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93Y1 - 심폐소생술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를 갖는 티셔츠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를 갖는 티셔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893Y1
KR200485893Y1 KR2020170003681U KR20170003681U KR200485893Y1 KR 200485893 Y1 KR200485893 Y1 KR 200485893Y1 KR 2020170003681 U KR2020170003681 U KR 2020170003681U KR 20170003681 U KR20170003681 U KR 20170003681U KR 200485893 Y1 KR200485893 Y1 KR 200485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hirt
sound source
present
d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성
박창열
윤형완
Original Assignee
김익성
박창열
윤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익성, 박창열, 윤형완 filed Critical 김익성
Priority to KR2020170003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09F21/023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fixed on cloth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G09F2021/02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심폐소생술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를 갖는 티셔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위험 상태에서 환자의 심폐소생을 위한 위치가 표기되어 누구라도 심폐소생수을 실시할 수 있도록 심부압박 표시부가 형성된 티셔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티셔츠는 셔츠의 전면의 중앙부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기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위급한 상황에서 환자의 심폐소생을 위한 정확한 위치가 표기되어 누구라도 심폐소생수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는 위와 같은 티셔츠를 착용함으로서 심적 안정감을 안정감 가질 수 있고, 일반인은 심폐소생술을 위한 방법 및 정확한 위치에 대한 인식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심폐소생술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를 갖는 티셔츠{T Shirts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rk}
본 고안은 심폐소생술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를 갖는 티셔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위험 상태에서 환자의 심폐소생을 위한 위치가 표기되어 누구라도 심폐소생수을 실시할 수 있도록 심부압박 표시부가 형성된 티셔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의 봉제시 앞섶이나 칼라, 아랫단, 소맷단 등의 시접은 천의 가장자리 끝단에 별도의 바이어스 테이프를 씌운 후에 그 부위를 봉제하여 처리하게 된다.
기존의 의류는 단순히 착용하는 신체 부위의 보온 및 신체의 보호 등의 실용적 기능 외에, 외관상 타인과의 구분을 위한 디자인적 요소가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단순히 의류의 실용적 기능과 디자인적 기능 외에 착용자의 신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가 의류에 일체로 부착되어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거나, 무선 모바일 형태로 외부의 정보를 별도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기능성 의류가 선보이게 되었다.
이를 위해 센서부와 디스플레이 기기 또는 수신기와 디스플레이 기기 간의 케이블 연결 구조가 요구되며, 이 경우 케이블이 의류의 외측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외관상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거추장스러워 활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케이블이 의류의 내피 쪽에 설치될 경우에는, 착용자의 신체 부위와 케이블이 접촉됨에 따라 착용감이 저하되며, 옷을 입거나 벗을 때 케이블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신체부위와 간섭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기능성 의류는 일반적으로 의류에 특정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83768호(2014.04.03)에는 지압이 필요로 할 때만 지압구의 누름판을 눌러 지압 돌기를 혈점에 돌출시켜 지압하고 지압이 완료되면 쿠션부재에 의해 돌기부가 원상태로 쿠션 부재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여 커버 부재가 피부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용자도 지압 돌기에 의한 거부감 없이 의류와 동일하거나 다른 기능성 원단(통기성, 땀 흡수성 등) 형태로 이루어지는 커버 부재의 표면 질감에 의해 편안한 착용감으로 지압구를 구비한 의류 제품을 애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712259호(2007.04.20.)호에는 신체의 팔목 부위와 접촉되어 신체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 형태의 센서부를 의류 소매부위의 내피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의류 내피와 외피의 봉제중에 상기 의류 내피와 같이 일체 결합되도록 봉제하며, 상기 케이블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데이터 신호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그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외부 기기가 수용되는 수납부를 상기 의류의 내피 또는 외피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의류에 위험을 인지하거나 즉석 구조할 수 있는 수단을 간단히 마련한 기능성 의류가 제공된 적은 없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4879호(2017. 04. 26.) 한국 등록특허 제10-1383768호(2014.04.03) 한국 등록특허 제10-0712259호(2007.04.20.)
