side support surface overlapping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wherein the inner box is a first hard surface. It includes a wick and an inner outer covering that surrounds the first hard wick, and the first hard wick comprises a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for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and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s. A pair of second hard wicks that are orthogonal to the first hard wick side of the pair so as to form a pair of first hard wick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ard wick and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pair A first hard wick fold lin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hard wick side so that the first hard wick side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 A second hard wick fold lin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hard wick side so that the second hard wick side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hard wick When the wick side is converted to the folded state, a pair of third hard wick fold lines are formed symmetrically to the second hard wick side so that the second hard wick side is partially folded, and the second side of the A folding-type reinforcing wing portion having a first wing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and a second wing portion fold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and formed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may be provided.

Description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COLLAPSIBLE PAPER PACKING BOX}Foldable paper packaging box {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본 발명은 종이로 각각 제작된 내함과 외함이 부착된 형태로서, 접혀진 상태로 취급 또는 유통되어 사용자가 세워 조립함으로써 상자의 형상을 완성할 수 있는 형태의 절첩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packaging box in a form in which an inner box and an outer box each made of paper are attached, and is handled or distributed in a folded state to be assembled by a user to complete the shape of the box.

글씨를 적기 위하여 발명된 이후 종이는 물건을 포장하는 용도로도 확장되었다. 종이를 이용한 포장은 물건에 종이를 직접 둘러 싸는 방식과, 물건을 넣어서 바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가방 또는 봉투 형태로 제작하는 방식, 용기의 형상을 갖는 상자로 제작하는 방식 등으로 나뉜다. Since it was invented for writing, paper has also been expanded for packaging purposes. Packaging using paper is divided into a method of directly wrapping paper around an object, a method of manufacturing it in a bag or envelope form so that the object can be put in and carrying it direct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x having the shape of a container.

이중 종이 상자도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그에 따른 제작 방식도 다양하다. 종이 상자의 일종으로 가볍고 튼튼한 골판지를 이용한 상자가 발명되었고, 골판지 상자는 운송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Among them, there are various types of paper boxes, and there are also various production methods. As a kind of paper box, a box using light and durable cardboard was invented, and the cardboard box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portation field.

종이 상자의 다른 형태인 뚜껑을 갖는 셋업박스(Set up box)는 부서지기 쉬운 내용물을 보호하면서도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발명되었다. 반면, 셋업박스는 완성된 채로 취급되고 유통되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취급중 파손될 위험성도 높다.Another form of paper box, a set up box with a lid, was invented as a way to emphasize luxury while protecting fragile content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tup box is handled and distributed as completed, it takes up a lot of space and has a high risk of being damaged during handling.

절첩식 또는 접이식(Collapsible 또는 Foldable) 상자는 이러한 셋업박스의 단점을 극복하여, 공간의 차지가 적어 보관비용을 절감하고, 전문적이고 양산성이 높은 제조공정을 가지면서도 사용자가 간단히 조립하여 상자를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절첩식 상자를 만들 수 있는 상자로는, 위에서 언급된 골판지 박스 외에, 두꺼운 종이(마분지)를 이용하는 마닐라 박스, 골판지와 마분지를 겹쳐서 만든 합지 박스 등이 있다. Collapsible or foldable boxes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se setup boxes, reduce storage costs by taking up less space, and have a professional and mass-producible manufacturing process, yet users simply assemble the box to complete the box.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i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rrugated cardboard box, there are manila boxes using thick paper (cardboard), and laminated boxes made by overlapping cardboard and cardboard.

한편, 하드심지(Hardboard paper)에 겉지를 접착제로 싸서 이음새 부분의 노출을 막고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박스(한국에서는 '싸바리박스'라고도 한다)도 있다. 이러한 상자 중에서 하드심지와 겉지로 각각 제작된 내함과 외함이 부착된 형태도 있는데, 인쇄를 통하여 다양한 포장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형태적인 심미성을 높이므로 고가의 제품박스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제작이 복잡하고, 하드심지와 겉지의 접착상태로 인하여 접기가 어렵고, 접혀진다 하더라도 하드심지와 겉지가 손상되어 절첩형 상자로 구성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부 선행기술들은 하드심지가 접혀지는 부위에 대응하는 겉지의 부위를 절개함으로써 겉지가 의한 하드심지의 접힘이 저해받는 것을 완화시켰고, 이를 통해 절첩형으로 구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 box (also referred to as'savari box' in Korea) that emphasizes the luxury by wrap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ardboard paper with adhesive to prevent the seam from being exposed. Among these boxes, there is also a form in which an inner box and an outer box each made of a hard wick and an outer sheet are attached, and various packaging effects can be given through printing, and since it enhances morphological aesthetics, it is often used as an expensive product box. However, manufacturing is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fold due to the adhesive state of the hard wick and the outer paper, and even if folded, the hard wick and the outer paper are damag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folded box. In order to overcome this, some of the prior art alleviated the inhibition of the folding of the hard wick by cutting the part of the outer paper corresponding to the part where the hard wick is folded, and this was configured as a folding type.

그럼에도, 선행기술들은 하드심지와 겉지의 조합으로 된 내함을 절첩형으로 구성함에 있어 완전 접힘이 어려워 그만큼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고 부피를 줄이기 위해 무리하게 압력이 작용한 결과 압박 자국 등 미관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Nevertheless, prior art forms the inner box of the combination of the hard wick and the outer paper in a folded type, an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fold, so the volume increases, and as a result of excessive pressure applied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and reduce the volume, pressure marks There is a problem that a factor that degrades the aesthetics is generated.

* 선행기술* Prior art

한국 공개특허 제1 0-2017-0114701호 (2017.10.16. 공개)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0-2017-0114701 (published on October 16, 2017)

한국 공개특허 제1 0-2017-0101380호 (2017.09.06. 공개)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0-2017-0101380 (published on September 6, 2017)

한국 공개특허 제1 0-2011-0062954호 (2011.06.10. 공개)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0-2011-0062954 (published on June 10, 2011)

한국 등록특허 제1 0-1308983호 (2013.09.10.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 0-1308983 (announced on September 10, 2013)

