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018Y1 - 남성용 브라 팬티 - Google Patents

남성용 브라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018Y1
KR200462018Y1 KR2020120004167U KR20120004167U KR200462018Y1 KR 200462018 Y1 KR200462018 Y1 KR 200462018Y1 KR 2020120004167 U KR2020120004167 U KR 2020120004167U KR 20120004167 U KR20120004167 U KR 20120004167U KR 200462018 Y1 KR200462018 Y1 KR 200462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scrotum
panties
bra
pen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남진
Original Assignee
지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남진 filed Critical 지남진
Priority to KR2020120004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18Y1/ko
Priority to PCT/KR2013/003119 priority patent/WO20131725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 A41B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4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ntimicrobial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남성용 브라 팬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남성용 팬티의 전방부 내측에서 상단부가 탄성밴드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양측 다리끼움부 사이의 박음질부에 고정되며, 중간부 이하에 음낭과 음경이 동시에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관통부가 일정 크기로 형성된 내피; 상기 내피를 감싸도록 내피가 구비된 팬티의 전방으로 중앙부가 돔형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외피;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삽입되어져 상단 및 하단부가 외피의 내면 또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형성된 고정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하단 장착부가 구비되고, 중심부가 돔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자체적으로 형상이 유지되면서 상기 내피의 관통부를 통과한 음경을 음낭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유지시키기 위해 일정한 탄성재의 형상유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음경과 음낭 및 음낭과 사타구니를 분리시킬 수 있는 브라를 탈부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남성의 각종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남성용 브라 팬티{Bra-Pants for men}
본 고안은 남성용 브라 팬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남성용 팬티의 전방 내부에 일정한 형상의 브라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음경과 음낭을 분리시킴은 물론 음경을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여 남성의 각종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에 관한 것이다.
남성용 속옷의 하나인 팬티는 짧은 길이의 하반신용 속옷을 말하는 것으로, 그 형상에 따라 사각팬티, 삼각팬티, 브리프(바짓가랑이가 없고 다리에 꼭 맞도록 디자인 된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남성용 팬티는 전면부에 소정의 개구된 분리부를 두어 남성의 생리현상을 해결하는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남성의 음낭은 신체보다 낮은 저온을 유지하도록 음경과 함께 신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외부로 열 발산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간의 종족보전에 필요한 정자의 생산활동을 보다 활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음낭의 경우는 자체적으로 온도조절기능을 하도록 신체기능을 수행하나, 인간이 의복을 갖춰 입게 됨으로써 신체의 외부로 돌출된 음낭과 음경은 신체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어 체온에 의해 온도 상승이 초래되어 항상 일정한 온도 유지를 위해서 음낭 스스로 자율적인 열 발산 등을 통해 온도조절을 하게 된다.
특히, 의복의 편리성과 기능성 향상 및 패션화되면서 남성의 음낭과 음경은 양 다리의 사타구니에 낀 상태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음낭과 사타구니 등에서 땀이 발생되어 고온다습한 상태가 유지되어 팬티의 착용은 남성의 건강에 오히려 악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팬티의 재질을 순면이나 땀 흡수가 잘되는 재질로 만들어서 음낭과 음경 및 음낭과 사타구니에서 발생되는 위생 및 건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남성용 팬티의 구조상 고온 다습한 상태의 음낭과 음경 및 사타구니에서 발생되는 습기제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기능성 의복 착용이 늘어남에 따라 오히려 음낭과 음경이 더욱 신체와 밀착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남성들의 경우, 사타구니 및 음낭주위의 습기로 인해 습진, 악취발생 등의 원인이 되어 개인건강 위생에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하게 되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남성용 팬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성 건강팬티가 등장하여 조금이나마 남성의 건강유지에 보탬이 되도록 하였다.
