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805Y1 -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805Y1
KR200484805Y1 KR2020160005269U KR20160005269U KR200484805Y1 KR 200484805 Y1 KR200484805 Y1 KR 200484805Y1 KR 2020160005269 U KR2020160005269 U KR 2020160005269U KR 20160005269 U KR20160005269 U KR 20160005269U KR 200484805 Y1 KR200484805 Y1 KR 200484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support
joint unit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선금
Original Assignee
곽선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선금 filed Critical 곽선금
Priority to KR2020160005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8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8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관절부를 커버하여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하중에 의한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물 건조대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1 관절유닛 및 상기 제1 관절유닛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 관절유닛을 포함하는 제1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의 후방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3 관절유닛 및 상기 제3 관절유닛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4 관절유닛을 포함하는 제2 관절부, 상기 제1 및 제2 관절부들을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단프레임, 각각의 양끝단이 상기 제1 및 제3 관절유닛들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대들 및 각각의 양끝단이 상기 제2 및 제4 관절유닛들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걸이부를 포함하며, 중앙의 관절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들 각각이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날개들이 펼쳐지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가 양측으로 벌어진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대{HANGER FOR DRYING LAUNDRY}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세탁물을 거치시켜 건조시키는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대는 펼쳐지면 복수의 세탁물을 동시에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과 걸이대가 형성되고 폴딩되면 수납하기 용이한 구조로 변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관절부 또는 관절부는 물에 젖어 하중이 크게 늘어나는 세탁물을 거치시키는 경우 파손되는 위험이 있고, 외관상 낮은 품질로 인식되는 단점이 있으며, 관절부 특성상 날카로운 부위가 노출되어 세탁물의 손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3431호는 걸이프레임에 전열판이 설치되어 빨래를 건조시키거나 난방이 가능한 다목적 건조대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9143호는 빨래의 하중이나 외부의 충격 또는 압력에도 쉽게 접철되지 않는 빨래 건조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관절부 또는 관절부의 구조를 커버하는 건조대 발명은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절부 또는 관절부를 커버하고 커버하는 외관 및 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발명을 필요로 한다.
관절부를 커버하여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하중에 의한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물 건조대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1 관절유닛 및 상기 제1 관절유닛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 관절유닛을 포함하는 제1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의 후방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3 관절유닛 및 상기 제3 관절유닛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4 관절유닛을 포함하는 제2 관절부, 상기 제1 및 제2 관절부들을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단프레임, 각각의 양끝단이 상기 제1 및 제3 관절유닛들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대들 및 각각의 양끝단이 상기 제2 및 제4 관절유닛들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걸이부를 포함하며, 중앙의 관절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들 각각이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날개들이 펼쳐지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제1 관절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들 각각의 일단들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방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물 건조대는 걸이부들과 지지대들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관절부들을 커버하여 세탁물의 끼임이나 손상 및 인체의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탁물 건조대는 관절부에 물에 젖은 무거운 하중의 세탁물이 거치되는 경우 세탁물의 하중을 관절부 내부의 돌출부, 지지대 및 상단프레임으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내구성 및 안정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걸이대의 양끝단은 걸이프레임에 형성된 홈을 감싸고 걸이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세탁물이 걸이대와 함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상단바들로 형성되는 상단프레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하고,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힌지유닛들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고정부를 통해 안정적으로 세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대 및 하단걸이부의 일단은 원통형의 파이프를 압착시킨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세탁물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변형 가능성이 감소되고 내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탁물 건조대의 끼임이나 손상 방지 기능, 하중 분산 기능, 걸이대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 및 복수의 상단바들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의 열거된 효과들 외에 다른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하단걸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6은 도 1의 세탁물 건조대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건조대(100)는 제1 관절부(200), 제2 관절부(300), 제1 걸이부(420), 제2 걸이부(460), 제1 지지대(500), 제2 지지대(510), 걸이부 고정부(550), 제1 하단관절부(600), 제2 하단관절부(620), 제1 하단 걸이부(820) 및 제2 하단 걸이부(860)를 포함한다.
