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916Y1 - Fire extinguisher supporter assembly - Google Patents

Fire extinguisher supporte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916Y1
KR200484916Y1 KR2020170001968U KR20170001968U KR200484916Y1 KR 200484916 Y1 KR200484916 Y1 KR 200484916Y1 KR 2020170001968 U KR2020170001968 U KR 2020170001968U KR 20170001968 U KR20170001968 U KR 20170001968U KR 200484916 Y1 KR200484916 Y1 KR 200484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re extinguisher
fire
lower main
upp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9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순
Original Assignee
(주)해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밀 filed Critical (주)해밀
Priority to KR2020170001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1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1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기를 올려놓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소화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상부본체와, 이 상부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안착부에 놓여진 소화기를 들면 상기 중량부재에 의해 상부본체의 전단부가 들리도록 이루어져 감지수단이 상기 상부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서 소화기의 사용여부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소방서나 관제소 등에서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감지수단의 제1 부재를 상부본체에 구비하고 케이블과 무관한 제2부재를 하부본체에 배열하여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고, 기존의 물리적 탄성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탄성력 소실로 인하여 소화기 사용여부의 감지가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화기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al for mounting a fire extingui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al for mounting a fire extingui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al for mounting a fire extinguisher, including a lower body, an upper body hinged to the lower body to mount the fire extinguisher,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placed on the seat part,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is sensed by the weight member. The sensing unit senses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is automatically checked whether or not the fire extinguisher is used. The first member of the sens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body and the second member which is not related to the cable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body to prevent breakage of the cable and to prevent loss of elasticity caused by using the existing physical elastic body. The use of fire extinguishers to solve problems that can not be detected due to the use of fire extinguishers. It relates to the rest of the assembly.

Description

소화기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FIRE EXTINGUISHER SUPPORTER ASSEMBLY}{FIRE EXTINGUISHER SUPPORTER ASSEMBLY}

본 고안은 소화기를 올려놓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소화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상부본체와, 이 상부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안착부에 놓여진 소화기를 들면 상기 중량부재에 의해 상부본체의 전단부가 들리도록 이루어져 감지수단이 상기 상부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서 소화기의 사용여부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소방서나 관제소 등에서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감지수단의 제1 부재를 상부본체에 구비하고 케이블과 무관한 제2부재를 하부본체에 배열하여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고, 기존의 물리적 탄성체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탄성력 소실로 인하여 소화기 사용여부의 감지가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화기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al for mounting a fire extingui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al for mounting a fire extingui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al for mounting a fire extinguisher, including a lower body, an upper body hinged to the lower body to mount the fire extinguisher,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placed on the seat part,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is sensed by the weight member. The sensing unit senses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is automatically checked whether or not the fire extinguisher is used. The first member of the sens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body and the second member which is not related to the cable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body to prevent breakage of the cable and to prevent loss of elasticity caused by using the existing physical elastic body. The use of fire extinguishers to solve problems that can not be detected due to the use of fire extinguishers. It relates to the rest of the assembly.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화재의 초기단계에서 소화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해서 화재를 막도록 하는 기구를 말하며, 사용하는 약제나 사용 방법 또는 메커니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는데, 예포말소화기, 분말소화기, 할론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 등이 있다.In general, fire extinguishers are fire extinguishers that use fire extinguishers in the early stages of a fire to take advantage of the effects of cooling or air shutoff. Many types of fire extinguishers are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agent, method of use, or mechanism used. , Powder fire extinguishers, halon fire extinguishers,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ers and so on.

화재의 경우 초기 대응이 실패할 경우 화재의 확산으로 인해 인적 피해와 물적 피해가 커지게 되므로 화재의 초기 진화가 매우 중요하다.In the case of a fire, if the initial response fails, the initial evolution of the fire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spread of the fire will increase human and material damage.

이와 같은 소화기는 소화기 받침대에 장착되어 일정 장소에 비치되는데, 실제 화재 발생시 소화기의 위치 파악이 쉽지 않으며, 화재로 인한 연기와 정전에 의해 발견이 어려우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Such a fire extinguisher is attached to a fire extinguisher stand and is placed in a certain place. However, it is not easy to locate the fire extinguisher in case of actual fire, and it is difficult to find fire extinguisher due to smoke and power outage.

