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69Y1 -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5869Y1 KR200485869Y1 KR2020160005606U KR20160005606U KR200485869Y1 KR 200485869 Y1 KR200485869 Y1 KR 200485869Y1 KR 2020160005606 U KR2020160005606 U KR 2020160005606U KR 20160005606 U KR20160005606 U KR 20160005606U KR 200485869 Y1 KR200485869 Y1 KR 2004858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outside mirror
- vehicle
- function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6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인입되며, 전자 부품과 고정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 상기 수용부에 기판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응고되는 몰딩부; 및 상기 기판의 고정 커넥터에 결합되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 일면에는, 상기 용융 수지의 주입량을 확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종 기능을 LIN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전방으로 고속 주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의 경우 운전자는 윈드실드 글라스를 통해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운전을 하게 된다.
한편, 주행 중 차선 변경과 같은 진로 변경 시에 후방 측 타 차량의 주행 흐름을 파악하거나 또는 후진 시에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용도로서, 차량에는 각종 미러들이 제공된다.
차량에 제공되는 미러들로서는, 양 프론트 도어 외측 면에 설치되는 아웃사이드 미러(Outside Mirror)와, 차량 실내의 상부 전방 측에 설치되는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가 있다.
아웃사이드 미러는, 양 프론트 도어 외측 면에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차량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종 기능을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DDM(Drive Door Module) 기능을 갖춘 전동식이 주로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는, IMS(Intergrated Memory System)와, 전동 접이, 퍼들 램프의 온/오프, 열선히터의 온/오프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운전자는 운전석에 위치한 DDM(Drive Door Module)를 조작하여 상기한 기능들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한 각종 기능들을 수행시키기 위한 각종 모터들과 열선히터 그리고 퍼들 램프 등이 내장되어 설치되며, 또한 차량의 ECU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모터들 및 열선히터, 퍼들 램프 등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 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어 장치는,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고 회로가 안쇄된 기판과, 모터들과 열선히트 및 퍼들 램프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와이어 등이 구비됨으로써, 반드시 수밀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즉, 아웃사이드 미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비가 오는 경우 미러와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빗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유입된 빗물이 제어 장치 내로 스며들게 되면 기판의 각종 전자 부품들과 와이어가 합선 등에 의한 쇼트가 발생되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수밀성을 갖추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는, 완벽한 수밀 구조를 갖추지 못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수밀성이 크게 개선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에 대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를 제작할 때, 기판을 수용부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몰딩부가 기판을 매몰시킨 상태로 성형시킬 때, 용융 수지의 주입상황을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양품의 제어 장치를 제작하도록 하는 방안도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 장치의 수밀성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고장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를 제작할 때, 기판을 수용부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몰딩부가 기판을 매몰시킨 상태로 성형시킬 때, 용융 수지의 주입상황을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양품의 제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인입되며, 전자 부품과 고정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 상기 수용부에 기판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응고되는 몰딩부; 및 상기 기판의 고정 커넥터에 결합되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 일면에는, 상기 용융 수지의 주입량을 확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둘레 면은, 상기 기판의 고정 커넥터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연결 커넥터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 커넥터와 결합되기 위한 인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입홈과 인접하는 둘레 면은 상기 연결 커넥터와 접촉하는 접촉 단부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홀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 둘레 부분과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에 실장된 고정 커넥터는, 제1 고정 커넥터와 제2 고정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2 고정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 커넥터는, 상기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IMS 기능을 위한 제1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신호를 제공하며,상기 제2 고정 커넥터는, 상기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접이 기능, 히팅 기능, 퍼들 램프의 온/오프 기능 및 차량용 ECU와 송수신을 위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위한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커넥터와 밀착되어 접촉되는 상기 수용부의 접촉 단부는, 그 일부가 다단으로 절곡된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 커넥터와 밀착되어 접촉되는 영역에 바닥면에서 돌출된 영역 또는 바닥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장치에 의하면,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 장치의 수밀성이 크게 향상됨으로써, 고장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를 제작할 때, 기판을 수용부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몰딩부가 기판을 매몰시킨 상태로 성형시킬 때, 용융 수지의 주입상황을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양품의 제어 장치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가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에서 수용부와 기판이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에서 수용부의 안쪽에 기판이 인입되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수용부와 기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기판의 하면 측으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시킴에 따라 몰딩부가 기판을 매몰시킨 상태에서, 수용부를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C-C선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D-D선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C-C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돌출된 영역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2의 D-D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홈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도 12의 C-C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홈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2의 D-D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홈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에서 수용부와 기판이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에서 수용부의 안쪽에 기판이 인입되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수용부와 기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기판의 하면 측으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시킴에 따라 몰딩부가 기판을 매몰시킨 상태에서, 수용부를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C-C선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D-D선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C-C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돌출된 영역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2의 D-D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홈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도 12의 C-C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홈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2의 D-D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홈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종 기능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최근에는, 운전자가 보다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종 편의 장치들을 갖춘 차량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가 제공되고 있다.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종 편의 기능으로는,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따른 최적의 시야각도에 맞게 미러의 각도를 버튼 조작에 의해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수 있다.
