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514Y1 -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 - Google Patents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514Y1
KR200485514Y1 KR2020150008387U KR20150008387U KR200485514Y1 KR 200485514 Y1 KR200485514 Y1 KR 200485514Y1 KR 2020150008387 U KR2020150008387 U KR 2020150008387U KR 20150008387 U KR20150008387 U KR 20150008387U KR 200485514 Y1 KR200485514 Y1 KR 200485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body frame
slit
adhesive
adhes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324U (ko
Inventor
김형환
윤정범
김동환
양창열
강택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50008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1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섯의 발육 향상을 위해 조명광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면서 버섯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버섯파리를 포획할 수 있게 한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는 버섯재배사에서 재배되는 버섯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버섯파리를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섯의 상측에 근접한 위치에서 사각기둥이 수직 위치된 형상으로 상측과 하측은 개방되고, 측면의 각 모서리에는 슬릿을 갖는 결합대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연장 형성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각 측면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버섯의 발육 향상과 해충의 유인이 가능하도록 조명광을 제공하는 LED조명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슬릿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접착력으로 해충을 포획하는 접착플레이트 및 상기 접착플레이트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Pest control device for growing mushrooms}
본 고안은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섯의 발육 향상을 위해 조명광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면서 버섯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해충을 친환경적으로 포획할 수 있게 한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의 대표적인 해충으로는 버섯파리, 응애, 선충류가 있으며, 특히 버섯파리는 균사나 자실체의 조직, 버섯이 자라는 재배지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버섯파리는 평상시에 숲 속의 부엽토, 유기질이 많은 초지, 퇴비더미, 부후목재 등에서 균식을 하며 생활하다가 버섯의 재배가 시작되면 성충이 균사의 독특한 냄새에 유인되어 재배사 내로 침입하여 균상에 산란한다. 이때 부화된 유충은 버섯균사 및 자실체를 섭취하면서 성장하여, 번데기와 성충이 되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증식하여 버섯에 많은 피해를 준다.
이러한 버섯파리는 주로 봄철 재배기간 중 후기에 발생되며, 느타리버섯의 재배 초기에는 큰 피해가 없었으나 재배면적의 증가, 재배사의 집단화가 되면서 버섯파리의 발생은 지역적, 시기적인 면을 초월하여 전국 각지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다.
버섯에 대한 피해 중 유충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으로는 균사를 섭식하고 절단함으로써 수량의 감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자실체에 구멍을 뚫고 식해하여 버섯의 상품가치를 저하시킨다. 또한 성충은 버섯을 직접 가해하지 않지만 버섯에 피해를 주는 각종 병원균, 선충, 응애 등을 매개하여 전파시킴으로써 간접적인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버섯에 대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버섯파리의 방제법은 성충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재배사 출입구 및 환기창에 1mm 눈금크기의 방충망을 설치하여 재배사 내로 성충 침입을 억제하는 방법과, 종균 재식시 더스반입재(2%)를 평당 17g씩 혼합하여 처리함으로써 초기에 균상 속으로 침입되는 성충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방충망을 설치하는 방식은 현실적인 방제가 매우 어렵고, 더스반입재에는 훈증 효과가 있어 침입된 성충의 방제효과는 높지만 과량으로 사용될 경우 약제에서 발생된 가스와 볏짚에서 발생된 가스에 의해 균사의 생장이 억제되고, 수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7870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본체(20)와, 트랩본체 상단에 부착결합된 전원박스(10)와, 트랩본체에 부착된 끈끈이트랩고정대(21)에 끼워져서 트랩본체의 하단에 고정된 끈끈이트랩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원박스(10)의 상부면에 설치된 태양전지판(12)과, 전원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태양전지판이 생성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배터리(17)와, 전원박스의 하부에 설치된 엘이디등(15)과, 전원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콘트롤러(16)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트랩본체(2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ON/OFF스위치(26)와 광센서(27)가 전원박스의 콘트롤러(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끈끈이트랩판(30)에 복수개의 끼움공(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움공에 해충을 유인하는 페로몬 루어(35)가 끼워져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등을 이용한 해충유인 트랩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트랩장치는 엘이디등(15)의 일부가 끈끈이 트랩판(30)에 가려져서 조명광을 효율적으로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끈끈이트랩판(30)의 교체를 위한 반복 착탈시 끈끈이트랩고정대(21)가 헐거워져 끈끈이트랩판(30)이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버섯의 발육 향상을 위해 조명광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면서 버섯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해충을 친환경적으로 포획할 수 있게 한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는 버섯재배사에서 재배되는 버섯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버섯파리를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섯의 상측에 근접한 위치에서 사각기둥이 수직 위치된 형상으로 상측과 하측은 개방되고, 측면의 각 모서리에는 슬릿을 갖는 