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95Y1 - 트윈 pc - Google Patents

트윈 p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95Y1
KR200485395Y1 KR2020160003228U KR20160003228U KR200485395Y1 KR 200485395 Y1 KR200485395 Y1 KR 200485395Y1 KR 2020160003228 U KR2020160003228 U KR 2020160003228U KR 20160003228 U KR20160003228 U KR 20160003228U KR 200485395 Y1 KR200485395 Y1 KR 200485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e
bolt
bolt head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271U (ko
Inventor
장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트로얄글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트로얄글로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트로얄글로비스
Priority to KR2020160003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95Y1/ko
Publication of KR201700042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2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52Mounting of connectors; Switching; Reinforcing of back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윈 PC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트윈 PC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 양측에 제1 관통구멍이 관통형성된 제1 함체, 상기 제1 함체의 상부에 볼트를 통해 조립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제1 덮개판, 상기 제1 함체가 상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 양측에 제2 관통구멍이 관통형성된 제2 함체, 상기 제2 함체의 상부에 볼트를 통해 조립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체결홀이 관통형성된 제2 덮개판, 상기 제2 덮개판을 고정하도록 하단부가 체결홀에 체결되고 상기 하단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원판형태의 볼트 헤드가 상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볼트, 상기 볼트 헤드가 삽입되도록 제1 함체의 하부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 함체의 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볼트 헤드에 제1 함체의 하부가 고정되도록 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볼트 헤드보다 내경이 좁게 형성된 슬라이드홀 및 상기 제1,2 본체의 양측에 고정볼트를 통해 조립되도록 볼트 고정홀이 관통형성되며 제1,2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 후 제1,2 함체에 체결되도록 지지홀을 형성하면서 절곡된 돌출부재가 각기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트윈 PC{Twin Personal Computer}
본 고안은 트윈 PC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다양한 전자기기 또는 전기 기재를 편리하게 수납하며,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는 트윈 PC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통신산업의 발달함에 따라 각종 전기, 전자, 통신기기가 점차 다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파를 중계하기 위한 통신 기지국 및 단말국의 설립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관공서 및 각종 기업 또는 회사에는 별도의 보안 인트라넷이나, 네트워크 서버 기기 등의 전자 또는 통신기기들을 대부분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비들은 주로 사무실이나 사무실이 입주한 건물의 별도의 관리실 등에 설치되므로 협소한 공간에 효율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이 장비들의 유지관리를 위해 단위 기능별로 모듈화된 기능 쉘프로서 랙 구조를 갖춘 함체에 적층되어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함체는 수납된 장비들를 협소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종래는 함체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과, 몸체부의 덮개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프레임은 함체가 다른 함체의 하부에 설치될 때에 제거되는 상판과, 다른 함체의 하부 프레임과 결합되는 상판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 높이조절 받침대가 설치되며, 상판과 상판 프레임의 체결위치와 하부 프레임의 높이조절 받침대 체결위치가 대응하도록 구성된 다단 적층 함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수직방향으로만 적층되므로 공간활용이 비효율적이며, 각각의 함체가 복수개의 소형 볼트만으로 결합됨에 따라 결합력이 저하되어 헐거워 지거나,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삭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26148호(2001.03.23.)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의 다양한 전자기기 또는 전기 기재를 편리하게 수납하며,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공간활용성이 우수한 트윈 PC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트윈 PC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 양측에 제1 관통구멍이 관통형성된 제1 함체;
상기 제1 함체의 상부에 볼트를 통해 조립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제1 덮개판;
상기 제1 함체가 상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 양측에 제2 관통구멍이 관통형성된 제2 함체;
상기 제2 함체의 상부에 볼트를 통해 조립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체결홀이 관통형성된 제2 덮개판;
상기 제2 덮개판을 고정하도록 하단부가 체결홀에 체결되고, 상기 하단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원판형태의 볼트 헤드가 상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볼트;
상기 볼트 헤드가 삽입되도록 제1 함체의 하부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 함체의 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볼트 헤드에 제1 함체의 하부가 고정되도록 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볼트 헤드보다 내경이 좁게 형성된 슬라이드홀; 및
상기 제1,2 본체의 양측에 고정볼트를 통해 조립되도록 볼트 고정홀이 관통형성되며, 제1,2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 후 제1,2 함체에 체결되도록 지지홀을 형성하면서 절곡된 돌출부재가 각기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
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트윈 PC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체는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의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측면에 단자홀과 스위치홀이 관통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다양한 전자기기 또는 전기 기재를 편리하게 수납하며,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트윈 PC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트윈 PC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트윈 PC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트윈 PC는 조립식 함체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식 함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함체(200), 제1 함체(200)의 상부에 조립되는 제1 덮개판(202), 제1 함체(200)의 하부에 조립되는 제2 함체(400) 및 제1,2 함체(200)(400)가 서로 고정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제1,2 함체(200)(400)의 일면에 각각 조립되는 고정판(600)을 포함한다.
