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01Y1 - Safety device for helicopter skid - Google Patents

Safety device for helicopter sk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01Y1
KR200485901Y1 KR2020160004427U KR20160004427U KR200485901Y1 KR 200485901 Y1 KR200485901 Y1 KR 200485901Y1 KR 2020160004427 U KR2020160004427 U KR 2020160004427U KR 20160004427 U KR20160004427 U KR 20160004427U KR 200485901 Y1 KR200485901 Y1 KR 200485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workbench
hand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4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0399U (en
Inventor
배상길
전상원
김석기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4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01Y1/en
Publication of KR201800003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9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0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2Skis or runn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pairing insulation or armouring of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는, 헬리콥터의 스키드에 설치된 작업대에 구비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의 상기 작업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에 착석한 상태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작업발판을 포함하는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를 상기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작업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상기 작업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손잡이부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The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is provided in a workbench provided on a skid of a helicopter. The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is installed on the workbench so as to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workbench of the skid, And a grip portion having a handle connected to the work table so as to be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work table, and a grip portion for holding the foot portion, Lt; / RTI >

Description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HELICOPTER SKID}[0001] SAFETY DEVICE FOR HELICOPTER SKID [0002]

본 고안은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헬기활선원의 안전이 보장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in which the safety of the helicopter is secured.

765킬로볼트 가공송전선로의 유지정비 보수를 위한 작업에 헬리콥터를 이용한 직접활선 작업이 이용된다.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철탑 주변 또는 선로에 작업자를 안전하게 이동시키고, 등전위를 수행한 후, 가공지선 유지정비 및 항공장애표시구, 진동댐퍼 교체 등의 부적합개소 직접활선 작업을 수행하거나, 전력선 유지정비 및 스페이서 댐퍼 교체 등의 부적합개소 직접활선 작업을 수행한다. A 765 kilovolt processing line is used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transmission line, using a direct live operation using a helicopter. A helicopter is used to safely move an operator around a steel tower or a line, perform equipotential operations, perform direct live operation of unsuitable parts such as maintenance of grounded wire, maintenance of air obstacle, replacement of vibration damper, Damper replacement and other unsuitable points Perform direct live operation.

헬리콥터를 이용한 765킬로볼트 가공송전선로의 직접활선 공법에는 언더스렁(Underslung) 공법과 스키드(Skid) 공법 등이 있다. The 765 kilovolt processing line using the helicopter has direct undercarriage methods such as underslung method and skid method.

스키드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가공송전 선로의 직접활선 작업을 위해, 활선원인 작업자는 스키드에 장착된 작업대에 앉아서 스키드의 앵글을 잡고 이동 및 정비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활선 작업 시에 전력선으로 접근하기 위해 헬리콥터가 전력선 가까이에 접근하게 되고, 작업자의 안전벨트 로프는 스키드에 고정하여 조정하며, 작업 시에 작업자의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안전벨트 로프가 90˚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고정한다.In the case of applying the skid method, in order to directly work on the live transmission line, the live-line operator sits on the workbench mounted on the skid, moves the skid angle and carries out maintenance work. In addition, the helicopter approaches the power line to access the power line during live operation, the operator's seat belt rope is fixed to the skid, and a seat belt rope is used to prevent the worker's body from tilting forward Fix it so that it does not tilt more than 90˚.

그런데, 종래 스키드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헬기활선원인 작업자가 이동 및 정비작업 시에 스키드에 안전장비가 미비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the conventional skid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of the operator is not ensured because the safety equipment is not provided in the skid during the movement and maintenance work by the worker caused by the helicopter live line.

특히, 작업자의 몸이 기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안전로프가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져 헬리콥터가 가공송전선로에 더 가까이 근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헬리콥터의 정지비행 시간이 길어지므로 전체 활선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safety rope is fixed so as not to be inclined over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prevent the worker's body from tilting, the distance that the worker can work is shortened,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helicopter to be closer to the working transmission line. In addition, since the stopping flight time of the helicopter is prolong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live operation time is lengthened.

한편,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안전벨트 로프를 길게 하면, 헬기 활선원의 몸이 기울어지므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at belt rope is lengthened in order to secure a distance for the worker to work, safety of the helicopter is increased because the body of the helicopter is tilted.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헬리콥터를 이용한 활선 작업 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which prevents a fall of an operator during a live operation using a helicopter and ensures the safety of an operator.