특히, 각각 체형이 다른 운전자들이 미리 설정해놓은 최적의 미러 각도 즉,상하각도 및 좌우각도를 메모리부에 저장해 두었다가, 특정 운전자가 탑승하면 그 운전자에 따라 기억된 미러의 상하각도 및 좌우각도를 메모리부에서 독출하여 미러 각도를 상기 특정 운전자에 맞게 자동으로 조정해주는 IMS(Integrate Memory System)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동시 아웃사이드 미러는, 하우징 하부에 퍼들 램프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퍼들 램프는 주변환경이 어두운 장소에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에 접근하거나 또는 탑승자가 주변환경이 어두운 장소에서 하차하고자 도어를 열 경우에 주변 환경을 밝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동식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는, 추운 겨울에 아웃사이드 미러 면에 성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김이 서려 있어 운전자가 미러 면을 통한 후 측방 시야 확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 열선히터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성애나 김 서림을 제거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또한, 전동식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는, 폭이 좁은 도로에 차량을 주,정차시키거나 또는 폭이 좁은 장소를 주행할 때, 아웃사이드 미러를 차체 쪽으로 접어서 측 방향으로 돌출됨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접이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각종 기능들은 구현하기 위하여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우징 내부에는 각종 모터들과 열선히터 및 퍼들 램프등의 구성이 내재되며, 이들은 차량의 ECU 및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 신호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우징 내부에는 ECU로부터 입력 신호를 전달 받아 이를 각 모터들과 열선히터 및 퍼들 램프 등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즉,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한 각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가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10)의 제어 장치(100)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10)의 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연결 커넥터(312,322) 중, 일부의 연결 커넥터는 차량 ECU(미도시됨)와 연결되고, 다른 일부의 연결 커넥터는 각각 복수의 모터(미도시됨)들과, 열선 히터(미도시됨) 및 퍼들 램프(미도시됨)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ECU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각 전장품(복수의 모터, 열선 히터, 퍼들 램프 등)에 전달함으로써, 각 전장품들이 작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에는, DDM(Drive Door Module)이 수 많은 와이어링(Wiring)을 거쳐 아웃사이드 미러(10) 내부에 있는 각종 전장품들을 구동시켰지만, 최근에는 스마트 커넥터 타입(Connector Type)이라는 소형화된 모듈로 된 제어 장치(100)가 아웃사이드 미러(10)의 어셈블리 내에서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으로 적용되어 와이어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이 가능하게 된 것은 원 칩(One Chip)화된 시스템 IC 개발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10)의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ECU와 LIN 통신에 의해 각종 전장품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에서 수용부와 기판이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저면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10)의 제어 장치(100)는, 기판(300)과 수용부(200) 및 몰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판(300)은,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되고 일면에 회로가 인쇄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 커넥터(312,322)들이 결합되기 위한 고정 커넥터(310,320)들이 실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커넥터(312)가 수평 방향으로 암수 결합되기 위한 제1 고정 커넥터(310)와, 제2 연결 커넥터(322)가 수평 방향으로 암수 결합되기 위한 제2 고정 커넥터(320)가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 커넥터(312)는 아웃사이드 미러(10)의 하우징(12) 내에 구비되는 각종 모터들 중, 미러를 상하좌우로 각도조절시키는 각종 모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모두 7개의 연결 커넥터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제1 연결 커넥터(312)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 커넥터(312)는 아웃사이드 미러(10)의 IMS 기능 등의 제1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판(300)의 제1 고정 커넥터(31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 커넥터(322)는 각종 모터들 중, 아웃사이드 미러(10)를 접이시키는 모터와 열선히터 및 퍼들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모두 9개의 연결 커넥터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 