본 고안자는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이 해소되고 실생활에 유익한 기능성을 갖는 의류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티셔츠에 심폐소생을 위한 시술에 도움이 되는 형상이나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일반인도 심폐소생술의 시술에 참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면에 있어서 심폐소생을 위한 시술에 도움이 되는 형상이나 표시부를 티셔츠에 형상화함으로써 이를 참조로 하여 일반인도 심폐소생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티셔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른 일면에 있어서,
셔츠의 전면의 중앙부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기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셔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은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위급한 상황에서 환자의 심폐소생을 위한 정확한 위치가 표기되어 누구라도 심폐소생수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는 위와 같은 티셔츠를 착용함으로서 심적 안정감을 안정감 가질 수 있고, 일반인들은 심폐소생술을 위한 방법 및 정확한 위치에 대한 인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가 구비된 의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일면에 있어서,
셔츠의 전면의 중앙부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기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셔츠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심부압박 표시부는 티셔츠 착용자의 가슴뼈의 중앙에서 하단으로 3분의 1지점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셔츠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심부압박 표시부는 심폐소생술의 실시가 용이하도록 심폐소생을 위한 양손의 압박 형태가 실물에 가까운 크기와 형상으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셔츠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심부압박 표시부의 근처에 심장 관련 질환자 인식 카드의 결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셔츠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심부압박 표시부가 구비된 티셔츠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가 구비된 의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119에 종사하는 자나 응급 의료에 관계된 전문 응급 영역에 종사하는 전문인력들을 제외하고는 일반인들은 대충 심폐소생술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이를 실시하기 위한 실질적인 기회가 생활 주변에 별로 없어서 심폐소생을 위한 상황에 부닥치게 되면 선뜻 나서서 구조에 참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나, 시급을 다투는 긴급 상황에서 시술의 착수 여부는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망설임 없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문제는 전문가 이외의 일반인들의 입장에서도 환자의 위급 상태에 비추어 긴급성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응급상황에서 누구라도 망설임 없이 시술할 수 있도록 티셔츠의 압박 위치에 실제 시술하는 양손의 형태를 도형화한 표시부를 마련하여 긴급한 상황에 대처하도록 하고, 여기에 더하여 환자의 심폐소생술의 현장에서 도움이 되도록 상기 심부압박 표시부의 근처에 심장 관련 질환자 인식 카드의 결합홈이 구하여 인식카드를 참조할 수 있고, 심폐소생술을 위한 절차를 음성으로 안내하여 현장에서 소생술이 어려움없이도 실시되게 한다면 극히 드믄 경우라도 환자 당사자에게는 대단히 유익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게 되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일반인들이 평소에 심폐소생술의 정확안 압박 위치를 파악하게 함으로써 대응력을 사전에 준비하도록 하는 홍보 및 정보 공유의 목적도 성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심부압박 표시부가 형성된 티셔츠는 셔츠의 전면의 중앙부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기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부압박 표시부는 티셔츠 착용자의 가슴뼈의 중앙에서 하단으로 3분의 1지점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가슴 뼈는 상기 중앙에서 하단 3분의 1지점으로의 영역에 대략적으로 분당 100회의 주기로 상기 척추 컬럼에 대해 대략 6cm의 지점까지 압박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정확한 위치에서 압박을 수행함으로써 최소 순환을 유지하기 위한 흉부 펌프에 따른 심장 압박을 긴급 상황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티셔츠는 특히, 현재의 심장- 순환 이상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심장 정지 또는 심장 출력을 생산하지 않는(예를 들면, 심계항진증) 심장 운동이거나 호흡이 정지하는 위험이 증가하는 환자에게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수단으로 인하여 응급 상황에서 심폐소생술을 위한 시술을 놓침으로써 사망하게 되는 환자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부압박 표시부는 심폐소생술의 실시가 용이하도록 심폐소생을 위한 양손의 압박 형태가 실물에 가까운 크기와 형상으로 표시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심부압박 표시부의 근처에 심장 관련 질환자 인식 카드의 결합홈(C)과 환자의 시술 요령을 알려주는 음성 재생 수단과 이를 부착하기 위한 홀더(V)가 구비된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인식 카드의 존재로 인하여 비상 상황시에 주변인들은 더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하, 환자의 시술 요령을 알려주는 음성 재생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음성 재생 장치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전면에 음원 칩과 음원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피커가 실장되고 후면에 음원 칩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실장되는 인쇄회로 기판이 수납되고, 인쇄회로기판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리드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배터리로부터 음원 칩에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또는 단락하여 음원 칩으로부터 음성신호가 출력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제 1 하우징의 본체 중앙부분에 스피커를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스피커 수납부가 형성되고, 스피커 수납부 저면에는 다수 개의 음방출공들이 형성되며,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스피커를 지지하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의 저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제 1 보스가 돌출되고 제 1 보스의 상단에 삽입핀이 형성되며, 제 2 하우징의 저면에는 내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 2 보스가 형성되어 삽입핀이 삽입공에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는 일단이 음원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음원 칩의 구동과 동시에 빛을 발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음성 재생 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음성 재생 장치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공급될 경우 소정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원파트(100), 음원파트(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음원파트(10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파트(200)로 구성된다.
