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508Y1 -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 Google Patents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508Y1
KR200484508Y1 KR2020170002243U KR20170002243U KR200484508Y1 KR 200484508 Y1 KR200484508 Y1 KR 200484508Y1 KR 2020170002243 U KR2020170002243 U KR 2020170002243U KR 20170002243 U KR20170002243 U KR 20170002243U KR 200484508 Y1 KR200484508 Y1 KR 200484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upper limit
limit threshold
event alarm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환
Original Assignee
(주)코아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코아테크코리아
Priority to KR2020170002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2037/005Tables specially adapted for labora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3Quality control, feedback systems
    • B01L2200/147Employing 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3Sending and receiving of information, e.g. using bluetoo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연결된 실험장치로 공급되는 전류에 대해 과부하가 발생하면, 전류 과부하에 대응하여 차단 및 경보하는 실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는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단자; 입력받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를 통해 정류된 전원을 콘센트부로 제공하는 출력단자;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실험장치로 공급하는 적어도 두 개의 콘센트부; 제1 이벤트 경보를 출력할 제1 상한 임계치와 제2 이벤트 경보를 출력할 제2 상한 임계치를 설정하는 부하전류 설정부; 입력받은 AC 전원 또는 DC 전원의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류 측정부로부터 제공받은 부하전류와 상기 제1 상한 임계치 또는 제2 상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제1 이벤트 경보 또는 제2 이벤트 경보를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LABORATORY TABLE HAVING DEVICE OF WARNING CURRENT OVERLOAD}
본 고안은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연결된 실험장치로 공급되는 전류에 대해 과부하가 발생하면, 전류 과부하에 대응하여 차단 및 경보하는 실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험대는 실험을 할 때 대상물이나 기구를 올려놓고 작업을 하는 작업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각 기업체 내의 연구소, 학교, 병원 등의 실험 연구소 등의 실험실에 설비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수의 실험대는 실험실 내의 한정된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다수의 실험자가 공동 혹은 서로 다른 실험과제를 가지고 각각 해당 실험대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쾌적한 실험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실험 환경의 고도화에 따라 컴퓨터 및 계측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전자 실험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실험대에 전기 콘센트를 내장하여 실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실험 장치들은 구입 및 수리가 까다로운 외산 제품이거나 대부분 고가의 제품이며, 그 사양에 따라 사용 방법이 복잡하므로 실험자는 사용 전에 사용법을 충분히 숙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미숙한 실험자의 실수 혹은 다른 물리적인 환경적 오류로 인하여 전류 과부하 발생 시 실험실의 전원이 차단되어 다른 사람의 실험을 방해하거나 고가의 실험장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3317호(실험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8382호(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및 그 경보 방법)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험대에 공급되는 전류에서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 실험대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실험대에 공급되는 전류의 부하 여부를 외부로 출력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실험대에 공급되는 전류에서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 이를 외부로 출력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류에서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에는 설정된 기준이 만족하는 경우에 실험대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는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단자; 입력받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를 통해 정류된 전원을 콘센트부로 제공하는 출력단자;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실험장치로 공급하는 적어도 두 개의 콘센트부; 제1 이벤트 경보를 출력할 제1 상한 임계치와 제2 이벤트 경보를 출력할 제2 상한 임계치를 설정하는 부하전류 설정부; 입력받은 AC 전원 또는 DC 전원의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류 측정부로부터 제공받은 부하전류와 상기 제1 상한 임계치 또는 제2 상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제1 이벤트 경보 또는 제2 이벤트 경보를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험대는 실험대에 공급되는 전류에서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 실험대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안전하게 실험대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험대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처음부터 전류를 차단하지 않고, 경보 신호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전에 미리 전류 차단에 대해 대응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은 전류 차단 조건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콘센트부에서 과도하게 전류를 사용하는 경우,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실험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류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차단 기능을 포함한 실험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고안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실험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실험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실험대(100)는 작업대(110), 수납함(130), 콘센트부(140),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150) 및 전류 부하 상태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실험대에 포함될 수 있다.
