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835Y1 -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835Y1
KR200484835Y1 KR2020170004787U KR20170004787U KR200484835Y1 KR 200484835 Y1 KR200484835 Y1 KR 200484835Y1 KR 2020170004787 U KR2020170004787 U KR 2020170004787U KR 20170004787 U KR20170004787 U KR 20170004787U KR 200484835 Y1 KR200484835 Y1 KR 200484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zone
peeling
layer
neutr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조
Original Assignee
씨피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피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피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4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8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06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01B7/2825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using a water impermeable shea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14Extreme weather resilien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s, e.g. strengthening power lines or underground power cables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을 갖는 케이블을 상호 연결할 때 그 연결 부분에서 그 케이블의 본래 구조가 변경되는데, 이때 그 아머층이 이종의 금속과 맞닿을 때 발생하는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술로서, 케이블을 상호 연결할 때 중앙부의 전선코어에 대해 그 외표면을 순차적으로 감싸는 절연층, 반도전층, 중성선, 시스층,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 외피층을 구비하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에서 그 케이블의 각 레이어가 본래 자신과 인접하는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에 직접 접촉됨을 차단함으로써 케이블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는 기술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각 케이블의 연결시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과 구리 재질의 중성선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포일 테이프의 외표면에 중간금속으로서의 주석을 도금처리함으로써 아머층의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straight connection unit for aluminium armored cable}
본 고안은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을 갖는 케이블을 상호 연결할 때 그 연결 부분에서 그 케이블의 본래 구조가 변경되는데, 이때 그 아머층이 이종의 금속과 맞닿을 때 발생하는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케이블을 상호 연결할 때 중앙부의 전선코어에 대해 그 외표면을 순차적으로 감싸는 절연층, 반도전층, 중성선, 시스층,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 외피층을 구비하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에서 그 케이블의 각 레이어가 본래 자신과 인접하는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에 직접 접촉됨을 차단함으로써 케이블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케이블은 가장 중앙부의 전선코어를 중심으로 그 전선코어를 감싸는 복수의 층(레이어)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그 전선코어를 감싸는 각각의 레이어는 합성섬유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전선코어에 대해 배치되는 복수의 층(레이어)은 그 케이블을 통한 전기의 흐름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 케이블의 레이어 간 트러블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그런데,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할 경우 하나의 케이블에 구비된 전선코어와 하다른 하나의 케이블에 구비된 전선코어가 맞닿아 연결될 수 있도록 각 케이블의 레이어는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에서와 같이 전선코어를 중심으로 다단 박피된다.
여기서, 다단으로 박피하는 이유는 각 케이블을 연결할 때 전선코어 뿐만 아니라 그 전선코어를 감싸는 각각의 레이어도 매개체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도 1]에서와 같이 각 레이어가 박피되어 복수의 박피영역이 발생하는데, 특히 케이블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성선 부분을 연결할 때에는 그 중성선이 본래 케이블에 배치되는 자신의 레이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없어 다른 레이어와 겹치는 문제가 있다. 그렇다고 중성선을 케이블의 가장 외곽부분으로 배치시킬 수도 없는 것이다.
한편, 중성선은 예컨대 3상회로에서 각 상의 공통된 그라운드 전위 부분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예: Cu)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각 케이블을 연결할 때 케이블의 각 레이어 중 금속재질의 레이어에 중성선이 맞닿으면 그 중성선에 맞닿은 해당 금속재질의 레이어는 소위 '갈바니 부식(galvanic corrosion)'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 케이블의 설계상 중성선은 구리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아머층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그 중성선과 맞닿는 금속재질(특히, Al)의 레이어는 갈바니 부식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금속의 이온화경향 및 반응성은 칼륨(K)이 가장 크고 순차적으로 K > Ca > Na > Mg > Al > Zn > Fe > Ni > Sn > Pb > (H) > Cu > Hg > Ag > Pt > Au 의 순위를 나타낸다.
즉, 중성선의 재질로 채택되는 Cu 재질은 아머층으로 채택되는 Al 재질보다 반응성이 낮기 때문에 Cu 재질의 중성선과 Al 재질의 아머층이 맞닿으면 아머층에서 부식이 일어난다.
이때, 반응성이 서로 다른 금속이 접촉할 때 부식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매개체로서 수용액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매개체는 공기중에 섞인 수분이 대신할 수 있다.
