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85Y1 - 액상 대상물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대상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385Y1
KR200486385Y1 KR2020160002364U KR20160002364U KR200486385Y1 KR 200486385 Y1 KR200486385 Y1 KR 200486385Y1 KR 2020160002364 U KR2020160002364 U KR 2020160002364U KR 20160002364 U KR20160002364 U KR 20160002364U KR 200486385 Y1 KR200486385 Y1 KR 200486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ixing member
cap body
contact
elastic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844U (ko
Inventor
최민석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60002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85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8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하면서 누액이 방지되는 액상 대상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구(100)를 가진 캡 본체(C), 및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되며 상기 토출구(100) 개폐를 위한 슬릿을 가진 탄성 밸브 부재(200)를 포함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고정시키기 위한 링 형상의 고정 부재(300);를 더 포함하며, 고정 부재로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몸통부(310)를 갖는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가 상기 캡 본체(C)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대해 가압하는 캡 유닛을 제공하여, 캡 본체에 결합되는 탄성 밸브 부재(실리콘 밸브 구조체)가 샌드위치 가압 결합됨으로써 탄성 밸브 부재에 형성된 슬릿 이외의 부분으로 누액되는 일이 원천 방지되며, 토출구(100)에는 경사면(121)이 형성되므로 고정 부재(300)가 결합 시 조립 트러블이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상 대상물 용기{A container for liquid}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하면서 누액이 방지되는 액상 대상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밸브형 캡은 액상의 물질을 소량씩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에는 실리콘 밸브형 캡 용기를 수입에 의존하여 왔다.
현재까지 수입된 실리콘 밸브형 캡 용기를 수작업 조립을 통하여 제품을 제작하여 공급하여 왔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한 오류 등으로 제품의 조립 완성도가 저하됨과 동시에 작업능률도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캡과 용기의 제품 생산 중에 캡의 틀어짐 등으로 공정상 문제가 유발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더불어 국산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위와 같이 수작업에 의한 조립 시에 힘 조절 실패로 인한 과조립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과조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 속도를 증가 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까지 초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캡 본체를 용기 본체에 결합시에 캡 본체의 비틀어짐을 억제하여 제조 공정의 안정성 및 정확성을 꾀함과 더불어 캡 본체의 지지구조 등을 통해 캡 본체와 용기 본체간의 결합강도를 상승시키는 것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구(100)를 가진 캡 본체(C), 및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되며 상기 토출구(100) 개폐를 위한 슬릿을 가진 탄성 밸브 부재(200)를 포함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고정시키기 위한 링 형상의 고정 부재(300);를 더 포함하며, 고정 부재로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몸통부(310)를 갖는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가 상기 캡 본체(C)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대해 가압하는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는 상측 밀착면(212,213)을 가진 링 형상의 씰링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씰링부(210)의 밀착면(212,213)과 접촉하는 접촉돌기부(139)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300)가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될 때 상기 고정 부재(30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씰링부(210)가 상기 접촉돌기부(139)에 밀착되는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캡 본체(C)와의 고정을 위한 걸림 돌기(324)를 가지며,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걸림 돌기(324)가 걸려지는 걸림턱(125) 및 상기 고정 부재(300) 장착 시 상기 걸림 돌기(324)를 상기 걸림턱(125)으로 안내하는 경사면(121)을 갖는 캡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씰링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332)을 갖는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수용홈(332)을 형성하는 내측 및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324)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캡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걸림턱(125)으로부터 상방 연장되며 상기 접촉돌기부(139)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대향부(127); 및 상기 접촉돌기부(139)와 상기 대향부(127)를 연결하는 연결부(131,133);를 더 포함하는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부(139), 상기 연결부(131,133) 및 상기 