실험대(100)는 실험실 내부의 구조에 따라 벽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벽면형 실험대, 벽면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코너형 실험대 및 실내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형 실험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험대(100)는 그 용도에 따라 외형이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서 나타내는 실험대는 실험실 내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 실험대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수납함(130)은 작업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에 다수의 판넬을 결합하여 실험용 재료 및 물품 등을 수납하며,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콘센트부(140)는 작업대 또는 작업대 기둥의 일면에 형성되며, 110V 및 220V의 콘센트를 포함한다. 콘센트부(140)는 분전반으로부터 분기되는 배선을 통해 전원을 실험장치에 인가하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실험장치의 정격전압을 고려하여 110V 및 220V를 모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실험대는 적어도 2개의 콘센트부(140)가 형성된다.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150)는 실험장치의 전기적 연결에 따른 과부하 전류를 감시하고 과전류 발생에 따른 경보를 외부에 표출한다.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전류 부하 상태 표시부(미도시)는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에 의해 측정된 실험장치로 공급되는 전류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발광한다. 전류 부하 상태 표시부는 LED 램프로 구성되며, 적색, 황색, 녹색으로 발광한다. 실험장치로 공급되는 전류가 제1 상한 임계치 이하이면 LED 램프는 녹색으로 발광하며, 실험장치로 공급되는 전류가 제1 상한 임계치 내지 제2 상한 임계치 사이이면 LED 램프는 황색으로 발광하며, 실험장치로 공급되는 전류가 제2 상한 임계치를 초과하면 LED 램프는 적색으로 발광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적색, 황색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실험장치로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 상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150)는 제어부(151), 입력단자(152), 정류부(153), 출력단자(154), 부하전류 설정부(155), 디스플레이부(158), 경보부(159), 차단부(157), 전류 측정부(156)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입력단자(152)는 분전반으로부터 분기되는 배선과 연결되어 전원을 입력받는 단자이다.
정류부(153)는 입력단자(152)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정전압 또는 정전류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정류부(153)는 제공받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출력단자(154)는 정류부(153)를 통해 정류된 전원을 콘센트부를 통해 실험장치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부하전류 설정부(155)는 키패드 혹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디바이스에 의해 정격전압 혹은 실험대에 대응되는 적정 허용 전류치를 설정한다. 물론 부하전류 설정부(155)는 실험대뿐만 아니라 각 콘센트부에 대응되는 적정 허용 전류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허용 전류치는 상한 임계치를 부하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제1 상한 임계치 이상 제2 상한 임계치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 허용 전류치를 약간 벗어나 잠재적인 과부하 유발이 예고되어 주의가 요구되는 제1 이벤트 경보이고, 제2상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즉각적인 전원 차단 및 차단 경보를 발생하는 제2 이벤트 경보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1)는 일종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의 전체적인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1)는 측정된 현재 전류 값과 미리 설정된 허용 전류치를 비교하여 벗어나는 경우 상술한 단계적 이벤트 경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8), 경보부(159) 및 차단부(157)에 전달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1)는 상한 임계치가 단계적으로 설정된 경우 이를 비교하여 부하크기에 따른 수위의 차별적 이벤트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8)는 콘센트부의 각 콘센트의 전원공급 상태정보와 실험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원 연결에 따른 운용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는 실험장치에 연결된 각 콘센트별 고유 식별번호, 정격전압, 허용 전류치, 현재 전압 등의 전원공급 상태정보와 상술한 단계별 이벤트 경보 발생에 따른 안내메시지, 에러코드, 도움말 등의 운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8)는 LCD와 같은 표시소자로 구성할 수 있으며, 터치패드 기능이 부가되어 부하전류 설정부에서의 설정값 입력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58)는 실험대의 다양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경보부(159)는 스피커로 구성되며, 미리 설정된 경보음이나 음성으로 표출할 수 있다.