세탁물 건조대(100)는 제1 관절부(200), 제2 관절부(300), 제1 하단관절부(600) 및 제2 하단관절부(620)를 통해 제1 지지대(500), 제2 지지대(510), 제1 하단걸이부(820) 및 제2 하단걸이부(860)를 펼쳐서 세탁물을 걸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물 건조대(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제1 지지대(500), 제2 지지대(510), 제1 하단걸이부(820) 및 제2 하단걸이부(860)를 제1 관절부(200), 제2 관절부(300), 제1 하단관절부(600) 및 제2 하단관절부(620)를 통해 접어서 휴대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관절부(2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절부(300)는 제1 관절부(200)와 동일한 구조로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제1 관절부(200)와 수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상단프레임(400)의 일단은 제1 관절부(200)를 관통하여 제1 관절부(20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 관절부(300)를 향해 연장되어 제2 관절부(300) 내부로 관통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 걸이부(420)는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제1 관절부(200) 및 제2 관절부(300) 각각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제2 걸이부(460)는 제1 걸이부(420)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제1 관절부(200) 및 제2 관절부(300) 각각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걸이부 고정부(550)의 일단은 제1 지지대(500) 또는 제2 지지대(5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되어 제1 걸이부(420) 또는 제2 걸이부(460)에 걸쳐지도록 형성되어 제1 걸이부(420) 또는 제2 걸이부(46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지지 않도록 제1 및 제2 걸이부(420, 460)들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지지대(500)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제1 관절부(200) 및 제2 관절부(300) 각각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지지대(500)의 일단 및 타단이 하부 일측을 향해 연장되고 서로 지면에서 절곡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지지대(500)는 중앙의 일부는 지면에 접촉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상기 제1 관절부(200) 및 제2 관절부(300)를 향해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지지대(5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의 일부는 원통형태를 양측에서 압착시켜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폭이 좁은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가능성이 줄어들어 세탁물의 하중을 견디는 내구성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대(500)의 일단 및 타단이 제1 관절부(200)에 삽입되는 경우, 세탁물 건조대(10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제1 지지대(500)가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회전하고, 제1 관절부(200)의 측면과 제1 지지대(5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의 폭이 좁은 부분이 서로 접촉되어 제1 지지대(500)의 회전이 제한되고, 폭이 좁은 부분에 하중이 가해지므로 하중에 견디는 내구성이 증가하게 된다.
제1 상단프레임(400)의 일단은 제1 관절부(200)에 삽입되어 제1 관절부(2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상단프레임(400)의 타단은 제2 관절부(300)에 삽입되어 제2 관절부(3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지지대(510)는 제1 지지대(5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제1 관절부(200) 및 제2 관절부(300) 각각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2 지지대(510)의 일단 및 타단이 하부 타측을 향해 연장된다.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지지대(51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지면에 접촉되고 서로를 향해 절곡되고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제1 지지대(500)와 함께 세탁물 건조대(100)가 견고하게 세탁물을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제2 지지대(51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의 구조는 제1 지지대(510)의 일단 및 타단의 구조와 동일하게 플레이트 형태로 납작하게 압착되어 내구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제1 하단 걸이부(820)는 제1 걸이부(420)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2 하단 걸이부(860)는 제2 걸이부(460)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하단관절부(600)는 제1 관절부(2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크기는 제1 하단 걸이부(820) 및 제2 하단걸이부(860)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단관절부(620)는 제1 하단관절부(60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2 관절부(30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크기는 제1 하단 걸이부(820) 및 제2 하단걸이부(860)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단 걸이부(820)의 일단은 제1 하단 관절부(6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측면 일부가 제1 지지대(5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하단 걸이부(820)의 일단은 제1 지지대(5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후 후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고, 다시 수직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후방에 형성되는 제1 지지대(5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지지대(5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하단 걸이부(820)는 제2 하단 관절부(620)를 향해 연장되어 제2 하단 관절부(62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지지대(500)는 전체적으로 'ㄷ'의 날개 형태로 형성되고, 양끝단이 제1 하단관절부(600)와 제2 하단관절부(62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양쪽측면 일부가 제1 지지대(5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지지대(500)가 제1 관절부(200) 및 제2 관절부(300)를 축으로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서 제2 하단걸이부(860)와 함께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동을 나타낸다.