본 발명은 하드심지와 겉지로 각각 제작된 내함과 외함이 부착된 형태의 상자에 있어서, 접힘이 가능하면서도 접힘에 의한 하드심지의 저항 및 겉지의 손상을 줄이고 형태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혀진 상태로 취급 또는 유통되어 사용자가 간단히 세워 상자의 형상을 완성할 수 있는 형태의 절첩형 포장상자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box having an inner box and an outer box each made of a hard wick and an outer paper, it is possible to fold, and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hard wick by folding and damage to the outer paper, and improv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ts purpose is to present a folding-type packaging box in a form that can be handled or distributed in a state so that the user can simply stand up and complete the shape of the box.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이 상호 좁혀지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호 벌어짐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변환될 수 있게 형성된, 내함; 및 상기 바닥면이 부착되는 받침면과 상기 내함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과 겹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지지면을 갖는, 외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제1 하드심지 및 상기 제1 하드심지를 감싸는 내함 겉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드심지는,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기 위한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의 바깥쪽 면에 부착되는 제1날개부와, 상기 제2 측면의 안쪽 면으로 접혀져 상기 제2측면의 안쪽 면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보강 날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folding-type paper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orthogonal to the pair of first sides, and the one From a state in which the first side of the pair and the second side of the pair are erec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side of the pair is mutually narrowed, and the second side of the pair is mutually open, so that it can be converted into a folded state. Formed, inner box; And an enclosure having a support surface to which the bottom surface is attached, a cover surfac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box, and at least one side support surface overlapping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wherein the inner box is a first hard surface. It includes a wick and an inner outer covering that surrounds the first hard wick, and the first hard wick comprises a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for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and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s. A pair of second hard wicks that are orthogonal to the first hard wick side of the pair so as to form a pair of first hard wick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ard wick and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pair A first hard wick fold lin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hard wick side so that the first hard wick side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 A second hard wick fold lin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hard wick side so that the second hard wick side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hard wick When the wick side is converted to the folded state, a pair of third hard wick fold lines are formed symmetrically to the second hard wick side so that the second hard wick side is partially folded, and the second side of the A folding-type reinforcing wing portion having a first wing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and a second wing portion fold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and formed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may be provid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측면의 바깥쪽 면에 상기 제2날개부가 부착되기 위한 양면 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sided tape for attaching the second w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id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상기 제3하드심지 절첩선을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의 사이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sided tape may be disposed in a region between the pair of third hard core fold lines so as not to cross the third hard core fold lin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내함 겉지는, 상기 제3하드심지 절첩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뜯어져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분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over is formed to be torn and open when the side of the second hard wick is switched from the erected state to the folded st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hard wick fold line. It may include a partial perfor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하드심지 절첩선 또는 상기 제2 하드심지 절첩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정 깊이로 깍여 제거된 컷아웃형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and the second hard wick fold line may include a cut-out type groove that is cut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remov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컷아웃형 그루브는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일 때 상자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groove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box when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s and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are erected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컷아웃형 그루브는 상기 제1 하드심지 절첩선 및 상기 제2 하드심지 절첩선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type groove may be included in both the first hard core fold line and the second hard core fold line.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이 상호 좁혀지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호 벌어짐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변환될 수 있게 형성된, 내함; 및 상기 바닥면이 부착되는 받침면과 상기 내함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과 겹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지지면을 갖는, 외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상기 제1 하드심지 및 상기 제1 하드심지를 감싸는 내함 겉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드심지는,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기 위한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며, 상기 외함은, 상기 받침면과 상기 덮개면 및 상기 측면 지지면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한 장의 제2 하드심지와, 상기 제2 하드심지의 외측을 감싸는 한 장의 외함 겉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면, 상기 덮개면 및 상기 측면 지지면의 경계에는 외함 심지 절첩선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함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외함이 접혀진 상태로도 보관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면과 상기 덮개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 지지면에 추가 외함 심지 절첩선이 형성될 수 있다.Another foldable paper packaging box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orthogonal to the pair of first sides, and the From a state in which the first side of the pair and the second side of the pair are erec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side of the pair is mutually narrowed and the second side of the pair is mutually widened to be converted into a folded state. Formed to be able to, inner box; And an enclosure having a support surface to which the bottom surface is attached, a cover surfac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box, and at least one side support surface overlapping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wherein the inner box includes the first It includes a hard wick and an inner outer covering surrounding the first hard wick, and the first hard wick can form a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for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and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s. A pair of second hard wicks orthogonal to the first hard wick side surfaces of the pair so as to form a pair of first hard wick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ard wick and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pair. A first hard wick fold lin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first hard wick and the side of the first hard wick including a side of the hard wick and the first hard wick side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first hard wick And a second hard wick fold lin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hard wick side so that the second hard wick side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When the side of the hard wick is converted to the folded state, a pair of third hard wick fold lines ar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side of the second hard wick so that the side of the second hard wick is partially folded, and the outer case, A second hard wick capable of integrally forming the support surface, the cover surface, and the side support surface, and a sheet of outer case covering the outside of the second hard wick, and the support surface, the cover An enclosure wick fold line is provided at the boundary of the surface and the side support surface, respectively, and on the side support surface connecting the support surface and the cover surface so that the inner box can be stored in a folded state. Additional enclosure wick fold lines may be formed.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에 의하면, 하드심지 절첩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함의 측면이 세워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뜯어져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분 절취선과, 하드심지 절첩선에 일정 깊이로 깍여 제거된 컷아웃형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드심지의 접힘시 내함의 겉지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하드심지의 완전 접힘이 가능하므로, 접힘 상태의 취급 및 유통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상자의 미관을 저해할 수 있는 자국이 남는 것이 거의 없고, 모서리 부분에서의 각도 구현이 정확하여 심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oldable paper packaging box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 perforation line formed to be torn and open when the side of the inner box is turned from an erected state to a folded st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rd wick fold line, and the hard wick fold line Since it includes a cutout-type groove that has been cut to a certain depth and removed, the hard wick can be completely folded without dam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x when the hard wick is folded, reducing the space occupied during handling and distribution in the folded state. While there are few marks left that can hinder the aesthetics of the box,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aesthetics because the angle is accurately implemented at the corner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의 세워진 상태의 일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의 접혀진 상태의 일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라 내함(1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로서,
도 3은 내함(110)을 이루는 각 요소들이 접착되기 전의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치 상태를 뒤집어서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의 구체적인 모습 및 변형예들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상태에서 제1 하드심지(120)와 내함 겉지(130)가 접착되고 상자의 형태대로 조립되어 내함(110)을 이룬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외함(15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로서,
도 7은 외함(150)을 이루는 각 요소들이 접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제2 하드심지(160), 외함 겉지(170) 및 외함 내지(180)가 접착되어 펼쳐진 외함(150)을 이룬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내함(110)과 도 8의 외함(150)이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내함(110)과 도 8의 외함(150)이 부착되어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를 이룬 모습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내함(110)이 접힌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접힌 상태에서 내함(110)을 세워 상자의 모습으로 복원한 후 외함(150)을 덮은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내함(2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로서,
도 13은 내함(210)을 이루는 각 요소들이 접착되기 전에 배치 상태를 뒤집어서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제1 하드심지(220)와 내함 겉지(230)가 접착되고 상자의 형태대로 조립되어 내함(210)을 이룬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300)가 접혀진 상태(a) 및 추가적으로 접혀진 상태(b)를 각각 보인 사시도들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내함(4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로서,
도 16은 내함(410)의 제2 측면(414, 415)에 각각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를 접착시키기 전과 후의 상태를 각각 보인 분리 사시도들이고,
도 17은 도 16의 내함(410)을 접었다가 다시 세워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an erected state of a folding-type paper packaging box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a folded state of the folded paper packaging box 100 of FIG. 1.
3 to 6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inner box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above before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inner box 110 are adhere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above by turning the arrangement state of Figure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ecific state and modified examples of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127 of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ard wick 120 and the inner outer surface 130 are bonded and assembled in the form of a box to form the inner box 110 in the state of FIG. 3.
7 to 8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enclosure 15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enclosure 150 are adhere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ard wick 160, the outer case 170, and the outer case 180 are bonded to form an unfolded enclosure 150 in the state of FIG. 7.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inner box 110 of FIG. 6 and the outer box 150 of FIG. 8 are attache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able paper packaging box 100 to which the inner box 110 of FIG. 6 and the outer box 150 of FIG. 8 are attached.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box 110 is folded in the state of FIG. 10.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box 150 is covered after the inner box 110 is erected and restored to the shape of a box in the folded state of FIG. 11.
13 to 14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inner box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above by inverting the arrangement state before the elements forming the inner box 210 are bonded,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ard wick 220 and the inner outer sheet 230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assembled in the form of a box to form the inner box 210 in the state of FIG. 13.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a) and an additionally folded state (b) of the folded-type paper packaging box 300 manufactur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16 to 17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inner box 4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bonding the folding-type reinforcing wing portions 440 to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of the inner box 410, respectively,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converting the inner box 410 of FIG. 16 into a state in which the inner box 410 of FIG. 16 is folded and rebuilt to be used.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folding type paper packaging box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는 내함(110)과 외함(150)이 조합된 형태이다. 내함(110)의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외함(150)이 내함(110)을 둘러싸서 내함(110)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는, 도 1과 같이 제조된 후, 도 2와 같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취급되고 유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folding-type paper packaging box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in which an inner box 110 and an outer box 150 are combine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x 110 is open, and the outer box 15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inner box 11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x 110. After the folding-type paper packaging box 100 is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1, it can be handled and distributed in a completely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2.