또한 본 고안은 일 측면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한 상태로 작업하고 헬리콥터의 정지비행 시간을 단축하여, 헬리콥터를 이용한 활선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which can shorten the stopping flight time of the helicopter and shorten the work time required for live operation using the helicop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고안은, 헬리콥터의 스키드에 설치된 작업대에 구비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의 상기 작업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에 착석한 상태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작업발판을 포함하는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를 상기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작업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상기 작업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손잡이부를 포함한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Technical Solu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mounted on a workbench mounted on a skid of a helicopter, the safety device comprising: A pedestal part including a pedestal part capable of placing a foot on the workbench in an occupied state by an operator; a fixing part detachably fixing the pedestal part to the workbench; A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including a handle portion having a handle to be connected.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판부와 결합되는 제1 고정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결합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을 상기 작업대에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ixing frame coupled with the foot portion, a fixing member having one side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frame, and a first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member to the work table can do.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대는, 프레임과, 상기 발판부에 수직하게 상기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리브와, 상기 제1 리브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리브의 하부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리브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의해 제2 리브와 체결되는 체결파트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결합하고, 상향 굴곡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orktable includes a frame, a plurality of first ribs coupled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perpendicularly to the footstool, and a plurality of second rib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ibs,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bod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ib and a coupling groov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for insertion of the second rib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rib by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a support part which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engages with the first fixing frame and is upwardly bent and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발판부는, 일측이 상기 작업발판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고정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ootres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ng bar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ootrest and the other side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fixed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제1 연결바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프레임이 끼워지는 중공을 구비한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ootres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p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having a hollow through which the first fixing frame is inserted.

바람직하게,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제1 연결바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 걸림되어, 상기 작업발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ootres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workbench, the stoppe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operation footbath.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는, 하단이 상기 제1 고정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제1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handl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frame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the first fixed frame vertically and an upper end coupled to the handle.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상기 손잡이를 고정하는 제1 걸림부재와,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손잡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걸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grip portion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able laterally, and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andle,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to prevent the hand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ort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판부와 결합되고, 상기 작업대에 끼움 장착되는 제2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을 상기 작업대에 고정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fixing frame coupled to the foot plate and fitted to the work table;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frame and fixing the second fastening frame to the work table .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대는, 프레임과, 상기 발판부에 수직하게 상기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리브와, 상기 제1 리브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은, 상기 제1 리브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에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worktable includes a frame, a plurality of first ribs coupled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perpendicularly to the footstool, and a plurality of second rib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ibs, The second fixing frame may be engaged with the fixing hole formed through the first rib.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체결부재,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파트와, 상기 고정파트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리브의 하부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includes a fixing part which is fitted to an end of the second fixing frame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frame, and a fixing part which is extended from the fixing part, And a locking part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second fixed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는, 하단이 상기 작업발판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제2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handl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frame, the lower end of which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operation pedestal, and the upp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handle.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를 이용하면, 작업대에 작업발판과 손잡이가 설치되므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활선 작업 시에 작업자인 활선원이 작업대에 앉은 상태로 발판에 발을 올리고 손잡이를 잡거나 기대어 직접 활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helicopter skid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work footrest and the handle are installed on the workbench. Therefore, when the helicopter is used for the live work, the worker, who is sitting on the workbench, You can lean directly on the leash.

이에 따라, 활선 작업 시에 헬리콥터가 작업자가 있는 곳으로 기울어져도, 손잡이부와 발판부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helicopter is tilted to the worker's position at the time of live wire work, the operator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by the handle portion and the foot plate portion, so that the safety of the worker can be assured.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활선작업 시에 작업자가 작업발판을 밟고 이동하여 전력선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헬리콥터가 전력선이 가까이 접근할 필요가 없으므로, 활선작업을 위한 정지비행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or can approach the power line by stepping on the work foot during the live operation, the helicopter does not need to approach the power line so that the stop flight time for live operation can be shortened.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한 상태로 작업하고 정지비행 시간이 단축되므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활선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the worker is working in a safe state and the stopping flight time is shortened,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ing time required for the live wire work using the helicopter is shortene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손잡이와 제1 지지프레임과 제1 고정프레임의 연결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 2 고정프레임과 작업대의 결합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 체결부재와 제2 고정프레임의 결합을 하부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 체결부재가 복수 개로 체결된 상태를 하부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portion of FIG. 1 enlarged.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handle and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first fixture frame, which is appli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 portion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5 as viewed from the sid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second fixed frame and a workbench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second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fastening frame, which is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ottom.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which is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in a state where the second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together.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인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고안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safety device for the helicopter skid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that are applied or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는, 헬리콥터의 스키드에 설치된 작업대에 구비되어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전선의 활선작업 수행 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The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workbench installed on a skid of a helicopter and is a device for securing the safety of a worker when performing a live wire operation using a helicopter.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는 헬리콥터를 이용한 활선공법 중 스키드 공법에 적용될 수 있다. 스키드 공법은 헬리콥터의 스키드 부분에 작업대를 설치한 후, 작업대에 앉아서 활선에 접근 후 전선을 유지 및 보수하는 공법이다. In addition, the safet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kid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elicopter. The skid method is a method of installing a workbench on the skid portion of a helicopter and then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 wire after approaching the live wire on the workbench.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100)는, 발판부(200)와, 고정부(300)와, 손잡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he safety device 100 for a helicopter sk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 part 200, a fixing part 300, and a handle part 400 .