이처럼, 다단의 레이어로 최적화된 각각의 케이블이 상호 연결을 위해서 박피되면 본래 레이어의 적층 순서에 변화가 생겨 위와 같은 갈바니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을 갖는 케이블을 상호 연결할 때 그 연결 부분에서 부식 등 내구성 저하 현상이 발생됨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부의 전선코어에 대해 그 외표면을 순차적으로 감싸는 절연층, 반도전층, 중성선, 시스층,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 외피층을 구비하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에서, 하나의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이하, '제 1 케이블'이라 함)에 구비된 전선코어와 다른 하나의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이하, '제 2 케이블'이라 함)에 구비된 전선코어가 상호 통전되도록 각각의 제 1 케이블과 제 2 케이블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유닛으로서, 제 1 케이블의 아머층이 노출되도록 제 1 케이블의 외피층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1 박피존; 제 1 박피존에 연접하여 제 2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1 케이블의 시스층이 노출되도록 제 1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2 박피존; 제 1 박피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제 1 박피존에 대응하는 아머층을 제 1 케이블의 중성선과 차단하는 제 1 금속포일 테이프; 제 1 케이블의 중성선이 제 2 박피존의 일단부로부터 길게 돌출되는 제 1 중성선 연장부; 제 2 케이블의 아머층이 노출되도록 제 2 케이블의 외피층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6 박피존; 제 6 박피존에 연접하여 제 1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2 케이블의 시스층이 노출되도록 제 2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7 박피존; 제 6 박피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제 6 박피존에 대응하는 아머층을 제 2 케이블의 중성선과 차단하는 제 2 금속포일 테이프; 제 2 케이블의 중성선이 제 1 케이블에 근접하는 제 7 박피존의 일단부로부터 길게 돌출되는 제 2 중성선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금속포일 테이프와 제 2 금속포일 테이프는 각각 그 외표면이 주석으로 도금 처리된다.
그리고, 제 1 중성선 연장부가 제 1 박피존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제 2 케이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그 폴딩된 제 1 중성선 연장부와 제 1 박피존을 일체로 감싸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링; 제 2 중성선 연장부가 제 6 박피존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제 1 케이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그 폴딩된 제 2 중성선 연장부와 제 6 박피존을 일체로 감싸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 1 고정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케이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제 1 중성선 연장부의 선단부와 제 2 고정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케이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제 2 중성선 연장부의 선단부가 상호 연결된다.
또한, 제 2 박피존에 연접하여 제 2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1 케이블의 반도전층이 노출되도록 제 1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3 박피존; 제 3 박피존에 연접하여 제 2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1 케이블의 절연층이 노출되도록 제 1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4 박피존; 제 4 박피존에 연접하여 제 2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1 케이블의 전선코어가 노출되도록 제 1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5 박피존; 제 7 박피존에 연접하여 제 1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2 케이블의 반도전층이 노출되도록 제 2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8 박피존; 제 8 박피존에 연접하여 제 1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2 케이블의 절연층이 노출되도록 제 2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9 박피존; 제 9 박피존에 연접하여 제 1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2 케이블의 전선코어가 노출되도록 제 2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10 박피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케이블의 전선코어와 제 2 케이블의 전선코어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제 4 박피존, 제 5 박피존, 제 9 박피존, 제 10 박피존을 일체로 감싸는 충진부; 충진부의 외표면을 감싸는 몸체튜브; 제 3 박피존, 몸체튜브, 제 8 박피존을 일체로 감싸는 동차폐 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동차폐 테이프의 외표면을 감싸는 외피튜브; 외피튜브의 외표면을 감싸는 동차폐 마감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을 갖는 케이블을 상호 연결할 때 그 연결 부분에서 아머층의 외표면에 중간금속으로서의 금속포일 테이프를 감싸 배치함으로써 아머층의 부식을 방지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각 케이블의 연결시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과 구리 재질의 중성선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포일 테이프의 외표면에 중간금속으로서의 주석을 도금처리함으로써 아머층의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인 제 1 케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2 케이블이 상호 연결되기 위해 일직선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2 케이블의 아머드층에 금속포일 테이프가 테이핑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관련된 이종금속의 적층 상태와 그 이종금속 사이에 별도의 중간금속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3]의 제 1,6 박피존에 각각의 고정링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2 케이블의 각 전선코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충진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충진부를 감싸는 몸체튜브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8]은 [도 7]의 몸체튜브를 감싸는 동차폐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도 8]의 동차폐 테이프를 감싸는 외피튜브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외피튜브를 감싸는 동차폐 마감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제 1 케이블의 중성선과 제 2 케이블의 중성선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인 제 1 케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로서 본 고안에서 채택한 제 1 케이블(10)의 내구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케이블(10)의 가장 중앙부에는 전선코어(17)가 배치되고 그 전선코어(17)를 순차적으로 감싸는 절연층(16), 반도전층(15), 중성선(14), 시스층(13), 아머층(12), 외피층(11)이 배치된다.