또한, 소화기 받침대는 단순히 소화기를 설치하도록 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화재의 차단이나 화재시 대피 등에 어떠한 도움도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화재 예방을 위해 설치되는 소화기와 함께 소화기 받침대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In addition, the fire extinguisher pedestal only plays a role of installing a fire extinguisher, and does not provide any assistance to the fire extinguishment or to block the fi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fire extinguisher stand together with fire extinguisher installed for fire prevention.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33463호 『소화기 받침대』가 있는데,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33463 entitled "

상기 종래기술은 소화기가 장착되기 위한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며, 화재센서나 소화전의 작동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경보스피커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을 출력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경보스피커 및 발광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소화기 받침대를 제시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art has a main body for mounting a fire extinguisher, a main bod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outputted when a fire sensor or a fire hydrant operates, and a control part An alarm speak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utput an alarm soun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utput ligh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a power source for operation of the alarm speaker and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e extinguisher.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2912호 『항시 상황관리 소화기 거치대』가 있는데,Also, in the prior art, there is "Always Situation Control Fire Extinguisher Stand" of the Utility Model No. 20-2011-0002912,

상기 종래기술은 기존 소화기의 거치대의 기능이 아무것도 없음을 보완한 고안으로 외형은 고대 원형 경기장 모양으로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가 있어 소화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소화기의 탈부착을 인식할 수 있는 버튼이 부착되어 있으며 소화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의 안에 정 삼각형을 만들었을 때 세 꼭지점에 해당하는 곳에 돌출된 돌기가 구비된 소화기 거치대를 제시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ique is designed to complement the function of the existing fire extinguisher stand, so that the outer shape of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stored in the shape of an ancient amphitheater,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stored. And a fire extinguisher holder with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three vertices when a regular triangle is made inside the circle to prevent the fire extinguisher from falling down.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단순히 센서를 구비하여 소화기의 탈부착을 인식함으로서, 소화기의 사용유무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소화기가 잘못 놓여져 있는 경우에도 센서가 동작할 수 있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have a problem in that a sensor is provided to recognize whether a fire extinguisher is used or not by recognizing the fire extinguisher being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fire extinguisher.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707300호 『소화기 받침대』가 있는데,Furthermore, there is a prior art 10-1707300 " fire extinguisher stand "

상기 종래기술은 건물의 내부에 비치되는 소화기 받침대에 있어서, 소화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조도센서가 감지하는 조도가 소정 조도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소화기 받침대를 제시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art, a fire extinguisher stand is provided inside a building. The fire extinguisher stand includes a seating part on which a fire extinguisher is seated, a sensor part including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illuminance, a control part connected to the sensor part, An image output unit, and a sound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when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조도센서를 통해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조명이 어두운 경우에도 이를 화재로 인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detects a fire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and even if the illumination is dark, it can be recognized as a fire.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669940호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소화기 위치 알림 거치대』가 있는데,In addition, there is a prior art No. 10-1669940 entitled " Smart fire extinguisher position notification cradle using an electronic sensor "

상기 종래기술은 소화기가 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전자식 센서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전자식 센서의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빛 또는 소리를 통해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알람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소화기 위치 알림 거치대를 제시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isclose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comprising a main body to which a fire extinguisher is mounted, an electronic sensor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detect a fire, and a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alarming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through light or sound according to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electronic sensor And a fire extinguisher location notification shelf.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소화기의 사용유무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화재를 인식하여 소화기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서, 소화기가 설치된 장소와 먼 곳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쉽게 인식하기 어려우며, 실제 소화기의 사용유무를 감지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recognize the use of a fire extinguisher, but merely recognizes the fire and informs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a fire occurring at a place where the fire extinguisher is installed and a location far from the fire extinguis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detect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 힌지결합되되 소화기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들면, 상기 상부본체가 힌지운동하여 감지수단이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를 전송하여 소화기의 사용여부를 알릴 수 있는 받침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upper main body hinged to the lower main body and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on which a fire extinguisher is seated, and a sensing means for sensing movement of the upper main body. In order to use the fire extinguisher,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pedestal assembly which can detect the presence of a fire extinguisher and transmit data to inform the user whether or not the fire extinguisher is used.