결합대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연장 형성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각 측면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버섯의 발육 향상과 해충의 유인이 가능하도록 조명광을 제공하는 LED조명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슬릿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접착력으로 해충을 포획하는 접착플레이트 및 상기 접착플레이트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릿은 상기 결합대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플레이트는 장방형의 평판 형상으로 상하부 일측에 각각 고정돌기가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플레이트의 양면에는 무독성 접착제가 고르게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플레이트의 양면에는 한장씩 박리되는 다겹의 접착필름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덮개 중 어느 하나에는 작업자의 파지 및 별도의 고정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파지부재가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섯의 생육에 적합한 조명광을 제공함은 물론 버섯에 피해를 끼치는 해충을 친환경적으로 포획함으로써, 버섯의 원활한 발육으로 우수한 품질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충의 피해를 걱정하는 버섯재배농가의 불안한 심리적 요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엘이디등을 이용한 해충유인 트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의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1)는 버섯재배사에서 재배되는 버섯에 조명광을 제공하여 버섯의 발육을 증대시키고, 버섯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버섯파리를 포획할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10), LED조명(20), 접착플레이트(30) 및 덮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프레임(10)은 LED조명(20)이 포함된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것으로, 상측과 하측이 모두 개방되어 내부가 중공된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다. 즉, 본체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는 LED조명(20)이 조명광을 제공할 수 있도록 LED조명(20)과 연결되어 LED조명(20)의 전원 공급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LED조명(20)의 작동을 설정 및 제어하는 별도의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체프레임(10)은 길이방향이 버섯재배사에서 재배되는 버섯의 상측에서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면, LED조명(20)에서 제공되는 조명광이 버섯에만 향하지 않고 불필요한 곳에도 비춰질 뿐만 아니라, 접착플레이트(30)가 비행되는 해충을 일정한 높이에서만 포획할 수 있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본체프레임(10)은 길이방향이 버섯재배사에서 재배되는 버섯의 상측에 근접한 위치에 수직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프레임(10)은 길이방향이 수직으로 위치되면 LED조명(20)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을 사방으로 제공함에 따라 넓은 범위로 조명광이 제공되게 하는 동시에 접착플레이트(30)가 비행하는 해충의 높이에 관계없 해충을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체프레임(10) 측면의 각 모서리에는 화살표 형상을 갖는 결합대(11)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하게 연장 형성되는데, 이 결합대(11)는 본체프레임(10)의 측면에 접찹플레이트(30)를 설치되게 하는 동시에 덮개(40)가 본체프레임(10)의 상하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결합대(11)가 본체프레임(10)의 측면 모서리에 각각 돌출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이유는 본체프레임(10)의 각 측면에 설치된 LED조명(20)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광이 접착플레이트(30)에 가리지 않으면서 넓은 범위로 조명광을 비추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결합대(11)에는 필요에 따라 접착플레이트(30)를 분리 가능하게 끼울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10)의 측면 모서리에서부터 결합대(11)가 돌출된 만큼 슬릿(12)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데, 이때 결합대(11)에 형성된 슬릿(11a)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된다면, 접착플레이트(30)가 슬릿(12)에 끼워졌을 때 접착플레이트(30)가 움직이거나 흔들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슬릿(12)은 결합대의 외측으로 뻗어 나갈수록 그 폭이 점차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체프레임(10)의 각 측면에는 LED조명(20)이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이 LED조명(20)은 버섯재배사에서 재배되는 버섯의 발육을 향상시키고, 해충을 접착플레이트(30) 쪽으로 유인시키도록 본체프레임(10)의 사방에서 조명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LED조명(20)이 본체프레임(10)의 각 측면에 설치됨에 따라 조명광이 불필요한 곳으로 비춰지지 않고 버섯에 넓은 범위로 집중되도록 제공되는 이점이 생긴다.
한편, 본체프레임(10)의 각 측면에 형성된 결합대(11)의 슬릿(12)에는 접착플레이트(30)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도록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는데, 이 접착플레이트(30)는 버섯의 생육에 악영향을 끼쳐 버섯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버섯파리와 같은 해충들을 접착력으로 포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착플레이트(30)는 장방형의 평판 형상으로 상하부 일측에 각각 고정돌기(31)가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슬릿(12)에 끼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전체표면에는 접착력을 발휘하면서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때 결합대(11)의 슬릿(12)에 끼워진 접착플레이트(30)는 잡아 당겨도 덮개(40)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고정돌기(31)는 본체프레임(10)에 덮개(40)가 결합된 길이 만큼 슬릿(1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착플레이트(30)에 고정돌기(31)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결합대(11)의 슬릿(11a)에 억지 끼움으로 일시적인 결합은 가능할 수 있겠지만, 잡아 당기기거나 접착플레이트(30)의 교체를 위한 반복 착탈시 슬릿(11a)으로부터 쉽게 빠져서 슬릿(11a)에 고정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때문이다.