여기서, 중성선(14)은 3상회로에서 각 상의 공통된 그라운드 전위 부분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도성의 금속 재질(예: Cu)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아머층(12)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는데, 평상시에는 중성선(14)과 아머층(12)이 합성수지 재질의 시스층(13)에 의해 완전히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소위 '갈바닉 부식'이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각 케이블을 상호 연결할 때에는 각 레이어가 외부에 노출되면서 본래 레이어의 순서가 바뀜에 따라 '갈바니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놓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2 케이블이 상호 연결되기 위해 일직선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2 케이블의 아머드층에 금속포일 테이프가 테이핑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동일한 내부 구성을 갖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로의 제 1 케이블(10)과 제 2 케이블(20)을 상호 일직선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그 제 1 케이블(10)과 제 2 케이블(20)의 연결 부위가 [도 2]와 같이 박피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은 제 1 박피존(110), 제 2 박피존(120), 제 3 박피존(121), 제 4 박피존(122), 제 5 박피존(123), 제 1 금속포일 테이프(130), 제 1 중성선 연장부(140), 제 6 박피존(210), 제 7 박피존(220), 제 8 박피존(221), 제 9 박피존(222), 제 10 박피존(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박피존(110)은 제 1 케이블(10)의 아머층이 노출되도록 제 1 케이블(10)의 외피층(11)이 소정너비 박피되어 형성되며, 제 2 박피존(120)은 제 1 박피존(110)에 연접하여 제 2 케이블(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1 케이블(10)의 시스층(13)이 소정 너비 노출되도록 제 1 케이블(10)이 박피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박피존(121)은 제 2 박피존(120)에 연접하여 제 2 케이블(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1 케이블(10)의 반도전층(15)이 노출되도록 제 1 케이블(10)이 소정 너비 박피되어 형성되고, 제 4 박피존(122)은 제 3 박피존(121)에 연접하여 제 2 케이블(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1 케이블(10)의 절연층(16)이 노출되도록 제 1 케이블(10)이 소정 너비 박피되어 형성되며, 제 5 박피존(123)은 제 4 박피존(122)에 연접하여 제 2 케이블(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1 케이블(10)의 전선코어(17)가 노출되도록 제 1 케이블(10)이 소정 너비 박피되어 형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 박피존(210)은 제 2 케이블(20)의 아머층(22)이 노출되도록 제 2 케이블(20)의 외피층(21)이 소정 너비 박피되어 형성되고, 제 7 박피존(220)은 제 6 박피존(210)에 연접하여 제 1 케이블(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2 케이블(20)의 시스층(23)이 노출되도록 제 2 케이블(20)이 소정 너비 박피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 박피존(221)은 제 7 박피존(220)에 연접하여 제 1 케이블(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2 케이블(20)의 반도전층(25)이 노출되도록 제 2 케이블(20)이 소정 너비 박피되어 형성되고, 제 9 박피존(222)은 제 8 박피존(221)에 연접하여 제 1 케이블(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2 케이블(20)의 절연층(26)이 노출되도록 제 2 케이블(20)이 소정 너비 박피되어 형성되며, 제 10 박피존(223)은 제 9 박피존(222)에 연접하여 제 1 케이블(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2 케이블(20)의 전선코어(27)가 노출되도록 제 2 케이블(20)이 소정 너비 박피되어 형성된다.
다른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금속포일 테이프(130)은 제 1 박피존(11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제 1 박피존(110)에 대응하는 아머층(12)을 제 1 케이블(10)의 중성선(14)과 차단한다.
그리고, 제 1 중성선 연장부(140)은 제 1 케이블(10)의 중성선(14)이 제 2 박피존(120)의 일단부로부터 길게 돌출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2 케이블(20)에 구비되는 제 2 중성선 연장부(240)와 연결시키기 위한 중성선(14)의 노출부분을 충분하게 마련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금속포일 테이프(230)도 제 6 박피존(21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제 6 박피존(210)에 대응하는 아머층(22)을 제 2 케이블(20)의 중성선(24)과 차단한다.