또한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본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에는 중량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소화기를 올려놓으면 소화기의 무게에 의해 상부본체가 하부본체와 수평을 이루되, 소화기를 들어올리면 중량부재의 무게에 의해 상기 상부본체의 후단이 공간부 방향으로 하강하도록 회전할 수 있는 받침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a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main body.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placed on the upper main body, the upper main body is leveled with the lower main body by the weight of the fire extinguisher.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lifted, And the rear end of the upper body can be rotated so as to descend toward the space.

나아가 스토핑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서, 상기 상부본체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급격한 움직임에 의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받침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destal assembly capable of restricting movement of the upper body and preventing breakage due to abrupt movement by further including stopping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 사용유무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edestal assembly for detecting the use of a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하부본체;A lower main body;

상기 하부본체 상부에 힌지결합되되는 힌지결합부와, 소화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된 상부본체;A hinge coupling portion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and a seat portion on which a fire extinguisher can be placed;

상기 하부본체 또는 상부본체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본체의 힌지운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Sensing means provided in the lower main body or the upper main body or both of them to sense the hinge movement of the upper main body;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 / RTI >

소화기가 안착부에서 이탈되면, 상기 상부본체가 하부본체로부터 힌지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released from the seat portion, the upper main body hinges from the lower main body.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 사용유무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는As described above, the pedestal assembly for detecting the use of the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 힌지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져, 상부본체에 놓여있는 소화기를 들면, 소화기의 중량이 사라짐에 따라 상부본체가 힌지운동을 하게되고, 이 때 감지수단이 상부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송함으로서, 소화기의 사용여부를 공공기관 등에서 인지할 수 있어 빠른 대처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The upper body includes a lower main body, an upper main body hinged to the lower main body, and a sensing means for sensing movement of the upper main body. When a fire extinguisher is placed on the upper main body, At this time, since the sensing means senses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and transmits the sensing resul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is used or not, and it is possible to take prompt action.

나아가 상기 상부본체의 후단에는 중량부재를 구비하여, 소화기를 올려놓는 경우에는 소화기의 중량에 의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가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되, 소화기를 들면 상기 중량부재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부본체의 전단부가 들릴 수 있도록 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오작동이 발생될 위험이 없어 내구성 및 동작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placed on the rear end of the upper main body, the upper main body and the lower main body are kept parallel to each other by the weight of the fire extinguisher, The front end portion can be heard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there is no risk of occurrence of malfunction, and the durability and accuracy of operation are improv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실시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실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변형례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dest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an embodiment of a pedest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edest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embodiments) which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digit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considering simplicity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sin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10)와, 상기 하부본체(10)에 힌지결합되는 상부본체(20) 및 상부본체(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1 to 3, the pedestal assembly A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extinguisher is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ody 10, an upper body 20 hinged to the lower body 10, And sensing means (30)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20).

먼저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방향을 특정하면, 도 2를 기준으로 가이드부(41)가 구비되는 방향(좌측방향)을 전단부, 그 반대방향(우측방향)을 후단부라 정하도록 한다.If the direction is specified arbitrarily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guide (41) is provided in the front end portion (left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rightward direction) do.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본 고안은 설치 지면에 놓일 수 있는 하부본체(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본체(10)에는 상기 상부본체(20)의 전단부가 밀착되는 밀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부(11)의 후단에는 단턱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3)와 연장되어 공간형성부(15)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밀착부(11)와 공간형성부(15)의 높이차가 발생함으로서 하부본체(10)의 후단에 공간부(151)를 형성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The upper body 20 is provided with a lower body 10 which can be plac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The lower body 10 is provided with a tight contact with a front end portion of the upper body 2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step portion 13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ight fitting portion 11 and a space forming portion 15 is provided so as to extend from the short step portion 13. Thus, The space portion 151 can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main body 10 by generat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pace 11 and the space forming portion 15. [

아울러, 상기 단턱부(13)의 위치는 상기 하부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후단으로 치우치게 구비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밀착부(11)의 면적이 상기 공간형성부(15)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step portion 13 is inclined to the rear en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main body 10, so that the area of the tight contact portion 11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pace forming portion 15 .