발판부(200)는, 스키드의 작업대(3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작업대(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선 작업 시에 작업자가 작업대(30)에 착석한 상태로 발판부(200)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다. The footrest 200 can be installed on the workbench 30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workbench 30 of the skid.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put his foot on the foot plate 200 while the worker is seated on the work table 30 at the time of live wire working.

더욱 바람직하게, 발판부(200)는 작업대(30)의 외측(헬리콥터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 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작업대(30)에 착석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일실시예에는 발판부(200)가 파이프 형태인 경우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가 발을 딛고 작업을 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More preferably, the footrest portion 200 is disposed below the worktable 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toward the helicopter) so that the worker can put his or her foot on the worktable 30 while the worker is seated on the worktable 30 And can be placed at a certain posi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pedestal 200 is shown in the form of a pip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s long as the worker can work on the foot.

한편, 고정부(300)는, 발판부(200)를 작업대(3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art 300 can detachably fix the footrest part 200 to the workbench 30.

여기서 고정부(30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발판부(200)를 작업대(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고정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고정부(300)에 의해 발판부(200)가 작업대(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활선 작업을 수행하지 않거나, 헬리콥터를 구동하지 않는 경우에 발판부(200)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Here, the type of the fixing part 300 is not limited, and various types of fixing devices can be applied as long as the footrest 200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workbench 30. Since the pedestal part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orkbench 30 by the fixing part 300, the pedestal part 200 can be separated and stored when the live part is not operated or the helicopter is not driven.

손잡이부(400)는, 작업대(3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작업대(30)에 연결되는 손잡이(41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handle 400 may have a handle 410 connected to the workbench 30 so as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workbench 30.

구체적으로, 손잡이(410)는 발판부(200) 또는 고정부(300)에 설치됨으로써 작업대(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작업대(3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대(30)에 앉아 발판부(200)에 발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손잡이(410)를 잡거나 손잡이(410)에 상체를 기대고 작업을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andle 410 can be fixed to the work table 30 by being installed in the foot part 200 or the fixing part 300. The worker 30 is plac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workbench 30 so that the worker can sit on the workbench 30 while holding the handle 410 in a state where the foot is placed on the footbath 200, .

다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손잡이부(400)는 도시된 일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가 잡고 이동하거나 기댄 상태로 작업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However, the handle 400 appli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f the worker is able to work while holding or moving.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100)를 이용하면, 작업대(30)에 작업발판(210)과 손잡이(410)가 설치되므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활선 작업 시에 작업자인 활선원이 작업대(30)에 앉은 상태로 발판에 발을 올리고 손잡이(410)를 잡거나 기대어 직접 활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helicopter skid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ork footrest 210 and the handle 410 are installed on the workbench 30, when the user operates the helicopter, It is possible to carry the live wire work directly by holding the handle 410 by holding the live wire circle on the work table 30 and raising the foot on the foot plate.

이에 따라, 활선 작업 시에 헬리콥터가 작업자가 있는 곳으로 기울어져도, 손잡이부(400)와 발판부(200)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helicopter is tilted to the worker at the time of live wire operation, the operator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by the grip part 400 and the foot part 200, so that the safety of the operator can be assured.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활선작업 시에 작업자가 작업발판(210)을 밟고 이동하여 전력선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헬리콥터가 전력선이 가까이 접근할 필요가 없어, 활선작업을 위한 정지비행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or can approach the power line by stepping on the work foot plate 210 during the live wire operation, the helicopter does not need to approach the power line so that the stop flight time for the live wire operation can be shortened .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한 상태로 작업하고 정지비행 시간이 단축되므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활선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the worker is working in a safe state and the stopping flight time is shortened,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ing time required for the live wire work using the helicopter is shortened.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300)는, 발판부(200)와 결합되는 제1 고정프레임(310)과, 일측이 제1 고정프레임(310)과 결합하는 고정부재(330)와, 고정부재(330)의 타측을 작업대(30)에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fixing unit 300 includes a first fixing frame 310 coupled to the footrest 200 and a second fixing frame 310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first fixing frame 310, And a first fastening member 350 for fastening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330 to the work table 30.

구체적으로, 제1 고정프레임(310)은 고정부재(330)에 의해 작업대(30)에 설치되고, 제1 고정프레임(310)에 발판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발판부(200)는 제1 고정프레임(310)에 의해 작업대(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례로 제1 고정프레임(310)은 작업대(30)의 측면에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양단부가 고정부재(330)에 의해 작업대(30)에 고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frame 310 is installed on the work table 30 by the fixing member 330, and the foot plate 200 can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frame 310. That is, the footrest 200 can be coupled to the worktable 30 by the first fixed frame 310.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frame 310 may be long on the side surface of the work table 30, and both ends of the first fixing frame 310 may be fixed to the work table 30 by the fixing member 330.