제2 하단걸이부(860)는 제1 하단걸이부(820)와 동일한 구조로 제1 하단관절부(6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배치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하단걸이부(860)는 양끝단이 제1 하단관절부(600) 및 제2 하단관절부(62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양쪽 측면 일부가 제2 지지대(51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지지대(510)가 제1 및 제2 관절부들(200, 300)을 축으로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서 제1 하단걸이부(820)와 함께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동을 나타낸다.
제1 걸이부(420)는 제1 걸이프레임(430) 및 제1 걸이대(440)를 포함하고, 제2 걸이부(460)는 제2 걸이프레임(470) 및 제2 걸이대(480)를 포함한다.
제1 걸이프레임(430)의 중앙부 일부는 제1 상단프레임(400)과 평행하도록 제1 상단프레임(400)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끝단이 각각 제1 관절부(200)와 제2 관절부(300)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방에 위치한 제1 걸이프레임(430)의 일단은 제1 관절부(200)로 연장되어 제1 관절부(2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후방에 위치한 제1 걸이프레임(430)의 타단은 제2 관절부(300)를 향해 연장되어 제2 관절부(3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걸이대(440)는 일단이 전방에 위치한 제1 걸이프레임(43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방에 위치한 제1 걸이프레임(430)과 결합된다.
제1 걸이대(440)는 도면과 달리 제1 걸이프레임(430) 사이에서 다양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제1 걸이프레임(430)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걸이대(440)의 숫자는 용도에 따라 다르게 변경시킬 수 있다.
제2 걸이프레임(470) 및 제2 걸이대(480)는 제1 걸이프레임(43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제1 상단프레임(40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므로 구체적인 구조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절부(200)는 제1 관절유닛(210) 및 제2 관절유닛(220)을 포함하고, 제1 관절유닛(210)은 전방돌출부(211), 전방측면커버(212), 제1 결합부(213), 제2 결합부(214), 지지대가이드(215), 커버결합부(216) 및 전방커버(217)를 포함한다.
제1 관절유닛(210)은 제2 관절유닛(22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2 관절유닛(220)과 결합되고,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의 일단 일부는 제1 관절유닛(210)의 측면 하단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제1 관절유닛(21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전방돌출부(211)는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만큼 제1 관절유닛(210)의 후방의 표면은 전방을 향해 대응되도록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된다.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의 일단 일부 각각은 전방돌출부(211)의 전면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회전축은 리벳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전방측면커버(212)는 전방돌출부(211)의 측면 및 후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내부의 구조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탁물이 제1 관절유닛(210)의 내부에 말려들어가는 것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날카로운 금속 재질의 제1 및 제2 지지대(500, 510)들 각각의 일단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1 결합부(213)는 제1 지지대(500)의 일단과 전방돌출부(2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리벳이 제1 결합부(213)에 배치되어 제1 결합부(213)를 통해 제1 지지대(500)의 일단 일부가 전방돌출부(211)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결합부(214)는 제2 지지대(510)의 일단과 전방돌출부(2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리벳이 제2 결합부(214)에 배치되어 제2 결합부(214)를 통해 제2 지지대(510)의 일단 일부가 전방돌출부(211)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지지대 가이드(215)는 전방측면커버(212)의 측면 하단에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시키는 통로형태로 형성된다. 지지대 가이드(215)를 통해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가 제1 관절유닛(2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1 및 제2 지지대(500, 510)들과 전방돌출부(211)간의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이 때,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의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의 일단 일부가 지지대 가이드(215)를 통해 제1 관절유닛(210) 내부로 삽입되고, 플레이트의 폭이 좁은 부분이 전방측면커버(212)와 접촉되면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의 회전이 제한되고, 폭이 좁은 부분으로 세탁물의 하중에 가해지므로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된다.