제1 함체(2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자기기, 통신기기 및 기재를 편리하게 수납할 뿐만 아니라, 수납된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가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1 함체(200)는 하부에 제2 함체(400)와의 슬라이드 조립을 위한 슬라이드홀(220)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들의 커넥터를 노출하기 위한 단자홀과 스위치홀(262), 그리고 고정판(600)의 일단이 조립되는 제1 관통구멍(264)이 측면에 형성된다.
제1 덮개판(202)은 제1 함체(200)의 상부에 볼트를 통해 조립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함체(200)의 상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각의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덮개판(202)을 통해 수용공간에 수납된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드홀(220)은 제1 함체(200)의 하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제1 함체(2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드볼트(420)의 볼트 헤드(422)가 종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제1 함체(200)의 하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횡 방향으로 갈수록 볼트 헤드(422)보다 내경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제1 함체(200)의 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시 슬라이드홀(220)에 종 방향으로 삽입된 볼트 헤드(422)에 제1 함체(200)의 하부가 체결되어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2 함체(200)(400)가 상호 조립된다. 따라서 제1 함체(200)의 하부에 제2 함체(40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견고하면서도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단자홀 및 스위치홀(262)은 제1 함체(2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 함체(200)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들에 구비된 커넥터가 외부 노출하게 되며, 예컨대 커넥터의 형상을 따라 관통형성된다.
제1 관통구멍(264)은 제1,2 함체(200)(40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판(600)의 돌출부재(662)가 삽입되도록 관통형성된 것으로서, 제1 함체(200)의 측면 양측에 상기 돌출부재(66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관통형성된다.
한편, 제2 함체(400)는 제1 함체(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육면체형상으로 그 내부에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들이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제1 함체(200)와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된다. 따라서 수용공간에 수납된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를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할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2 함체(400)는 제2 덮개판(402)을 통해 수용공간이 개폐되며, 고정판(600)의 돌출부재(662)가 삽입되는 제2 관통구멍(464)이 측면에 관통형성된다.
제2 덮개판(402)은 제2 함체(400)의 상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에 의해 제2 함체(400)에 조립된다. 따라서 제2 함체(400)와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며, 제2 함체(400) 내에 수납된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슬라이드볼트(420)는 제2 덮개판(402)이 제2 함체(400)의 상부에 조립되도록 제2 덮개판(402)의 상면으로부터 체결되며, 제1,2 함체(200)(400)가 상호 슬라이드방식으로 조립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볼트(420)는 제2 덮개판(402)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체결홀(424)에 체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덮개판(402)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424)과 동일중심선상에 위치하는 제2 함체(400)의 상부에도 체결홀(424)이 더 관통형성되어 슬라이드볼트(420)가 제2 덮개판(402)과 제2 함체(400)에 형성된 체결홀(424)에 체결됨에 따라 제2 덮개판(402)이 제2 함체(400)에 견고하게 조립된다.
여기서 슬라이드볼트(420)는 상단부에 하단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1,2 함체(200)(400)를 결합하기 위한 원판형태의 볼트 헤드(422)가 형성된다.
즉 슬라이드볼트(420)는 제2 덮개판(402)의 상면에 체결시 하단부가 제2 덮개판(402) 및 제2 함체(400)에 형성된 체결홀(424)에 체결되는데, 이때 제2 덮개판(402)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볼트 헤드(422)가 제1 함체(200)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홀(220)에 종 방향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드홀(220)을 통한 제1 함체(200)의 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시 볼트 헤드(422)의 하면이 슬라이드홀(220) 측에 걸림되어 제1,2 함체(220)가 서로 조립된다.
제2 관통구멍(464)은 제2 함체(400)의 측면 양측에 관통형성되어 고정판(600)의 돌출부재(662)가 삽입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재(662)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형성된다.
한편, 고정판(600)은 제1,2 함체(200)(400)의 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고정판(600)는 횡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2 함체(200)(400)의 양측에 조립된다. 그리고 고정볼트(620)를 통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볼트 고정홀(622)이 각기 형성된다.
