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466Y1 -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 Google Patents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466Y1
KR200485466Y1 KR2020170002523U KR20170002523U KR200485466Y1 KR 200485466 Y1 KR200485466 Y1 KR 200485466Y1 KR 2020170002523 U KR2020170002523 U KR 2020170002523U KR 20170002523 U KR20170002523 U KR 20170002523U KR 200485466 Y1 KR200485466 Y1 KR 200485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witch
ptt
unit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진
Original Assignee
(주)장수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장수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장수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2020170002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4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4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가 제공되며, 무전을 위하여 외부에 설치된 채널 노브(Knob)의 채널 변경을 한 번의 입력마다 변경시키고, 변경된 채널로 무전을 수신하며, 변경된 채널로 무전을 송신하도록 누른 시간만큼의 송신 채널 확보를 하기 위한 제 1 PTT(Push To Talk) 스위치와, 제 1 PTT 스위치로 연결되는 채널 이외에 기 설정(Programming)된 채널로 무선을 송신하도록 누른 시간만큼의 송신 채널 확보를 하기 위한 제 2 PTT 스위치를 포함하는 2채널 PTT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2채널 헤드셋(Headset); 및, 2채널 PTT 스위치부의 신호를 입력받는 2채널 스위치 입력부, 2채널 스위치 입력부의 신호와 채널 노브에 입력된 신호를 구분하는 외부 입력 구분부, 2채널 스위치 입력부에 입력된 신호가 제 1 PTT 스위치의 채널 변경 또는 무전 송수신인지, 제 2 PTT 스위치의 다른 채널로의 무전 송신인지의 여부를 구분하고, 제 1 PTT 스위치의 채널 변경시 지연시간을 구분하는 제어부, 채널 노브의 조작으로 인하여 선택된 채널을 구분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채널 선택부, 2채널 스위치 입력부, 외부 입력 구분부, 제어부 및 채널 선택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무전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APPARATUS FOR 2 CHANNEL SWITCHING WITH PLURAL PUSH TO TALK SWITCH}
본 고안은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이중 방식으로 2 개의 채널을 스위치를 통하여 무전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최근, 무전기의 발전으로 스마트폰과 결합한 디지털 무전기도 출시되어 연구 및 개발이 되고 있고, 특히 경호 분야에서는 무전을 통하여 지시사항을 전달받거나 전달받을 수 있고, 상황을 긴급하게 전달하는 경우가 많아 필수 아이템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때, 무전기의 구현 방법은 동종 및 이종 무전기 간 음성 교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5-0069957호(2015.06.24 공개)에는, 무선기의 교신 범위에 있는 동종 또는 이종 무전기 간에 음성 교신을 가능케 하도록, 복수의 이종 상용 무전기와 무전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N개의 내부 무전기, 그리고 상기 N개의 내부 무전기 중 하나의 내부 무전기에 대응하여 연결되어 있고, 각각 독립된 IP 주소가 부여되어 있으며, 로컬 서버와 연계하여 그룹정보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다만, 동종 또는 이종의 무선기 간의 음성 교신을 가능케 한다고 할지라도 그 채널은 수동으로 변경해야 하며, 복수의 팀과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에는 일일이 무전기를 꺼내어 해당 팀이 배당받은 채널로 변경해야 하므로, 신속한 작업이 필요하거나 신속한 작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2 개의 PTT 채널을 구성하고, 하나의 채널은 채널 노브로 설정된 채널로 무전을 송수신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채널로의 변환을 다른 스위치가 눌려진 시간만큼 가능케 하면서, 해당 눌려진 다른 스위치의 입력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래의 채널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2 개의 채널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무전을 위하여 외부에 설치된 채널 노브(Knob)의 채널 변경을 한 번의 입력마다 변경시키고, 변경된 채널로 무전을 수신하며, 변경된 채널로 무전을 송신하도록 누른 시간만큼의 송신 채널 확보를 하기 위한 제 1 PTT(Push To Talk) 스위치와, 제 1 PTT 스위치로 연결되는 채널 이외에 기 설정(Programming)된 채널로 무선을 송신하도록 누른 시간만큼의 송신 채널 확보를 하기 위한 제 2 PTT 스위치를 포함하는 2채널 PTT 스위치부, 2채널 PTT 스위치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무전의 송수신 음량을 저항 소자로 조절하는 회전식 음량조절부, 무전으로 수신되는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Earbird), 무전을 송신하는 사람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2채널 헤드셋(Headset); 및 2채널 PTT 스위치부의 신호를 입력받는 2채널 스위치 입력부, 2채널 스위치 입력부의 신호와 채널 노브에 입력된 신호를 구분하는 외부 입력 구분부, 2채널 스위치 입력부에 입력된 신호가 제 1 PTT 스위치의 채널 변경 또는 무전 송수신인지, 제 2 PTT 스위치의 다른 채널로의 무전 송신인지의 여부를 구분하고, 제 1 PTT 스위치의 채널 변경시 지연시간을 구분하는 제어부, 채널 노브의 조작으로 인하여 선택된 채널을 구분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채널 선택부, 2채널 스위치 입력부, 외부 입력 구분부, 제어부 및 채널 선택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무전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2 개의 PTT 채널을 구성하고, 하나의 채널은 채널 노브로 설정된 채널로 무전을 송수신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채널로의 변환을 다른 스위치가 눌려진 