종래에 제안된 건강팬티의 경우, 팬티 내부에 음경과 음낭을 분리시키도록 중간에 탄성밴드를 설치하거나, 음낭과 음경이 분리되도록 음낭집 또는 음경집을 만들어 음경과 음낭의 접촉 및 음낭과 사타구니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안들이 제시된 바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과 더불어 음경과 음낭부위에 기능성 광물질이나 항균 및 항습 기능이 포함된 물질을 도포하거나 부가하여 남성의 국부에 발생될 수 있는 건강위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팬티의 고안들이 다수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에 안출된 다양한 기능성 남성팬티의 경우, 음낭과 음경 및 음낭과 사타구니 사이의 직접적 접촉을 차단할 수는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결국은 직립하는 인간의 구조상 음경과 음낭 및 음낭과 사타구니는 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오히려 보온효과를 유지하게 되어 비교적 체온보다 높은 상태의 온도가 유지되는 결과로 기능성 팬티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특히, 별도의 음낭집이나 음경집을 마련하는 경우, 팬티의 구조가 복잡하여 그 제조 및 가공이 불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신체의 온도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음낭은 음낭집 안에 갇히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오히려 통기가 차단되는 결과로 남성의 성기능을 약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종래의 남성팬티의 경우, 사각팬티(트렁크 타입)는 팬티 내외부 사이에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미적감각은 떨어지고, 삼각팬티나 브리프 타입의 팬티는 통기성은 떨어지나 미적감각은 향상되는 장점이 있었지만, 외적으로 나타나는 팬티의 미감은 음경이나 음낭부위가 그 형상에 따라 굴곡이 외부로 그대로 외부에 표출되므로 팬티만 입어야 하는 경우, 제3자에게는 민망감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팬티를 외부용으로 착용하는 수용복이나 스니커즈 등과 같은 기능성 의복의 경우, 그 재질이 고탄력성재질로 이루어져 남성의 경우, 남성의 상징물인 음경의 굴곡형상이 팬티의 외면에 그대로 표출되고, 특히 물기가 묻고 섬유재질의 탄력성이 떨어질 경우에는 그 표출이 더욱 두드러져 제3자에게 불편한 민망감이나 당혹감을 주기도 하였다.
특히, 남성의 자존심으로 불리는 음경의 크기가 그대로 표출되므로, 그 크기에 따라 남성들간에도 위화감을 조성하거나 자신감을 결여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하였다.
선행기술 문헌 1 : 국내실용신안 등록번호 20-287366(등록일 : 2002.08.16) 선행기술 문헌 2 : 국내실용신안 등록번호 20-274742(등록일 : 2002.04.27) 선행기술 문헌 3 : 국내실용신안 등록번호 20-437270(등록일 : 2007.11.09)
본 고안은 종래의 기능성 팬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중력방향으로 하향되는 음경을 상방향으로 추켜세워 음낭과 분리시킴으로써 음낭 및 음경부위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여 남성의 건강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음경 및 음낭의 형상이 표출되지 않으면서 균일한 볼륨감을 제공하도록 하여 제3자에게 민망감이나 불편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수영복과 같은 기능성 의류에 적용시에도 물에 접촉하여 팬티 안의 음경이 팬티 외부로 그대로 표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남성간에 위화감을 조성하거나 자신감이 결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성에 대해서는 건강한 남성미를 포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브라 팬티는 남성용 팬티의 전방부 내측에서 상단부가 탄성밴드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양쪽 다리끼움부 사이의 박음질부에 고정되며, 중간부 이하에 남성의 음낭과 음경이 동시에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관통부가 일정 크기로 형성된 내피; 상기 내피를 감싸도록 내피가 구비된 팬티의 전방으로 형성되어 중앙부가 돔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외피;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삽입되어지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하 양측이 외피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중심부가 돔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자체적으로 형상이 유지되면서 상기 내피의 관통부를 통과한 음경을 음낭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유지시키는 일정한 탄성재의 형상유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관통부의 내주연 하단부는 관통부를 통과한 음낭과 양쪽 다리의 사타구니 간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일정한 폭을 갖는 날개부가 양쪽 다리끼움부 사이에 형성된 박음질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피는 그 상단부가 탄성밴드의 하측에서 개방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되, 상기 개구부에는 외피의 상단부를 팬티의 본체에 고정하여 개구부를 닫기 위한 개폐구가 추가로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형상유지체는 그 재질이 항균기능을 포함한 실리콘, 라텍스, 합성수지제, 마이크로 파이버, 인지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하 중심축선상의 중앙부가 외측으로 유선형으로 돌출되어지되, 하단부 양측에 일정각도로 하부 장착부가 분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형상유지체의 다른 실시예로 형상유지체의 양측 하부 장착부 사이의 중앙부는 그 테두리부가 음경과 음낭 사이의 경계부에 밀착되도록 하부 장착부의 선단부보다 상단부에 위치되어 라운드형으로 파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형상유지체의 중앙부에 상하 장착부보다 폭이 넓은 좌우 날개부가 형성된 구조 또는 그 형상이 터널구조를 