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98Y1 - 남성용 속옷 - Google Patents

남성용 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298Y1
KR200485298Y1 KR2020160000250U KR20160000250U KR200485298Y1 KR 200485298 Y1 KR200485298 Y1 KR 200485298Y1 KR 2020160000250 U KR2020160000250 U KR 2020160000250U KR 20160000250 U KR20160000250 U KR 20160000250U KR 200485298 Y1 KR200485298 Y1 KR 200485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main body
accommodating
scrotum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420U (ko
Inventor
윤윤수
변정원
Original Assignee
휠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휠라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휠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0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9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남성용 속옷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되 내측에 음경을 수납하는 제1 수납부가 구비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되, 내측에 음낭을 수납하는 제2 수납부가 구비된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2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음낭을 지지하는 제3 돌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음낭의 일측 고환부를 수납하는 제2a 수납부; 및 상기 음낭의 타측 고환부를 수납하는 제2b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a 및 제2b 수납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수납부는, 한 쌍의 고환이 한쪽으로 쏠려 발생될 수 있는 불편감을 방지하도록 평단면이 갈매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남성용 속옷{Underwear for man}
본 고안은 남성용 속옷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생식기와 몸체를 분리시키는 남성용 속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용 속옷은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기초적인 의복 수단으로서, 통상 신체활동으로 인해 분비되는 노폐물(땀 등)과 생식기로부터 분비되는 각종 분비물 등을 흡수하여 신체의 청결성을 유지시켜주는 작용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남성용 속옷은 삼각 타입, 트렁크 타입, 드로즈 타입 등이 있다.
한편, 음낭은 체온보다 1~3도는 낮게 유지하여야 정자 생산이 활발하므로,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음낭은 자체에 온도 조절을 위한 땀 분비선이 많아서 쉽게 땀을 배출하므로 이른바 낭습이라고 하는 매우 습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름철에는 습도, 땀, 노폐물 등으로 인하여 습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은 위생상 문제가 될 수 있고 악취 또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음낭 부위가 신체 구조상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며, 자체로도 땀이 많이 나게 되므로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고, 이러한 상태로 계속 유지될 경우에는 음낭이나 음낭과 접하는 몸체에 습진 등의 피부질환이 발생될 가능성이 커진다.
그러나, 종래의 남성용 속옷은 남성의 생식기를 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구조가 아니므로, 이러한 피부질환, 악취 등의 위생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남성의 생식기를 몸체로부터 분리시켜 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남성용 속옷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속옷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되 내측에 음경을 수납하는 제1 수납부가 구비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되, 내측에 음낭을 수납하는 제2 수납부가 구비된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2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음낭을 지지하는 제3 돌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음낭의 일측 고환부를 수납하는 제2a 수납부; 및 상기 음낭의 타측 고환부를 수납하는 제2b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a 및 제2b 수납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수납부는, 한 쌍의 고환이 한쪽으로 쏠려 발생될 수 있는 불편감을 방지하도록 평단면이 갈매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음낭을 받쳐주는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3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3 돌출부의 경계를 따라 배치되거나,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3 돌출부의 경계에 평행하게 상기 제3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1 본체부 및 상기 개구부에 채워지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본체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본체부와 상기 제1 돌출부는 일체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본체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의 최대 폭에 비해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경계에는 제1 봉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경계에는 제2 봉제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봉제선과 상기 제2 봉제선은 서로 연결되며, 외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 형상일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남성용 속옷에 따르면, 제3 돌출부가 제2 돌출부의 제2 수납부에 수납된 음낭을 지지하여 음낭과 몸체를 서로 분리시킴으로써, 위생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남성용 속옷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남성용 속옷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남성용 