고정부재(330)는 일측이 제1 고정프레임(310)과 결합될 수 있고, 타측이 제1 체결부재(350)에 의해 작업대(3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330)와 제1 고정프레임(310)의 결합 방식에는 한정이 없으며, 일 례로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330 can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frame 310 and the other side can be fixed to the work table 30 by the first coupling member 350. Her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xing member 330 and the first fixing frame 310. For example, the coupling member may be integrally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체결부재(350)는, 고정부재(330)의 타측을 작업대(3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일 례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체결부재(350)는, 고정부재(330)의 타측에 끼움 결합되고, 이러한 끼움 결합의 탈착에 의해 고정부재(330)와 작업대(30)를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member 350 can detachably attach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member 330 to the work table 30. The first fastening member 350 is fit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330 and the fastening member 330 and the workbench 30 are fixed or fixed by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of the fastening member 330. [ Can be separated.

다만, 상기한 제1 고정프레임(310)과 고정부재(330)와 제1 체결부재(350)의 형상과 고정방법은 도시된 일 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발판부(200)를 작업대(30)에 탈착 가능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However, the shape and fixing method of the first fixing frame 310, the fixing member 330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350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작업대(30)는 프레임(31)과, 발판부(200)에 수직하게 프레임(31)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리브(33)와, 제1 리브(33)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리브(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작업대(30)는 헬리콥터의 측부의 스키드에 결합될 수 있고, 발판부(200)는 헬리콥터의 측면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브(33)는 헬리콥터의 측면과 발판부(200)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2 리브(35)는 헬리콥터의 측면과 발판부(200)에 평행하도록 프레임(31)과 제1 리브(33)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작업대(3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work table 30 includes a frame 31, a plurality of first ribs 33 coupled between the frame 31 and the frame 31 perpendicularly to the foot plate 2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ribs 35 disposed therein. That is, the workbench 30 may be coupled to the skid of the side of the helicopter, and the footstool 200 may be installed parallel to the side of the helicopter. The first rib 33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helicopter and the foot plate 200 and the second rib 3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ide of the helicopter and the frame 31 parallel to the foot plate 200. [ An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ib 33. However, the shape of the work table 3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부재(330)는,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몸체(331)와, 체결파트(333)와, 지지파트(336)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member 330 may include a body 331, a fastening part 333, and a support part 336,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몸체(331)는, 제2 리브(35)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331)의 타단부에는 체결파트(333)가 구비되고, 몸체(331)의 일단부에는 지지파트(336)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부재(330)는 몸체(331)와 체결파트(333)와 지지파트(336)가 굴곡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body 331 may be disposed to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rib 35. A fastening part 333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331 and a support part 336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331. Preferably, the fixing member 3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331, the fastening part 333, and the support part 336 by bending or weld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체결파트(333)는 제2 리브(35)가 삽입되는 체결홈(334)이 형성되고, 제1 체결부재(350)에 의해 제2 리브(35)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파트(333)는, 체결홈(334)에 제2 리브(35)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홈(334)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홀(335)로 제1 체결부재(350)를 끼움으로써, 작업대(3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홈(334)과 제1 체결부재(350)의 형상은 도시된 일 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대(3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The fastening part 333 is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334 into which the second rib 35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second rib 35 by the first fastening member 350. Specifically, the fastening part 333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350 with the through-hole 335 formed at the end of the fastening groove 334 in a state where the second rib 35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334 It can be combined with the work table 30. Here, the shape of the fastening groove 334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35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f a part of the worktable 30 is inserted and coupled.

지지파트(336)는, 몸체(33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제1 고정프레임(310)과 결합하고, 상향 굴곡되어 프레임(31)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체결파트(333)는, 몸체(331)가 작업대(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지지파트(336)가 작업대(3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파트(336)가 몸체(331)의 일단부에서 상향 굴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파트(336)가 작업대(30)의 프레임(31)의 상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고정부재(330)에 하측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33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331 and can be coupled with the first fixing frame 310 and upwardly bent and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1. [ That is, the fastening part 333 is formed such that the support part 336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table 30 and the support part 336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table 30, As shown in Fig. The supporting part 336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1 of the work table 30 so that it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when a load acts on the fixing member 330 downward.

따라서, 고정부재(330)는, 체결파트(333)와 지지파트(336)에 의해, 상하로 이탈되지 않게 작업대(30)에 안정적으로 설치됨으로써, 발판부(200)를 작업대(3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330 is stably installed on the workbench 30 so as not to be vertically separated by the fastening part 333 and the support part 336 so that the footbath part 200 is fixed to the workbench 30 Can be combined.

한편, 발판부(200)는, 제1 연결바(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ootrest 2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bar 230.

제1 연결바(230)는, 일측이 작업발판(2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 고정프레임(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례로, 제1 연결바(230)는 일측이 작업발판(210)에 용접 등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타측이 제1 고정프레임(31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bar 230 is coupled to the operation pedestal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bar 230 is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fixed frame 310. For example,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bar 23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operation pedestal 210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other side may be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fixed frame 310.

구체적으로, 발판부(200)는 제1 연결바(23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관(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250)은, 제1 연결바(230)의 타측 단부에 용접 등으로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제1 고정프레임(310)이 끼워질 수 있다(도 2 참조). Specifically, the footrest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pe 25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bar 230. The connection pipe 25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bar 230 by welding or the like, and a hollow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ipe 250 to sandwich the first fixing frame 310 (see FIG. 2).