갖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체는 그 하단 테두리부에서 일정 높이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그 절곡부의 하단부가 상단부의 내측면을 향해 내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형상유지체의 상단부에는 탈부착용 고정구가 구비되어 상기 외피의 개폐구에 고정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형상유지체의 하단 양측에는 음낭의 좌우 양측을 감싸면서 음낭과 양쪽 다리의 사타구니 사이에 끼워져 사타구니와 음낭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하는 사타구니 접촉방지부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사타구니 접촉방지부는 일정너비의 폭과 길이를 갖는 내부형상물과, 상기 내부형상물에 포함되어 내부형상물의 형상을 자유자재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유지보조체와, 상기 내부형상물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타구니 또는 음낭에서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도록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흡습포로 구성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브라 팬티는 착용시 음경과 음낭을 분리하여 그 접촉부에서 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낭의 온도조절에 유리하도록 하여 남자의 생식기능을 건강하게 유지토록 한다.
또한, 팬티의 전방부분을 일정한 라운드형 또는 돔형으로 돌출시켜 생식기를 보호하도록 함은 물론 팬티의 외부로 나타나는 균일한 볼률감으로 인해 착용자에게 자신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팬티 외부로 음경 등의 형상이 직접 표출되지 않아 수영복이나 스니커즈 등의 용도로 사용시에 제3자 등에게 민망감이나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브라 팬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팬티의 내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브라 팬티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4는 형상유치체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절단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팬티에 적용되는 형상유지체의 다양한 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팬티의 착용상태에 따른 모식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브라 팬티는 남성의 음경 및 음낭이 위치하는 팬티의 전방 내측에 여성용 브라(브레지어의 약칭) 방식을 채택하여 팬티 외부로 균일한 볼륨감이 표출되도록 자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이 유지되는 형상유지체를 삽입 설치하여, 팬티의 외적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남성의 성기능 향상과 습진 등 남성의 사타구니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팬티의 특징적인 구성은 남성용 팬티의 전방부 내측에서 상단부가 탄성밴드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팬티 저면의 박음질부에 고정되며, 하단측에 남성의 음낭과 음경이 동시에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관통부가 일정 크기로 형성된 내피와, 상기 내피를 감싸도록 팬티의 전방으로 볼록하게 돔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삽입되어져 상하단부가 외피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그 중심부가 돔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내피의 관통부를 통과한 음경이 음낭과 분리된 상태로 윗쪽을 향하도록 유지시키는 일정한 탄성재의 형상유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관통부의 내주연 하단부는 관통부를 통과한 음낭과 양쪽 다리의 사타구니 간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 일정한 폭을 갖는 날개부가 박음질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는 그 상단부가 탄성밴드의 하측에서 개방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부 개구부에는 외피의 상단부를 팬티의 본체에 고정하여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체는 음경의 표면 접촉시 항균기능을 수행할 수 잇도록 항균제가 포함된 실리콘이나 라텍스, 연질의 합성수지제, 마이크로 파이버, 인지오(옥수수를 이용한 식물성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체는 상하 중심축선상의 중앙부가 외측으로 유선형으로 돌출되어지되, 하단부 양측에는 외피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부에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좌우 일정각도로 분기된 형상으로 하부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양측 하부 장착부의 중앙부는 그 테두리부가 음경과 음낭 사이의 경계부에 밀착되도록 하부 장착부의 테두리부보다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라운드형으로 골이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체는 그 중앙부에 상하 장착부보다 폭이 넓은 좌우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그 형상이 터널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형상유지체는 그 하단 테두리부에서 일정 높이의 위치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그 절곡부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내측으로 내향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를 향하는 음경의 뿌리부를 받쳐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형상유지체는 그 상단부에 탈부착용 단추 또는 고정구가 구비되어 상기 외피의 개폐구에 고정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내피와 