속옷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남성용 속옷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속옷(100)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속옷(1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속옷(100)은 본체부(110), 본체부(110)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120), 제2 돌출부(130), 및 제3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돌출부(140)가 제2 돌출부(130)의 제2 수납부(131; 도 3 참조)에 수납된 음낭(220; 도 3 참조)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남성용 속옷(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본체부(110)를 설명할 때 제1 본체부(111)와 제2 본체부(112)로 나누어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일체 형의 본체부(110)도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본체부(110)는 남성용 속옷(100)의 본체 부분이 되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허리구멍(115)과 다리구멍(116)이 갖춰진 팬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는 제1 본체부(111)와 제2 본체부(11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본체부(111)와 제2 본체부(112)는 예를 들어 제2 봉제선(162; 도 1 참조)에 의해 상호 봉제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본체부(111)와 제2 본체부(112)의 경계에는 제2 봉제선(16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본체부(111)는 본체부(110)의 대부분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일 영역이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본체부(111)는 허리구멍(115)에 인접한 영역에 개구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본체부(112)는 이러한 제1 본체부(111)의 개구부(113)를 채우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본체부(111)와 제2 본체부(112)가 팬티 형상의 본체부(110)를 이룰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남성용 속옷(100)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속옷(100)의 제1 돌출부(12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20)는 본체부(110) 중 예를 들어 제2 본체부(112)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20)의 내측에는 생식기 중 음경(210)을 수납하는 제1 수납부(1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수납부(121)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하여 음경(210)의 귀두가 상부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납부(121)의 깊이, 즉 제1 돌출부(120)의 돌출된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음경(210)이 상부몸체(23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하여, 음경(210)과 상부몸체(230)가 닿아 피부 트러블이나 이로 인한 악취가 발생되는 등 위생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돌출부(120)는 제2 본체부(112)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제2 본체부(112)와 예를 들어 봉제공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120)를 제2 본체부(112)와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경우, 열을 이용한 몰드 가공을 통해 원단을 성형하여 3차원의 입체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남성용 속옷(100)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속옷(100)의 제2 돌출부(130) 및 제3 돌출부(14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2 돌출부(130)는 본체부(110) 중 제1 본체부(111)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제2 본체부(112) 또는 제1 돌출부(1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돌출부(130)는 제2 본체부(112)와 연결되도록 제2 본체부(112)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돌출부(130)와 제2 본체부(112) 사이의 경계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봉제선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돌출부(130)는 내측에 생식기 중 음낭(220)을 수납하는 제2 수납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납부(131)는 음낭(220)의 일측 고환부와 타측 고환부 각각을 나누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좌우로 구분된 제2a 수납부(131a)와 제2b 수납부(13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a 수납부(131a)와 제2b 수납부(131b)는 대략 수직하게 위치된 봉제선(133)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돌출부(130)의 외관 형상도 좌측과 우측이 봉제선(133)을 통해 나눠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단면이 대략 'm'자와 같이 갈매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음낭(220)을 제2 수납부(131)에 수납하였을 때 한 쌍의 고환이 한쪽으로 쏠려 발생될 수 있는 불편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부(130)에는 음낭(220)이 수납되는바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돌출부(130)를 메쉬 소재 또는 흡한속건 소재로 구현함으로써 제2 수납부(131)가 충분히 외부와 공기순환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음낭(220)의 온도저하를 유발시켜 음낭(220)에서 발생되는 정자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돌출부(120)는 제2 돌출부(130)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남성의 음경(210)과 음낭(220) 간의 거리를 고려한 것으로서, 제1 돌출부(120)를 제2 돌출부(130)로부터 음경(210)과 음낭(220)의 거리만큼 이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남성용 속옷(100)을 착용하였을 때 자연스럽게 음낭(220)이 제2 돌출부(130)의 제2 수납부(131)에 수납되고, 음경(210)의 귀두가 상부를 향하도록 음경(210)이 제1 돌출부(120)의 제1 수납부(121)에 수납될 수 있다.