그리고, 제 2 중성선 연장부(240)는 제 2 케이블(20)의 중성선(24)이 제 1 케이블(10)에 근접하는 제 7 박피존(220)의 일단부로부터 길게 돌출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케이블(10)에 구비되는 제 1 중성선 연장부(140)와 연결시키기 위한 중성선(24)의 노출부분을 충분하게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 1,2 케이블(10,20)의 중성선(14,24)이 각각의 아머층(12,22)에 직접 맞닿지 않게 되어 그 아머층(12,22)은 중성선(14,24)에 의한 소위 '갈바니 부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 1 금속포일 테이프(130)과 제 2 금속포일 테이프(230)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그 외표면이 주석으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이처럼, 구리(Cu) 재질의 중성선(14,24)과 알루미늄(Al) 재질의 아머층(12,22) 사이에 주석 도금된 제 1,2 금속포일 테이프(130,230)가 각각 배치됨에 따라 중성선(14,24)에 의한 아머층(12,22)의 부식 반응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관련된 이종금속의 적층 상태와 그 이종금속 사이에 별도의 중간금속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이종금속의 접촉에 따른 부식 경향을 살펴 보면, 예컨대 [도 4]의 (a)에서와 같이 구리 재질의 중성선(14,24)이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12,22)에 접촉되면 그 접촉부분에 국부전지가 형성되는데, 그 국부전지에 수용액 역할을 하는 수분이 공기중에 형성되면 각 금속의 전극 전위에 따라서 마이너스(-) 전위가 높은 금속이 전자를 내놓으면서 부식된다.
즉, 전극 전위차가 큰 금속일수록 상호 접촉에 의한 부식이 심화되는데, 그 전극 전위차가 크다는 것은 각 금속의 이온화경향 및 반응성 순위를 나타내는 "K > Ca > Na > Mg > Al > Zn > Fe > Ni > Sn > Pb > (H) > Cu > Hg > Ag > Pt > Au"에서 각 접촉 금속(예: Al, Cu)의 상호 이격된 거리가 클수록 상호 접촉시 큰 반응성을 갖는 금속(예: Al)의 부식력이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4]의 (b)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12,22)과 구리 재질의 중성선(14,24) 사이에 중간금속으로서 주석 재질의 금속포일 테이프(130,230)가 배치되면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12,22)은 구리 재질의 중성선(14,24)과의 전위차로부터 주석 재질의 금속포일 테이프(130,230)와의 전위차로 경감되어 그 부식력이 낮아지게 된다.
[도 5]는 [도 3]의 제 1,6 박피존에 각각의 고정링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은 제 1,2 금속포일 테이프(130,230)를 각각 고정하는 제 1 고정링(150), 제 2 고정링(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링(150)은 제 1 중성선 연장부(140)가 제 1 박피존(110)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제 1 중성선 연장부(140)가 제 2 케이블(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그 폴딩된 제 1 중성선 연장부(140)와 제 1 박피존(110)을 일체로 감싸 고정시킨다.
제 2 고정링(250)은 제 2 중성선 연장부(240)가 제 6 박피존(210)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제 2 중성선 연장부(240)가 제 1 케이블(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그 폴딩된 제 2 중성선 연장부(240)와 제 6 박피존(210)을 일체로 감싸 고정시킨다.
이때, 제 1 고정링(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케이블(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제 1 중성선 연장부(140)의 선단부와 제 2 고정링(2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케이블(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제 2 중성선 연장부(240)의 선단부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호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제 1 케이블(10)과 제 2 케이블(20)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그 각각의 중성선(14,24)이 본래의 그라운드 전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2 케이블의 각 전선코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충진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충진부를 감싸는 몸체튜브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8]은 [도 7]의 몸체튜브를 감싸는 동차폐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동차폐 테이프를 감싸는 외피튜브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외피튜브를 감싸는 동차폐 마감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제 1 케이블의 중성선과 제 2 케이블의 중성선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은 충진부(310), 몸체튜브(320), 동차폐 테이프(330), 외피튜브(340), 동차폐 마감테이프(3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충진부(320)는 [도 6]에서와 같이 제 1 케이블(10)의 전선코어(17)와 제 2 케이블(20)의 전선코어(27)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제 4 박피존(122), 제 5 박피존(123), 제 9 박피존(222), 제 10 박피존(223)을 일체로 감싼다.