외피사이에서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위주로 본 고안의 남성용 브라 팬티의 특징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공지된 구성이나 구조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브라 팬티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팬티의 내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특징부에 대한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절단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브라 팬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최상단부에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착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신축조절이 가능한 탄성밴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밴드부(12)의 하단으로 착용자의 다리를 끼울 수 있는 다리끼움부(14)가 하단 양쪽으로 분리 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은 남성의 생식기(음경과 음낭)가 위치하는 팬티의 전방 내측에 돔형(또는 반구형이나 라운형의 의미로 사용됨)의 형상유지체가 끼움 설치되어 남성의 음경을 상방향으로 치켜세워 음낭과 분리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음낭이 사타구니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브라 팬티는 남성용 팬티의 전방부 내측에서 상단부가 탄성밴드부(12)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팬티 본체(10)의 양쪽 다리끼움부(14)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박음질부(16)에 고정되며, 중간높이 이하에서 음낭과 음경이 동시에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관통부(32)가 일정 크기로 형성된 내피(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피(30)가 형성된 팬티의 전방측에는 상기 내피(30)를 감싸는 크기로 형성되어 팬티의 전방 외측으로 돔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록 외피(20)가 형성되며, 상기 내피(30)와 외피(20) 사이에는 상단 및 하단부가 외피(20)의 내면이나 내피(30)의 외면 또는 외피(20)와 내피(30) 사이에 구비된 상단 또는 상하단 고정부(28,29)에 결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형상유지체(40)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형상유지체(40)는 상기 상하단 고정부(28,29)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수직중심축선상의 중심부가 볼록하게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피(20)와 함께 돔형상 또는 라운드형의 볼륨감을 갖도록 탄성재로 구성된다.
도 3의 분리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유지체(40)는 상기 내피(30)와 외피(20) 사이에 위치되어 남성팬티의 전방 부분을 일정한 볼륨감을 갖도록 하면서 관통부(32)를 통과한 음경 부분을 내피(30)의 상부측 외측으로 세워서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상하단 고정부(28,29)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하단 장착부(42,44)가 마련된다.
즉, 도 4의 일부 발췌 도시된 절단단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상하단 고정부(28,29)는 좌우 양단이 외피(30)의 내면에 박음질되고 중간부는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어 분리된 중간부에 상기 형상유지체(40)의 상하단 장착부(42,44)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단 고정부(28,29)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하단 장착부(42,44)는 그 폭이 중심부보다 다소 작으며 길쭉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하단 고정부(28,29)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밴드를 채택하여 형상유지체(40)의 상하단 장착부(42,44)의 형상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편리할 것이다.
상기 형상유지체(40)는 음경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 외부로부터 음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그 볼륨감이 자체적으로 형성 유지되면서 세탁 후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내구성과 신축성이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적합한 재질로는 실리콘이나 라텍스, 연질의 합성수지제, 마이크로파이버, 인지오와 같은 항균처리가 이루어진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형상유지체(40)의 내면에는 황토나 바이오세라믹 성분이 피막처리되어 살균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체(40)의 바람직한 형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중심축선상의 중앙부가 외측으로 유선형으로 돌출되고, 하나의 상단 장착부(42)와 두 개의 양쪽 하단 장착부(44)로 형성되어 그 평면 형상이 인체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양쪽의 하단 장착부(44) 사이는 라운드형으로 파여져 음경과 음낭 사이의 경계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체(40)는 그 상단 장착부에 별도의 탈부착용 단추 또는 고정구(43)가 구비되어 외피(20)의 상단부를 팬티 본체(10)에 고정시키는 개폐구(26)에 함께 끼워서 고정 및 분리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팬티 착용시 형상유지체(40)의 상단 장착부(42)가 상단 고정부(28)에서 이탈되더라도 팬티 내부에서 분리되지 않고 그 위치가 항상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구(43)에는 별도의 고정끈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끈을 개폐구(26)에 고정시킬수도 있다.