나아가 상기 하부본체(10)의 상부에는 상부본체(20)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상부본체(20)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상부본체(2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감지수단(30) 및 힌지부재(17)가 내삽될 수 있는 수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20)의 상면에는 소화기(A1)가 놓여질 수 있는 안착부(21)가 구비되게 된다.The upper body 20 is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0. The sensing body 30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20, And a receiving part 23 into which the hinge member 17 can be inserted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body 20. A seating part 21 o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A1 can be place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0. [

이 때 상기 안착부(21)에는 미끄럼방지부재(211)를 더 구비하여, 소화기를 놓았을 때 보다 안정적으로 소화기를 얹어 놓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At this time, the seat portion 21 is further provided with a non-slip member 211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placed more stably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placed. However,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나아가, 상기 상부본체(20)에는 상기 수용부(23)를 형성하기 위한 측벽부가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측벽부에는 케이블관통공(25)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감지수단(30)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Further, the upper body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ide wall for form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23. The side wall of the upper body 20 is provided with a cable through hole 25, which is connected to the sensing means 30 So that the cable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즉, 본 고안은 상기 상부본체(20)의 힌지운동을 감지하여 소화기의 사용유무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힌지운동을 하는 상부본체(20)에 감지수단(30)의 제1 부재(31)가 구비되고, 이 제1 부재(31)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관통공(25)을 통하여 배출됨에 따라 잦은 동작에 의해 케이블이 꼬이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케이블의 단선 및 파손 등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use of the fire extinguisher by sensing the hinge movement of the upper main body 20, and the first member 31 of the sensing means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main body 20 performing the hinge movement. As the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31 is discharged through the cable through hole 25,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cable is twisted due to frequent operation, so that the cable is not broken or damag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ability of operation can be ensured.

다시 상기 상부본체(20)는 상기 하부본체(10)와 힌지결합을 하여 힌지운동을 하는 바, 상기 상부본체(20)에는 힌지공으로 이루어지는 힌지결합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본체(10)에는 상기 힌지결합부(27)에 결합되는 힌지축(173)과, 이 힌지축(173)을 고정하는 힌지가이드(171)로 이루어지는 힌지부재(17)가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main body 20 is hinged to the lower main body 10 to perform a hinge movement. The upper main body 20 is formed with a hinge engaging portion 27 including a hinge hole. A hinge member 17 including a hinge shaft 173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27 and a hinge guide 171 for fixing the hinge shaft 173 is formed on the base 1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본체(10)에는 힌지부재(17)가 구비되는 바,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부재(17)는 상기 밀착부(11)의 후단, 즉 단턱부(13)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가이드(171)는 힌지축(173)이 내삽될 수 있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lower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hinge member 17, and more preferably the hinge member 17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ightening portion 11, that is, above the step portion 13 And the hinge guide 171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which the hinge shaft 173 can be inserted.

아울러 상기 힌지가이드(171)에 내삽된 힌지축(173)의 양 단부가 상기 상부본체(20)에 구비되는 힌지결합부(27)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상부본체(20)가 상기 하부본체(10)로부터 힌지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Both ends of the hinge shaft 173 inserted into the hinge guide 171 are inserted into the hinge coupling part 27 of the upper main body 20 so that the upper main body 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main body 10 So that the hinge movement can be performed.

다시 본 고안은 상기 상부본체(20)의 안착부(21)에 놓여지는 소화기가 들었을 때, 상기 상부본체(20)가 힌지운동을 하게 되면서 감지수단(30)이 이 동작을 인지하여 소방서 등의 공공기관, 또는 건물 내의 경보장치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e extinguisher placed on the seat portion 21 of the upper main body 20 is heard, the sensing means 30 recognizes the operation of the upper main body 20 while hinging the upper main body 20, To be able to transmit signals to public authorities, or to alarm devices in buildings.

이에 따라 상기 상부본체(20)에는 소화기가 들렸을 경우, 상기 상부본체(20)를 힌지운동하기 위한 중량부재(29)가 상기 상부본체(20), 구체적으로는 수용부(23) 내측 후단에 구비되게 된다.A weight member 29 for hinging the upper main body 20 is provided at the inner rear end of the upper main body 20, specifically, the receiving portion 23,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in the upper main body 20 .