시간만큼 가능케 하면서, 해당 눌려진 다른 스위치의 입력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래의 채널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2 개의 채널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중 2 채널 헤드셋 및 무전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중 2 채널 헤드셋 및 무전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의 스위치 동작에 따른 채널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이 일반형 및 비노출형으로 구현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고안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1)는, 2채널 헤드셋(100) 및 무전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1)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고안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무전기(300)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전기(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자 간의 대화가 동시에 전달되는 전이중(Full Duplex) 방식이 아닌, 반이중(Half Duplex) 통신 방식으로 송신 후 수신, 또는 수신 후 통신을 반복하는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채널은 기 설정된 채널로 서로 맞춘 뒤 사용할 수 있으며, 16 개의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채널 노브(Knob)를 돌려야 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채널 헤드셋(100)을 이용하여 2 개의 채널을 아날로그식으로 채널 노브를 돌리는 일 없이 2 개의 채널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1형 생활용(CB, 주파수 27MHz)와 2형 생활용(FRS, 주파수 448MHz)와 같은 CB(Citizen Band), FRS(Family Radio Service), VHF, UHF, GMRS,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공용통신)일 수 있고, 디지털 무선기와 같은 경우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2채널 헤드셋(100)은, 무전기(300)와 결합하여 별도의 채널의 업/다운 버튼의 조작없이 자주 사용하는 채널로의 신속한 전환 및 사용을 위해, 별도의 버튼을 더 포함하고, 편리하게 조작 및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일 수 있다. 이때, 2채널 헤드셋(100)은, 경호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일반형/비노출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꼬임방지 케이블을 적용하여 착용 및 사용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개인형 실리콘 이어팁을 제공하여 장시간 착용하고 있어도 이물감이 없도록 한다.
무전기(300)는, 2채널 헤드셋(100)의 PTT(Push To Talk) 버튼과 무전기(300)에 장착된 버튼 간의 신호를 구분하고, 구분된 신호 및 입력에 따라 2 개의 채널을 자동으로 변경 및 전환하여 무전을 송수신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무전기(300)가 디지털 무전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중 2 채널 헤드셋 및 무전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중 2 채널 헤드셋 및 무전기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따른 2채널 헤드셋(100)은, 제 1 PTT 스위치(110), 제 2 PTT 스위치(120), 음량 조절부(130), 이어버드(140), 마이크(150)(150), 무전기 연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전기(300)는, 2채널 스위치 입력부(310), 외부 입력 구분부(320), 제어부(330), 채널 선택부(340) 및 전원 공급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의 연결은, 2채널 헤드셋(100) 및 무전기(300)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1)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 1 PTT(Push To Talk, 110) 스위치는, 무전을 위하여 외부에 설치된 채널 노브(Knob)의 채널 변경을 한 번의 입력마다 변경시키고, 변경된 채널로 무전을 수신하며, 변경된 채널로 무전을 송신하도록 누른 시간만큼의 송신 채널 확보를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누른 시간만큼 채널 노브에 설정된 채널로 무전을 송신할 수 있고,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채널 노브에 설정된 채널로 무전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PTT 스위치(120)는, 제 1 PTT 스위치(110)로 연결되는 채널 이외에 기 설정(Programming)된 채널로 무선을 송신하도록 누른 시간만큼의 송신 채널 확보를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호원이 A팀과 B팀과 함께 합동하여 경호를 수행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경호원은 A 팀에서의 역할을 주를 이루고, B팀에서는 보조적인 백업 역할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A 팀은 4 번 채널을 사용하고, B 팀은 16번 채널을 사용한다고 하면, 제 1 PTT 스위치(110)는 채널 노브로 4 번 채널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A 팀과 통신할 때에 사용한다. 그리고, B 팀의 백업이 요구될 때에는, 제 2 PTT 스위치(120)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 송신을 할 수 있으므로, 제 2 PTT 스위치(120)를 잡고 있으면 16번 채널로 변경되어 B 팀으로 무전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PTT 스위치(120)를 놓으면 다시 4 번 채널로 자동으로 전환되고 아무것도 누르고 있지 않은 경우 4 번 채널의 A 팀의 무전을 들을 수 있고, A 팀에게 말을 할 때에는 제 1 PTT 스위치(110)를 누르고 있는 동안 무전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회전식 음량조절부(130)는, 제 1 PTT 스위치(110)와 제 2 PTT 스위치(120)는 나란히 세로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박스형으로 형성된 2채널 PTT 스위치부의 측면에는 구비되어 음량을 조절하도록 무전의 송수신 음량을 저항 소자로 조절한다.