여기서, 충진부(320)는 바람직하게는 그리스(grease)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제 1 케이블(10)의 전선코어(17)와 제 2 케이블(20)의 전선코어(27)가 상호 연결됨에 따라 상승하는 저항열로부터 각 케이블의 내구성을 유지시킨다.
몸체튜브(320)는 [도 7]에서와 같이 충진부(310)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충진부(320)의 골격을 유지시키고, 동차폐 테이트(330)는 [도 8]에서와 같이 제 3 박피존(121), 몸체튜브(320), 제 8 박피존(221)을 일체로 감싸고, 외피튜브(340)는 [도 9]에서와 같이 동차폐 테이프(330)의 외표면을 감싸고, 동차폐 마감테이프(350)는 [도 10]에서와 같이 외피튜브(340)의 외표면을 감싼다.
이어서, 제 1 중성선 연장부(140)의 선단부와 제 2 중성선 연장부(240)의 선단부가 [도 11]에서와 같이 상호 연결됨에 따라 제 1 케이블(10)과 제 2 케이블(20)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그 각각의 중성선(14,24)이 본래의 그라운드 전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 제 1 케이블
11 : 외피층
12 : 아머층
13 : 시스층
14 : 중성선
15 : 반도전층
16 : 절연층
17 : 전선코어
20 : 제 2 케이블
21 : 외피층
22 : 아머층
23 : 시스층
24 : 중성선
25 : 반도전층
26 : 절연층
27 : 전선코어
110 : 제 1 박피존
120 : 제 2 박피존
121 : 제 3 박피존
122 : 제 4 박피존
123 : 제 5 박피존
130 : 제 1 금속포일 테이프
140 : 제 1 중성선 연장부
150 : 제 1 고정링
210 : 제 6 박피존
220 : 제 7 박피존
221 : 제 8 박피존
222 : 제 9 박피존
223 : 제 10 박피존
230 : 제 2 금속포일 테이프
240 : 제 2 중성선 연장부
250 : 제 2 고정링
310 : 충진부
320 : 몸체튜브
330 : 동차폐 테이프
340 : 외피튜브
350 : 동차폐 마감테이프

Claims (6)

  1. 중앙부의 전선코어에 대해 그 외표면을 순차적으로 감싸는 절연층, 반도전층, 중성선, 시스층, 알루미늄 재질의 아머층, 외피층을 구비하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에서, 하나의 상기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이하, '제 1 케이블'이라 함)에 구비된 전선코어와 다른 하나의 상기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이하, '제 2 케이블'이라 함)에 구비된 전선코어가 상호 통전되도록 각각의 상기 제 1 케이블과 상기 제 2 케이블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케이블의 아머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케이블의 외피층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1 박피존(110);
    상기 제 1 박피존에 연접하여 상기 제 2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케이블의 시스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2 박피존(120);
    상기 제 1 박피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박피존에 대응하는 아머층을 상기 제 1 케이블의 중성선과 차단하는 제 1 금속포일 테이프(130);
    상기 제 1 케이블의 중성선이 상기 제 2 박피존의 일단부로부터 길게 돌출되는 제 1 중성선 연장부(140);
    상기 제 2 케이블의 아머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케이블의 외피층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6 박피존(210);
    상기 제 6 박피존에 연접하여 상기 제 1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케이블의 시스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7 박피존(220);
    상기 제 6 박피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 6 박피존에 대응하는 아머층을 상기 제 2 케이블의 중성선과 차단하는 제 2 금속포일 테이프(230);
    상기 제 2 케이블의 중성선이 상기 제 1 케이블에 근접하는 상기 제 7 박피존의 일단부로부터 길게 돌출되는 제 2 중성선 연장부(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포일 테이프와 상기 제 2 금속포일 테이프는 각각 그 외표면이 주석으로 도금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성선 연장부가 상기 제 1 박피존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 2 케이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그 폴딩된 제 1 중성선 연장부와 상기 제 1 박피존을 일체로 감싸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링(150);
    상기 제 2 중성선 연장부가 상기 제 6 박피존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 1 케이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그 폴딩된 제 2 중성선 연장부와 상기 제 6 박피존을 일체로 감싸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링(25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케이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상기 제 1 중성선 연장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 2 고정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케이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딩된 상기 제 2 중성선 연장부의 선단부가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박피존에 연접하여 상기 제 2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케이블의 반도전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3 박피존(121);
    상기 제 3 박피존에 연접하여 상기 제 2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케이블의 절연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4 박피존(122);