이 중량부재(29)는 일정한 중량으로 이루어진 무게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소화기가 안착부(21)에 놓여지면 상기 소화기의 중량에 의해 상부본체(20)가 힌지운동을 하지 않고, 소화기가 들려지면 상기 중량부재(29)의 무게에 의해 상기 상부본체(20)의 후단부가 아래로 이동하는 힌지운동을 하게 된다.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placed on the seat part 21, the weight of the fire extinguisher does not hinge on the upper body 20 due to the weight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heard The rear end of the upper body 20 is mov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weight member 29 in the hinge movement.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화기가 놓여지는 경우, 상기 상부본체(20)와 하부본체(10)는 수평을 이루어 공간형성부(15)가 공간부(151)에 의해 이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화기가 들려지면 상기 상부본체(20) 후단부에 위치하는 중량부재(29)의 무게에 의해 힌지결합부(27)를 축으로 힌지운동하여, 상기 상부본체(20)의 후단부가 공간부(151)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본체(20)의 전단부가 들릴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placed, the upper main body 20 and the lower main body 10 are horizontally shaped so that the space forming portion 15 is separated by the space portion 151, and a fire extinguisher is hear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upper main body 20 is moved toward the space portion 151 by the hinge engaging portion 27 being hinged by the weight of the weight member 29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main body 20,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20 can be heard.

즉 이러한 운동을 위해, 상기 중량부재(29)의 무게는 일반적인 소화기의 무게보다는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힌지결합부(27)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기에, 상기 힌지결합부(27)가 후단으로 치우치도록 구성함으로서, 소화기를 올려놓았을 때 상기 소화기와 중량부재(29)의 무게가 동일하더라도, 상부본체(20)의 후단부가 받는 힘이 전단부가 받는 힘보다 작아짐으로서 상부본체(2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for this move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member 29 is smaller than the weight of a general fire extinguisher. As a result, seesaw motion is performed arou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27, The force exerted by the rear end portion of the upper body 20 becomes smaller than the force exerted by the front end portion even if the weight of the fire extinguisher is equal to the weight of the weight member 29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body 20 from being rotated arbitrarily.

아울러,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과 같은 물리적 탄성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소화기가 상부본체에 상시 비치되는 상태에 의해 상시적으로 부하가 발생하여, 이를 지지하는 탄성체의 탄성력이 감소 또는 소실되어, 실제 소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탄성력의 부재로 인한 소화기 사용여부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hysical elastic body such as a leaf spring or a coil spring,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is utilized, the load is constantly generated by the state i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is always supplied to the upper body, The elastic force is reduced or lost, and when the actual fire extinguisher is used,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fire extinguisher is used due to the absence of the elastic force can be solved.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상부본체(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30)을 통하여,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케이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ensed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ble through the sensing means 30 that senses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20.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상기 상부본체(20)의 수용부(23) 전단부에는 센서브라켓(311)이 구비되고, 이 센서브라켓(311)에 제1 부재(31)가 결합되며, 이 제1 부재(31)는 상기 상부본체(20)의 수용부(23) 내에서 전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sensor bracket 311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23 of the upper body 20 and the first member 31 is coupled to the sensor bracket 311, (31) can be detected from the front end portion to the rear end portion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3) of the upper body (20).

또한 상기 하부본체(10)의 밀착부(11) 상면에는 제2 부재(33)가 구비된다.A second member (3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ight fitting portion (11) of the lower main body (10).

따라서 상기 상부본체(20)와 상기 하부본체(10)가 수평을 이루는 경우, 즉 소화기가 올려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부재(31) 또는 제2 부재에서 나오는 신호가 상기 제2 부재(33) 또는 제1 부재에 닿아 수평상태임을 인지하고, 상기 상부본체(20)의 전단부가 들리게 되면, 이러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감지수단이 상부본체(20)의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ly, when the upp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10 are horizontal, that is,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raised, a signal from the first member 31 or the second member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ember 33, Or if the front end of the upper main body 20 is heard, such a signal is not transmitted or received, so that the sensing means can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upper main body 20.

나아가 이러한 감지수단을 유선으로 구성하는 경우, 상부본체(20)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 부재(예:수신부)(31)를 배열하고, 하부본체(20)에 케이블과 무관한 제2 부재(예:발신부)(마그넷 등)을 배열하여 상부본체의 동작에 의해 케이블이 꼬이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A first member (for example, a receiver) 31 to which a cable is connected may be arranged in the upper body 20 and a second member (For example, a magnet) is arranged on the upper body so as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cabl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upper body.