실시예로서 하트 모양의 목걸이를 예시하였으며, 음원파트(100)와 전원공급파트(200)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 전면(110)은, 음원파트(100)로서 메모리(142)가 실장되어 녹음된 소정의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거나 소정의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음원 칩(140), 음원 칩(1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되게 하는 리드(130), 음원 칩(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원 칩(140)에서 전달된 음성 메시지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스피커(120)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160은 가이드 홀이다.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는 음원파트(1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220), 배터리(220)가 인쇄회로 기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십자형태의 배터리 체결수단(230), 배터리(220)를 십자형태의 배터리 체결수단(23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장치(235) 및 음성 메시지 출력시 빛을 발하는 발광다이오드(240)가 실장된다.
한편, 음원파트(100)를 구성하는 음원 칩(140)은, 음원파트(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41), 입력된 소정의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보상부(144), 보상부(144)에서 전달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43),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제어부(1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하거나 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메모리(142), 메모리(142)에서 출력시킨 음성 데이터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45) 및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증폭시켜 스피커(120)로 출력하는 증폭부(14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에 의한 음성 발생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원 칩(140)에 저장된 음성을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또는 음원 칩(140)에 소정의 음성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음원파트(100)에 전원공급파트(200)를 연결시켜 음원파트(100)에 전원을 공급시킨다.
그러나, 음원파트(100)와 전원공급파트(200) 사이에는 전원 공급 경로가 단락 되어 있어 사용자가 하트모양의 하우징 양쪽에 위치한 리드(13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으면 사용자 신체를 통해 도전경로가 형성되어 전원 공급 경로가 형성된다.
상술한 경로를 통해 음원 칩(14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41)는 마이크로폰(150)과 음원 칩(1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음원 칩(1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41)는 메모리(142)에 음성을 출력하라는 신호를 전달한다.
메모리(142)는 제어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소정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45)로 출력시키고,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45)는 메모리(142)에서 전달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시킨 후에 음성 데이터를 증폭부(146)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증폭부(146)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45)에서 인가된 음성 데이터를 증폭시켜 스피커(120)로 출력시키게 된다.