차단부(157)는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 경보에 대응하여 하나의 실험대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차단하거나, 콘센트부의 콘센트별로 전원 스위치를 각각 구비하여 과부하를 유발하는 실험장치가 연결된 특정 콘센트에 대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전류 측정부(156)는 실험대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 측정부(156)는 각 콘센트부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측정부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전류 측정부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도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자기장 측정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자기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자기장의 크기는 비례한다. 따라서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자기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자기장의 크기 역시 증가하다. 본 고안은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자기장의 크기를 이용하여 부하를 측정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류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류 측정부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전류를 공급하는 2개의 도선 중 어느 하나의 도선에 특정 저항값을 갖는 저항을 연결한다. 본 고안은 연결된 저항 양단 사이의 전압 측정함으로써, 실험대 또는 콘센트부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산출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차단 기능을 포함한 실험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차단 기능을 포함한 실험대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전류 차단 기능을 포함한 실험대는 제어부, 입력단자, 정류부, 출력단자, 부하전류 설정부, 디스플레이부, 경보부, 차단부, 전류 측정부,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전류 차단 기능을 포함한 실험대에 포함될 수 있다.
입력단자(151)는 분전반으로부터 분기되는 배선과 연결되어 전원을 입력받는 단자이다.
정류부(152)는 입력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정전압 또는 정전류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정류부(152)는 제공받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출력단자(153)는 정류부(152)를 통해 정류된 전원을 콘센트부를 통해 실험장치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부하전류 설정부(155)는 키패드 혹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디바이스에 의해 정격전압 혹은 실험대에 대응되는 적정 허용 전류치를 설정한다. 물론 부하전류 설정부(155)는 실험대뿐만 아니라 각 콘센트부에 대응되는 적정 허용 전류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허용 전류치는 상한 임계치를 부하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제1 상한 임계치를 초과하며, 제2 상한 임계치 이내이면 허용 전류치를 약간 벗어나 잠재적인 과부하 유발이 예고되어 주의가 요구되는 제1 이벤트 경보이고, 제2상한 임계치를 초과하면 즉각적인 전원 차단 및 차단 경보를 발생하는 제2 이벤트 경보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1)는 일종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의 전체적인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1)는 측정된 현재 전류 값과 미리 설정된 허용 전류치를 비교하여 벗어나는 경우 상술한 단계적 이벤트 경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8), 경보부(159) 및 차단부(157)에 전달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1)는 상한 임계치가 단계적으로 설정된 경우 이를 비교하여 부하크기에 따른 수위의 차별적 이벤트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8)는 콘센트부의 각 콘센트의 전원공급 상태정보와 실험장치의 비정상적인 전원 연결에 따른 운용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는 실험장치에 연결된 각 콘센트별 고유 식별번호, 정격전압, 허용 전류치, 현재 전압 등의 전원공급 상태정보와 상술한 단계별 이벤트 경보 발생에 따른 안내메시지, 에러코드, 도움말 등의 운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8)는 LCD와 같은 표시소자로 구성할 수 있으며, 터치패드 기능이 부가되어 부하전류 설정부에서의 설정값 입력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58)는 실험대의 다양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경보부(159)는 스피커로 구성되며, 미리 설정된 경보음이나 음성으로 표출할 수 있다.
차단부(157)는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 경보에 대응하여 하나의 실험대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차단하거나, 콘센트부의 콘센트별로 전원 스위치를 각각 구비하여 과부하를 유발하는 실험장치가 연결된 특정 콘센트에 대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전류 측정부(156)는 실험대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 측정부(156)는 각 콘센트부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0)는 콘센트부와 연결되며, 콘센트부의 각 콘센트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실험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콘센트부가 형성되며, 각 콘센트부는 다수의 콘센트가 형성된다.
온도 센서(160)는 평상시에는 콘센트부 또는 콘센트부를 구성하는 콘센트의 온도를 측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평상시 온도 센서(160)는 불필요하게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다.
제어부(151)는 전류 측정부(156)에서 측정한 전류(부하)가 제1 상한 임계치를 초과하며, 제2 상한 임계치를 이내인 경우에는 온도 센서(160)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온도 센서(160)는 제어부(151)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면, 각 콘센트 또는 각 콘센트부 별로 온도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전선에 전류가 흐르게 되며, 전선 주변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특히, 전선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전선 주변의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한다.
