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002Y1 -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 Google Patents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02Y1
KR200486002Y1 KR2020170000029U KR20170000029U KR200486002Y1 KR 200486002 Y1 KR200486002 Y1 KR 200486002Y1 KR 2020170000029 U KR2020170000029 U KR 2020170000029U KR 20170000029 U KR20170000029 U KR 20170000029U KR 200486002 Y1 KR200486002 Y1 KR 200486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angular plate
plate
hard cover
cover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장희
김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블코리아
Priority to KR2020170000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책자의 하드커버 외면에 세로방향으로 절곡세움판을 설치하되, 상기 절곡세움판은 힌지부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4개의 사각판으로 구성하고, 그 중 제3 사각판을 상기 하드커버의 중간 부분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2 사각판을 일으켜 세운 다음제1 사각판과 제4 사각판을 서로 결속함으로써 견고한 삼각구도의 독서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책표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Self-standing book cover}
본 고안은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책자의 하드커버 외면에 세로방향으로 절곡세움판을 설치하되, 상기 절곡세움판은 힌지부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4개의 사각판으로 구성하고, 그 중 제3 사각판을 상기 하드커버의 중간 부분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2 사각판을 일으켜 세운 다음제1 사각판과 제4 사각판을 서로 결속함으로써 견고한 삼각 구도의 독서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책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라 함은, 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독서를 할 수 있도록 책을 적당한 각도로 세워두는 생활용품을 말한다. 이러한 독서대는 주로 목재나 플라스틱 또는 철재로 제작되며, 책과 별도로 준비하고 보관해야 때문에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도 책을 경사지게 세워서 받칠 수 있도록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가 다수 소개되어 있다.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20-0341710호(2004년 02월 02일)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5개의 판지(板紙)를 약간의 간격을 두어 세로 방향으로 배열하고, 상기 5개의 판지 사이에는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접혀지는 4개의 간격부분은 형성한 책표지 겸용 삼각 받침대가 소개 되어 있다.
상기 책표지 겸용 삼각 받침대는 예컨대 다이어리나 명함포켓 등과 같이 속지가 링 홀더에 함께 제본되어 책자를 책상 위에 비스듬히 비치해 두고, 한 장씩 넘겨 가면서 사용하기에는 편리하지만, 예컨대 성경책과 같이 속지를 좌우 양쪽으로 펼치는 책자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490255호(2005년 05월 10일)에는, 책표지의 표면 상단에 제1 힌지부를 형성하고 하단에는 제2 힌지부를 형성하며, 그 사이에는 제1 및 제2 접힘부를 갖는 지지대와 제1 및 제2 받침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받침대를 형성하여, 책을 펼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받침부를 책표지 내측에서 꺼내어 후방으로 젖혀 펼치며, 책을 덮을 경우에는 상기 제2 접힘부를 바깥으로 접어서 다시 제2 힌지부의 책 안쪽으로 접혀지도록 구성한 책표지가 소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책표지는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서 제조원가가 높고, 사용이 불편하며, 특히 책의 각도를 조절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080823호(2011년 11월 01일)에는, 표제부와, 상기 표제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내측지와, 상기 표제부와 양측 내측지의 면에 가로방향, 대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로 구성되는 책표지와, 상기 책표지의 표제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책표지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절곡부까지 형성되는 비접착부와, 표제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접착부에 맞춰 접착부와 비접착부를 형성하는 서적의 내용을 포함하는 속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절곡부를 기준으로 꺾임을 주어 상기 속지부가 지면으로부터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된 책표지를 이용한 일체형 독서대가 소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독서대의 경우, 상기 절곡부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지 못하지 못하기 때문에 책의 무게가 증가할 경우 상기 절곡부가 책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펼쳐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080823호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186301호(2012년 09월 20일)에는, 상기 책표지의 절곡부가 일정한 꺽임 상태를 유지하여 독서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책표지의 중앙 하단에 끈을 부착하고, 상기 책표지의 중앙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에 