또한 일 예일 뿐 제2 연결 커넥터(322)의 개수도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 커넥터(322)를 이루는 9개의 연결 커넥터들 중, 2개의 연결 커넥터는 열선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2개의 연결 커넥터는 퍼들 램프와 연결되며, 또 다른 2개의 연결 커넥터는 아웃사이드 미러(10)를 접이시키는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 커넥터(322)를 이루는 9개의 연결 커넥터들 중, 나머지 3개의 연결 커넥터는 차량의 E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 신호를 기판(300)의 제어부로 송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제1 연결 커넥터(312)와 제2 연결 커넥터(322)의 개수 및 각 기능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수용부(20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제작된 것으로서, 기판(300)에 실장된 IC 칩 등의 각종 부품 소자들과 고정 커넥터들이 실장된 일면을 덮어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용부(200)는 기판(300)에 실장된 각종 부품 소자들과 제1 고정 커넥터(310) 및 제2 고정 커넥터(320)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각종 부품 소자들과 고정 커넥터들이 실장된 위치에 대응되는 부위는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00)는 기판(300)에서 각종 부품 소자들과 고정 커넥터(310,320)들이 실장된 면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일면과, 이 일면의 주변 둘레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둘레 면을 포함하며,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은 기판(300)이 인입되기 위하여 개방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10)의 제어 장치(100)에서, 수용부(200)의 일면은 상면으로, 일면에 대향되는 면인 타면은 하면으로 지칭하기로 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 보여지는데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제어 장치(100)가 아웃사이드 미러(10)의 하우징(12) 내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달리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수용부(200)의 상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개구홀(202)이 형성되고, 수용부(200)의 둘레 면에도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2 개구홀(20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들에서는 수용부(200)의 상면에 모두 4개의 제1 개구홀(202)이 형성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00)의 둘레 면은 전후좌우 모두 4면을 이루므로, 각 면마다 제2 개구홀(20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용부(200)의 둘레 면들 중, 제1 고정 커넥터(310) 및 제2 고정 커넥터(32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둘레 면에는 제1 연결 커넥터(312) 및 제2 연결 커넥터(322)가 수평 방향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측 방향으로 개방된 제1 인입홉(210) 및 제2 인입홈(220)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인입홉(210) 및 제2 인입홈(220)에서 각각 제1 연결 커넥터(312) 및 제2 연결 커넥터(322)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수용부(200)의 접촉 단부(212,222)들은, 수용부(200)의 상면으로부터 1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지 않고 적어도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절곡된 단차부(214,224)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 단부(212,222)들이 수용부(200)의 상면으로부터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절곡되어 단차부(214,224)들로 형성되는 경우, 후술되는 몰딩부(400)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휨 또는 꺽임이 발생하지 않고 연결 커넥터(312,322)들과 밀착력이 향상됨에 따라 수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데, 이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에서 수용부의 안쪽에 기판이 인입되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0)의 하면을 통해 수용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기판(300)을 인입시키게 되면, 수용부(200)의 접촉 단부(212,222)들은 고정 커넥터(310,320)들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암수 결합된 연결 커넥터(312,322)들의 일면에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수용부(200)의 제1 접촉 단부(2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커넥터(310)에 수평 방향으로 암수 결합된 제1 연결 커넥터(312) 일면을 감싸면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수용부(200)의 제2 접촉 단부(22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커넥터(320)에 수평 방향으로 암수 결합된 제2 연결 커넥터(322)의 일면을 감싸면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1 접촉 단부(212) 및 제2 접촉 단부(222)는 각각 수용부(200)의 