그리고, 음량조절부(130)로 조절된 음량으로 무전을 수신하도록, 무전으로 수신되는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Earbird, 140)와, 무전을 송신하는 사람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150)를 포함한다. 이때, 마이크(150)로 입력되어 무전이 송신되는 음량을 조절할 수도 있는데, 음량조절부(130)는, 제 1 PTT 스위치(110) 또는 제 2 PTT 스위치(120)를 누르고 있는 동안 증감되는 경우 송신 무전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무전기 연결부(160)는, 2채널 헤드셋(100)은, 스위치부와 이어버드(140) 사이에 무전기의 잭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PTT 스위치(110)는, 한 번의 짧은 누름으로 채널이 변경되고, 변경된 채널로 무전을 수신하며, 변경된 채널로 무선을 송신하는 경우 무전을 전송하는 동안의 긴 누름으로 무전을 송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 2 PTT 스위치(120)는, 누른 시간만큼 변경된 채널 이외의 기 설정된 채널로의 무전 송수신을 하도록 제어되고, 제 2 PTT 스위치(120)에 입력이 존재했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1 PTT 스위치(110) 또는 채널 노브로 설정된 채널로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2채널 스위치 입력부(310)는, 2채널 PTT 스위치부의 신호를 입력받는데, 외부의 스위치의 신호가 무전기(300)에 입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입력 구분부(320)는, 2채널 스위치 입력부(310)의 신호와 채널 노브에 입력된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2채널 스위치 입력부(310)에 입력된 신호가 제 1 PTT 스위치(110)의 채널 변경 또는 무전 송수신인지, 제 2 PTT 스위치(120)의 다른 채널로의 무전 송신인지의 여부를 구분하고, 제 1 PTT 스위치(110)의 채널 변경시 지연시간을 구분 및 제어할 수 있다.
채널 선택부(340)는, 채널 노브의 조작으로 인하여 선택된 채널을 구분하여 제어부(33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원 공급부(350)는, 2채널 스위치 입력부(310), 외부 입력 구분부(320), 제어부(330) 및 채널 선택부(34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PTT 스위치(110)의 제 1 단은 제 2 PTT 스위치(120)의 제 1 단과 함께 그라운드로 연결되고, 제 1 PTT 스위치(110)의 제 2 단은 2채널 스위치 입력부(310)의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제 2 단에 노이즈 감쇄를 위하여 연결되고, 제 2 PTT 스위치(120)의 제 2 단은 2채널 스위치 입력부(310)의 제 3 단에 연결되고, 2채널 스위치 입력부(310)의 제 1 단과 제 3 단 사이에는,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및 베이스에 각각 직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랜지스터는, 트랜지스터에 한정되지 않고, MOSFET(MOS field-effect transistor), BJT, FET 등도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2채널 스위치 입력부(310)의 제 1 단은 제어부(330)의 제 3 단과 연결될 수 있고, 채널 선택부(340)는, 4 개의 스위치, 4 개의 트랜지스터 및 6 개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스위치와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스위치의 입력을 수신하고, 각각의 스위치와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4 개의 스위치 중 2 번째 스위치 및 4 번째 스위치는, 1 번째 스위치 및 3 번째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되, 그 사이는 저항을 각각 하나씩 직렬로 포함하고, 병렬로 연결된 1 번째 스위치 및 2 번째 스위치는 제어부(330)의 제 5 단과 연결되고, 병렬로 연결된 제 3 번째 스위치 및 제 4 번째 스위치는 제어부(330)의 제 6 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Micom이 이용될 수는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어부(330)의 전원 공급은 전원 공급부(350)에서 레귤레이팅된 전원이 제 8 단에 입력될 수 있으며, 전원과 그라운드 간에는 커페시터가 구비되어 노이즈를 감쇄시키고 저주파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주파 AC 신호는 접지되어 없애기 위해, 잡음제거용 캐패시터는 uF단위의 큰 탄탈 캐패시터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저주파 잡음은 회로 내에서 저주파 발진이 유입된 것처럼 작용하며, 내부에서 발생된 저주파 발진과 함께 회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소가 되므로, 저주파 발진을 막기 위해서 DC를 잡아주듯이 바이어스 선로에 병렬로 바이패스 캐패시터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저주파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커패시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제어부(330)의 제 2 단은 외부 입력 구분부(320)의 아웃풋, 즉 제 4 단과 연결될 수 있고, 구분된 아웃풋에 따라 신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부(330)의 제 4 단은 그라운드와 접지되고, 제어부(330)의 제 3 단은 2채널 스위치 입력부(310)와 연결되어 눌려진 PTT 버튼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50)는,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원 공급부(350)의 제 1 단이 배터리와 연결되고, 제 3 단은 온/오프 신호로 트리거되고, 제 2 단은 그라운드로 접지되며, 제 5 단은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VDD로 출력되게 되는데, VDD와 온/오프 신호 간에 저항이 병렬로, VDD와 