    상기 제 4 박피존에 연접하여 상기 제 2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케이블의 전선코어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5 박피존(123);
    상기 제 7 박피존에 연접하여 상기 제 1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케이블의 반도전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8 박피존(221);
    상기 제 8 박피존에 연접하여 상기 제 1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케이블의 절연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9 박피존(222);
    상기 제 9 박피존에 연접하여 상기 제 1 케이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케이블의 전선코어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케이블이 박피되어 형성된 제 10 박피존(22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블의 전선코어와 상기 제 2 케이블의 전선코어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박피존, 상기 제 5 박피존, 상기 제 9 박피존, 상기 제 10 박피존을 일체로 감싸는 충진부(310);
    상기 충진부의 외표면을 감싸는 몸체튜브(320);
    상기 제 3 박피존, 상기 몸체튜브, 상기 제 8 박피존을 일체로 감싸는 동차폐 테이프(3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차폐 테이프의 외표면을 감싸는 외피튜브(340);
    상기 외피튜브의 외표면을 감싸는 동차폐 마감테이프(3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KR2020170004787U 2017-09-11 2017-09-11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KR200484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87U KR200484835Y1 (ko) 2017-09-11 2017-09-11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87U KR200484835Y1 (ko) 2017-09-11 2017-09-11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835Y1 true KR200484835Y1 (ko) 2017-10-31

Family

ID=6040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87U KR200484835Y1 (ko) 2017-09-11 2017-09-11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83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019A (ko) * 2010-09-30 2012-04-09 넥쌍 차수막 라미네이트를 가진 파워 케이블
KR20120057823A (ko) * 2010-11-29 2012-06-07 대한전선 주식회사 라미네이팅 동판 시스를 갖는 전력케이블
KR20140114182A (ko) * 2013-03-18 2014-09-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 접속유닛, 이를 포함하는 광 전력 복합케이블 직선 접속부 및 광 전력 복합케이블의 접속방법
JP2015133777A (ja) * 2014-01-09 2015-07-2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及び電力ケーブルの接続構造
KR20170014968A (ko) *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이피이 조립형 직선접속재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019A (ko) * 2010-09-30 2012-04-09 넥쌍 차수막 라미네이트를 가진 파워 케이블
KR20120057823A (ko) * 2010-11-29 2012-06-07 대한전선 주식회사 라미네이팅 동판 시스를 갖는 전력케이블
KR20140114182A (ko) * 2013-03-18 2014-09-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 접속유닛, 이를 포함하는 광 전력 복합케이블 직선 접속부 및 광 전력 복합케이블의 접속방법
JP2015133777A (ja) * 2014-01-09 2015-07-2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及び電力ケーブルの接続構造
KR20170014968A (ko) *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이피이 조립형 직선접속재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0845B2 (en) Multi-layer coaxial cable
EP3073585B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plice shield
WO2007004674A1 (ja) シールド導電体
US20180345886A1 (en) Multi-Voltage On-Board Electrical System and Multilayer Cable for Different Voltage Levels
US9633764B2 (en) Conducting line shield structure
JP5019730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とシールド用複合素線
EP0109143A2 (en) Multi-compartment screened telephone cables
JP2010186722A (ja) シールド電線
JP5979379B2 (ja) 電力ケーブルおよびこの外部導体の接続方法
US10118573B2 (en) Conductive member to be routed in a vehicle
KR20210156736A (ko) 동축 케이블 및 케이블 어셈블리
US20140027151A1 (en) Shielded cable
JP2013191409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シールド構造
KR200484835Y1 (ko) 알루미늄 아머드 케이블의 직선 연결 유닛
CN107408425B (zh) 具有金属幕杆的水密电力线缆
WO2016080306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2008147476A (ja) シールド部材及びそのシールド部材を有したワイヤハーネス
AU2013251272B2 (en) ROV cable insulation system
JP5224843B2 (ja) 同軸ケーブル
CN218299396U (zh) 一种纸包铜线
CN216597069U (zh) 线缆组件
JP7426902B2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CN218069409U (zh) 一种耐油耐腐蚀的变频器用电缆
JP6883492B2 (ja) 分岐ケーブル
CN116724363A (zh) 线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