대향부(127)는 U자 형상을 갖도록 연결된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내주면에 경사부(322)가 형성된 캡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 유닛; 및 상기 캡 유닛과 결합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B)는 걸림돌기(530)가 형성되고, 상기 캡 본체(C)가 상기 용기 본체(B)에 결합할 때, 상기 캡 본체(C)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재(440,450)가 상기 걸림돌기(530)에 결합되어, 상기 캡 본체(C)가 상기 용기 본체(B)에 대하여 회전이 방지되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 개폐를 위한 캡 유닛에 구비되는 고정 부재(300)로서, 상기 캡 유닛은, 상기 용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구(100)를 가진 캡 본체(C), 및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되며 상기 토출구(100) 개폐를 위한 슬릿을 가진 탄성 밸브 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고정시키도록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고정 부재로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몸통부(310)를 갖는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가 상기 캡 본체(C)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대해 가압하는 고정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는 상측 밀착면(212,213)을 가진 링 형상의 씰링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씰링부(210)의 밀착면(212,213)과 접촉하는 접촉돌기부(139)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300)가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될 때 상기 고정 부재(30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씰링부(210)가 상기 접촉돌기부(139)에 밀착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캡 본체(C)와의 고정을 위한 걸림 돌기(324)를 갖는 고정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씰링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332)을 갖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수용홈(332)을 형성하는 내측 및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324)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내주면에 경사부(322)가 형성된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캡 본체에 결합되는 탄성 밸브 부재(실리콘 밸브 구조체)가 샌드위치 가압 결합됨으로써 탄성 밸브 부재에 형성된 슬릿 이외의 부분으로 누액되는 일이 원천 방지되는 강점이 있다.
토출구(100)에는 경사면(121)이 형성되므로 고정 부재(300)가 결합 시 조립 트러블이 최소화 되는 장점이 있다.
몸통부(310)가 캡 본체(C)를 용기 본체(B)에 결합 시 결합력이 인가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고속 결합이 가능한 강점이 있다.
상단부(321) 및 경사부(322)가 다단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고정 부재(300), 탄성 밸브 부재(200)를 토출구(100)에 조립시 스토퍼 역할이 수행될 수 있어 과조립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캡 본체(C)의 전체 절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캡 본체(C)의 절개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출구(100)의 절개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밸브 부재(200)의 절개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300)의 절개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본체(C)의 일부 절개 측면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본체(C)의 하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B)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캡 본체(C)의 전체 절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캡 본체(C)의 절개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캡 본체(C)는 크게 토출구(100), 탄성 밸브 부재(200), 고정 부재(300)를 포함한다.
탄성 밸브 부재(200)는 토출구(100)의 출구측에 삽입되고, 고정 부재(300)가 탄성 밸브 부재(200)를 토출구(100)에 압착하여 고정하는 형태이다.
탄성 밸브 부재(200)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출구(100)의 절개도의 부분확대도이다.
루프 유닛(110)은 최외곽 상단 테두리를 형성하는 최상면 단부(111)와 최상면 단부(111)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편평하게 형성된 베이스부(113)를 갖는다.
후크 유닛(120)은 베이스부(113)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 유닛(120)은 경사면(121), 고정 돌기(123), 걸림턱(125), 대향부(127), U자 홈(129)을 포함한다.
경사면(121)은 베이스부(113)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절단면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으로 테이퍼져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경사면(121)은 고정 부재(300)가 삽입될 때 자연스럽게 결합되도록 경사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정 돌기(123)는 후크 유닛(120)의 외측벽 상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진 않았으나, 고정 돌기(123)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돌기인 것이다.
다시 말해, 뚜껑은 캡 본체(C)와 함께 캡 디바이스를 이룬다.
걸림턱(125)은 경사면(121)의 최상단과 대향부(127)가 만나는 지점에서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턱(125)은 후술하겠지만, 고정 부재(300)의 상측 라운드부(323)이 걸려 고정되는 부분이다.
절곡부(130)는 후크 유닛(120)으로부터 연장된다.
절곡부(130)는 최상면이 수평 방향으로 편평한 제1 연결부(131)를 갖는다.