그라운드 간에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입력 구분부(320)는, 전원 공급부(350)에서 레귤레이팅된 VDD를 직병렬로 연결된 저항으로 분배되어 +IN, -IN으로 제 3 단, 제 1 단으로 각각 연결되고, 출력단인 제 4 단은 제어부(330)의 제 2 단과 연결되고, 구분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4 단과 외부 입력 구분부(320)의 제 3 단 간은 트랜지스터와 저항으로 병렬 및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의 스위치 동작에 따른 채널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이 일반형 및 비노출형으로 구현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PTT 스위치(120)가 눌렸을 때, 채널 11 번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기존의 아날로그 무전기의 경우 채널 16 번), 이는 프로그램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1)의 내부 회로 구조상 1 번 내지 16 채널의 공통으로 다른 채널을 만들기 위해서는 모든 스위치를 (b)와 같이 LOW 상태로 만들어주어야 하는데, 기존의 아날로그 무전기의 경우, 채널 노브 내부 부품의 구조상 모든 스위치를 LOW로 했을 때 16 채널로 동작하지만, 디지털 무전기의 경우 11번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헤드셋(100)이 구현된 실시예이다. 이때, (a) 2 버튼 일반형이나, (b) 비노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2채널 헤드셋(100)의 스위치와 무전기 연결부(160)는 각 단에 연결되고, 그 중심에는 이어버드(140)가 있거나, 각 단에 이어버드(140)와 스위치가 각각 존재하고, 그 중심에는 무전기 연결부(160)가 연결되어 포켓 등에 무전기(300)를 넣고 손에 스위치를 들고, 귀에는 이어버드(140)를 꼽고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 및 도 5의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100: 2채널 헤드셋 110:제 1 PTT 스위치
120: 제 2 PTT 스위치 130: 음량 조절부
140: 이어버드 150: 마이크(150)
160: 무전기 연결부 300: 무전기
310: 2채널 스위치 입력부 320: 외부 입력 구분부
330: 제어부 340: 채널 선택부
350: 전원 공급부

Claims (4)

  1. 무전을 위하여 외부에 설치된 채널 노브(Knob)의 채널 변경을 한 번의 입력마다 변경시키고, 상기 변경된 채널로 무전을 수신하며, 상기 변경된 채널로 무전을 송신하도록 누른 시간만큼의 송신 채널 확보를 하기 위한 제 1 PTT(Push To Talk) 스위치와, 상기 제 1 PTT 스위치로 연결되는 채널 이외에 기 설정(Programming)된 채널로 무선을 송신하도록 누른 시간만큼의 송신 채널 확보를 하기 위한 제 2 PTT 스위치를 포함하는 2채널 PTT 스위치부, 상기 2채널 PTT 스위치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무전의 송수신 음량을 저항 소자로 조절하는 회전식 음량조절부, 상기 무전으로 수신되는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Earbird), 무전을 송신하는 사람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2채널 헤드셋(Headset);
    상기 2채널 PTT 스위치부의 신호를 입력받는 2채널 스위치 입력부, 상기 2채널 스위치 입력부의 신호와 상기 채널 노브에 입력된 신호를 구분하는 외부 입력 구분부, 상기 2채널 스위치 입력부에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 1 PTT 스위치의 채널 변경 또는 무전 송수신인지, 상기 제 2 PTT 스위치의 다른 채널로의 무전 송신인지의 여부를 구분하고, 상기 제 1 PTT 스위치의 채널 변경시 지연시간을 구분하는 제어부, 상기 채널 노브의 조작으로 인하여 선택된 채널을 구분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채널 선택부, 상기 2채널 스위치 입력부, 외부 입력 구분부, 제어부 및 채널 선택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무전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PTT 스위치의 제 1 단은 상기 제 2 PTT 스위치의 제 1 단과 함께 그라운드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PTT 스위치의 제 2 단은 상기 2채널 스위치 입력부의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제 2 단에 노이즈 감쇄를 위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 2 PTT 스위치의 제 2 단은 상기 2채널 스위치 입력부의 제 3 단에 연결되고, 상기 2채널 스위치 입력부의 제 1 단과 제 3 단 사이에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및 베이스에 각각 직렬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2채널 스위치 입력부의 제 1 단은 상기 제어부의 제 3 단과 연결되며,
    상기 채널 선택부는,
    4 개의 스위치, 4 개의 트랜지스터 및 6 개의 저항을 포함하고,
    각각의 스위치와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스위치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스위치와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저항이 연결되고,
    상기 4 개의 스위치 중 2 번째 스위치 및 4 번째 스위치는, 1 번째 스위치 및 3 번째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되, 그 사이는 저항을 각각 하나씩 직렬로 포함하고,