또한 이 제1 부재(31)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였을 뿐, 동작감지, 제2 부재(33)에서 되돌아오는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first member 31 may be composed of various sensors such as a motion sensor, a sensor for measuring a signal coming back from the second member 33, Do not.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상부본체(20)의 들림을 제한하는 스토핑수단(4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상부본체(20)가 과도하게 들려, 상부본체(20)의 후단부가 상기 하부본체(10)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이 강한 충격으로 단선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3,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pping means 40 for restricting the lifting of the upper body 20, so that the upper body 20 is excessively lifted, and the upper body 20 Is damaged by colliding with the lower main body 10 or a cable provided therein is prevented from breaking or breaking due to a strong impact.

이 스토핑수단(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토핑수단(40)은 상기 하부본체(1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41)와, 이 가이드부(41)에 결합되는 스토핑부재(43) 및 상기 상부본체(20)의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플랜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stopping means 40 includes a guide portion 41 provided in the lower main body 10 and a stopping portion 41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41. [ And an engagement flange 45 provided at an end of the upper main body 2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본체(10)의 전단부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부(41)에 스토핑부재(43)가 체결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a guide portion 41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0, and a stopping member 43 is fastened to the guide portion 41.

상기 스토핑부재(43)는 상기 가이드부(41)로부터 상부본체(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20)의 전단에는 돌출된 걸림플랜지(45)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본체(20)의 전단부가 들리면, 돌출된 걸림플랜지(45)가 상기 스토핑부재(43)에 걸려 상기 상부본체(20)의 들림 정도를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topping member 43 protrudes from the guide portion 41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main body 20. The upper end of the upper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engaging flange 45, The protruding engagement flange 45 is caught by the stopping member 43 so as to limit the degree of lifting of the upper body 20 when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20 is held.

따라서, 소화기를 들었을 때 중량부재(29)의 무게에 의해 상부본체(20)의 후단부가 강하게 하강하여 하부본체(10)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의 케이블이 꼬이거나 강하게 당겨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when the fire extinguishers are lifted, the weight of the weight member 29 prevents the rear end of the upper main body 20 from being strongly lowered to collide with the lower main body 10 to be damaged, and the inner cable is twisted or pulled strongly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prolonging the service life.

더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10)를 서로 대향되는 형상으로 복수개로 구성하고, 각각의 형상에 상부본체(2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복수개의 소화기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the lower main bodies 10 may b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may be mounted on each of the upper main bodies 20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ystem so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소화기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uch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받침대 어셈블리 10 : 하부본체
11 : 밀착부 13 : 단턱부
15 : 공간형성부 151 : 공간부
17 : 힌지부재 171 : 힌지가이드
173 : 힌지축 20 : 상부본체
21 : 안착부 211 : 미끄럼방지부재
23 : 수용부 25 : 케이블관통공
27 : 힌지결합부 29 : 중량부재
30 : 감지수단 31 : 제1 부재
311 : 센서브라켓 33 : 제2 부재
40 : 스토핑수단 41 : 가이드부
43 : 스토핑부재 45 : 걸림플랜지
A: Pedestal assembly 10: Lower body
11: tight contact portion 13: stepped portion
15: space forming part 151:
17: hinge member 171: hinge guide
173: Hinge shaft 20: Upper body
21: seat part 211: non-slip member
23: receptacle 25: cable through hole
27: hinge coupling part 29: weight member
30: sensing means 31: first member
311: Sensor bracket 33: Second member
40: stopping means 41: guide portion
43: stopping member 45: engagement flange

Claims (4)