상면으로부터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절곡된 단차부(214,224)들 즉, 제1 단차부(214)와 제2 단차부(224)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후술되는 몰딩부(400)가 기판(300)을 매몰한 상태로 성형될 때, 단차부(214,224)들이 몰딩부(400)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접촉 단부(212) 및 제2 접촉 단부(222)가 몰딩부(400) 내에 안정적으로 함몰되어 결합력 증대로 인해 유동의 우려가 크게 줄어들게 됨으로써, 각 접촉 단부(212,222)들의 끝단이 제1 연결 커넥터(312) 및 제2 연결 커넥터(322)를 보다 안정적으로 감싸면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용부(200)의 접촉 단부(212,222)들 끝단과 연결 커넥터(312,322)들의 밀착력이 느슨해질 우려가 줄어 들게 됨으로써, 수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연결 커넥터들이 기판의 고정 커넥터들과 결합될 때 휘거나 꺽인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 커넥터들에 하중이 가해져서 수용부(200)의 접촉 단부(212,222)들과의 밀착이 다소 느슨해질 수 있게 되는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연결 커넥터(312,322)들이 고정 커넥터(310,320)들에 수평 방향으로 직렬 결합됨으로써, 연결 커넥터(312,322)들이 하중을 받게 되지 않음은 물론, 다단 절곡된 단차부(214.224)들에 의해 연결 커넥터(312,322)들과 수용부(200)의 접촉 단부(212,222)들 밀착력이 크게 형상됨에 따라 보다 향상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10)의 제어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자 부품들이 실장된 기판(300)을 포함함으로써, 확실한 수밀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기판(300)은 몰딩부(400)에 의해 함몰된 상태로 보호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0)의 하면을 통해 기판(300)이 인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200)의 하면으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시킴으로써, 몰딩부(400)가 기판(300)을 매몰시킨 상태로 감싸서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00)은 몰딩부(40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매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10)의 제어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200)와 기판(300) 및 몰딩부(400)로 구성되며, 수용부(200)의 상면과 대향되는 하면은 몰딩부(400)가 일면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수용부와 기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기판의 하면 측으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시킴에 따라 몰딩부가 기판을 매몰시킨 상태에서, 수용부를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13은 도12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기판(300)은 각종 부품들이 실장된 일면이 수용부(200)에 의해 덮어져서 보호됨과 아울러 몰딩부(400)에 의해 전체가 매몰되어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보호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기판(300)의 제1 고정 커넥터(310)와 제2 고정 커넥터(320)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암수 결합되는 제1 연결 커넥터(312)와 제2 연결 커넥터(322)의 일부만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이때, 도 13을 참조하면 수용부(200)의 제1 접촉 단부(212) 끝단이 제1 연결 커넥터(312)의 일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몰딩부(400)에 의해 매몰되되, 제1 접촉 단부(212)는 그 중간 부위가 2단으로 절곡된 제1단차부(214)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몰딩부(400)와의 접촉 면적이 크게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1 접촉 단부(212)의 끝단은 제1 연결 커넥터(312)의 일단과 밀착력이 크게 향상되어 보다 확실한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수용부(200)의 제2 접촉 단부(222) 끝단도 제2 연결 커넥터(322)의 일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몰딩부(400)에 매몰되되, 제2 접촉 단부(222)도 그 중간 부위가 2단으로 절곡된 제2 단차부(224)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몰딩부(400)와의 접촉 면적이 크게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2 접촉 단부(222)의 끝단은 제2 연결 커넥터(322)의 일단과 밀착력이 크게 향상되어 보다 확실한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제1 접촉 단부(212)와 제2 접촉 단부(222)의 각 단차부(214,224)들이 2단으로 절곡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5는 도 12의 C-C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돌출된 영역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2의 D-D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홈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2의 C-C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홈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2의 