내함(110)은 바닥면(111)과, 바닥면(111)에 연결되는 마주 보는 한 쌍의 제1 측면(112, 113) 및, 한 쌍의 제1 측면(112, 113)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114, 115)을 갖는다. 바닥면(111)의 반대쪽인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제1 측면(112, 113)과 제2 측면(114, 115)이 바닥면(111)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접혀지기 위해서, 제1 측면(112, 113)은 상호 좁혀지고, 제2 측면(114, 115)은 상호 벌어진다. 제2 측면(114, 115)에는 세워진 상태에서 접혀지는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형태대로 접혀질 수 있도록 접힘선(119)이 존재한다. 접힘선(119)은, 도 2와 같이, 한 쌍의 제2 측면(114, 115)의 가장자리 쪽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내함(110)의 접힘선(119)은 제1 측면(112, 113)이 상호 좁혀지고, 한 쌍의 제2 측면(114, 115)이 상호 벌어지며 내함(110)이 평평하게 접혀지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접힘선(119)은 후술하는 제1 하드심지(120)의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 도 4 참조)과 내함 겉지(130)의 부분 절취선(131, 도 3 및 도 4 참조)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The inner box 110 has a bottom surface 111,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112 and 113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11, and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112 and 113, as long as it is orthogonal to the It has a pair of second sides 114, 115. The top surface opposite to the bottom surface 111 is open. In order for the first side (112, 113) and the second side (114, 115) to be folded from an erected stat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111, the first side (112, 113) is mutually narrowed, and the second side (114) , 115) are mutually divided. A fold line 119 exists on the second side surfaces 114 and 115 so that they can be folded in a predetermined shape in the process of being folded in an erect state. The fold line 119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on the edge side of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114 and 115, as shown in FIG. 2. The fold line 119 of the inner box 110 induces that the first side surfaces 112 and 113 are mutually narrowed,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114 and 115 are mutually widened, and the inner box 110 is folded flat. . These fold lines 119 are of the third hard wick fold line 129 (see FIG. 4) of the first hard wick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artial cut-out line 131 (see FIGS. 3 and 4) of the inner outer paper 130 Formed by combination.

외함(150)은 바닥면(111)이 부착되는 받침면(151)과 내함(110)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152), 한 쌍의 제2 측면(114, 115)과 겹쳐지는 측면지지면(153, 154) 및, 가장자리의 측면지지면(154)을 다시 덮는 날개면(155)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enclosure 150 includes a support surface 151 to which the bottom surface 111 is attached, a cover surface 152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box 110, and a side support surface overlapping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114 and 115 (153, 154) and, it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wing surface 155 that again covers the side support surface 154 of the edge.

외함(150) 또는 내함(110)에는 한 쌍의 제2 측면(114, 115)이 내함(110)이 바닥면(111)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세워진 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즉, 접힘선(119)에 의하여 임의로 접혀지지 않도록) 제2 측면(114, 115)을 외함(150)에 부착시키는 양면 테이프(156)가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box 150 or the inner box 110 has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114 and 115 that are erected in a state where the inner box 110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111, and then can be maintained in an erect state (that is, folded A double-sided tape 156 may be provided to attach the second side surfaces 114 and 115 to the enclosure 150 so as not to be arbitrarily folded by the line 119.

내함(110) 또는 외함(150)에는 외함(150)의 말단의 날개면(155)이 내함(110)에 대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석(157)이 구비될 수 있다. A magnet 157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box 110 or 150 so that the wing surface 155 at the end of the outer box 150 may maintain a closed state with respect to the inner box 110.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상자의 제조 과정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olded paper packaging box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ox.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라 내함(1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고, 도 7 내지 도 8은 외함(15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며, 도 9 내지 도 10은 내함(110)과 외함(150)의 부착 과정을 보인 것이다.3 to 6 show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inner box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8 show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ase 150, and FIGS. 9 to 10 Shows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inner box 110 and the enclosure 150.

먼저, 도 3은 내함(110)을 이루는 각 요소들이 접착되기 전의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치 상태를 뒤집어서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상태에서 제1 하드심지(120)와 내함 겉지(130)가 접착되고 상자의 형태대로 조립되어 내함(110)을 이룬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rst,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inner box 110 are adhered to each other,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above by inverting the arrangement state of FIG. 3, and FIG. 6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ard wick 120 and the inner outer surface 130 are bonded and assembled in the form of a box to form the inner box 110.

도 3과 같이, 내함(110)은 두꺼운 제1 하드심지(120)와 제1 하드심지(120)를 감싸는 얇은 내함 겉지(130)가 합지(laminated)되는 형태이다. 제1 하드심지(120)는 내함(110)의 형상과 크기를 결정하며, 내함 겉지(130)는 제1 하드심지(120)의 표면을 가림으로써 외부 모습을 미려하게 한다. 제1 하드심지(120)와 내함 겉지(130)는 재료인 각각의 종이가 적절한 크기로 재단됨으로써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inner box 110 is in a form in which a thick first hard wick 120 and a thin inner outer box 130 surrounding the first hard wick 120 are laminated. The first hard wick 120 determines the shape and size of the inner box 110, and the inner outer surface 130 covers the surface of the first hard wick 120 to make the exterior look beautiful. The first hard wick 120 and the inner outer surface 130 are formed by cutting each paper as a material into an appropriate size.