그리고 본체프레임(10)의 개방된 상측과 하측에는 덮개(40)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덮개(40)는 일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프레임(10)의 상측과 하측을 마감 처리하는 동시에 본체프레임(10)의 상측과 하측의 마감시 접착플레이트(30)가 결합대(11)의 슬릿(1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접착플레이트(30)의 고정돌기(3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한 쌍의 덮개(40)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본체프레임(10)의 상측을 마감 처리하는 덮개(40)에는 지지플레이트(30)의 교체시 작업자가 본체프레임(10)으로부터 덮개(4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끈 또는 줄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과 연결하여 버섯재배사에서 재배되는 버섯의 상측에 근접한 위치에서 본체프레임(10)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하는 파지부재(41)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1')는 버섯재배사에서 재배되는 버섯에 조명광을 제공하여 버섯의 발육을 증대시키고, 버섯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버섯파리를 포획할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10), LED조명(20), 접착플레이트(30) 및 덮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1')는 접착플레이트(30)의 양면에 한 장씩 박리 가능한 다겹의 접착필름(32)이 마련되어 다량의 해충이 접착되면 한장씩 박리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점만 다를 뿐 각각의 구성부재의 구성 및 전체 작용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1)와 동일 유사하여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명세서의 갼략화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 1': 방제장치
10: 본체프레임
11: 결합대
12: 슬릿
20: LED조명
30: 접착플레이트
31: 고정돌기
32: 접착필름
40: 덮개
41: 파지부재

Claims (6)

  1. 버섯재배사에서 재배되는 버섯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버섯파리를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섯의 상측에 근접한 위치에서 사각기둥이 수직 위치된 형상으로 상측과 하측은 개방되고, 측면의 각 모서리에는 슬릿을 갖는 결합대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연장 형성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각 측면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버섯의 발육 향상과 해충의 유인이 가능하도록 조명광을 제공하는 LED조명;
    상기 본체 프레임의 슬릿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접착력으로 해충을 포획하는 접착플레이트; 및
    상기 접착플레이트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릿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측면 모서리에서 상기 결합대가 돌출된 만큼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대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혀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접착플레이트는 장방형의 평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평판의 일단이 상기 슬릿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하부 일측에 각각 고정돌기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덮개가 결합 된 길이만큼 상기 슬릿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는 상기 접착플레이트가 결합대의 슬릿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플레이트의 양면에는 무독성 접착제가 고르게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플레이트의 양면에는 한장씩 박리되는 다겹의 접착필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덮개 중 어느 하나에는 작업자의 파지 및 별도의 고정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파지부재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
KR2020150008387U 2015-12-21 2015-12-21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 KR200485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387U KR200485514Y1 (ko) 2015-12-21 2015-12-21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387U KR200485514Y1 (ko) 2015-12-21 2015-12-21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24U KR20170002324U (ko) 2017-06-29
KR200485514Y1 true KR200485514Y1 (ko) 2018-01-19

Family

ID=5924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387U KR200485514Y1 (ko) 2015-12-21 2015-12-21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404A (ko) * 2018-10-24 2020-10-07 주식회사지엘에스 엘이디 램프를 포함하는 포충기
KR102402875B1 (ko) * 2021-10-05 2022-05-31 (주)다목에코텍 다색광을 이용한 미세해충 유인 포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088B1 (ko) * 2012-07-27 2014-04-29 김성호 해충 포획장치
KR101535535B1 (ko) * 2013-08-12 2015-07-09 대한민국 해충 유인 포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854Y1 (ko) * 2010-01-16 2011-11-23 (주)링크옵틱스 해충 방제용 엘이디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088B1 (ko) * 2012-07-27 2014-04-29 김성호 해충 포획장치
KR101535535B1 (ko) * 2013-08-12 2015-07-09 대한민국 해충 유인 포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404A (ko) * 2018-10-24 2020-10-07 주식회사지엘에스 엘이디 램프를 포함하는 포충기
KR102261025B1 (ko) 2018-10-24 2021-06-04 주식회사지엘에스 엘이디 램프를 포함하는 포충기
KR102402875B1 (ko) * 2021-10-05 2022-05-31 (주)다목에코텍 다색광을 이용한 미세해충 유인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24U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427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ttracting and trapping insects
KR200381866Y1 (ko) 다목적 곤충 포획기
CN111955438B (zh) 一种应用于无人农场的巡逻捕虫无人机
JP6467571B1 (ja) ダニ捕捉器
CN108419778B (zh) 一种太阳能昆虫分类诱捕设备
KR200485514Y1 (ko)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
US5992087A (en) Whitefly trap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EP3360412A1 (en) Wasp catching device
KR20190121524A (ko) 해충 포획장치
KR20150134602A (ko) 해충 유인 포획 장치
US3949515A (en) In-field boll weevil trap
JP3933014B2 (ja) 植物育成貯蔵装置
KR101835679B1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KR101168513B1 (ko) 끈끈이 해충 포집기
CN108064831A (zh) 一种可全天候捕虫器
JP4129673B2 (ja) 害虫誘引捕獲器
CN109287595B (zh) 一种草原畜牧放羊用的害虫吸引捕捉箱
JPH0515285A (ja) 害虫誘引捕獲器
CN220756239U (zh) 一种森林病虫害防治装置
KR200410977Y1 (ko) 해충 포살기
CN211607949U (zh) 一种基于3s技术的柑橘虫灾监测系统
CN208956622U (zh) 一种用于水培种植槽的蚊虫诱捕器
CN212487647U (zh) 一种农作物防护装置
CN210782266U (zh) 一种防控温室番茄害虫烟粉虱的温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