D-D선 단면도로서, 수용부의 바닥면에 홈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수용부(200)의 바닥면일 수 있는 일면에 돌출된 영역(206,226) 또는 홈(208,22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단차부(214,224)와 인접한 수용부(200)의 바닥면에 돌출된 영역(206,226) 또는 홈(208,228)이 형성되는 경우, 수용부(200)와 몰딩부(400)의 접촉 면적이 크게 향상되며, 수용부(200)와 몰딩부(4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수분이 침투되더라도 상기 돌출된 영역(206,226) 또는 홈(208,228)에 의해 수분의 침투가 차단됨에 따라 보다 확실한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10)의 제어 장치(100)는 수용부(200)의 내측에 기판(300)이 인입된 상태에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시킴에 따라 몰딩부(4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몰딩부(400)를 형성하기 위한 용융 수지가 적당량 주입되도록 하여 양품의 제어 장치(100)가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200)의 상면과 둘레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개구홀(202) 및 제2 개구홀(204)에 의해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수용부(200)의 상면과 둘레 면에 각각 복수 개의 제1 개구홀(202) 및 제2 개구홀(204)이 형성되어 있는바, 수용부(200)의 내측에 기판(300)이 인입되도록 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200)의 하면을 통해 용융된 수지를 주입할 때, 상기 제1 개구홀(202) 및 제2 개구홀(204)을 통해 주입되는 용융된 수지의 양을 파악하여 적당 량의 용융 수지가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개구홀(202) 및 제2 개구홀(204)을 통해 용융된 수지가 넘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용부(200) 안쪽으로 용융 수지를 주입하게 되면, 적당 량의 용융 수지를 주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양품의 제어 장치(10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 10 및 도 11에서 미설명 부호 (402) 및 (404)는 수용부(200)와 기판(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된 몰딩부(400)에서, 수용부(200)의 제1 개구홀(202) 및 제2 개구홀(204)에 주입되어 응고된 돌출 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10)의 제어 장치(100)는, 수용부(200)와 기판(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기판(300)에 실장된 각종 전자 부품들의 수밀성 확보를 위하여 기판(300)이 매몰되도록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몰딩부(400)를 형성함에 있어서, 수용부(200)의 상면 및 둘레 면에 형성된 개구홀(202,204)들에 의해 주입되는 용융 수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양품의 제어 장치(10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아웃사이드 미러 12 : 하우징
100 : 제어 장치 200 : 수용부
202 : 제1 개구홀 204 : 제2 개구홀
206,226 : 돌출된 영역 208,228 : 홈
210 : 제1 인입홈 212 : 제1 접촉 단부
214 : 제1 단차부 220 : 제2 인입홈
222 : 제2 접촉 단부 224 : 제2 단차부
300 : 기판 310 : 제1 고정 커넥터
312 : 제1 연결 커넥터 320 : 제2 고정 커넥터
322 : 제2 연결 커넥터 400 : 몰딩부
402 : 제1 돌출부 404 : 제2 돌출부
100 : 제어 장치 200 : 수용부
202 : 제1 개구홀 204 : 제2 개구홀
206,226 : 돌출된 영역 208,228 : 홈
210 : 제1 인입홈 212 : 제1 접촉 단부
214 : 제1 단차부 220 : 제2 인입홈
222 : 제2 접촉 단부 224 : 제2 단차부
300 : 기판 310 : 제1 고정 커넥터
312 : 제1 연결 커넥터 320 : 제2 고정 커넥터
322 : 제2 연결 커넥터 400 : 몰딩부
402 : 제1 돌출부 404 : 제2 돌출부
Claims (8)
-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인입되며, 전자 부품과 고정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
상기 수용부에 기판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응고되는 몰딩부; 및
상기 기판의 고정 커넥터에 결합되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 일면에는, 상기 용융 수지의 주입량을 확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둘레 면은, 상기 기판의 고정 커넥터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연결 커넥터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 커넥터와 결합되기 위한 인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용융 수지는 상기 인입홈 또는 상기 기판이 인입되는 면을 통해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주입되어 응고되되, 상기 몰딩부는 상기 개구홀에 상기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된 돌출부위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수용부의 인입홈과 인접하는 둘레 면은 상기 연결 커넥터와 밀착되어 접촉되는 접촉 단부를 이루며,
상기 접촉 단부는, 그 일부가 다단으로 절곡된 단차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홀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 둘레 부분과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차량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된 고정 커넥터는, 제1 고정 커넥터와 제2 고정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2 고정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커넥터는,