제2 연결부(133)는 제1 연결부(131)의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형상이 경사를 이루고 있다.
토출구 내측 내주면(135)은 제2 연결부(133)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짧게 연장되어 있다.
토출구 내측 내주면(135)은 용기 본체(B) 내부의 물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제공한다.
단턱부(137)는 토출구 내측 내주면(135)의 하단부에서 토출구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짧게 들어가 형성된다.
접촉돌기부(139)는 절곡부(130)의 하단부를 이룬다.
접촉돌기부(139)는 후크 유닛(120)과 이격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돌기부(139)는 후크 유닛(120)의 대향부(127)와 이격된 공간인 U자 홈(129)를 형성시킨다.
한편, 하방 연장부(140)는 베이스부(113)의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후술할 주둥이부(500)에 결합된다.
하방 연장부(140)는 전체적으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방 연장부(140)는 내주면을 이루는 하방 연장부 내주면(143)과 외주면을 이루는 주둥이 삽입부(141)을 갖는데, 주둥이 삽입부(141)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향부(127)는 후크 유닛(120)의 내측벽을 이룬다.
후크 유닛(120)의 최상단은 수평 방향으로 짧게 뻗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밸브 부재(200)의 절개도의 부분확대도이다.
탄성 밸브 부재(200)는 크게 씰링부(210), 탄력 인가부(220), 막 유닛(2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씰링부(210)는 상부면이 고정 부재(300)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될 때 접촉돌기부(139)에 눌려서 수축되는 최외곽 림부(212)을 갖는다.
다시 말해, 씰링부(210)의 상면은 밀착면(211,213)을 이루는데, 밀착면은 크게 가압면(211)과 비가압면(2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밀착면 중에서도 밀착면의 가압면(211)은 접촉돌기부(139)에 밀착되면서 최외곽 림부(212)로 형상이 눌려서 변경되는 것이다.
이는 탄성 밸브 부재(200)의 전체적인 재질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최외곽 림부(212)은 씰링부(210)의 최외곽을 이룬다.
하단부(217)는 씰링부(210)의 최하단을 이루며 라운드져 있다.
테이퍼면(216)은 하단부(217)로부터 연장되며 상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기울기를 갖는다.
테이퍼면(216)은 도 4에서는 비록 일부 단면을 보여주지만 전체적인 형상은 원형 플랜지로 형성됨을 일러둔다.
내측면(215)은 테이퍼면(216)의 상단부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짧게 연장되고 있다.
한편, 막 유닛(230)은 전체적으로 얇은 막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좁고 가늘게 슬릿이 형성된 채로 용기 본체(B)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막 유닛(230)은 슬릿 형성 막부(231), 상측 가장자리부(233), 하측 가장자리부(235)를 포함한다.
슬릿 형성 막부(231)는 전체적으로 원형 박막을 이룬다.
도시 하지는 않았으나, 막 유닛(230)의 슬릿 형성 막부(231)의 중심부는 외압시 벌어지도록 얇게 슬릿이 형성되어 용기 본체(B)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 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하측 가장자리부(235)는 막 유닛(230)의 최하면을 이루고, 상측 가장자리부(233)은 막 유닛(230)의 상면을 이룬다.
하측 가장자리부(235)와 상측 가장자리부(233) 사이의 두께는 막 유닛(230) 전체를 통틀어 가장 두터운 부분으로 이해하여도 좋다.
다시 말해서, 막 유닛(230)은 전체적으로 얇은 막 구조인데 중심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구조이다.
탄력 인가부(220)는 씰링부(210)와 막 유닛(230)을 탄력적으로 연결한다.
다시 말해서, 탄력 인가부(220)는 밀착면의 비가압면(213)의 단부에 연장되는 브릿지(221) 및 브릿지(221)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223)를 갖는다.