증폭부(146)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한 스피커(120)는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음성으로 재생시키며, 또한 일단이 음원 칩(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발광다이오드(240)도 음원 칩(140)의 구동과 동시에 빛을 발하게 된다. 이때, 스피커(120)의 외부로 음성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심폐소생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재생 장치를 작동시켜 심폐소생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극히 용이하게 심폐 소생술을 주저 없이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라도 반복 합습하여 심폐소생술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마스터함으로써 유사시에 대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음원파트 110: 인쇄회로기판 전면
120: 스피커 130: 리드
140: 음원 칩 160: 가이드홀
200: 전원공급파트 210: 인쇄회로기판 후면
220: 배터리 230: 배터리 체결수단
235: 착탈장치 240: 발광다이오드

Claims (4)

  1. 티셔츠의 전면의 중앙부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기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심부압박 표시부는 티셔츠 착용자의 가슴뼈의 중앙에서 하단으로 3분의 1지점의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심부압박 표시부는 심폐소생술의 실시가 용이하도록 심폐소생을 위한 양손의 압박 형태가 실물에 가까운 크기와 형상으로 표시되고,
    상기 심부압박 표시부의 근처에 심장 관련 질환자 인식 카드의 결합홈과 환자의 시술 요령을 알려주는 음성 재생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셔츠.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3681U 2017-07-14 2017-07-14 심폐소생술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를 갖는 티셔츠 KR200485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81U KR200485893Y1 (ko) 2017-07-14 2017-07-14 심폐소생술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를 갖는 티셔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81U KR200485893Y1 (ko) 2017-07-14 2017-07-14 심폐소생술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를 갖는 티셔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893Y1 true KR200485893Y1 (ko) 2018-03-08

Family

ID=6164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681U KR200485893Y1 (ko) 2017-07-14 2017-07-14 심폐소생술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를 갖는 티셔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9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0310A (ja) * 2000-12-15 2002-06-26 Miyu:Kk 医療情報表示付衣服
KR100712259B1 (ko) 2006-07-10 2007-04-27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기능성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의류
KR20090123963A (ko) * 2007-03-23 2009-12-02 웨스트라이히+파트너 게엠베하 응급 환자용 의료 장비
JP2011104310A (ja) * 2009-11-13 2011-06-02 Seiichi Tomari 心肺蘇生補助シート
KR101383768B1 (ko) 2012-09-17 2014-04-10 안태훈 가압식 지압구 및 가압식 지압구를 구비한 의류 제품
KR20170044879A (ko) 2015-10-16 2017-04-26 (주)인앤큐 티셔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0310A (ja) * 2000-12-15 2002-06-26 Miyu:Kk 医療情報表示付衣服
KR100712259B1 (ko) 2006-07-10 2007-04-27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기능성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의류
KR20090123963A (ko) * 2007-03-23 2009-12-02 웨스트라이히+파트너 게엠베하 응급 환자용 의료 장비
JP2011104310A (ja) * 2009-11-13 2011-06-02 Seiichi Tomari 心肺蘇生補助シート
KR101383768B1 (ko) 2012-09-17 2014-04-10 안태훈 가압식 지압구 및 가압식 지압구를 구비한 의류 제품
KR20170044879A (ko) 2015-10-16 2017-04-26 (주)인앤큐 티셔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8388B2 (ja) ユーザの心拍数の変動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349815B (zh) 复苏系统
EP3356973B1 (en) Portable medical apparatus for individualized treatment guidance based on an online storage profile with body measurements and method
JP3217016U (ja) 装着型心電検出装置並びに装着型生理機能検出装置
CN205493806U (zh) 穿戴式心电检测装置
US10413475B2 (en) Wearable CPR assist, training and testing device
US9987496B2 (en) Wearable cardiac defibrillator (WCD) poking the patient when not ready for use
WO2016188073A1 (zh) 心肺复苏辅助装置、智能终端和心肺复苏辅助系统
US20170319082A1 (en) Phono-Electro-Cardiogram Monitoring Unit
CN108309281A (zh) 颈戴式心电检测装置
JP2009508601A (ja) 電子機器
TWI331027B (ko)
WO2013046094A1 (en) Breathing guidance apparatus for delivery rooms
US20110098549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KR20130037636A (ko) 응급구호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방법
CN104665800B (zh) 血压管理装置及方法
US20190082971A1 (en) Vital signs monitor/measurement apparatus
KR200485893Y1 (ko) 심폐소생술을 위한 심부압박 표시부를 갖는 티셔츠
KR20130110304A (ko) 심전도가 측정가능한 혈압 측정 장치
US20230165539A1 (en) Non-invasive detection of anomalous physiologic events indicative of hypovolemic shock of a subject
KR100857275B1 (ko) 생체신호 측정기능을 갖는 스마트의류
CN106820479A (zh) 一种电子手环
WO2019110553A1 (en) A portable device and a system for monitoring vital signs of a person
US20180064353A1 (en) Physiological status monitoring system
TW201626941A (zh) 穿戴式心電檢測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