제3 돌출부(140)는 제2 돌출부(130)의 하부에 위치되어 본체부(110) 중 제1 본체부(111)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제3 돌출부(140)는 제2 돌출부(130)와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돌출부(130)의 제2 수납부(131)에 수납된 음낭(22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돌출부(140)는 음낭(220)을 지지함으로써 음낭(220)과 하부몸체(240)가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땀이나 소변 등에 의한 악취나 피부 트러블 등 위생상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돌출부(140)의 음낭(220)에 대한 지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3 돌출부(140)에는 지지부재(14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41)는 제3 돌출부(140)의 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낭(220)의 하부면을 전체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41)는 제2 돌출부(130)와 제3 돌출부(140)의 경계(150)를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경계에 평행하게 제3 돌출부(140)의 둘레를 두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41)는 예를 들어 실리콘 등으로 구성된 띠를 이용하거나 또는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섬유 재질의 제3 돌출부(140)의 외부나 내부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원단 사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살핀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20)는 음경(210)을 수납하고 제2 돌출부(130)는 음낭(220)을 수납하며 제3 돌출부(140)는 제2 돌출부(130)에 수납된 음낭(220)을 받쳐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단계는 먼저 음낭(220)이 제2 돌출부(130)의 제2 수납부(131)에 수납되면서 자연스럽게 하부몸체(240)와 음낭(220)의 1차 분리가 이루어지고, 제3 돌출부(140)가 제2 돌출부(130)의 제2 수납부(131)에 수납된 음낭(220)을 받쳐주면서 신체 활동에 의해서도 음낭(220)과 하부몸체(240)가 서로 닿지 않게 하는 2차 분리가 이루어지며, 음경(210)이 제1 돌출부(120)의 제1 수납부(121)에 귀두가 상부를 향하도록 수납되면서 음경(210)과 음낭(220) 또는 음경(210)과 상부몸체(230)가 서로 닿지 않게 하는 3차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신체 활동에도 몸체와 생식기가 서로 닿지 않는 완벽한 분리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몸체와 생식기가 서로 맞닿아 발생될 수 있는 악취, 피부 트러블 등의 위생상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20)의 돌출된 최대 길이가 제2 돌출부(130) 및 제3 돌출부(140)의 돌출된 최대 길이보다 길 수 있으며, 제2 돌출부(130)는 음낭(220)을 완전히 수납하고 제3 돌출부(140)는 음낭(220)의 하부면을 받쳐주는 점을 고려하면, 제2 돌출부(130)의 돌출된 최대 길이는 제3 돌출부(140)의 돌출된 최대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남성용 속옷(100)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속옷(100)의 제1 봉제선(161)과 제2 봉제선(162)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130)와 제3 돌출부(140)는 제1 본체부(111)와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1 본체부(111)와의 경계 간에 제1 봉제선(16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본체부(111)는 제2 본체부(112)와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2 본체부(112)와의 경계 간에 제2 봉제선(1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봉제선(161)과 제2 봉제선(162)은 서로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봉제선(161)과 제2 봉제선(162)은 도 5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각각 양 측면에 한 쌍으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제2 본체부(112)와 제2 돌출부(130) 사이의 경계를 기준으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 봉제선(161)과 제2 봉제선(162)이 이루는 형상은 예를 들어 오뚜기를 뒤집어 놓은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한 쌍의 제2 봉제선(162) 간의 최대 폭은 한 쌍의 제1 봉제선(161) 간의 최대 폭에 비해 큰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제2 본체부(112)의 최대 폭이 제2 돌출부(130) 및 제3 돌출부(140)의 최대 폭에 비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제1 봉제선(161)과 제2 봉제선(162)은 각각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제1 봉제선(161)과 제2 봉제선(162)의 형상은 몸체의 굴곡진 형상을 반영한 것으로서, 제1 봉제선(161)과 제2 봉제선(162)이 오뚜기 라인과 같은 형상으로 구현되어 몸체와 남성용 속옷(100)을 더욱 밀착시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속옷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본체부 111 : 제1 본체부
112 : 제2 본체부 120 : 제1 돌출부
121 : 제1 수납부 130 : 제2 돌출부
131 : 제2 수납부 140 : 제3 돌출부
141 : 지지부재 161 : 제1 봉제선
162 : 제2 봉제선

Claims (6)

  1.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되 내측에 음경을 수납하는 제1 수납부가 구비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되, 내측에 음낭을 수납하는 제2 수납부가 구비된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2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음낭을 지지하는 제3 돌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음낭의 일측 고환부를 수납하는 제2a 수납부; 및