이러한 연결관(250)에 의해 발판부(200)는 작업대(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활선 작업시 또는 작업대(30)의 미사용 시에 적절하게 발판부(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foot plate 200 can be pivotally coupled to the work table 30 by the coupling pipe 250. Therefore, the angle of the pedestal 20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t the time of live-line operation or when the workbench 30 is not used.

또한, 발판부(200)는, 작업발판(21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70)는 제1 연결바(230)에 결합되고, 작업대(30)의 하부에 걸리도록 장착되어, 작업발판(210)이 일정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70)는, 제1 연결바(230)에 고정되고 작업대(30) 하부에 걸릴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footrest 200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270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footrest 210. The stopper 27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230 and is mounted so as to be hung on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 table 30 so as to restrict the rotation so that the operation foot plate 210 is fixed at a certain angle. Here, the stopper 270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s long as it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230 and can be caught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 table 30. [

한편, 손잡이부(400)는, 하단이 제1 고정프레임(310)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손잡이(410)에 결합되는 제1 지지프레임(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례로 손잡이(410)는 제1 고정프레임(310)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제1 지지프레임(430)은 손잡이(410)와 제1 고정프레임(310)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handle 4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frame 430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the first fixed frame 310 and an upper end coupled to the handle 410. For example, the handle 410 may be installed parallel to the first fixing frame 310, and the first supporting frame 430 may be vertically coupled between the handle 410 and the first fixing frame 310.

또한, 도시된 일 례와 같이, 제1 지지프레임(430)은,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단이 제1 고정프레임(310)에 구비된 제1 이음관(431)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상단에는 제2 이음관(432)이 고정 결합되어 손잡이(410)가 끼워질 수 있다. 즉, 제1 지지프레임(430)은, 제1 이음관(431)과 제2 이음관(432)에 의해, 손잡이(410)와 제1 고정프레임(3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손잡이(410)가 제1 고정프레임(31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음관(431)에 제1 지지프레임(430)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이음관(431)과 제1 지지프레임(430)에 관통되게 제3 걸림부재(425)가 끼워질 수 있다. Also,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support frame 430 may be formed in a pipe shape,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430 may be fitted to the first joint pipe 431 provided in the first fixture frame 310 And the second joint pipe 432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410, so that the handle 410 can be fitted. The first support frame 4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410 and the first fixing frame 310 by a first coupling pipe 431 and a second coupling pipe 432, So that the handle 410 can be supported by the first fixing frame 310. Here, in a state where the first support frame 4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joint pipe 431, the third engagement member 425 is inserted into the first joint pipe 431 and the first support frame 430 .

다만, 손잡이부(400)와 제1 고정프레임(310)의 연결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손잡이(410)가 작업대(3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작업대(30)와 연결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handle 400 and the first fixing frame 310 is not limited to that described above and may be variously connected to the work table 30 such that the handle 410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work table 30. [ Modifications are possible.

한편, 손잡이부(400)는 손잡이(410)가 제1 지지프레임(430)의 상단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ull tab 40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430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손잡이부(400)는 제1 걸림부재(421)와 제2 걸림부재(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handle 4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atching member 421 and a second latching member 423.

제1 걸림부재(421)는 손잡이(41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제1 지지프레임(430)에 손잡이(41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걸림부재(423)는 손잡이(41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제1 지지프레임(430)으로부터 상기 손잡이(4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latching member 42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knob 410 to fix the knob 410 to the first support frame 430. The second engaging member 42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410 to prevent the handle 410 from separating from the first support frame 430.

구체적으로, 손잡이(410)는 제2 이음관(4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되어(도 A 방향 참조) 작업 상황에 맞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걸림부재(421)는 손잡이(410)의 중앙부에 끼워져 제2 이음관(432)이 손잡이(410)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손잡이(410)를 고정하되, 작업 시에 필요에 의해 손잡이(410)를 좌우로 이동할 때 제1 걸림부재(421)를 손잡이(4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andle 410 can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second coupling pipe 432 (see the direction of FIG. The first engaging member 421 is fitted to the center of the handle 410 so that the handle 410 is fixed in a state where the second joint pipe 432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handle 410. However, The first engaging member 421 can be separated from the handle 410 when the handle 41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또한, 제2 걸림부재(423)는 손잡이(410)의 양단부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410)를 어느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3의 B 위치 참조) 손잡이(410)가 제1 지지프레임(430)의 제2 이음관(43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engaging member 423 is engaged with the opposite ends of the handle 410 so that the handle 410 is moved to either side of the handle 410 as described abov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econd joint pipe (432) of the first support frame (430).