커버결합부(216)는 전방돌출부(211)의 중앙 및 후방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전방커버(217)는 전방돌출부(211)와 전방측면커버(212)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1 관절유닛(210)의 내부공간을 밀봉시키고 커버하게 된다.
전방커버(217)의 중앙에는 나사가 삽입되는 홀이 커버결합부(216)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나사가 홀을 통해 커버결합부(216)로 삽입되면 전방커버(217)와 전방돌출부(211)를 결합시킨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버결합부(216)를 통해 삽입되는 나사는 제2 관절유닛(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상단프레임(400)과 결합되어 제1 관절부(200)가 제1 상단프레임(400)과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한다.
제2 관절유닛(220)은 후방돌출부(221), 후방측면커버(222) 및 후방커버(223)를 포함한다.
후방돌출부(221)는 제2 관절유닛(220)의 내부에서 후방을 향해 원통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후방측면커버(222)는 후방돌출부(22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후방돌출부(221)의 전방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후방돌출부(221)는 후방측면커버(222)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제1 걸이프레임(430) 및 제2 걸이프레임(470)의 일단 일부들 각각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걸이프레임(430)의 일단과 제2 걸이프레임(470)의 일단은 상기 나사가 후방돌출부(221)를 관통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후방커버(223)는 후방측면커버(222)와 결합되어 후방돌출부(221), 제1 걸이프레임(430) 및 제2 걸이프레임(470)을 커버하고, 중앙에는 제1 상단프레임(40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통로가 형성된다.
제1 상단프레임(400)은 프레임 연결부(401) 및 전방 프레임 고정부(402)를 포함한다.
프레임 연결부(401)는 바(bar) 형태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프레임 연결부(401)의 일단에는 전방 프레임 고정부(402)가 형성되어 제1 관절유닛(210)에서 삽입되는 나사와 제2 관절유닛(220) 내부에서 서로 결합된다.
상기 나사와 전방 프레임 고정부(402)가 결합되면서 제1 관절유닛(210), 제2 관절유닛(220) 및 제1 상단 프레임(400)이 결합되고, 제1 걸이프레임(430) 및 제2 걸이프레임(470)은 제2 관절유닛(220)에 삽입된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후방돌출부(221)와 결합되는 제1 걸이프레임(430) 및 제2 걸이프레임(470)의 일단 일부는 후방측면커버(222) 및 후방커버(223)를 통해 외부와 차단되도록 형성되어 세탁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외관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관절부(300)는 제3 관절유닛 및 제4 관절유닛을 포함하고, 제3 관절유닛은 제1 관절부(20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제4 관절유닛은 제3 관절유닛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3 관절유닛과 결합된다.
제3 관절유닛에는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의 타단들 각각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4 관절유닛에는 후방에 배치되는 제1 걸이프레임(430)의 타단 및 제2 걸이프레임(470)의 타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3 관절유닛은 제1 관절유닛(21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1 상단프레임(40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제4 관절유닛은 제2 관절유닛(22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제1 상단 프레임(40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는 전방커버(217), 전방돌출부(212), 후방돌출부(221)를 관통하여 후방커버(223)를 통해 제2 관절유닛(22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상단프레임(400)과 결합된다.
상기 나사는 후방커버(223)를 통해 제2 관절유닛(220) 내부로 삽입되는 전방 프레임 고정부(402)와 나사결합되고, 나사와 전방 프레임 고정부(402)의 결합으로 제1 관절유닛(210)은 제2 관절유닛(220)을 제1 상단프레임(400)을 향해 압박하게 된다.
또한, 제1 관절유닛(210)과 제2 관절유닛(220)은 리벳 또는 나사를 통해 서로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세탁물에 의해 제1 및 제2 걸이프레임(430, 470)들 및 제2 관절유닛(220)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1 상단프레임(400)과 제1 및 제2 지지대(500, 510)들로 분산된다.