막 유닛(230)은 수직 연장부(223)는 하단부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씰링부(210)와 탄력 인가부(220) 및 막 유닛(230)은 유연한 재질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브릿지(221)는 중심부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솟아 형성된 구조로서, 용기 본체(B)에 외압이 가해질 때 막 유닛(230) 전체가 상방향으로 조금 밀려올라갈 수 있도록 탄력을 인가하는 구조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300)의 절개도의 부분확대도이다.
고정 부재(300)는 전체적으로 몸통부(310)와 가압 기둥부(320) 그리고 플랜지부(330)를 포함한다.
몸통부(310)는 수직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통 관 형상이다.
가압 기둥부(320)는 씰링부(210)으로부터 수평 외측 방향으로 짧게 뻗어 연장된 편평부(327)를 갖는다.
단부(326)는 편평부(327)의 모서리에서 라운드져 있다.
하측 라운드부(325)는 단부(326)에서 상방향으로 짧게 연장된다.
걸림 돌기(324)는 하측 라운드부(325)에서 최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측 라운드부(323)는 걸림 돌기(324)에 연장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상단부(321)는 고정 부재(300)의 최상단을 형성하고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 있다.
경사부(322)는 상단부(321)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된다.
플랜지부(330)는 경사부(322)의 하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면서, 가압 기둥부(320)의 내측면 일부를 이룬다.
수용홈(332)은 내측 플랜지(331)의 하단에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다.
가압면(333)은 내측 플랜지(331)의 하단에서 연장되면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하고 있다.
외측 플랜지(335)는 가압면(333)의 최상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주면을 갖는다.
단턱(337)은 외측 플랜지(335)의 하단부에서 몸통부(310)와 만나는 지점까지 짧게 연장된다.
가압면(333)에는 전술한 하단부(217)가 밀착된다.
도 6(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본체(C)의 일부 절개 측면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 본체(C)의 하면부 사시도이다.
캡 본체(C)에는 걸이 부재(420)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걸이 부재(420)는 서로 이격된 채로 대향되는 제1 걸이 부재(421) 및 제2 걸이 부재(422)를 포함한다.
제1 걸이 부재(421)의 외주면과 캡 본체(C)의 외 내주면 사이에는 지지체(410)가 형성된다.
지지체(410)는 제1 지지체(411), 제2 지지체(412), 제3 지지체(413), 제4 지지체(414)를 포함한다.
지지체(410)는 제1 걸이 부재(421)에 지지력을 인가한다.
후술하겠지만 지지체(410)는 캡 본체(C)가 용기 본체(B)에 결합될 때 걸이 부재(420)에 결합력을 부여함으로써 캡 본체(C)가 용기 본체(B)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방지한다.
제1 걸이 부재(421) 및 제2 걸이 부재(422)의 내주면 단부에는 용기 본체(B)의 외주면에 걸리는 미늘부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미늘부란 낚시 바늘에 형성된 걸림돌기 형상을 가리킨다.
한편, 캡 본체(C)의 장방향측 내주면에는 하방 연장부(140)를 사이에 두고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회전 방지부재(440) 및 제2 회전 방지부재(450)가 서로 이격된 채로 마련된다.
제1 회전 방지부재(440)에는 제1 결합홈(441)이 형성되며, 제2 회전 방지부재(450)에는 제2 결합홈(45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홈(441) 및 제2 결합홈(451)은 용기 본체(B)에 한 쌍으로 마련된 회전 방지 돌기(530)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캡 본체(C)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B)의 사시도이다.
용기 본체(B)는 액상 대상물이 담겨지는 리저버 본체 및 그로부터 상부를 마감하는 주둥이부(500)을 포함한다.
주둥이부(500)는 리저버 본체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면(510)을 포함한다.
측면부(520)는 돌출면(510)에서 리저버 본체의 장방향측 편평면을 형성하고, 측면부(520)의 중앙에는 회전 방지 돌기(530)가 돌출되어 마련된다.