여기서, 제1 걸림부재(421)와 제2 걸림부재(423)는, 손잡이(410)를 제1 이음관(431)에 끼우기 용이하고, 필요 시에 분리하여 손잡이(410)를 좌우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탈착 가능한 스냅핀 형태의 고정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제1 걸림부재(421)와 제2 걸림부재(423)는 상기한 종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손잡이(410)로부터 탈착 가능하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The first engaging member 421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423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ipe 431 and can be separated when necessary to move the knob 410 left and right A detachable snap pin type fastening device may be used. However, the first engaging member 421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423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kind,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long as they are detachable from the handle 410. [

한편, 도 5 내지 도 9에는 본 고안에 따른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1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5 to 9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device 100 for a helicopter sk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 2 고정프레임(31)과 작업대(30)의 결합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 체결부재(360)와 제2 고정프레임(320)의 결합을 하부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 체결부재(360)가 복수 개로 체결된 상태를 하부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device 100 for a helicopter sk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a side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two fixing frames 31 and the work table 30,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fixing member 360 and the second fixing frame 320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60, which is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정부(300)는, 발판부(200)와 결합되고 작업대(30)에 끼움 장착되는 제2 고정프레임(320)과 제2 고정프레임(320)에 체결되어 제2 고정프레임(320)을 작업대(30)에 고정하는 제2 체결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second fixing frame 320 and the second fixing frame 320 which are combined with the foot part 200 and fitted to the work table 30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360 for fastening the second fastening frame 320 to the work table 30.

제2 고정프레임(320)은, 발판부(200)와 결합되고 작업대(30)에 끼움 장착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frame 320 can be coupled to the foot part 200 and fitted to the work table 30.

구체적으로 작업대(30)는 프레임(31)과, 발판부(200)에 수직하게 프레임(31)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리브(33)와, 제1 리브(33)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리브(35)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work table 30 includes a frame 31, a plurality of first ribs 33 coupled between the frame 31 and the frame 31 perpendicularly to the foot plate 2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ribs 35 disposed therein.

그리고, 제2 고정프레임(320)은, 제1 리브(33)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34)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로 구비된 제1 리브(33)에는 고정홀(34)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제2 고정프레임(320)은 제1 리브(33)에 수직하고 제2 리브(35)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고정프레임(320)의 양단부가 제1 리브(33)의 고정홀(34)에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프레임(320)의 형상과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양단이 복수의 제1 리브(33)에 끼워질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The second fixing frame 320 may be engaged with the fixing hole 34 formed through the first rib 33. 5 and 6, a plurality of fixing ribs 34 may be formed in the first rib 33, and the second fixing frame 320 may be formed in the first rib 33, And both ends of the second fixing frame 320 can be fitted in the fixing holes 34 of the first rib 33. The fixing ribs 33 may be fixed to the first ribs 33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hape and the type of the second fixing frame 320 are not limited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both ends can be fitted i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33.

그리고, 제2 고정프레임(320)에는 발판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부(200)는, 작업발판(210)과, 작업발판(210)에 고정 결합된 제2 연결바(24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연결바(240)는 제2 고정프레임(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발판(210)은 작업대(3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pedestal 2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ixed frame 320. Specifically, the footrest 200 may include a footrest 210 and a second connecting bar 240 fixedly coupled to the footrest 2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4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ng bar 240, 0.0 > 320 < / RTI > Accordingly, the operation pedestal 210 can be connected to the work table 30.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2 체결부재(360)는, 제2 고정프레임(320)에 체결되어 제2 고정프레임(320)을 작업대(30)에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체결부재(360)는 제1 리브(33)에 제2 고정프레임(320)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리브(33)에 인접한 위치의 제2 고정프레임(32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2 고정프레임(320)이 제1 리브(3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and 7,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60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frame 320 to fix the second fastening frame 320 to the workbench 30 . Specificall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60 is fit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frame 32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rib 33 in a state where the second fastening frame 320 is fitted to the first rib 3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fixing frame 3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rib 33.

더욱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2 체결부재(360)는, 제2 고정프레임(320)의 단부에 끼워져 제2 고정프레임(3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파트(361)와, 고정파트(361)로부터 연장되며 제2 리브(35)의 하부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제2 고정프레임(320)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파트(363)를 포함할 수 있다. 8,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60 includes a fastening part 361 that is fitted to th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frame 320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fastening frame 320, And an engaging part 363 extending from the first fixing frame 361 and arranged to be engag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ib 35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second fixing frame 320. [

즉, 제2 체결부재(360)는, 일 례로 일자부분과, 일자부분 단부의 굴곡부분과, 곡선부분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 스냅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일자부분은 제2 고정프레임(320)의 단부에 끼워지는 고정파트(361)가 될 수 있고, 상기한 굴곡부분은 걸림파트(363)가 될 수 있고, 곡선부분은 굴곡부분에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60 may be in the form of a snap pin integrally formed by including, for example, a flat portion, a curved portion of the flat portion end, and a curved portion. Here, the flat part may be a fixing part 361 to be fitted to the end of the second fixing frame 320, the bent part may be the engaging part 363, and the curved part may extend from the bent part .