제1 하드심지(120)는, 도 1 및 도 2의 바닥면(111)을 구성하는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과, 제1 측면(112, 113)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 및, 제2 측면(114, 115)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을 갖는다. 내함 겉지(130)는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과,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 및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 하드심지(120)의 에지(edge)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마진(margin)을 갖는다. 이러한 마진의 폭은 경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The first hard wick 120 is a first hard wick to form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121 and the first side surfaces 112 and 113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111 of FIGS. 1 and 2. On the first hard wick side (122, 123) to form a pair of the first hard wick side (122, 123) and the second side (114, 115) facing each other connected to the wick bottom surface 121 It has a pair of orthogonal second hard wick sides (124, 125). The inner outer cover 130 includes a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121,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ard wick side surfaces 122 and 123 and the second hard wick side surfaces 124 and 125, and It has a margin so as to wrap around an edge portion of the wick 120. The width of this margin may vary from case to case.

두꺼운 제1 하드심지(120)가 평평한 상태에서 세워져서 내함(110)의 형태를 갖도록 하거나, 완전히 접혀짐으로써 그 일부분들이 상호간에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도록 제1 하드심지(120)에는 몇 개의 절첩선이 미리 형성된다. 이러한 절첩선들은 기능에 따라 각기 다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장의 제조라인에서도 각기 커터가 활용될 수 있다.The first hard wick 120 has several folds in the first hard wick 120 so that the thick first hard wick 120 is erected in a flat state to have the shape of the inner box 110 or completely folded so that parts thereof can be complete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Is formed in advance. These fold lines may be formed in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depending on the function, and each cutter may be used in the manufacturing line of the factory.

우선,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에 대하여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이 절첩 가능하도록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과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의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은 도 6과 같이 내함(110)이 90도로 세워지도록 하고 도 2와 같이 180도로 접혀진 상태를 지원할 수 있게 형성된다. First, between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121 and the first hard wick side (122, 123) so that the first hard wick side (122, 123)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121).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127 is formed.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127 is formed so that the inner box 110 is erected at 90 degrees as shown in FIG. 6 and supports a folded state of 180 degrees as shown in FIG. 2.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에 대하여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절첩 가능하도록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과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은 도 6과 같이 내함(110)이 90도로 세워지도록 하는데 활용되며, 다시 도 2의 내함(110)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원래의 상태로 된다.Between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121 and the second hard wick side (124, 125) so that the second hard wick side (124, 125)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121) The wick fold line 128 is formed. The second hard wick fold line 128 is used to erect the inner box 110 at 90 degrees, as shown in FIG. 6,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inner box 110 of FIG. 2 is folded.

도 4와 같이,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에 대칭되게 한 쌍의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은 도 6과 같이 내함(110)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활용되지 않으나, 도 2와 같이 제1 측면(112, 113)이 좁혀지고 제2 측면(114, 115)이 벌어지도록 하는 접힘선(119)의 일차적인 요소가 된다. 이때, 내함 겉지(130)는 접착제에 의하여 제1 하드심지(120)에 전체 면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1 하드심지(120)가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을 따라 접혀지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와 같이, 내함 겉지(130)에는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세워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뜯어져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부분 절취선(131)이 형성된다. 부분 절취선(131)은 라인 방향을 따라 칼날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뜯어질 때 모양이 일정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연결부위만을 갖도록 형성된다. 4, when the second hard wick side (124, 125) is converted to a folded state, the second hard wick side (124, 125) is partially folded so that it is symmetrical to the second hard wick side (124, 125). A pair of third hard core fold lines 129 are formed. This third hard wick fold line 129 is not utilized in the state erected as the inner box 110 as shown in FIG. 6, but the first side surfaces 112 and 113 are narrowed and the second side surfaces 114 and 115 as shown in FIG. It becomes the primary element of the fold line 119 that allows this to open. At this time, the inner outer surface 130 is in a state that the entire surface is attached to the first hard wick 120 by an adhesive, so that the first hard wick 120 prevents folding along the third hard wick fold line 129 can do.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inner outer surface 130 has the second hard wick side (124, 125)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hard wick fold line 129 is erected to the folded state. The partial perforation line 131 is formed so that it can be torn apart and open. The partial perforation line 131 refers to that the blade is partially formed along the line direction, and is formed to have only a minimum number of connection portions so that the shape is constant when torn off.

도 3의 확대부분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과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은 종이가 라인을 따라 일정 깊이로 깍여 제거된 컷아웃형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은 'W'형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은 'V' 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의 'W'형 형상은 깍인 홈이 복수 개인 것을 의미하며, 도 2와 같이 제1 측면(112, 113)이 180도로 접혀질 때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 자체의 잔존하는 부위들의 간섭과 마찰에 의하여 접힘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그에 따라, 접혀진 상태에서 제1 측면(112, 113)이 세워지려는 문제도 해결되며 그만큼 상자의 적층 보관시 공간을 줄이고 완전 접힘을 위하여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도 최소화될 수 있다. 반면,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은 도 6과 같이 세워지거나 도 2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되는 정도의 변형에 적합하도록 하나의 홈을 갖는 'V'형 단면의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enlarged portions of FIG. 3, the first and second hard interlining fold lines 127 and the second hard interlining fold lines 128 include cutout-type grooves in which paper is cut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ine and removed. have. Specifically, the first hard core fold line 127 has a'W'-shaped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hard core fold line 128 has a'V'-shaped cross section. The'W' shape of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127 means that there are a plurality of cut grooves, and when the first side surfaces 112 and 113 are folded 180 degrees as shown in FIG. 2,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 127) Minimizes folding is prevented by interference and friction of remaining parts of itself. Accordingly, the problem of erecting the first side surfaces 112 and 113 in the folded state is also solved, and the space may be reduced when the box is stacked and stored, and excessive force may be minimized for complete folding.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ard wick fold line 128 may have a groove of a'V'-shaped cross section having one groove so as to be erected as shown in FIG. 6 or suitable for deformation to a degree to be in an original state as shown in FIG. 2.