상기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IMS 기능을 위한 제1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2 고정 커넥터는,
상기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접이 기능, 히팅 기능, 퍼들 램프의 온/오프 기능 및 차량용 ECU와 송수신을 위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위한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 커넥터와 밀착되어 접촉되는 영역에 바닥면에서 돌출된 영역 또는 바닥면에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606U KR200485869Y1 (ko) | 2016-09-27 | 2016-09-27 |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606U KR200485869Y1 (ko) | 2016-09-27 | 2016-09-27 |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5869Y1 true KR200485869Y1 (ko) | 2018-03-09 |
Family
ID=6164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5606U KR200485869Y1 (ko) | 2016-09-27 | 2016-09-27 |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5869Y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73250A (ja) * | 2008-01-28 | 2009-08-06 | Hitachi Ltd | 樹脂封止型電子モジュール及びその樹脂封止成形方法 |
KR101449294B1 (ko) * | 2013-06-03 | 2014-10-08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방열 접착제를 이용한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1601321B1 (ko) | 2010-11-22 | 2016-03-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아웃사이드 미러용 구동 회로 |
KR101610901B1 (ko) * | 2014-11-12 | 2016-04-08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
JP2016082090A (ja) * | 2014-10-17 | 2016-05-16 | 三菱電機株式会社 | 防水型制御ユニットとその組立方法 |
-
2016
- 2016-09-27 KR KR2020160005606U patent/KR20048586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73250A (ja) * | 2008-01-28 | 2009-08-06 | Hitachi Ltd | 樹脂封止型電子モジュール及びその樹脂封止成形方法 |
KR101601321B1 (ko) | 2010-11-22 | 2016-03-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아웃사이드 미러용 구동 회로 |
KR101449294B1 (ko) * | 2013-06-03 | 2014-10-08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방열 접착제를 이용한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JP2016082090A (ja) * | 2014-10-17 | 2016-05-16 | 三菱電機株式会社 | 防水型制御ユニットとその組立方法 |
KR101610901B1 (ko) * | 2014-11-12 | 2016-04-08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12135B1 (en) | Electric external rear view mirror | |
US20090295985A1 (en) | Camera device | |
US9706672B2 (en) | Vehicle-mounted electronic control device | |
JP6573078B2 (ja) |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 | |
KR100982271B1 (ko) |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 |
WO2006117892A1 (ja) | 電気機器 | |
CN101079536B (zh) | 连接器和镜面角度调整装置 | |
JP2019059463A (ja) | 車両のガラス面を洗浄するためのシステム | |
JP6349162B2 (ja) |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 |
KR200485869Y1 (ko) |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 |
KR200358267Y1 (ko) | 차량용 통합 전자 모듈의 구조 | |
JP4601485B2 (ja) | 電気機器 | |
US10512177B2 (en) | Housing to clad electrical components of a motor vehicle | |
CN110247349B (zh) | 车用的电路体 | |
CN114258361A (zh) | 用于机动车辆的、包括形成车顶覆盖物的车顶蒙皮的车顶模块 | |
KR100904183B1 (ko) |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 |
KR102348883B1 (ko) | 차량용 아웃 사이드 미러의 제어 장치 | |
US10988090B2 (en) | Wire harness system | |
CN104509224A (zh) | 机动车部件支撑装置及其制造方法 | |
US9543684B1 (en) | Trim panel | |
US20190031123A1 (en) | Operating device and opera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JP7261130B6 (ja) | ワイヤーハーネス接続用モジュールおよび電装システム | |
US20240010171A1 (en) | Heating mechanism for a cover element of a sensor assembly, sensor assembly, roof module and motor vehicle | |
CN116331107A (zh) | 车用后视镜装置 | |
US20020041454A1 (en) | Motor vehicle rearview mirr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