제2 체결부재(360)는, 고정파트(361)에 의해 제2 고정프레임(320)의 위치를 고정하고 제2 리브(3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걸림파트(363)는 제2 리브(35)의 하부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제2 고정프레임(320)과 발판부(200)의 C 방향(도 8 참조)으로의 회전을 제한하여, 발판부(200)의 설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60 can prevent the second fastening frame 3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rib 35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fastening frame 320 by the fastening part 361, 2 ribs 35 so as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second fixing frame 320 and the foot plate 200 in the C direction (see FIG. 8), so tha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foot plate 200 is fixed can do.

다만, 제2 체결부재(36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파트(363)와 고정파트(361)를 포함한다면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However, the shape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6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and types if it includes the fastening part 363 and the fastening part 361.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 체결부재(360)는, 제1 리브(33)에 인접한 위치의, 제2 고정프레임(320)의 양 단부에 각각 3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는 제2 고정프레임(320)의 어느 일측에 3개의 제2 고정프레임(320)이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나, 제2 체결부재(360)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4 이상의 제2 체결부재(360)가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9, the second fastening members 360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three or more positions at both ends of the second fixing frame 320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first ribs 33 . That i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ree second fixing frames 320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fixing frame 320. However, the number of the second fixing members 360 is not limited to 4 The second fastening members 36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복수의 제2 체결부재(360) 중 일부를 적절히 장착 또는 분리하여 제2 고정프레임(320)을 제2 리브(35)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판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fixing frame 320 can be mo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ribs 35 to adjust the fixing position by appropriately attaching or detaching a pa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members 360, The position of the pedal board 200 can be adjusted.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손잡이부(400)는, 하단이 작업발판(210)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손잡이(410)에 결합되는 제2 지지프레임(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5 and 6,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400 includes a second support (not shown) having a lower end coupled vertically to the pedal 210 and a lower end coupled to the handle 410, And may further include a frame 440.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 지지프레임(440)은, 손잡이(410)와 작업발판(210)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례와 같이, 제2 지지프레임(440)은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작업발판(210)에 구비된 제3 이음관(441)에 끼움결합되고, 상단에 제4 이음관(442)이 고정 결합되어 손잡이(410)가 끼워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support frame 440, which is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ertically coupled between the handle 410 and the footrest 210. The second support frame 440 is in the form of a pip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440 is fitted into the third joint pipe 441 provided at the operation pedestal 210, and the fourth joint pipe 442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handle 410 can be fitted.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를 이용하면, 작업대에 작업발판과 손잡이가 설치되므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활선 작업 시에 작업자인 활선원이 작업대에 앉은 상태로 발판에 발을 올리고 손잡이를 잡거나 기대어 직접 활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선 작업 시에 헬리콥터가 작업자가 있는 곳으로 기울어져도, 손잡이부와 발판부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When the helicopter skid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work footrest and the handle are installed on the workbench. Therefore, when the helicopter is used for the live work, the worker, who is sitting on the workbench, You can lean directly on the leash. Accordingly, even if the helicopter is tilted to the worker's position at the time of live wire work, the operator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by the handle portion and the foot plate portion, so that the safety of the worker can be assured.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활선작업 시에 작업자가 작업발판을 밟고 이동하여 전력선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헬리콥터가 전력선이 가까이 접근할 필요가 없으므로, 활선작업을 위한 정지비행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한 상태로 작업하고 정지비행 시간이 단축되므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활선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or can approach the power line by stepping on the work foot during the live operation, the helicopter does not need to approach the power line so that the stop flight time for live operation can be shortened. Therefore, the worker is working in a safe state and the stopping flight time is shortened,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ing time required for the live wire work using the helicopter is shortened.

본 고안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200 : 발판부
210 : 작업발판 250 : 연결관
270 : 스토퍼 300 : 고정부
310 : 제1 고정프레임 320 : 제2 고정프레임
330 : 고정부재 350 : 제1 체결부재
360 : 제2 체결부재 400 : 손잡이부
410 : 손잡이 430 : 제1 지지프레임
440 : 제2 지지프레임
100: Safety device for helicopter skid 200:
210: Operation stool 250: Connector
270: Stopper 300:
310: first fixed frame 320: second fixed frame
330: fixing member 350: first fastening member
360: second fastening member 400: handle portion
410: handle 430: first support frame
440: second support frame

Claims (12)