한편, 도 5에는 상술한 본 고안의 팬티 전방부분에 대한 절단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음경과 음낭이 내피(3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관통부(32)의 주변, 즉 관통부(32)의 하단측과 측면부를 이루는 테두리부는 관통부(32)를 통과한 음낭과 양쪽 다리 사이의 사타구니 간 접촉을 줄이기 위해 일정한 폭을 갖는 날개부(34)가 내피(30)를 팬티의 본체(10)에 고정시키는 박음질부(16)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피(3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외피(20)는 그 상단부가 팬티의 탄성밴드부(12)의 하단에 위치되는 높이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는 팬티 본체(10)와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외피(20)의 상단 내측에 구비된 별도의 개폐구(26)에 의해 개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피(20)는 그 내측에 형상유지체(40)가 고정되어 형상유지체(40)를 감싸면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양측과 하부 테두리부가 팬티 본체(10)와 박음질되어 고정되지만, 상단부는 팬티 본체와 분리되어 상기 개폐구(26)에 의해 분리 및 밀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외피(20)의 개구된 상단부를 통해 그 내부로 형상유지체(40)를 끼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피(20)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는 개폐구(26)로는 스냅단추나 후크, 지퍼, 벨크로테잎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에는 상기 형상유지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형상유지체(40a)는 상하부에 상하단 장착부(42,44)가 구비되고, 좌우 양측에 날개부(45)가 돌출되어 십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하 중심축선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음경이 위치되도록 한 것이며, 도 7에 도시된 형상유지체(40b)는 터널형상으로 상하 길이방향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며, 상하측에 상다한 장착부(42,44)가 각각 형성되며, 도 8의 형상유지체(40c)는 하단부에 소정의 절곡부(46)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46)를 기준으로 그 상단부는 직선형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지고, 절곡부(46)의 하단부는 상단부에 대해 일정각도로 내향되게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음경의 저면을 상기 절곡부(46)의 하단부가 받쳐줄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형상유지체(40d)의 실시예는 하단측에 절곡부(46)에 형성되고, 맨 하단 좌우 양쪽에 음낭의 좌우 양측을 감싸면서 음낭과 양쪽 다리의 사타구니 사이에 끼워져 사타구니와 음낭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하는 사타구니 접촉방지부(47)를 구비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타구니 접촉방지부(47)는 일부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너비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져 음낭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그 형상변경이 용이하도록 그 내부에 형상유지보조체(47b)가 포함된 내부형상물(47a)과, 상기 내부형상물(47a)을 감싸도록 그 외측에 씌워지거나 부착되어 사타구니 또는 음낭에서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도록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흡습포(47c)가 일체로 성형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형상유지체(40d)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구(43)에는 별도의 고정끈(48)이 추가로 구비되어 팬티의 본체에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사타구니 접촉방지부(47)의 형성으로 인해서 형상유지체(40d)의 하단부를 팬티의 본체에 고정하기 어려워 형상유지체(40d)가 팬티에서 쉽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끈(48)은 상술한 다른 실시예의 형상유지체(40,40a,40b,40c)에 적용하여 팬티 본체의 개폐구(26)에 고정하여 더욱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브라 팬티(100)의 착용상태를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도 9에 그 착용상태가 간단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라 팬티를(100)를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면, 팬티 전방 내측에 구비된 내피(30)의 하단 관통부(32)의 위치에 착용자의 음경과 음낭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팬티 착용자는 음낭(60)을 관통부(32)의 외측으로 빼내 위치시키면, 음낭(60)의 저면과 사타구니 사이에 관통부(32)의 하단 테두리부에 일정 폭으로 돌출된 내피의 날개부(34)가 끼워져 음낭(60)을 사타구니와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음낭(60)과 함께 내피(30)의 관통부(32)를 통해 내피(30)의 외측으로 빠져나온 음경(50)을 상방향으로 추켜 세워서 형상유지체(40)의 내면과 내피(30)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항상 중력에 의해 하방향을 향하는 음낭(60)과 음경(50)은 상호 분리된 상태가 되어 신체의 온도에 따라 자체적으로 온도조절을 위해 땀을 분비하는 음낭(60)이 사타구니와 음경(5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어 사타구니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습진과 같은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음낭(60)의 온도조절이 용이하여 음낭의 건강한 기능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경(50)을 