본 고안에서 전류 측정부(156)는 실험대로 입력되는 입력단자(152)의 전류를 측정하며, 입력단자(152)로 입력된 전류는 적어도 2개의 콘센트부로 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입력단자(152)로 입력되는 전류와 각 콘센트부로 입력되는 전류는 상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부하전류 설정부(155)는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설정하며, 전류 측정부(156) 역시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한다.
제어부(151)는 전원 공급을 요청한 온도센서(160)로부터 콘센트부의 온도를 제공받는다. 제어부(151)는 실험대를 구성하는 콘센트부의 개수를 인지하고 있으며, 온도 센서(160)로부터 제공받은 콘센트부의 온도를 기준으로 입력단자(152)로 제공되는 전류의 차단 여부를 결정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51)는 전류 측정부(156)에서 측정한 전류가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입력단자(152)로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이외에도 제어부(151)는 전류 측정부(156)에서 측정한 전류가 제2 임계치 이내라도 온도센서(160)에서 측정한 콘센트부의 온도에 따라 입력단자로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1)는 각 콘센트부에 인접한 온도 센서(160)로부터 각 콘센트부의 온도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각 콘센트부의 온도 차이를 측정한다. 제어부(151)는 제공받은 각 콘센트부의 온도가 제1 설정치 이내인 경우에는 외부로 제1 이벤트 경보를 제공하며, 각 콘센트부의 온도가 제1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력단자(152)로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콘센트부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입력단자로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이유는 실험실 내의 온도에 따라 각 콘센트부의 온도 역시 가변되기 때문이다. 즉, 각 콘센트부의 온도에 따라 입력단자로 제공되는 전류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실험실 내의 온도에 따라 전류를 차단해야 하는 온도를 매번 달리 설정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각 콘센트부의 온도 차이에 따라 입력단자(152)로 제공되는 전류의 차단 여부를 결정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실험대를 구성하는 다수의 콘센트부 중 특정 콘센트부와 연결된 실험장치에서 과도하게 전류를 소모하는 경우, 해당 실험장치로 인해 실험실의 전원이 차단될 우려가 있으며, 본원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콘센트부에 온도 센서(160)를 부착하며, 부착된 온도 센서(160)에 측정한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결정한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에도 입력단자(152)로 제공되는 전류가 제1 상한 임계치를 초과하며, 제2 상한 임계치 이내인 경우에 한정하며, 입력단자로 제공되는 전류가 제1 상한 임계치 이내인 경우에는 온도 센서(160)로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즉, 실험실 내의 온도가 높다하더라도 입력단자로 제공되는 전류가 제1 상한 임계치 이내인 경우에는 입력단자로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50: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 151: 제어부
152: 입력단자 153: 정류부
154: 출력단자 155: 부하전류 설정부
156: 전류 측정부 157: 차단부
158: 디스플레이부 159:경보부
160: 온도센서

Claims (6)

  1.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받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를 통해 정류된 전원을 콘센트부로 제공하는 출력단자;
    상기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실험장치로 공급하는 적어도 두 개의 콘센트부;
    제1 이벤트 경보 또는 제2 이벤트 경보를 출력할 제1 상한 임계치 또는 제2 상한 임계치를 설정하는 부하전류 설정부;
    입력받은 AC 전원의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류 측정부로부터 제공받은 부하전류와 상기 제1 상한 임계치 또는 제2 상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제1 이벤트 경보 또는 제2 이벤트 경보를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로부터 제공받은 부하전류가 제1 상한 임계치 이상이며, 제2 상한 임계치 미만이면 제1 이벤트 경보를 출력하며,