감아 고정하는 꺾임고정끈을 설치한 책표지를 이용한 일체형 독서대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일체형 독서대는 상기 꺾임고정끈을 이용하여 상기 절곡부의 꺽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매번 상기 꺾임고정끈을 고정핀에 감아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41710호(2004년 02월 02일) 등록특허 제10-0490255호(2005년 05월 10일) 등록특허 제10-1080823호(2011년 11월 01일) 등록특허 제10-1186301호(2012년 09월 20일)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예컨대 성경책과 같이 속지를 좌우 양쪽으로 펼치는 책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책자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는, 책자 속지(B)의 앞면과 뒷면을 덮는 한쌍의 하드커버와, 상기 하드커버의 외면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절곡세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세움판은 힌지부(H)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제1 사각판과 제2 사각판, 제3 사각판 및 제4 사각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사각판은 상기 하드커버의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사각판과 상기 제4 사각판 사이에는 상기 제2 사각판을 일으켜 세워서 비스듬히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결속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는, 책자 속지(B)의 앞면과 뒷면을 덮는 한쌍의 하드커버와, 상기 하드커버의 외면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절곡세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세움판은 힌지부(H)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제1 사각판과 제2 사각판, 제3 사각판 및 제4 사각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사각판은 상기 하드커버의 하단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사각판과 상기 하드커버 사이에는 상기 제2 사각판과 제3 사각판을 일으켜 세워서 비스듬히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결속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는, 전체적인 구조가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는, 예컨대 성경책과 같이 책자 속지를 좌우 양쪽으로 펼치는 책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책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에 대한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종래기술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실시예에 속하는 구성요소라도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책자 속지(B)의 앞면과 뒷면을 덮는 한쌍의 하드커버(10)와, 상기 하드커버(10)의 외면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절곡세움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는 편의상 책자 전면의 하드커버(10)에 설치된 절곡세움판(20)만 표시하였으나, 책자 후면의 하드커버(10)에도 당연히 동이한 절곡세움판(20)이 설치된다.
본 고안의 특징인 상기 절곡세움판(20)은, 제1 사각판(21)과 제2 사각판(22), 제3 사각판(23) 및 제4 사각판(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4 사각판(21~24)은 서로 절곡 가능하도록 힌지부(H)에 의해서 일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사각판(23)은 통상적인 접착수단에 의해서 상기 하드커버(10)의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나머지 제1 사각판(21)과 제2 사각판(22) 및 제4 사각판(24)은 상기 하드커버(10)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제3 사각판(23)과 하드커버(10) 사이의 접착수단은 도면과 같이 고정리벳(R)이 사용될 수도 있고, 통상적인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사각판(21)과 제4 사각판(24) 사이에는 상기 제2 사각판(22)을 일으켜 세워서 비스듬히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결속수단(2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속수단(25)으로는 도면과 같이 서로 대응하는 한쌍의 스냅 단추(snap button)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한쌍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나 한쌍의 자석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첨부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2 사각판(22)과 제4 사각판(24)을 일으켜 세운 다음, 상기 결속수단(25)을 이용하여 제1 사각판(21)과 제4 사각판(24)를 서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면, 도 4와 같이 상기 하드커버(10)에 부착된 제3 사각판(23)을 밑변으로 하여, 제2 사각판(22)을 하나의 빗변으로 하고, 제1 사각판(21)과 제4 사각판(24)을 다른 하나의 빗변으로 하는 견고한 삼각구도가 형성된다. 