도 5는 도 3의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의 구체적인 모습 및 변형예들을 보인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된 것처럼,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은 'W'형 단면을 갖는 컷아웃형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5(a)와 같이, 두 개의 홈(127a, 127b)의 깊이가 상호 같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b)와 같이, 두 개의 홈 중 어느 하나(127a')가 다른 하나(127b')에 대하여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깊이의 차이에 의하여 접혀지는 상태로 전환될 때 자연스럽게 두 개의 홈 중 남아 있는 부위의 두께가 얇은 쪽으로 접힘이 유도되고 그만큼 접힘에 따른 에지의 각도가 '정확'(둥글거나 무디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해질 수 있다. 이때 깊은 홈(127b')이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 쪽에 치우치도록 함으로써 바닥면과 측면의 각도를 보다 정확히 구현할 수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ecific shape and modified examples of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127 of FIG. 3.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127 may have a cut-out groove having a'W'-shaped cross sec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a), the depths of the two grooves 127a and 127b may be the same. Unlike this, as shown in FIG. 5(b), one of the two grooves 127a' may be formed deeply with respect to the other one 127b'. When it is converted to a folded state due to the difference in depth, it is naturally induced to fold toward the thinner side of the remaining part of the two grooves, and the angle of the edge according to the fold is'correct' (meaning that it is not round or blunt. ). In this case, the deep groove 127b' is biased toward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first hard wick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can be more accurately implemented.

도 4에 의하면,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은 라인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만큼 반칼커팅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칼커팅'은 칼날이 사용되기는 하나 칼날에 의하여 컷아웃을 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일정 깊이만큼만)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third hard core fold line 129 is formed by half-cutting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ine direction. Here,'half-cutting' means that the blade is used, but only partially (only a certain depth) without cutting out by the blade.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의 일정한 깊이로 반칼커팅된 면과 내함겉지(130)의 부분절취선(131)의 부분이 서로 만나 합지되도록 형성되도록 한다.The third hard wick fold line 129 is formed so that the half-cut surface and the portion of the partial cut-out line 131 of the inner box outer paper 130 meet each other and are joined together.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은 도 6과 같이 세워진 상태를 위하여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접혀지는 것을 유발하지는 않으나, 도 2와 같이 접혀지는 경우, 내함 겉지(130)의 부분 절취선(131)이 용이하게 뜯어지도록 하고, 다시 도 1과 같이 상자로 세워진 상태를 위하여 제2 측면(114, 115)의 강성이 보유되도록 한다.The third hard wick fold line 129 does not cause the second hard wick sides 124 and 125 to be folded for an erect state as shown in FIG. 6, but when folded as in FIG. 2, the inner outer surface 130 The partial perforation line 131 is easily torn off, and the rigidity of the second side surfaces 114 and 115 is retained in order to be erected as a box as shown in FIG. 1.

도 7 내지 도 8은 통하여 외함(150)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7 to 8 describe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enclosure 150 through.

도 7과 같이, 외함(150)도 두꺼운 종이와 얇은 종이가 합지된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외함(150)은 두꺼운 제2 하드심지(160)와, 제2 하드심지(160)의 외측을 감싸며 마진을 갖는 외함 겉지(170) 및 외함 겉지(170)가 싸진 상태에서 제2 하드심지(160)의 내측을 덮는 외함 내지(180)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enclosure 150 is also formed in a form in which thick paper and thin paper are laminated. Specifically, the enclosure 150 is a second hard wick 160, a second hard wick 160, a second hard wick 160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second hard wick 160 and has a margin of the outer case 170 and the outer case 170 It may have an enclosure to 180 covering the inner side of the wick 160.

제2 하드심지(160), 외함 겉지(170) 및 외함 내지(180)는 각각 한 장의 종이가 적절한 크기로 재단되어 단순 공정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제2 하드심지(160)를 몇 개의 나누어진 조각으로 배열하고 외함 겉지와 외함 내지를 붙여 제작하는 것에 비하여 양산성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Each of the second hard wick 160, the outer case 170, and the outer case 18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simple process by cutting one sheet of paper into an appropriate size. This feature can increase mass production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manufacturing the second hard wick 160 by arranging the second hard wick 160 into several divided pieces and attaching the outer case and the outer case.

또한, 외함내지(180)와 외함겉지(170)는 1장의 종이로 구성되어 제2 하드심지(160)를 싸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uter case 180 and the outer case 170 are made of one sheet of paper, so that the second hard wick 160 may be wrapped.

도 1의 외함(150)을 구성하는 받침면(151), 덮개면(152), 측면지지면(153, 154) 및 날개면(155)에 대응하여, 제2 하드심지(160)도 심지 바닥면(161), 심지 덮개면(162), 심지 지지면(163, 164) 및 심지 날개면(165)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들 각 면들 사이를 구분하고 상호간의 접힘이 가능하도록 외함 심지 절첩선(167)이 형성된다. In response to the support surface 151, the cover surface 152, the side support surfaces 153 and 154 and the wing surface 155 constituting the enclosure 150 of FIG. 1, the second hard wick 160 is also a wick bottom A surface 161, a wick cover surface 162, a wick support surface 163 and 164, and a wick wing surface 165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an enclosure wick fold line 167 is formed to divide the sides and allow mutual folding.

도 7에 의하면, 외함 심지 절첩선(167)은 'V'형 단면을 갖는 컨아웃형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다. 외함 심지 절첩선(167)은 내함(110)의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과 같이 접힘의 각도가 급격하지는 않으나, 상자의 외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확한 각도를 구현하는데 기여한다.Referring to FIG. 7, the enclosure wick fold line 167 includes a conout-type groove having a'V'-shaped cross section. The outer box wick fold line 167 does not have a rapid folding angle like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127 of the inner box 110, but contributes to implementing an accurate angle as an important element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box.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내함(110) 및 외함(150)이 제작되면, 다음 공정으로 도 9와 같이 부착을 위하여 정렬시킨다. 정렬 전 또는 부착 이후 외함(150)의 측면지지면(153, 154)에는 내함(110)의 접혀져 있던 제1 측면(112, 113)을 세운 후 제1 측면(112, 113)이 세워진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양면 테이프(156)를 미리 붙일 수 있다.When the inner box 110 and the outer box 150 are manufactured in this way, they are aligned for attachment as shown in FIG. 9 in the next process. Before alignment or after attachment, the folded first side (112, 113) of the inner box (110) is erected on the side support surfaces (153, 154) of the enclosure (150), and the first side (112, 113) is erected easily. Double-sided tape 156 may be pre-attached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내함(110)의 바닥면(111)이 외함(150)의 받침면(151)에 정렬되도록 하여 부착시킨 후, 그대로 상자로 사용하거나, 도 11과 같이 접혀진 상태로 만든다. 즉,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내함(110)의 제1 측면(112, 113)이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에 의하여 좁혀지고 제2 측면(114, 115)이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에 의하여 벌어지며, 이 과정에서 부분 절취선(131)이 뜯어지며 제3 하드심지 절첩선(129)을 따라 제2 측면(114, 115)이 부분적으로(삼각형 형태로) 접어진다.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 및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은 내함(1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세워지거나 접혀지는 어느 경우에도 컷아웃된 부위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을 개선한다.After attaching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inner box 110 to be aligned with the support surface 151 of the outer box 150, it is used as a box or made into a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11. That is,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first side (112, 113) of the inner box 110 is narrowed by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127, and the second side (114, 115) is the second hard wick. It is opened by the fold line 128, and in this process, the partial perforation line 131 is torn off, and the second side surfaces 114 and 115 are partially (triangled) folded along the third hard wick fold line 129. .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127 and the second hard wick fold line 128 are located inside the inner box 110, and in any case erected or folded, the cutout portion is not exposed,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도 11과 같이 내함(110)이 접힌 상태에서 수요처(물건을 판매하는 매장 등)에서는 내함(110)을 세워 간단히 상자의 모습으로 복원한 후 물건을 넣고 외함(150)을 덮는다. 본 발명과 같은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100)는 접혀진 상태로 취급되면서도 필요시 간단히 세움에 의하여 고급 상자의 외형으로 복원시킬 수 있으므로, 수요처는 조립된 상자들을 비치하기 위한 추가 공간이 필요 없다.As shown in FIG. 11, in a state where the inner box 110 is folded, the consumer (a store that sells goods, etc.) raises the inner box 110 and simply restores it to the shape of a box, and then puts the object and covers the outer box 150. The folding-type paper packaging box 10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stored to the appearance of a high-quality box by simply erecting it if necessary, while being handled in a folded state, so that the customer does not need an additional space for furnishing the assembled boxes.