음낭(60)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킴은 물론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 위치하게 되어 앉아서 일을 하는 경우에도 음경(50)이 사타구니 사이에 끼거나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음경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팬티 본체(10)의 전방으로 성형유지체(40)에 의해 균일한 볼륨감이 유지하게 되어 외적으로 표현되는 남성미를 통해 착용자에게 자신감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브라 팬티(100)를 수영복과 같은 기능성 의류에 적용할 경우, 물에 젖은 팬티로 인해 음경 및 음낭이 굴곡형상이 팬티의 외부로 그 형상이 표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3자에게 위화감이나 당혹감, 민망감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여 건전한 운동 및 생활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적용된 형상유지체(40)는 착용후 분리하여 세척을 통해 반복사용이 가능하며, 외부로부터 남성의 생식기를 보호하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브라팬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위주로 그 설명을 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동일 및 균등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실시예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해당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10 : 본체 12 : 탄성밴드부
14 : 다리끼움부 16 : 박음질부
20 : 외피 22 : 박음질부
24 : 개구부 26 : 개폐구
28 : 상단 고정부 29 : 하단 고정부
30 : 내피 32 : 관통부
34 : 날개부 40,40a,40b,40c,40d : 형상유지체
42 : 상단 장착부 43 : 고정부
44 : 하단 장착부 45 : 날개부
46 : 절곡부 47 : 사타구니 접촉방지부
47a : 내부형상물 47b : 형상유지보조체
47c : 흡습포 48 : 고정끈
50 : 음경 60 : 음낭
100 : 브라팬티

Claims (10)

  1. 남성용 팬티의 전방부 내측에서 상단부가 탄성밴드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양측 다리끼움부 사이의 박음질부에 고정되며, 중간부 이하에 음낭과 음경이 동시에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관통부가 일정 크기로 형성된 내피;
    상기 내피를 감싸도록 내피가 구비된 팬티의 전방으로 중앙부가 돔형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외피;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삽입되어져 상단이나 하단 또는 양측이 외피의 내면 또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형성된 고정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부가 구비되고, 중심부가 돔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자체적으로 형상이 유지되면서 상기 내피의 관통부를 통과한 음경을 음낭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유지시키는 일정한 탄성재의 형상유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내주연 하단부는 관통부를 통과한 음낭과 양쪽 다리의 사타구니 간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일정한 폭을 갖는 날개부가 박음질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그 상단부가 개방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부 개구부에는 외피의 상단부를 팬티의 본체에 고정하여 개구부를 닫기 위한 개폐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체는 그 재질이 항균기능을 포함한 실리콘, 라텍스, 합성수지제, 마이크로 파이버, 인지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체는 상하 중심축선상의 중앙부가 유선형을 유지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되, 하단부 양측에 일정각도로 하부 장착부가 분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 하부 장착부의 중앙부는 그 테두리부가 음경과 음낭 사이의 경계부에 밀착되도록 하부 장착부보다 상단부에 위치되는 라운드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체는 중앙부에 상하 장착부보다 폭이 넓은 좌우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체는 내면에 오목한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외면은 라운드형으로 외부로 돌출되는 터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체는 그 길이방향의 중심부 이하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그 절곡부의 하단부가 상단부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내향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체는 그 상단부에 탈부착용 단추 또는 고정구가 구비되어 상기 외피의 개폐구에 고정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체의 하단 양측에는 음낭의 좌우 양측을 감싸면서 음낭과 양쪽 다리의 사타구니 사이에 끼워져 사타구니와 음낭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하는 사타구니 접촉방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사타구니 접촉방지부는
    일정너비의 폭과 길이를 갖는 내부형상물과,
    상기 내부형상물에 포함되어 내부형상물의 형상을 자유자재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유지보조체와,
    상기 내부형상물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타구니 또는 음낭에서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도록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흡습포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브라 팬티.