이러한 삼각구조를 활용하여 책자를 적당한 각도로 세워주면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책자의 세움 각도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사각판(21~24)의 상대적인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세움판(20)의 길이는 상기 하드커버(10)의 세로방향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절곡세움판(20)의 전체 길이를 10 이라 할 때 상기 제1 사각판(21)과 제2 사각판(22), 제3 사각판(23) 및 제4 사각판(24)의 길이 비율은 2 : 3.5 : 2 : 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책자의 세움 각도는, 상기 제1 사각판(21)과 제4 사각판(24)의 부착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상기 부착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사각판(22)의 각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2 사각판(22)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사각판(21)과 제4 사각판(24) 사이에 다수개의 결속수단(25)을 서로 다른 위치에 일렬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과 같이 상기 절곡세움판(20)을 완전히 펼쳐서 상기 하드커버(10)에 밀착시켜 둔다. 이때, 상기 하드커버(1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사각판(21)과 제4 사각판(24)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사각판(21)과 하드커버(10) 사이 및 제4 사각판(24)과 하드커버(10) 사이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결속수단(25a)을 설치한다. 상기 결속수단(25a)은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냅 단추나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절곡세움판(20)의 양쪽 측방에는 각각 상기 하드커버(10)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한쌍의 측방보조판(3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세움판(20)과 상기 측방보조판(30)은 상기 하드커버(1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방보조판(30)은 상기 절곡세움판(20)을 보호하며, 책 표지가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측방보조판(30)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하드커버(10)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각판(21)과 제2 사각판(22), 제3 사각판(23) 및 제4 사각판(24) 중에서 상기 제4 사각판(24)이 통상적인 접착수단, 바람직하기로는 고정리벳(R)에 의해서 하드커버(10)의 하단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사각판(21)과 상기 하드커버(10) 사이에는 상기 제2 사각판(22)과 제3 사각판(23)을 접어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결속수단(25)이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도 6과 같이 상기 제2 사각판(22)과 제3 사각판(23)을 비스듬히 일으켜 세운 상태에서 상기 결속수단(25)을 이용하여 제1 사각판(21)을 하드커버(10)에 고정시키면, 상기 하드커버(10)를 밑변으로 하고, 상기 제2 사각판(22)과 제3 사각판(23)를 각각 빗변으로 하는 삼각구도의 독서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책자의 세움 각도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사각판(21~24)의 상대적인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절곡세움판(20)의 길이를 10 이라 할 때 제1 사각판(21)과 제2 사각판(22), 제3 사각판(23) 및 제4 사각판(24)의 길이 비율이 1 : 3.5 : 3 : 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절곡세움판(20)을 완전히 펼쳐서 상기 하드커버(10)에 밀착시켰을 때, 상기 하드커버(10)에서 제1 사각판(21)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사각판(21)과 하드커버(10) 사이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결속수단(25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 번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 비해서 책자의 세움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두번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대응구성과 동일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힌지부(H)의 구성은 통상적인 힌지부, 예컨대앞서 배경기술에서 소개한 등록특허 제10-1080823호(2011년 11월 01일)의 도 3과 같은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10; 하드커버(hard cover) 20; 절곡세움판
21,22,23,24 ; 사각판 25,25a; 결속수단
30; 측방보조판 B ; 책자 속지
H ; 힌지부 R ; 고정리벳

Claims (7)

  1. 책자 속지(B)의 앞면과 뒷면을 덮는 한쌍의 하드커버(10)와, 상기 하드커버(10)의 외면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절곡세움판(20)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세움판(20)은 힌지부(H)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제1 사각판(21)과 제2 사각판(22), 제3 사각판(23) 및 제4 사각판(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사각판(23)은 상기 하드커버(10)의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사각판(21)과 상기 제4 사각판(24) 사이에는 상기 제2 사각판(22)을 일으켜 세워서 비스듬히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결속수단(2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사각판(21)과 상기 하드커버(10) 사이에는 상기 절곡세움판(20)을 완전히 펼쳐서 상기 하드커버(10)에 밀착시켰을 때 상기 제1 사각판(21)이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추가적인 결속수단(25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세움판(20)의 길이는 상기 하드커버(10)의 세로방향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사각판(21)과 제2 사각판(22), 제3 사각판(23) 및 제4 사각판(24)의 길이 비율은 2 : 3.5 : 2 :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3. 