하부본체(10);
상기 하부본체(10) 상부에 힌지결합되되는 힌지결합부(27)와, 소화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안착부(21)가 형성된 상부본체(20);
상기 하부본체(10) 또는 상부본체(20)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본체(20)의 힌지운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본체(10)에는 상기 상부본체(20)의 전단부가 밀착되는 밀착부(11)와, 상기 밀착부(11) 후단에 형성되는 단턱부(13) 및 상기 단턱부(13)로부터 연장되는 공간형성부(15)가 구비되어, 상기 밀착부(11)와 공간형성부(15) 사이에 형성되는 높이의 차이로 상기 하부본체(10) 후단에 공간부(151)를 형성하며,
상기 단턱부(13)는 상기 하부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후단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11)의 면적이 상기 공간형성부(15)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됨에 따라,
소화기가 안착부(21)에서 이탈되면, 상기 상부본체(20)가 힌지결합부를 기준으로 하부본체(10)로부터 힌지운동하여, 상부본체(20)의 후단부가 공간부(151) 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
A lower main body 10;
An upper main body 20 having a hinge engaging portion 27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10 and a seat portion 21 on which a fire extinguisher can be placed;
Sensing means (30) provided on the lower main body (10) or the upper main body (20) or both of them to detect a hinge movement of the upper main body (20);
, ≪ / RTI >
The lower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tight contact portion 11 to whic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upper body 20 is closely adhered, a step portion 13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ight contact portion 11, A space forming part 15 is provided to form a space part 151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main body 10 due to a difference in height formed between the tight fitting part 11 and the space forming part 15,
Since the step portion 13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center to the rear end of the lower main body 10 so that the area of the adhered portion 11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pace forming portion 15,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released from the seat portion 21, the upper main body 20 is hinged from the lower main body 10 with respect to the hinge engaging portion, and the rear end of the upper main body 20 descends toward the space portion 151 A pedestal assembly for detecting the use of a fire extinguis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20)의 후단에는 중량부재(29)가 구비되어, 소화기가 안착부에서 이탈되면, 상기 중량부재(29)의 무게에 의해 상기 힌지결합부(27)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본체(20)의 후단이 상기 하부본체(10)의 공간부(15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eight member 29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pper main body 20 so that the weight of the weight member 29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main body 20 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pace (151) of the lower main body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1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41)와, 상기 가이드부(41)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본체(20)의 전단부의 들림을 제한하는 스토핑부재(43)를 포함하는 스토핑수단(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topping member (43) provided on the guide portion (41) and restricting lifting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20) Further comprising means (40) for sens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is used or not.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30)은
상부본체에 구비되는 제1 부재(31)와, 하부본체(2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부재(31)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부본체(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부재(32)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본체(20)에는 케이블관통공(25)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부재(31)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관통공(25)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받침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ensing means (30)
A second member 32 provided in the lower main body 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first member 31 to sense movement of the upper main body 20; ),
Wherein the upper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cable through hole 25 so that a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31 is discharged through the cable through hole 25, The pedestal assembly.
KR2020170001968U 2017-04-19 2017-04-19 Fire extinguisher supporter assembly KR20048491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68U KR200484916Y1 (en) 2017-04-19 2017-04-19 Fire extinguisher supporte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68U KR200484916Y1 (en) 2017-04-19 2017-04-19 Fire extinguisher supporte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916Y1 true KR200484916Y1 (en) 2017-12-01

Family

ID=6125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968U KR200484916Y1 (en) 2017-04-19 2017-04-19 Fire extinguisher supporte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16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9055A (en) * 1996-03-12 1997-09-16 Aiphone Co Ltd Fire extinguisher base
JP2002263209A (en) * 2001-03-12 2002-09-17 Kenzo Kisoda Displaying device for installation 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9055A (en) * 1996-03-12 1997-09-16 Aiphone Co Ltd Fire extinguisher base
JP2002263209A (en) * 2001-03-12 2002-09-17 Kenzo Kisoda Displaying device for installation 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7836B2 (en) Monitoring system
KR101926746B1 (en) Fire fighting safety system using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facility of apartment house
KR101955973B1 (en) Remote fire detection system
KR101825685B1 (en)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KR101943368B1 (en) Fire fighting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cation facility of apartment house
US9539453B2 (en) Cartridge monitoring system
KR101644084B1 (en) Fire fighting facility control system of apartment house
JP2009266058A (en) Alarm device
KR101867923B1 (en) Bidirectional alarm system on fire extinguisher
KR20170069647A (en) A supporter of fire extinguisher
KR200484916Y1 (en) Fire extinguisher supporter assembly
JP2010286979A (en) Safety confirmation device
CN111121720A (en) Transformer inclinatio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KR102016028B1 (en) Fire extinguisher cradle
KR101663786B1 (en) Fire fighting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AU2010268345B2 (en) Holder for fire extinguisher
KR20160104157A (en) Stand for fire extinguisher
JP2017120491A (en) Security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security device
KR102379362B1 (en) Control apparatus with apartment house
KR20140130842A (en) A watch with an single type fire alarm device
KR101269232B1 (en) Fire receiver having fire prompt reporting function
KR101731709B1 (en) Fire extinguisher holder
JP2008033420A (en) Security system
CN201854364U (en) Television with fire disaster alarming function
US7020520B2 (en) Defibrillator enclosur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