KR2020120004167U 2012-05-18 2012-05-18 남성용 브라 팬티 KR200462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67U KR200462018Y1 (ko) 2012-05-18 2012-05-18 남성용 브라 팬티
PCT/KR2013/003119 WO2013172556A1 (ko) 2012-05-18 2013-04-15 남성용 브라 팬티와 음경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67U KR200462018Y1 (ko) 2012-05-18 2012-05-18 남성용 브라 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018Y1 true KR200462018Y1 (ko) 2012-08-24

Family

ID=4707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167U KR200462018Y1 (ko) 2012-05-18 2012-05-18 남성용 브라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1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130B1 (ko) * 2012-09-25 2014-04-10 (주) 동화인터내셔널 언더웨어
KR200477526Y1 (ko) * 2015-02-03 2015-06-19 정수환 기능성 남성 팬티
WO2016163638A1 (ko) * 2015-04-06 2016-10-13 박기봉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2065495B1 (ko) * 2018-08-28 2020-01-13 (주)다소곳 몰드 삽입 구조를 갖는 남성 보정 언더웨어
KR102113198B1 (ko) * 2019-05-08 2020-05-20 (주)제이비어패럴 리프팅 몰드가 구비된 남성속옷
KR20220051534A (ko) * 2020-10-19 2022-04-26 유채화 건강 위생 팬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469Y1 (ko) 2001-04-10 2001-10-11 두봉균 남성용 속옷
KR200383453Y1 (ko) 2005-02-04 2005-05-03 김용섭 남성용 팬티
KR200400989Y1 (ko) 2005-08-08 2005-11-15 진성복 남성용 건강 팬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469Y1 (ko) 2001-04-10 2001-10-11 두봉균 남성용 속옷
KR200383453Y1 (ko) 2005-02-04 2005-05-03 김용섭 남성용 팬티
KR200400989Y1 (ko) 2005-08-08 2005-11-15 진성복 남성용 건강 팬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130B1 (ko) * 2012-09-25 2014-04-10 (주) 동화인터내셔널 언더웨어
KR200477526Y1 (ko) * 2015-02-03 2015-06-19 정수환 기능성 남성 팬티
WO2016163638A1 (ko) * 2015-04-06 2016-10-13 박기봉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2065495B1 (ko) * 2018-08-28 2020-01-13 (주)다소곳 몰드 삽입 구조를 갖는 남성 보정 언더웨어
KR102113198B1 (ko) * 2019-05-08 2020-05-20 (주)제이비어패럴 리프팅 몰드가 구비된 남성속옷
KR20220051534A (ko) * 2020-10-19 2022-04-26 유채화 건강 위생 팬티
KR102507600B1 (ko) * 2020-10-19 2023-03-09 유채화 건강 위생 팬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5767B2 (en) Moisture absorbing anti-leak undergarments
KR200462018Y1 (ko) 남성용 브라 팬티
US10334889B2 (en) Athletic wear nursing bra
US20190125002A1 (en) Pouch fly
AU2014219528A1 (en) Functional underpants for male
KR20130128043A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US20140026295A1 (en) Men's underwear garment
KR101382130B1 (ko) 언더웨어
KR20120094611A (ko) 남성용 건강팬티
KR101007753B1 (ko) 기능성 팬티
KR101844750B1 (ko) 남성용 팬티
KR200491271Y1 (ko) 노브라 대응 패드 및 의상
KR20120066436A (ko) 기능성 드로즈 팬티
KR100776990B1 (ko) 통풍기능 속옷
KR200473877Y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WO2013172556A1 (ko) 남성용 브라 팬티와 음경지지대
KR101115262B1 (ko) 남성용 팬티
KR102083630B1 (ko) 음경 및 음낭의 보호 기능과 통기성이 강화된 팬티
KR101397362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90046410A (ko) 속옷 일체형 내복하의
KR20160067390A (ko) 통풍이 잘되는 분리형 남성용 팬티
KR200437270Y1 (ko) 남성의 국부 보호용 팬티
KR200392425Y1 (ko) 기능성 팬티
KR200494545Y1 (ko) 속옷 일체형 의류
KR200351598Y1 (ko) 남녀공용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