    상기 병렬로 연결된 1 번째 스위치 및 2 번째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 5 단과 연결되고, 병렬로 연결된 제 3 번째 스위치 및 제 4 번째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 6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채널 헤드셋은, 상기 스위치부와 이어버드 사이에 상기 무전기의 잭과 연결되는 무전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PTT 스위치는, 한 번의 짧은 누름으로 채널이 변경되고, 상기 변경된 채널로 무전을 수신하며, 상기 변경된 채널로 무선을 송신하는 경우 무전을 전송하는 동안의 긴 누름으로 무전을 송신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 2 PTT 스위치는, 누른 시간만큼 상기 변경된 채널 이외의 기 설정된 채널로의 무전 송수신을 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 2 PTT 스위치에 입력이 존재했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PTT 스위치 또는 채널 노브로 설정된 채널로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2523U 2017-05-23 2017-05-23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KR200485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23U KR200485466Y1 (ko) 2017-05-23 2017-05-23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23U KR200485466Y1 (ko) 2017-05-23 2017-05-23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466Y1 true KR200485466Y1 (ko) 2018-01-15

Family

ID=6127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523U KR200485466Y1 (ko) 2017-05-23 2017-05-23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46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2072A1 (en) * 2005-12-19 2007-06-21 Teodoro Lassally Two way radio
JP5497906B2 (ja) * 2009-11-09 2014-05-21 ハリ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ータブル無線システムを通じた移動無線システムの遠隔制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2072A1 (en) * 2005-12-19 2007-06-21 Teodoro Lassally Two way radio
JP5497906B2 (ja) * 2009-11-09 2014-05-21 ハリ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ータブル無線システムを通じた移動無線システムの遠隔制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3522B2 (en) Single port wide band impedance matching circuit with narrow band harmonic bypas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tenna matching
EP3624528B1 (en)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for terminal self-interference
DE102018202879B4 (d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mit Antennendiversitätsfunktionen
KR101943843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ip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7840200B2 (en) Antenna matching device and transceiver having the same
US20200169978A1 (en) User Plane for Fifth Generation Cellular Architecture
DE60101329T2 (de) Dualmode kommunikationssender
US8232925B2 (en) Impedance tuning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DE102010029265A1 (de) Drahtloskommunikationsvorrichtungsantenne mit Abstimmelementen
CN101471679B (zh) Fm接收器及改进fm接收器接收性能的方法
US8483626B2 (en) Software-defined radio
CN102474906A (zh) 用于多无线电单元共存的解析算法
US20170019164A1 (en) Relaying device, audio communication system, and audio signal relay method
DE102004051091B4 (de)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mit einem drahtloser Kopfhörer
TW201841466A (zh) 具有電容性衰減器的低雜訊放大器(lna)
KR101950305B1 (ko) 통신 장치를 위한 소리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485466Y1 (ko) 2채널 ptt 스위칭 무전 장치
EP4181542A1 (en)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 method, management network element,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JP6625564B2 (ja) コモンモード補償を用いた差動モード帯域幅拡張技法
CN105794184B (zh) 信息娱乐系统
US9935660B2 (en) Multiplex antenna matching circui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multiple signal ports to an antenna via cascaded diplexers
Hedau et al. Application of Wireless Signal Simulation Via Cell-Phone
KR20090014192A (ko)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양방향 무선통신 전송용 시스템
US20190326945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ommunications crosstalk between channels
Alaybeyoğlu et al. New realization methods of frequency agile filters for encrypted communications and multi-standard transce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