회전 방지 돌기(530)는 앞서 언급된 제2 결합홈(451)과 결합되고, 제2 회전 방지부재(450)는 측면부(520)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캡 본체(C)가 용기 본체(B)에 결합될 때 회전되는 일이 절대적으로 방지된다.
하방 연장부(140)는 주둥이 단부(501)에 외삽되며, 주둥이 림(503)은 하방 연장부(14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 때, 하방 연장부(140)의 단부는 주둥이 걸림턱(505)에 밀착 가능하다.
병목부(507)는 돌출면(5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주둥이 걸림턱(505)은 병목부(507)의 외주면으로부터 원주를 따라서 링 형태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1 걸이 부재(421) 및 제2 걸이 부재(422)에 형성된 미늘부가 주둥이 걸림턱(505)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결합을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내용을 정리한다.
본 고안은 액상의 대상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B)와, 상기 용기 본체(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상물의 외부 배출을 위한 토출구(100)를 가진 캡 본체(C); 상기 토출구(100)를 커버하도록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되며 상기 토출구(100) 개폐를 위한 슬릿을 가진 탄성 밸브 부재(200); 및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고정시키기 위한 링 형상의 고정 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는 상측 밀착면(212,213)을 가진 링 형상의 씰링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씰링부(210)의 밀착면(212,213)과 접촉하는 접촉돌기부(139)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300)가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될 때 상기 고정 부재(30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씰링부(210)가 상기 접촉돌기부(139)에 밀착되는 액상 대상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캡 본체(C)와의 고정을 위한 걸림 돌기(324)를 가지며,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걸림 돌기(324)가 걸려지는 걸림턱(125) 및 상기 고정 부재(300) 장착 시 상기 걸림 돌기(324)를 상기 걸림턱(125)으로 안내하는 경사면(121)을 갖는 액상 대상물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씰링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332)을 갖는 액상 대상물 용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수용홈(332)을 형성하는 내측 및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액상 대상물 용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324)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액상 대상물 용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걸림턱(125)으로부터 상방 연장되며 상기 접촉돌기부(139)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대향부(127); 및 상기 접촉돌기부(139)와 상기 대향부(127)를 연결하는 연결부(131,133);를 더 포함하는 액상 대상물 용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부(139), 상기 연결부(131,133) 및 상기 대향부(127)는 U자 형상을 갖도록 연결된 액상 대상물 용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B)는 걸림돌기(530)가 형성되고, 상기 캡 본체(C)가 상기 용기 본체(B)에 결합할 때, 상기 캡 본체(C)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재(440,450)가 상기 걸림돌기(530)에 결합되어, 상기 캡 본체(C)가 상기 용기 본체(B)에 대하여 회전이 방지되는 액상 대상물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캡 디바이스의 결합을 설명한다.
캡 디바이스는 캡 본체(C) 및 캡 본체(C)에 힌지결합되어 캡 본체(C)에 형성된 토출구를 여닫는 마개부를 포함한다.
씰링부(210)를 고정 부재(300)에 형성된 수용홈(332)에 수용시켜 탄성 밸브 부재(200)을 고정 부재(300)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탄성 밸브 부재(200)이 결합된 고정 부재(300)을 토출구(100)에 결합시키는데, 이 때 걸림 돌기(324)가 경사면(121)의 안내를 받으면서 걸림 돌기(324)가 걸림턱(125)를 넘어 걸림턱(125)에 고정된다.
동시에 상단부(321)은 U자 홈(129)에 수용되면서 수용홈(332)는 씰링부(210)의 최외곽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측 플랜지(335)는 테이퍼면(216)에 밀착되고, 경사부(322)는 최외곽 림부(212)에 밀착되면서 전체적으로 고정 부재(300)가 탄성 밸브 부재(200)를 토출구(100)에 마련된 접촉돌기부(139)에 가압시킨다.