도 3 내지 도 6은 컷아웃형 그루브를 갖는 제1 하드심지 절첩선(127)과 제2 하드심지 절첩선(128)이 모두, 제1 측면(112, 113)과 제2 측면(114, 115)이 바닥면(111)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일 때 또는 제1 하드심지 측면(122, 123)과 제2 하드심지 측면(124, 125)이 제1 하드심지 바닥면(121)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일 때, 상자의 내측에 위치되는 경우이다. 3 to 6 show that both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127 and the second hard wick fold line 128 having cutout grooves are the first side surfaces 112 and 113 and the second side surfaces 114 and 115. ) Is erec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111 or the first hard wick side (122, 123) and the second hard wick side (124, 125) are erec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121 When, this is the case where it is located inside the box.

이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내함(2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본 예의 내함(210)은 컷아웃형 그루브를 갖는 제1 하드심지 절첩선(227)이 내함(210)이 세워졌을 때를 기준으로 내함(210)의 외측에 존재한다. 컷아웃형 그루브는 제1 하드심지 절첩선(227)에 형성되며, 제2 하드심지 절첩선(228)은 반칼커팅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하드심지 절첩선(229)이 반칼커팅에 의해 형성되고 있고 내함 겉지(230)의 대응위치에는 부분 절취선(231)이 형성되어 있다. In contrast, FIGS. 13 to 14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inner box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ner box 210 of the present example, a first hard wick fold line 227 having a cut-out groove exists outside the inner box 210 when the inner box 210 is erected. The cut-out type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227, and the second hard wick fold line 228 is formed by half-cut cutting.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third hard wick fold line 229 is formed by half-cut cutting, and a partial cut line 231 is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inner box outer sheet 230.

제1 하드심지 절첩선(227)의 'V' 형 단면을 갖는 컷아웃형 그루브는 싸여지는 내함 겉지(230)가 제1 하드심지(220)가 제1 하드심지 절첩선(227)를 중심으로 180도 접혀지는 과정에서 제2 하드심지 절첩선(228) 주변 부위에 의하여 압박을 받아 완전 접힘을 방해하거나 접힘을 위하여 과도한 압력이 드는 것을 최소화시킨다.The cut-out type groove having a'V'-shaped cross section of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227 is the inner outer box 230 that is wrapped around the first hard wick 220 and the first hard wick fold line 227 In the process of folding 180 degrees, it is compressed by the area around the second hard wick fold line 228 to prevent complete folding or to minimize excessive pressure for folding.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300)가 접혀진 상태(a) 및 추가적으로 접혀진 상태(b)를 각각 보인 사시도들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a) and an additionally folded state (b) of the folded-type paper packaging box 300 manufactur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본 예의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300)도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보인 방식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 내함(310)이 본 예에 따른 외함(350)에 부착된 상태이다. The foldable paper packaging box 300 of this example is also in a state in which an inner box 310 that can 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ttached to the outer box 350 according to this example.

외함(350)도 받침면(351)과, 내함(310)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352), 한 쌍의 측면 지지면(353, 354), 날개면(355)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받침면(351), 덮개면(352), 측면 지지면(353, 354) 및 날개면(355)을 구분하는 각 경계에는 앞서 설명된 외함 심지 절첩선(167)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 외함 심지 절첩선들(367)이 형성되어 있다. 외함 심지 절첩선들(367)에 의하여 외함(350)은 내함(310)이 세워진 상태에서 내함(310)의 각 면을 정확한 각으로 둘러쌀 수 있게 된다.The enclosure 350 also includes a receiving surface 351, a cover surface 352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box 310, a pair of side support surfaces 353 and 354, and a wing surface 355. Each boundary separating the support surface 351, the cover surface 352, the side support surfaces 353, 354, and the wing surface 355 may be formed similar to the enclosure wick fold line 167 described above. Enclosure wick fold lines 367 are formed. The outer box 350 can surround each surface of the inner box 310 at an exact angle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box 310 is erected by the outer box wick fold lines 367.

본 예에서는 이외에도 외함(350)에 추가적인 외함 심지 절첩선(36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함 심지 절첩선(368)은 내함(310)이 접혀진 상태에서 외함(350)이 접혀진 상태로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추가되는 외함 심지 절첩선(368)은 받침면(351)과 덮개면(352)을 연결하는 측면 지지면(353)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되는 외함 심지 절첩선(368)은 양면테이프(356)이 부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xample, an additional enclosure core fold line 368 is formed in the enclosure 350 in addition to the present example. Such an enclosure wick fold line 368 allows the inner box 310 to be stored in a folded state while the outer box 350 is folded. To this end, the additional enclosure wick fold line 368 may be formed on the side support surface 353 connecting the support surface 351 and the cover surface 352. In addition, the additional enclosure wick fold line 368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double-sided tape 356 is attached.

이에 따라, 도 15(a)와 같이, 내함(310)이 접혀져 있고 외함(350)은 펼쳐져 있는 상태로 유통 또는 보관되거나, 도 15(b)와 같이, 내함(310)이 접혀진 상태에서 외함(350)도 추가된 외함 심지 절첩선(368)에 의하여 대략 절반으로 접혀진 상태로 유통 또는 보관될 수 있다. 도 15(b)와 같이 유통 또는 보관되는 경우 보관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ure 15 (a), the inner box 310 is folded and the outer box 350 is distributed or stored in an unfolded state, or as shown in Figure 15 (b), the outer box 310 is folded in a state ( 350) may also be distributed or stored in a state folded in about half by the added enclosure wick fold line 368. In the case of distribution or storage as shown in FIG. 15(b), waste of storage space can be minimized.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내함(410)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로서, 도 16은 내함(410)의 제2 측면(414, 415)에 각각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를 접착시키기 전과 후의 상태를 각각 보인 분리 사시도들이고, 도 17은 도 16의 내함(410)을 접었다가 다시 세워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들이다.16 to 17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inner box 4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folding reinforcement on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of the inner box 410, respectively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bonding the wing part 440, respectively, and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converting the inner box 410 of FIG. 16 into a state in which the inner box 410 of FIG.