제2 지지대(510) 및 제2 걸이프레임(470)은 전방돌출부(212)와 후방돌출부(221)를 통해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2 걸이프레임(470)이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제2 지지대(510)를 향해 회전하는 경우 제2 지지대(510)와 접촉되지 않도록 제2 지지대(5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걸이부(420) 역시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회전하면 제1 지지대(500)와 접촉되지 않도록 제1 지지대(5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걸이대(440) 및 제2 걸이대(480)에 각각 세탁물이 걸쳐지면, 세탁물의 하중이 제1 걸이프레임(430) 및 제2 걸이프레임(470)으로 전달되고, 제1 및 제2 걸이프레임(430, 470)들로 전달된 하중은 후방돌출부(221)로 전달된다.
또한, 후방돌출부(221)로 전달된 하중은 전방돌출부(212) 및 제1 상단프레임(400)으로 전달되고 제1 및 제2 지지대(500, 510)들은 전달된 하중을 지면으로 분산시켜 세탁물이 거치되는 제1 걸이대(440) 및 제2 걸이대(48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제2 관절부(300)는 제3 관절유닛(310) 및 제4 관절유닛(320)을 포함한다.
제3 관절유닛(310)은 제1 관절부(200)와 제1 상단프레임(4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제4 관절유닛(320)은 제3 관절유닛(310)에서 제1 관절부(200)가 위치한 전방을 향하도록 제3 관절유닛(3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 상단프레임(400)의 타단 일부는 제4 관절유닛(320)으로 삽입되어 제3 관절유닛(310)에서 전방을 향해 삽입되는 나사와 제4 관절유닛(320) 내부에서 결합된다.
제3 관절유닛(310)에는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의 타단 각각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4 관절유닛(320)에는 제1 걸이프레임(430) 및 제2 걸이프레임(470) 각각의 타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걸이프레임(430)의 일단 및 타단은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회전하여 세탁물 건조대(100)의 일측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제2 걸이프레임(470)의 일단 및 타단은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회전하여 세탁물 건조대(100)의 타측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지지대(500)는 제1 관절부(200) 및 제2 관절부(300)를 통해 일단 및 타단이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경우 양측면으로 펼쳐서 지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제1 지지대(500)와 제2 지지대(510)가 서로 접촉하도록 회전시켜 수납의 편의성이 증가된다.
또한,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가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양측면을 향해 회전하여 지면을 지지하는 경우, 제1 하단관절부(600) 및 제2 하단관절부(620)를 축으로 제1 및 제2 지지대(500, 510)들과 각각 결합되는 제1 하단걸이부(820) 및 제2 하단걸이부(860)가 회전하여 서로 수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도달하면 제1 지지대(500)와 제2 지지대(510)가 양측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즉, 제1 하단걸이부(820) 및 제2 하단걸이부(860)는 하부에 보조적으로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는 장점뿐만이 아니라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가 양측으로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하단걸이부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건조대(100)는 보조 걸이부(580)를 더 포함한다.
보조 걸이부(580)는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를 각각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 각각의 양끝단이 세탁물의 하중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부가적으로 작은 크기의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다.
제1 하단걸이부(820)는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 제1 하단걸이대(840) 및 제1 하단고정대(850)를 포함하고, 제2 하단걸이부(860)는 제2 하단걸이프레임(870), 제2 하단걸이대(880) 및 제2 하단고정대(890)를 포함한다.
제1 하단걸이부(820)는 제1 하단관절부(600)의 일측을 향해 펼쳐지도록 형성되고,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은 원통의 파이프 형태로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제1 하단관절부(600) 및 제2 하단관절부(620) 각각에서 일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지지대(500)를 지나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의 전체적인 구조는 제1 걸이프레임(430)과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외경이 내부 중앙을 향해 수축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홈들이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의 표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하단걸이대(840)는 제1 상단프레임(400)에 평행하도록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구체적인 구조는 제1 걸이대(440)와 동일하다.