책자 속지(B)의 앞면과 뒷면을 덮는 한쌍의 하드커버(10)와, 상기 하드커버(10)의 외면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절곡세움판(20)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세움판(20)은 힌지부(H)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제1 사각판(21)과 제2 사각판(22), 제3 사각판(23) 및 제4 사각판(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사각판(24)은 상기 하드커버(10)의 하단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사각판(21)과 상기 하드커버(10) 사이에는 상기 제2 사각판(22)과 제3 사각판(23)을 일으켜 세워서 비스듬히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결속수단(2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사각판(21)과 상기 하드커버(10) 사이에는 상기 절곡세움판(20)을 완전히 펼쳐서 상기 하드커버(10)에 밀착시켰을 때 상기 제1 사각판(21)이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추가적인 결속수단(25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세움판(20)의 길이는 상기 하드커버(10)의 세로방향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사각판(21)과 제2 사각판(22), 제3 사각판(23) 및 제4 사각판(24)의 길이 비율은 1 : 3.5 : 3 :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세움판(20)의 양쪽 측방에는 각각 상기 하드커버(10)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한쌍의 측방보조판(30)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절곡세움판(20)과 상기 측방보조판(30)은 상기 하드커버(1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25)은 스냅 단추(snap button),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자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사각판(22)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결속수단(25)이 서로 다른 위치에 일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7. 삭제
KR2020170000029U 2017-01-02 2017-01-02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KR200486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029U KR200486002Y1 (ko) 2017-01-02 2017-01-02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029U KR200486002Y1 (ko) 2017-01-02 2017-01-02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002Y1 true KR200486002Y1 (ko) 2018-03-22

Family

ID=6180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029U KR200486002Y1 (ko) 2017-01-02 2017-01-02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02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710Y1 (ko) 2003-11-24 2004-02-14 홍성태 책표지 겸용 탁상용 삼각 받침대로 사용하는 지지대.
KR100490255B1 (ko) 2003-04-03 2005-05-19 송재옥 책표지 구조
KR101080823B1 (ko) 2009-06-24 2011-11-07 구태창 책표지를 이용한 일체형 독서대
KR20120002223A (ko) * 2010-06-30 2012-01-05 박종두환 책과 이를 위한 책지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186301B1 (ko) 2010-05-13 2012-09-26 알래스카인디고 주식회사 책표지를 이용한 일체형 독서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255B1 (ko) 2003-04-03 2005-05-19 송재옥 책표지 구조
KR200341710Y1 (ko) 2003-11-24 2004-02-14 홍성태 책표지 겸용 탁상용 삼각 받침대로 사용하는 지지대.
KR101080823B1 (ko) 2009-06-24 2011-11-07 구태창 책표지를 이용한 일체형 독서대
KR101186301B1 (ko) 2010-05-13 2012-09-26 알래스카인디고 주식회사 책표지를 이용한 일체형 독서대
KR20120002223A (ko) * 2010-06-30 2012-01-05 박종두환 책과 이를 위한 책지지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050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US20130075280A1 (en) Combination cover and stand for an electronic device
US8162281B2 (en) Presentation pad easel
US7798530B1 (en) Bookmark and stand
EP0627889A1 (en) Adjustable book rest
JP3165771U (ja) 折畳式携帯書見台
KR200486002Y1 (ko) 독서대가 설치된 책표지
US8485557B2 (en) Self-supporting book
KR101392421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20210024858A (ko) 다용도 독서대
US11660901B2 (en) Self-supporting book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US10682876B2 (en) Self-supporting book
US20130292933A1 (en) Self-supporting book
US8523133B2 (en) Collapsible book holder
US20200121074A1 (en) Deployable stand assemblies with folding hinges and related methods
US9895920B2 (en) Self-supporting book
KR101270722B1 (ko) 책과 이를 위한 책지지구 및 그 제조방법
JP3166158U (ja) 折畳式簡便書見台
KR101822994B1 (ko) 북커버
KR101912456B1 (ko) 단순 독서대
JP3168147U (ja) 折畳み式簡便書見台
KR20200017670A (ko) 2단 페이지 클립을 갖는 북마크 독서대
WO2018089551A2 (en) Self-supporting book
JP3164766U (ja) 軽便書見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