본 예에서는 내함(410)에 별도로 보강 날개부(440)가 부착되는 것을 보인다.In this example, it is shown that the reinforcing wing portion 440 is attached to the inner box 410 separately.

내함(410)은 앞서의 예와 같이, 바닥면(411)과, 바닥면(411)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412, 413) 및 제1 측면(412, 413)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414, 415)을 갖는다. 제1 측면(412, 413)과 제2 측면(414, 415)이 바닥면(411)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접혀지기 위해서, 바닥면(411)과 제1 측면(412, 413)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427)이 형성되고, 바닥면(411)과 제2 측면(414, 415)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428)이 형성되며, 제2 측면(414, 415)에는 제3 하드심지 절첩선(4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함(410)의 구성에 앞서의 도 3 또는 도 13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The inner box 410 is orthogonal to the bottom surface 411 and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s 412 and 413 and the first side surfaces 412 and 413 facing each other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411 as in the previous example. It has a pair of second sides (414, 415). In order to be folded from a state in which the first side surfaces 412 and 413 and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are erec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411, the first side surface 411 and the first side surfaces 412 and 413 A hard wick fold line 427 is formed, a second hard wick fold line 428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411 and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and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3 Hard core fold lines 431 are formed. The technology of FIG. 3 or 13 may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box 410.

본 예에서는, 세워진 내함(410)이 다시 접혀져서 재사용될 수 있도록, 내함(410)에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가 구비되어 있다.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는 내함(410)의 제2 측면(414, 415)에 각각 부착된다. 각각의 보강 날개부(440)는, 제2 측면(414, 415)의 바깥쪽 면에 양면 테이프(435) 등에 의하여 부착되는 제1날개부(441)와, 제2 측면(414, 415)의 안쪽 면에는 부착되지 않는 제2날개부(442)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양면 테이프(435)는 제3 하드심지 절첩선(431)이 위치된 곳을 초과하지 않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날개부(441)와 제2날개부(442)의 중간 부분은 접힐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6(a)와 같이 각각의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가 위치된 상태에서, 제1날개부(441)를 제2 측면(414, 415)의 바깥쪽 면에 있는 양면 테이프(435)에 부착시킨 후, 제2날개부(442)를 제2 측면(414, 415)의 안쪽 면으로 접으면, 도 16(b)와 같은 상자의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날개부(441)와 제2날개부(442)는 내함(410)의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강성을 증대시킨다.In this example, a folding-type reinforcing wing portion 440 is provided in the inner box 410 so that the erected inner box 410 can be folded again and reused. The folding reinforcing wing portions 440 are attached to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of the inner box 410, respectively. Each of the reinforcing wing portions 440 is a first wing portion 441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ide surface 414, 415 by a double-sided tape 435, and the second side surface 414, 415. A second wing portion 442 that is not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double-sided tape 435 may have a size that does not exceed the location where the third hard core fold line 431 is positioned.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 first wing portion 441 and the second wing portion 442 is able to be folded.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each folding-type reinforcing wing portion 44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16 (a), the first wing portion 441 is a double-sided tape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After attaching to 435, when the second wing portion 442 is fo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it becomes the shape of a box as shown in FIG. 16(b). In this state, the first wing portion 441 and the second wing portion 442 increase the rigidity to maintain the erected state of the inner box 410.

내함(410)이 세워진 상태에서(도 17(a)), 절첩식 보강 날개부(440)의 제2날개부(442)를 들어 올려 바깥쪽으로 젖히고(도 17(b)), 제2 측면(414, 415)을 바깥쪽으로 밀면, 제2 측면(414, 415)은 제3 하드심지 절첩선(431)에 의하여 접혀지게 되고, 자연스럽게 제1 측면(412, 413)은 상호 좁혀지는 쪽으로 접혀진다. 따라서, 도 17(c)와 같이, 내함(410)은 완전히 펴진 상태가 되며, 이를 위하여 제2 측면(414, 415)과 제1날개부(441) 사이의 부착 상태에 변화가 수반되지 않는다. 다시, 도 17(d)와 같이, 제1 측면(412, 413)과 제2 측면(414, 415)을 세운 상태에서, 제2날개부(442)를 제2 측면(414, 415)의 안쪽 면에서 접으면, 도 17(e)와 같이, 원래의 세워진 상태의 내함(410)을 얻을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inner box 410 is erected (FIG. 17(a)), the second wing portion 442 of the folding-type reinforcing wing portion 440 is lifted and tilted outward (FIG. 17(b)), and the second side ( When 414 and 415 are pushed outward,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are folded by the third hard wick fold line 431, and naturally, the first side surfaces 412 and 413 are folded toward mutually narrowing.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7(c), the inner box 410 is in a fully opened state, and for this purpose, a change is not accompanied by a change in the attachment state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and the first wing 441. Again, as shown in FIG. 17(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ide surfaces 412 and 413 and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are erected, the second wing portion 442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side surfaces 414 and 415. When folded in the plane, as shown in Fig. 17(e), the inner box 410 in the original erect state can be obtain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olding-type paper packaging box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110: 내함
111: 바닥면 112, 113: 제1 측면
114, 115: 제2 측면 119: 접힘선
120: 제1 하드심지 121: 제1 하드심지 바닥면
122, 123: 제1 하드심지 측면 124, 125: 제2 하드심지 측면
127: 제1 하드심지 절첩선 128: 제2 하드심지 절첩선
129: 제3 하드심지 절첩선 130: 내함 겉지
131: 부분 절취선 150: 외함
151: 받침면 152: 덮개면
153, 154: 측면지지면 155: 날개면
160: 제2 하드심지 161: 심지 바닥면
162: 심지 덮개면 163, 164: 심지 지지면
165: 심지 날개면 167: 외함 심지 절첩선
170: 외함 겉지 180: 외함 내지
100: folding paper packaging box 110: inner box
111: bottom surface 112, 113: first side
114, 115: second side 119: fold line
120: first hard wick 121: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122, 123: side of the first hard wick 124, 125: side of the second hard wick
127: first hard wick fold line 128: second hard wick fold line
129: third hard wick fold line 130: inner outer surface
131: partial perforation 150: enclosure
151: base surface 152: cover surface
153, 154: side support surface 155: wing surface
160: second hard wick 161: wick bottom surface
162: wick cover surface 163, 164: wick support surface
165: wick wing surface 167: enclosure wick fold line
170: the outer case of the enclosure 180: the enclosure