제1 하단걸이대(840)의 일단은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에 형성되는 홈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제1 상단프레임(400)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후방에 위치한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의 홈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 하단고정대(850)는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 사이에 제1 상단프레임(400)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일단은 전방에 위치한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을 관통하여 전방에 위치한 제1 지지대(5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1 지지대(50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제1 지지대(500)가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제1 하단고정대(850)의 타단은 후방에 위치한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을 관통하여 후방에 위치한 제1 지지대(5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지지대(500)가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회전하여 일측을 향해 펼쳐지면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이 제1 하단고정대(850)와 함께 일측을 향해 펼쳐지고, 제1 하단관절부(600) 및 제2 하단관절부(620)는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을 유지하며 하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지지대(500)가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제2 지지대(510)를 향해 회전하여 폴딩되면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은 제1 하단고정대(850)와 함께 제2 지지대(510)를 향해 폴딩되고 제1 하단관절부(600) 및 제2 하단관절부(62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하단걸이부(820)는 제1 지지대(500)의 구동에 따라 유연하게 구조가 변경되어 세탁물 건조대(100)의 수납성 및 설치편의성이 증가하고, 세탁물을 하부에 보조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하단걸이부(820)와 제2 하단걸이부(860)가 서로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는 제1 지지대(5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하단고정대(850)는 제1 지지대(500)가 측면으로 벌어지는 것을 제한하고, 제1 걸이부(420) 및 제2 걸이부(460)에 걸쳐지는 세탁물의 하중을 지지한다.
또한, 제1 하단관절부(6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의 일단 및 제2 하단걸이프레임(870)의 일단은 원통형의 파이프를 압착한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하단걸이부(820)와 제2 하단걸이부(860)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세탁물의 하중으로 파괴 또는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의 일단 및 제2 하단걸이프레임(870)의 일단들이 각각 고분자 또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로 제1 하단관절부(6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경우, 하중이 큰 세탁물에 의해 제1 하단걸이프레임(830)의 일단 및 제2 하단걸이프레임(870)의 일단들 각각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파괴가 되거나 변형이 되는 단점이 있지만, 납작하게 변형된 상태에서 폭이 좁은 부분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는 세탁물의 하중에 변형 가능성이 낮고 내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1 하단걸이부(820) 및 제2 하단걸이부(860)는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제1 지지대(500)와 지2 지지대(510)가 벌어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고, 세탁물의 하중에 견디는 내구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2 하단걸이부(860)는 제1 하단걸이부(820)와 동일한 구조 및 구동을 나타내고, 제1 하단관절부(600) 및 제2 하단관절부(62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중복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6은 도 1의 세탁물 건조대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건조대(10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걸이부(420), 제2 걸이부(460), 제1 지지대(500), 제2 지지대(510), 제1 하단걸이부(820) 및 제2 하단걸이부(860)를 폴딩시켜 수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세탁물 건조대(100)가 폴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를 각각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일측 및 타측을 향해 이동시키면 제1 하단걸이부(820) 및 제2 하단걸이부(860) 각각이 제1 하단관절부(600)와 제2 하단관절부(620)를 축으로 펼쳐지고, 제1 하단관절부(600)와 제2 하단관절부(620)는 하강하게 된다.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는 제1 하단걸이부(820)와 제2 하단걸이부(860)가 서로 수평을 이룰때 까지 펼치는 것이 가능하고,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를 펼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걸이부(420) 및 제2 걸이부(460)를 제1 상단프레임(400)을 축으로 상부로 펼치게 된다.