헬리콥터의 스키드에 설치된 작업대에 구비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의 상기 작업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에 착석한 상태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작업발판을 포함하는 발판부;
상기 발판부를 상기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작업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상기 작업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고정부에 포함되고 상기 발판부와 결합되는 제1 고정프레임에 하단이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제1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A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provided on a workbench provided on a skid of a helicopter,
A footrest including a footrest installed on the workbench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workbench of the skid and capable of placing a foot while the worker is seated on the workbench;
A fixing unit detachably fixing the footrest to the workbench; And
And a handle portion having a handle connected to the work table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ork table,
Wherein the handle por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support frame, the lower portion of which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securing frame included in the securing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footing portion,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결합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을 상기 작업대에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member having one side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frame; And
And a first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member to the work t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프레임과, 상기 발판부에 수직하게 상기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리브와, 상기 제1 리브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리브의 하부에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리브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의해 제2 리브와 체결되는 체결파트; 및,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결합하고, 상향 굴곡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파트를 포함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ork table includes a frame, a plurality of first ribs coupled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perpendicularly to the foot plate, and a plurality of second rib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ib,
Wherein:
A body provided below the second rib;
A fasten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having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rib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second rib by the fastening member; And
And a support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coupled to the first stationary frame and upwardly bent and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일측이 상기 작업발판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고정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necting bar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ootrest and the other side pivotably coupled to the first fixed fra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제1 연결바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프레임이 끼워지는 중공을 구비한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nd a connection pip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having a hollow into which the first fixing frame is inser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제1 연결바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 걸림되어, 상기 작업발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nd a stopper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hook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orkbench to restrict rotation of the workben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상기 손잡이를 고정하는 제1 걸림부재와,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손잡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A first engaging member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andle to fix the handle to the first support frame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to prevent the handle from separating from the first support frame Safety devices for helicopter skids including.
헬리콥터의 스키드에 설치된 작업대에 구비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의 상기 작업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에 착석한 상태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작업발판을 포함하는 발판부;
상기 발판부를 상기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작업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상기 작업대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하단이 상기 작업발판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제2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A safety device for a helicopter skid provided on a workbench provided on a skid of a helicopter,
A footrest including a footrest installed on the workbench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workbench of the skid and capable of placing a foot while the worker is seated on the workbench;
A fixing unit detachably fixing the footrest to the workbench; And
And a handle portion having a handle connected to the work table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ork table,
Wherein the handle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support frame having a lower end joined to the work foot plate vertically and an upper end coupled to the hand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판부와 결합되고, 상기 작업대에 끼움 장착되는 제2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을 상기 작업대에 고정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A second fixing frame coupled to the foot part and fitted to the work table; And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frame and fixing the second fastening frame to the workbenc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프레임과, 상기 발판부에 수직하게 상기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리브와, 상기 제1 리브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은, 상기 제1 리브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ork table includes a frame, a plurality of first ribs coupled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perpendicularly to the foot plate, and a plurality of second rib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ib,
And the second securing frame is fitted in and engaged with a fixing hole formed through the first rib.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파트; 및,
상기 고정파트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리브의 하부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파트를 포함하는 헬리콥터 스키드용 안전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 fixing part fitted to an end of the second fixing frame to fix a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frame; And
And a latch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tationary part and arranged to be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ib to limit rotation of the second stationary frame.
삭제delete
KR2020160004427U 2016-08-01 2016-08-01 Safety device for helicopter skid KR20048590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27U KR200485901Y1 (en) 2016-08-01 2016-08-01 Safety device for helicopter sk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27U KR200485901Y1 (en) 2016-08-01 2016-08-01 Safety device for helicopter sk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99U KR20180000399U (en) 2018-02-09
KR200485901Y1 true KR200485901Y1 (en) 2018-03-08

Family

ID=6128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427U KR200485901Y1 (en) 2016-08-01 2016-08-01 Safety device for helicopter sk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01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5929A (en) * 1998-09-30 2000-04-21 Fujii Denko Co Ltd Working table on utility po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148B1 (en) * 2003-12-24 2005-10-18 선진항공건설 주식회사 Workplatform assembled to landing pod of helicop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5929A (en) * 1998-09-30 2000-04-21 Fujii Denko Co Ltd Working table on utility p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99U (en)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2836B2 (en) Mounting method for a handrail in a frame scaffolding
US20110226552A1 (en) Adapters for aerial work platforms
KR102241781B1 (en)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KR200485901Y1 (en) Safety device for helicopter skid
US10039956B1 (en) Stilts
MXPA02005391A (en) Mounting method for a handrail in a frame scaffolding.
WO2012094510A2 (en) Frame assembly & connector apparatus
KR101972308B1 (en) working platform
EP0020533A4 (en) Pole climbing apparatus.
JP4707466B2 (en) Detachable lifting platform and work platform
KR20150001089U (en) Ladder with safety devices
JPH0829905B2 (en) Hoistway scaffolding equipment
KR101434051B1 (en) The safety holder and the ladder with the safety holder
JP3156117U (en) Manhole ladder
KR20090000735U (en) Workbench Where The Level Control Is Possible And Level Control System Of The Workbench
CN220247976U (en) Auxiliary device for a blade of a wind turbine
KR100792222B1 (en) Test hanger for a repeater
JP4895508B2 (en) Assembling work table on pole
KR101602615B1 (en) The safety ladder
KR102154293B1 (en) A type ladder with safe guider
KR102556533B1 (en) Stand holder for aircraft wing manufacturing
JPH0448272Y2 (en)
JP3218422U (en) Parent rope construction for suspension scaffolding
KR200483372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KR20170001302U (en) Tool box attachable on ladder and detachable from la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