Claims (8)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이 상호 좁혀지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호 벌어짐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변환될 수 있게 형성된, 내함; 및
상기 바닥면이 부착되는 받침면과 상기 내함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과 겹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지지면을 갖는, 외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제1 하드심지 및 상기 제1 하드심지를 감싸는 내함 겉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드심지는,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기 위한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의 바깥쪽 면에 부착되는 제1날개부와, 상기 제2 측면의 안쪽 면으로 접혀져 상기 제2측면의 안쪽 면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보강 날개부가 구비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It has a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orthogonal to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pair, and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pair and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2 The inner box is formed to be converted into a folded state by narrowing the first side surfaces of the pair from a state erected against the bottom surface and opening the second side surfaces of the pair to each other; And
A support surface to which the bottom surface is attached, a cover surfac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box, and an enclosure having at least one side support surface overlapping with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The inner box,
It includes a first hard wick and an inner outer sheet surrounding the first hard wick,
The first hard wick,
A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for configuring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first hard wick side surfaces and the one facing each other connected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so as to form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s. Including a pair of second hard wick side orthogonal to the first hard wick side of the pair to form a second side of the pair,
A first hard wick fold lin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hard wick side so that the first hard wick side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 second hard wick fold lin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hard wick side so that the second hard wick side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When the second hard wick side is converted to the folded state, a pair of third hard wick fold lines ar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side of the second hard wick so that the second hard wick side is partially folded,
A folding reinforcing wing portion having a first wing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ide and a second wing folded to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side and formed to support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side. , Foldable paper packaging box.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의 바깥쪽 면에 상기 제2날개부가 부착되기 위한 양면 테이프가 구비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The method of claim 1,
A foldable paper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ouble-sided tape for attaching the second wing to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id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상기 제3하드심지 절첩선을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의 사이의 영역 내에 배치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The method of claim 2,
The double-sided tape is disposed in an area between the pair of third hard core fold lines so as not to cross the third hard core fold li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 겉지는,
상기 제3하드심지 절첩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뜯어져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분 절취선을 포함하는,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cover of the inner box,
A foldable paper packaging box comprising a partial perforation line formed to be torn and open when the side of the second hard wick is converted from the erected state to the folded st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hard wick fold lin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심지 절첩선 또는 상기 제2 하드심지 절첩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정 깊이로 깍여 제거된 컷아웃형 그루브를 포함하는,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of the first hard core fold line and the second hard core fold line includes a cut-out type groove that is removed by cutting to a predetermined depth.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형 그루브는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일 때 상자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The method of claim 5,
The cut-out groove is form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box when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s and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are erec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형 그루브는 상기 제1 하드심지 절첩선 및 상기 제2 하드심지 절첩선에 모두 포함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The method of claim 6,
The cut-out type groove is included in both the first hard core fold line and the second hard core fold line, foldable paper packaging box.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이 상호 좁혀지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이 상호 벌어짐으로써 접혀진 상태로 변환될 수 있게 형성된, 내함; 및
상기 바닥면이 부착되는 받침면과 상기 내함의 상부를 덮는 덮개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과 겹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지지면을 갖는, 외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상기 제1 하드심지 및 상기 제1 하드심지를 감싸는 내함 겉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드심지는,
상기 바닥면을 구성하기 위한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하드심지 측면에 직교하는 한 쌍의 제2 하드심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1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1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드심지 바닥면과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 사이에 제2 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상기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이 부분적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제2 하드심지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3하드심지 절첩선이 형성되며,
상기 외함은, 상기 받침면과 상기 덮개면 및 상기 측면 지지면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한 장의 제2 하드심지와, 상기 제2 하드심지의 외측을 감싸는 한 장의 외함 겉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면, 상기 덮개면 및 상기 측면 지지면의 경계에는 외함 심지 절첩선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함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외함이 접혀진 상태로도 보관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면과 상기 덮개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 지지면에 추가 외함 심지 절첩선이 형성된,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It has a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orthogonal to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pair, and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pair and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2 The inner box is formed to be converted into a folded state by narrowing the first side surfaces of the pair from a state erected against the bottom surface and opening the second side surfaces of the pair to each other; And
A support surface to which the bottom surface is attached, a cover surfac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box, and an enclosure having at least one side support surface overlapping with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The inner box,
The first hard wick and the inner outer covering surrounding the first hard wick,
The first hard wick,
A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for configuring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first hard wick side surfaces and the one facing each other connected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so as to form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s. Including a pair of second hard wick side orthogonal to the first hard wick side of the pair to form a second side of the pair,
A first hard wick fold lin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hard wick side so that the first hard wick side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 second hard wick fold lin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hard wick side so that the second hard wick side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rd wick bottom surface,
When the second hard wick side is converted to the folded state, a pair of third hard wick fold lines ar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side of the second hard wick so that the second hard wick side is partially folded,
The enclosure includes a sheet of a second hard wick that can integrally form the support surface, the cover surface, and the side support surface, and a sheet of the outer case of the outer cas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second hard wick,
Enclosure wick fold lines are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pport surface, the cover surface, and the side support surface, respectively,
In the folded state of the inner box, an additional enclosure wick fold line is formed on the side support surface connecting the support surface and the cover surface so that the case can be stored in a folded state.


KR1020190098224A 2019-08-12 2019-08-12 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Withdrawn KR202100192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224A KR20210019262A (en) 2019-08-12 2019-08-12 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224A KR20210019262A (en) 2019-08-12 2019-08-12 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262A true KR20210019262A (en) 2021-02-22

Family

ID=7468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224A Withdrawn KR20210019262A (en) 2019-08-12 2019-08-12 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926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395A (en) 2021-08-25 2023-03-06 일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abari box, a sabari box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a method of combining the sabari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395A (en) 2021-08-25 2023-03-06 일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abari box, a sabari box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a method of combining the sabari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51461A1 (en) Folding carton
US20130105563A1 (en) Foldable container
CN109415147A (en) Carton and blank for it
KR20210019262A (en) 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KR20210000496A (en) Collapsible paper packing box
US7882999B2 (en) Method of forming a paperboard blank with attached giftwrapping paper into one component of a giftbox with square corners
JP7649023B2 (en) Boxes and packaging containers
KR101623971B1 (en) Folded Large Packing Box
KR102121282B1 (en) Packaging box to minimize volume
JP2021075301A (en) Polygonal partition packing box
KR20170101380A (en) Foldable Box
JP7224014B2 (en) Box body and its plate material
KR200273128Y1 (en) Box
WO2001068457A1 (en) Collapsible carton box, method and blank for making same
KR200453128Y1 (en) Cake packing box cover
JPH10316129A (en) Packing container
KR102746400B1 (en) Flower pot packaging box
KR101320691B1 (en) Single Handle Packaging Box
KR20190003259U (en) Packaging
KR200406280Y1 (en) Packing box
JP3212619U (en) Cut flower packing box
KR200382456Y1 (en) Wrapping box
KR20020024237A (en) box
JP2008515728A (en) Foldable shopping bag with closed end formed by overlapping connecting members
JP3105406U (en) Fruit wrapping paper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