    제공받은 부하전류가 제2 상한 임계치 이상이면 제2 이벤트 경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이벤트 경보에 의해 실험대에 포함된 콘센트부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각 콘센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로부터 제공받은 부하전류가 제1 상한 임계치 이상이며, 제2 상한 임계치 미만일 때,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각 콘센트부의 온도의 차이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제1 이벤트 경보를 유지하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각 콘센트부의 온도의 차이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 이벤트 경보를 출력하며, 상기 각 콘센트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전류 측정부로부터 제공받은 부하전류가 제1 상한 임계치를 이상이며, 제2 상한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LED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벤트 경보에서는 제1 LED 램프가 발광하며, 제2 이벤트 경보에서는 제2 LED 램프가 발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KR2020170002243U 2017-05-08 2017-05-08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KR200484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43U KR200484508Y1 (ko) 2017-05-08 2017-05-08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43U KR200484508Y1 (ko) 2017-05-08 2017-05-08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08Y1 true KR200484508Y1 (ko) 2017-09-26

Family

ID=6057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243U KR200484508Y1 (ko) 2017-05-08 2017-05-08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08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9412U (ja) * 2006-11-14 2007-02-22 周 建林 電気検知保護装置
KR100725152B1 (ko) * 2007-02-15 2007-06-04 정재희 등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 제어방법
KR200446402Y1 (ko) * 2008-09-01 2009-11-04 김동휘 전력 사용량을 볼 수 있는 콘센트
KR20100118382A (ko) 2009-04-28 2010-11-05 김경필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및 그 경보 방법
KR20110083317A (ko)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한미엘에스 실험대
KR20150106060A (ko) * 2014-03-11 2015-09-21 주식회사 나래젠 진단 기능이 구비된 에너지 감시 제어 장치
KR20160087053A (ko) * 2015-01-12 2016-07-21 주식회사 경신 인 케이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9412U (ja) * 2006-11-14 2007-02-22 周 建林 電気検知保護装置
KR100725152B1 (ko) * 2007-02-15 2007-06-04 정재희 등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등 제어방법
KR200446402Y1 (ko) * 2008-09-01 2009-11-04 김동휘 전력 사용량을 볼 수 있는 콘센트
KR20100118382A (ko) 2009-04-28 2010-11-05 김경필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및 그 경보 방법
KR20110083317A (ko)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한미엘에스 실험대
KR20150106060A (ko) * 2014-03-11 2015-09-21 주식회사 나래젠 진단 기능이 구비된 에너지 감시 제어 장치
KR20160087053A (ko) * 2015-01-12 2016-07-21 주식회사 경신 인 케이블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722014A (zh) 電源分配器與故障檢測方法
KR102369649B1 (ko) 화재 사전 차단이 가능한 콘센트 모듈 및 이를 적용한 생산설비
US6031700A (en) Ground detector for a static grounding system
US9525248B2 (en) Power strip
KR200484508Y1 (ko)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KR101931232B1 (ko) 음성 알림 기능을 포함하는 콘센트 장치
KR101812801B1 (ko)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JP2009290999A (ja) 過電流警告装置と過電流警告方法
US20060072269A1 (en) Amperage apparatus for displaying ralative amperage load
KR101143605B1 (ko) 전류 과부하 경보장치를 갖는 실험대 및 그 경보 방법
KR20100054229A (ko) 전기히터 수명 예측 시스템
KR101287173B1 (ko) 절연 감시 장치
AU2019101016A4 (en) Voltage Protection Device
JP2007139728A (ja) コンセント装置
KR200484477Y1 (ko) 분기회로 계측기
CN106855589B (zh) 电源分配器及其故障检测方法
KR20190108026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외부 환경에 따른 출력 제어를 수행하는 전기 레인지
AU2019101017A4 (en) Voltage Protection Device
US11913979B2 (en) Compact combination electrical panel safety monitor and test point
JP6227613B2 (ja) 誤り率測定装置の過電流保護回路及び過電流保護方法
KR101393950B1 (ko) 엘이디 전광판이 구비된 배전반
KR101899539B1 (ko) 외부 환경에 기반하여 출력을 제어하는 전기 레인지
CN206628817U (zh) 一种电机保护装置及电机
KR101298469B1 (ko) 가정용 포터블 디지털 누전 탐지기
JP2011002548A (ja) 感電体験装置と感電体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