탄성 밸브 부재(20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밀착면의 가압면(211)은 편평한 면을 이루다가 접촉돌기부(139)에 의해서 가압되면서 밀착면의 비가압면(213)의 일부가 최외곽 림부(212)과 같이 하방향으로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 밸브 부재(200)의 밀착면(211)은 접촉돌기부(139)의 하면과 단반경부 내주면을 'L' 자 형태로 동시에 면접촉하면서 기밀이 강력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의 기밀은 앞서 언급한 탄성 밸브 부재(200)에 마련된 슬릿 이외에는 용기 본체(B) 내부에 물질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원천 봉쇄됨을 의미한다.
한편, 밀착면의 비가압면(213)은 단턱부(137)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B)에 외력을 가하면서 가압하여 용기 본체(B) 내부의 물질을 슬릿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때 슬릿이 벌어지면서 배출되는데, 밀착면의 비가압면(213)은 단턱부(137)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한 재질의 탄력 인가부(220)이 상방향으로 살짝 이완되면서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용기 본체(B)에 인가된 외력을 제거하면 브릿지(221)에 의해 막 유닛(230)은 원위치를 회복하게 되면서 슬릿은 다시 틈새를 없앤다.
다음으로 탄성 밸브 부재(200) 및 고정 부재(300)가 결합된 캡 본체(C)는 용기 본체(B)에 결합된다.
제2 걸이 부재(422) 및 제1 걸이 부재(421)은 주둥이 걸림턱(505)에 걸려 고정된다.
이 때 주둥이부(5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 마련된 회전 방지 돌기(530)가 캡 본체(C)에 각각 형성된 제2 결합홈(451) 및 제1 결합홈(441)에 결합되기 때문에 캡 유닛 디바이스 전체가 용기 본체(B)에 대하여 회전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탄성 밸브 부재(200) 및 고정 부재(300)를 토출구(100)에 간단하고 정확하게 결합시키면서도 캡 유닛 디바이스가 용기 본체(B)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동시에 용기 본체(B)의 내용물의 누액이 원천 봉쇄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고안은 용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구(100)를 가진 캡 본체(C), 및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되며 상기 토출구(100) 개폐를 위한 슬릿을 가진 탄성 밸브 부재(200)를 포함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고정시키기 위한 링 형상의 고정 부재(300);를 더 포함하며, 고정 부재로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몸통부(310)를 갖는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가 상기 캡 본체(C)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대해 가압하는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는 상측 밀착면(212,213)을 가진 링 형상의 씰링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씰링부(210)의 밀착면(212,213)과 접촉하는 접촉돌기부(139)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300)가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될 때 상기 고정 부재(30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씰링부(210)가 상기 접촉돌기부(139)에 밀착되는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캡 본체(C)와의 고정을 위한 걸림 돌기(324)를 가지며,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걸림 돌기(324)가 걸려지는 걸림턱(125) 및 상기 고정 부재(300) 장착 시 상기 걸림 돌기(324)를 상기 걸림턱(125)으로 안내하는 경사면(121)을 갖는 캡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씰링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332)을 갖는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수용홈(332)을 형성하는 내측 및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324)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캡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걸림턱(125)으로부터 상방 연장되며 상기 접촉돌기부(139)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대향부(127); 및 상기 접촉돌기부(139)와 상기 대향부(127)를 연결하는 연결부(131,133);를 더 포함하는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부(139), 상기 연결부(131,133) 및 상기 대향부(127)는 U자 형상을 갖도록 연결된 캡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내주면에 경사부(322)가 형성된 캡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 유닛; 및 상기 캡 유닛과 결합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B)는 걸림돌기(530)가 형성되고, 상기 캡 본체(C)가 상기 용기 본체(B)에 결합할 때, 상기 캡 본체(C)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재(440,450)가 상기 걸림돌기(530)에 결합되어, 상기 캡 본체(C)가 상기 용기 본체(B)에 대하여 회전이 방지되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 