    상기 음낭의 타측 고환부를 수납하는 제2b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a 및 제2b 수납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수납부는,
    전체 형상이 한 쌍의 고환을 수용하는 반구형 형상을 이루되, 한 쌍의 고환이 한쪽으로 쏠려 발생될 수 있는 불편감을 방지하도록 상기 일측 고환부와 상기 타측 고환부의 경계 부분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속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음낭을 받쳐주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속옷.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3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3 돌출부의 경계를 따라 배치되거나,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3 돌출부의 경계에 평행하게 상기 제3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속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1 본체부 및 상기 개구부에 채워지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본체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본체부와 상기 제1 돌출부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속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의 최대 폭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속옷.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경계에는 제1 봉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경계에는 제2 봉제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봉제선과 상기 제2 봉제선은 서로 연결되며, 외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속옷.
KR2020160000250U 2016-01-15 2016-01-15 남성용 속옷 KR200485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50U KR200485298Y1 (ko) 2016-01-15 2016-01-15 남성용 속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50U KR200485298Y1 (ko) 2016-01-15 2016-01-15 남성용 속옷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316U Division KR20150003255U (ko) 2014-02-21 2014-02-21 남성용 속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20U KR20160000420U (ko) 2016-02-03
KR200485298Y1 true KR200485298Y1 (ko) 2017-12-18

Family

ID=5535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250U KR200485298Y1 (ko) 2016-01-15 2016-01-15 남성용 속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454B1 (ko) * 2019-11-04 2020-06-03 (주)라쉬반코리아 남성용 기능성 팬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12B1 (ko) * 2013-01-18 2013-06-07 김정임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471256Y1 (ko) 2013-11-21 2014-02-11 코웰패션 주식회사 남성용 팬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639B1 (ko) * 2010-07-29 2012-07-18 이성기 슬림형 남성용 팬티
KR101218015B1 (ko) * 2010-07-29 2013-01-02 이성기 남성용 팬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12B1 (ko) * 2013-01-18 2013-06-07 김정임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471256Y1 (ko) 2013-11-21 2014-02-11 코웰패션 주식회사 남성용 팬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454B1 (ko) * 2019-11-04 2020-06-03 (주)라쉬반코리아 남성용 기능성 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20U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4185C1 (ru) Фукциональные трусы для мужчин
KR101728340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1335194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395041Y1 (ko) 남성의 국부 보호용 팬티
JP5893667B2 (ja) 男性用機能性パンツ
KR200400989Y1 (ko) 남성용 건강 팬티
KR200462018Y1 (ko) 남성용 브라 팬티
KR20150088576A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485298Y1 (ko) 남성용 속옷
KR101888116B1 (ko) 위생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KR101844750B1 (ko) 남성용 팬티
KR101400904B1 (ko) 남성 기능성 팬티
KR20150003255U (ko) 남성용 속옷
KR200407708Y1 (ko) 남성용 건강팬티
KR20120066436A (ko) 기능성 드로즈 팬티
KR200473877Y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150003114U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9980032007U (ko) 분리형 남성용 속팬티
KR20180000457U (ko) 기능성 팬티
KR20130002519U (ko) 남성용 위생팬티
KR200291533Y1 (ko) 건강 팬티
KR20170002411U (ko) 남성용 팬티
KR101967742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215453Y1 (ko) 남성용팬티
KR200220405Y1 (ko) 남성의 국부 보호용 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