제1 걸이부(420) 및 제2 걸이부(460)가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펼쳐진 상태에서 제1 걸이부(420) 및 제2 걸이부(46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걸이부 고정부(550)의 타단을 제1 걸이부(420)와 제2 걸이부(460)에 접촉시켜 제1 걸이부(420)와 제2 걸이부(46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세탁물 건조대(100)는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서 폴딩되거나 펼쳐져 수납성이 증가하고, 제1 지지대(500) 및 제2 지지대(510)가 펼쳐진 경우 과도하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대에 가중되는 하중을 제1 하단길이부(640)와 제2 하단걸이부(860)가 보조적으로 분담하여 세탁물 건조대(100)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세탁물 건조대 200: 제1 관절부
300: 제2 관절부 400: 제1 상단프레임
420: 제1 걸이부 460: 제2 걸이부
500: 제 지지대 510: 제2 지지대
600: 제1 하단관절부 620: 제2 하단관절부
820: 제1 하단걸이부 860: 제2 하단걸이부

Claims (11)

  1. 전방에 배치되는 제1 관절유닛 및 상기 제1 관절유닛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 관절유닛을 포함하는 제1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의 후방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3 관절유닛 및 상기 제3 관절유닛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4 관절유닛을 포함하는 제2 관절부;
    상기 제1 및 제2 관절부들을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단프레임;
    각각의 양끝단은 원통형의 파이프를 일방향으로 압착시킨 플레이트 형태의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3 관절유닛들 각각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대들; 및
    각각의 양끝단이 상기 제2 및 제4 관절유닛들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절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들 각각의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방돌출부, 상기 전방돌출부의 측면 및 후방을 커버하는 전방측면커버, 상기 전방측면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전방돌출부를 커버하는 전방커버 및 상기 전방측면커버의 측면 하단에 상기 제1 관절유닛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통로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절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걸이부들 각각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후방돌출부, 상기 후방돌출부의 측면 및 전방을 커버하는 후방측면커버 및 상기 후방측면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후방돌출부를 커버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이 삽입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들 각각의 일단은 압착되어 폭이 좁은 플레이트 형태의 일부분이 상기 지지대 가이드에 삽입되어 회전하고 상기 전방측면커버와 접촉되며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절부 및 상단프레임은 상기 전방커버, 전방돌출부 및 후방돌출부를 관통하는 나사가 상기 제2 관절유닛 내부에서 상기 상단프레임과 결합되면서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부는,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관절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절곡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걸이프레임을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부는,
    상기 걸이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걸이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0. 제9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 각각은 상기 걸이프레임 및 걸이대에 걸쳐져 상기 걸이부를 지지하는 걸이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프레임 하부에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 사이에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하단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KR2020160005269U 2016-09-07 2016-09-07 세탁물 건조대 KR200484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269U KR200484805Y1 (ko) 2016-09-07 2016-09-07 세탁물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269U KR200484805Y1 (ko) 2016-09-07 2016-09-07 세탁물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805Y1 true KR200484805Y1 (ko) 2017-10-26

Family

ID=6040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269U KR200484805Y1 (ko) 2016-09-07 2016-09-07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80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808U (ko) * 1997-03-04 1998-11-05 배현웅 2단 빨래건조대
KR100794171B1 (ko) * 2007-02-02 2008-01-14 박종만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20100084798A (ko) * 2009-01-19 2010-07-28 이종민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에 의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808U (ko) * 1997-03-04 1998-11-05 배현웅 2단 빨래건조대
KR100794171B1 (ko) * 2007-02-02 2008-01-14 박종만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20100084798A (ko) * 2009-01-19 2010-07-28 이종민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에 의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088B1 (ko) 빨래 건조대
KR100886671B1 (ko) 빨래 건조대
KR101048379B1 (ko)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접혀지는 빨래 건조대
US20120293052A1 (en) Work top and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laundry hanging device
KR200484805Y1 (ko) 세탁물 건조대
KR20140101151A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US8281942B2 (en) Folding and wall-mountable frame such as for a drying device
KR101490850B1 (ko) 방사형 빨래건조대
KR200463812Y1 (ko) 절첩식 빨래건조대의 보조걸이대
KR101782515B1 (ko) 건조대
CN213096657U (zh) 吹风机支架
CN212955864U (zh) 挂烫机支架和挂烫机
KR101687148B1 (ko) 수평유지장치가 구비된 빨래 건조대
KR101909232B1 (ko) 보조 빨래 건조대
KR20110057946A (ko) 빨래 건조대 연장장치
KR200482242Y1 (ko) 빨래 건조대
KR101704968B1 (ko) 빨래 건조대
KR20070054822A (ko) 빨래건조대
CN211772212U (zh) 一种干衣设备
CN210049000U (zh) 挂烫机
KR101680209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CN214736809U (zh) 便捷式折叠晾衣架
KR200339143Y1 (ko) 빨래 건조대
KR20130114989A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0968608B1 (ko)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