개폐를 위한 캡 유닛에 구비되는 고정 부재(300)로서, 상기 캡 유닛은, 상기 용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구(100)를 가진 캡 본체(C), 및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되며 상기 토출구(100) 개폐를 위한 슬릿을 가진 탄성 밸브 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고정시키도록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고정 부재로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몸통부(310)를 갖는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가 상기 캡 본체(C)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대해 가압하는 고정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는 상측 밀착면(212,213)을 가진 링 형상의 씰링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씰링부(210)의 밀착면(212,213)과 접촉하는 접촉돌기부(139)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300)가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될 때 상기 고정 부재(30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씰링부(210)가 상기 접촉돌기부(139)에 밀착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캡 본체(C)와의 고정을 위한 걸림 돌기(324)를 갖는 고정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씰링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332)을 갖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수용홈(332)을 형성하는 내측 및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324)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내주면에 경사부(322)가 형성된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토출구
110 : 루프 유닛
111 : 최상면 단부
113 : 베이스부
120 : 후크 유닛
121 : 경사면
123 : 고정 돌기
125 : 걸림턱
127 : 대향부
129 : U' 자 홈
130 : 절곡부
131 : 제1 연결부
133 : 제2 연결부
135 : 토출구 내측 내주면
137 : 단턱부
139 : 접촉돌기부
140 : 하방 연장부
141 : 주둥이 삽입부
143 : 하방 연장부의 내주면
200 : 탄성 밸브 부재
210 : 씰링부
211 : 밀착면의 가압면
212 : 최외곽 림부
213 : 밀착면의 비가압면
215 : 내측면
216 : 테이퍼면
217 : 하단부
220 : 탄력 인가부
221 : 브릿지
223 : 수직 연장부
230 : 막 유닛
231 : 슬릿 형성 막부
233 : 상측 가장자리부
235 : 하측 가장자리부
300 : 고정 부재
310 : 몸통부
320 : 가압 기둥부
321 : 상단부
322 : 경사부
323 : 상측 라운드부
324 : 걸림 돌기
325 : 하측 라운드부
326 : 단부
327 : 편평부
330 : 플랜지부
331 : 내측 플랜지
332 : 수용홈
333 : 가압면
335 : 외측 플랜지
337 : 단턱
410 : 지지체
411 : 제1 지지체
412 : 제2 지지체
413 : 제3 지지체
414 : 제4 지지체
420 : 걸이 부재
421 : 제1 걸이 부재
422 : 제2 걸이 부재
440 : 제1 회전 방지부재
441 : 제1 결합홈
450 : 제2 회전 방지 부재
451 : 제2 결합홈
500 : 주둥이부
501 : 주둥이 단부
503 : 주둥이 링
505 : 주둥이 걸림턱
507 : 병목부
510 : 돌출면
520 : 측면부
530 : 회전 방지 돌기
B : 용기 본체
C : 캡 본체

Claims (18)

  1. 용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개방된 출구가 형성된 토출구(100), 및 상기 출구의 둘레측으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촉돌기부(139)를 갖는 캡 본체(C);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 본체(C)의 상기 출구 측에 장착되는 탄성 밸브 부재(200)로서, 상기 토출구(100)의 상기 출구의 개폐를 위한 슬릿, 및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가 상기 출구 측에 장착될 때 상기 접촉돌기부(139)에 접하도록 위치하는 씰링부(210)를 갖는 탄성 밸브 부재(200);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출구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캡 본체(C)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300)가 상기 캡 본체(C)에 장착되면서 상기 탄성 밸브 부재(200)를 상기 캡 본체(C)에 대해 가압하며, 상기 고정 부재(30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씰링부(210)가 상기 접촉돌기부(139)에 접하며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접촉돌기부(139)와 면 접촉 되도록 형성되는 밀착면(211, 213)에 의해 상기 출구의 둘레 부분과 상기 고정 부재(300) 사이가 밀폐되는,
    캡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캡 본체(C)와의 고정을 위한 걸림 돌기(324)를 가지며,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걸림 돌기(324)가 걸려지는 걸림턱(125) 및 상기 고정 부재(300) 장착 시 상기 걸림 돌기(324)를 상기 걸림턱(125)으로 안내하는 경사면(121)을 갖는,
    캡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씰링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332)을 갖는,