즉 한 쌍의 고정판(600)은 볼트 고정홀(622)에 체결되는 고정볼트(620)를 통해 제1,2 함체(200)(400)의 양측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트 고정홀(622)과 동일선상의 제1,2 함체(200)(400)에도 볼트 체결을 위한 홀이 형성되어 상호 조립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고정판(600)은 복수개로 이루어진 냉각홀(640)이 2열로 형성되어 제1,2 함체(200)(400)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고정판(600)은 제1 함체(200)의 제1 관통구멍(264) 및 제2 함체(400)의 제2 관통구멍(464)에 삽입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662)가 각기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재(662)는 한 쌍의 고정판(600)의 제1,2 함체(200)(400)와 마주보는 일면에 지지홀(660)을 형성하면서 횡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1,2 관통구멍(264)(464)에 삽입 후 제1,2 함체(200)(40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2 함체(200)(400)의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돌출부재(662)는 한 쌍의 고정판(600)에 각기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판(600)을 제1,2 함체(200)(400)에 조립시 제1,2 관통구멍(264)(464)에 각기 삽입 후 상기 한 쌍의 고정판(600)의 슬라이드시 제1,2 함체(200)(400)에 체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쌍의 고정판(600)을 통해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제1 함체 202 - 제1 덮개판
220 - 슬라이드홀 262 - 스위치홀
264 - 제1 관통구멍 400 - 제2 함체
402 - 제2 덮개판 420 - 슬라이드볼트
422 - 볼트 헤드 424 - 체결홀
464 - 제2 관통구멍 600 - 고정판
620 - 고정볼트 622 - 볼트 고정홀
640 - 냉각홀 660 - 지지홀
662 - 돌출부재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 양측에 제1 관통구멍이 관통형성된 제1 함체;
    상기 제1 함체의 상부에 볼트를 통해 조립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제1 덮개판;
    상기 제1 함체가 상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 양측에 제2 관통구멍이 관통형성된 제2 함체;
    상기 제2 함체의 상부에 볼트를 통해 조립되어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체결홀이 관통형성된 제2 덮개판;
    상기 제2 덮개판을 고정하도록 하단부가 체결홀에 체결되고, 상기 하단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원판형태의 볼트 헤드가 상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볼트;
    상기 볼트 헤드가 삽입되도록 제1 함체의 하부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 함체의 횡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볼트 헤드에 제1 함체의 하부가 고정되도록 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볼트 헤드보다 내경이 좁게 형성된 슬라이드홀; 및
    상기 제1,2 본체의 양측에 고정볼트를 통해 조립되도록 볼트 고정홀이 관통형성되며, 제1,2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 후 제1,2 함체에 체결되도록 지지홀을 형성하면서 절곡된 돌출부재가 각기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
    을 포함하는 트윈 PC.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체는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의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측면에 단자홀과 스위치홀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PC.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3228U 2016-06-10 2016-06-10 트윈 pc KR200485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228U KR200485395Y1 (ko) 2016-06-10 2016-06-10 트윈 p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228U KR200485395Y1 (ko) 2016-06-10 2016-06-10 트윈 p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71U KR20170004271U (ko) 2017-12-20
KR200485395Y1 true KR200485395Y1 (ko) 2018-01-02

Family

ID=6125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228U KR200485395Y1 (ko) 2016-06-10 2016-06-10 트윈 p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9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370A (ja) 1999-10-15 2001-04-27 Mitsumi Electric Co Ltd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周辺装置
KR200226148Y1 (ko) * 2000-12-18 2001-06-01 주식회사한화 다단 적층 함체
JP2004253709A (ja) 2003-02-21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筐体固定装置
JP2014232368A (ja) * 2013-05-28 2014-12-11 株式会社エーティーワークス コンピュ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148B1 (ko) 1996-09-20 1999-10-15 구자홍 리모콘의 디스크 메모리 내용 표시 장치와 표시 제어방법.
KR20030076171A (ko) * 2002-10-11 2003-09-26 (주)맥산시스템 기능 확장 가능형 신 클라이언트
KR20030036364A (ko) * 2003-03-14 2003-05-09 주식회사 넷플랫 모듈화 컴퓨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370A (ja) 1999-10-15 2001-04-27 Mitsumi Electric Co Ltd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周辺装置
KR200226148Y1 (ko) * 2000-12-18 2001-06-01 주식회사한화 다단 적층 함체
JP2004253709A (ja) 2003-02-21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筐体固定装置
JP2014232368A (ja) * 2013-05-28 2014-12-11 株式会社エーティーワークス コンピュ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71U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3183B (zh) 竖直接线系统
US6118662A (en) Enclosure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RU256279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устройств высотой, кратной 1u, без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нструментов
US7600720B2 (en) Horizontal cable manager
US20120263989A1 (en)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1647328B (zh) 用于工业信息网络技术的基于轨道模块设备系统
US8668283B2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assembly
US20120012543A1 (en) Server rack assembly
US8472198B2 (en) Data center with cable management structure
EP0889681A3 (en) Tower building block system
CN107710504B (zh) 竖直朝向的电子设备、构建方法及建构子组件的方法
KR200485395Y1 (ko) 트윈 pc
US20110175503A1 (en) Equipment cabinet having improved space utilization
US9723744B1 (en) Information technology racks with integrated data signal and power distribution
CN107431293B (zh) 配电蜂房形件
JPS63140599A (ja) 通信装置用キャビネット装置
US6510055B1 (en) Backplane and shelf arrangement with front access features
US6831844B1 (en) Electronic circuit unit providing EMI shielding
US10274998B2 (en) Holding component, support component and assembly
US9750157B1 (en) Rack door for mounting power distribution units
US20170295665A1 (en) Pre-terminated overvoltage protection module for electronics cabinet
US10291001B2 (en) Rack-mount chassis
JP7181516B2 (ja) ラック列給電システム
US6621711B1 (en) Enclosure for electronics assembly
KR100811560B1 (ko) 통신장비용 캐비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