    캡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00)는 상기 수용홈(332)을 형성하는 내측 및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캡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324)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캡 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C)는,
    상기 걸림턱(125)으로부터 상방 연장되며 상기 접촉돌기부(139)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대향부(127); 및
    상기 접촉돌기부(139)와 상기 대향부(127)를 연결하는 연결부(131,133);를 더 포함하는,
    캡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부(139), 상기 연결부(131,133) 및 상기 대향부(127)는 U자 형상을 갖도록 연결된,
    캡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내주면에 경사부(322)가 형성된,
    캡 유닛.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 유닛; 및
    상기 캡 유닛과 결합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는,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B)는 걸림돌기(530)가 형성되고,
    상기 캡 본체(C)가 상기 용기 본체(B)에 결합할 때, 상기 캡 본체(C)의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재(440,450)가 상기 걸림돌기(530)에 결합되어, 상기 캡 본체(C)가 상기 용기 본체(B)에 대하여 회전이 방지되는,
    용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2020160002364U 2016-04-29 2016-04-29 액상 대상물 용기 KR200486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64U KR200486385Y1 (ko) 2016-04-29 2016-04-29 액상 대상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64U KR200486385Y1 (ko) 2016-04-29 2016-04-29 액상 대상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44U KR20170003844U (ko) 2017-11-10
KR200486385Y1 true KR200486385Y1 (ko) 2018-05-11

Family

ID=6040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64U KR200486385Y1 (ko) 2016-04-29 2016-04-29 액상 대상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967B1 (ko) * 2023-04-10 2023-11-10 (주)새한화장품 자동 밀폐식 밸브를 구비한 디스펜싱 클로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2458B2 (ja) * 1996-11-19 2005-05-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内容物吐出容器のスリットバルブ保持手段
GB0912064D0 (en) * 2009-07-10 2009-08-19 Reckitt & Colman Overseas A bottle with a secure cap
KR200471613Y1 (ko) * 2012-08-24 2014-03-06 김수성 튜브식 용기의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44U (ko)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4597C2 (ru) Удерживающее клапан устройство
AU2015301609B2 (en) Disinfectant caps
CN107720675B (zh) 具有减压阀的容器
FI87173C (fi) Foerpackning foer lagring och utmatning av fluider
US4739906A (en) Storage bottle for contact lens cleaning solution having a self closing valve assembly
RU2367588C2 (ru) Затвор для содержащего текучий продукт сосуда
RU2682533C2 (ru) Укупорочный узел
US11717470B2 (en) Flip-top dispensing closure
US10849826B2 (en) Flow restrictor
JP6034854B2 (ja) 容器への管継手の固定
RU2727813C2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насадка, в которой он используется, и сжимаемый контейнер
CZ20021524A3 (cs) Jednodílný vypouątěcí systém a způsob jeho výroby
JP2013241197A (ja) キャップ
JP2010524793A (ja) 子供用の飲料ボトルまたは子供用飲料カップのための閉鎖システム
KR20170016965A (ko) 페이스트 제품을 패키징 및 분배하는 장치
US10000316B2 (en) One-way valve for a compressible container and container with such a valve
US5234138A (en) Self-closing dispenser for a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or pasty product
US10450113B2 (en) Relating to closures
KR200486385Y1 (ko) 액상 대상물 용기
US10349766B2 (en) Cover device for a drink container
JP2022549219A (ja) 真空ストッパ、及びストッパと容器の組立体
US10259623B2 (en) Valve retaining device
US9296532B2 (en) Container lid and valve
JP2006502063A (ja) 固定装置、およびこうした固定装置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
US10737861B2 (en) Spout for a flexible bag and flexible bag having a sp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