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06Y1 - 다기능 조명등 - Google Patents

다기능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06Y1
KR200484306Y1 KR2020170002530U KR20170002530U KR200484306Y1 KR 200484306 Y1 KR200484306 Y1 KR 200484306Y1 KR 2020170002530 U KR2020170002530 U KR 2020170002530U KR 20170002530 U KR20170002530 U KR 20170002530U KR 200484306 Y1 KR200484306 Y1 KR 200484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functional
sterilizing liquid
module
fix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기현
Original Assignee
변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기현 filed Critical 변기현
Priority to KR2020170002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시간 단위로 살균제를 분사하거나 주위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만 살균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이 서로 통신을 교환하여 움직임이 검출된 곳에 설치된 다기능 조명등 이외에 이웃하는 다기능 조명등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조명등을 제안한다. 상기 다기능 조명등은,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모듈 및 상기 고정모듈의 내부에 삽입되어 조명을 밝히거나 및 살균액을 분사하는 삽입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조명등 {The multi-function lamp}
본 고안은 다기능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움직임을 감지한 다기능 조명등뿐만 아니라 일정한 조건에 따라 이웃하는 다기능 조명등도 활성화하며, 움직임을 감지한 다기능 조명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분사되는 살균액이 이동하는 사람의 신체에 닿지 않도록 다기능 조명등이 살균액의 분사를 선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다기능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건축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많은 수의 사람이 좁은 공간 즉 일정한 면적의 건물 내부에 밀집하여 사무 작업을 하거나 거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거주자의 편의를 위해 건물 내부에는 건물의 내부 공간을 밝히는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고, 건물의 내부 공간과 건물의 외부 사이에는 건물의 환기를 위한 창문 등이 설치되어 있다.
밀폐된 공간에 한 번 투입된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은 쉽게 공간 내부로 확산하며, 따라서 많은 수의 사람들이 밀집하여 사무 작업을 하는 곳에서는 환기를 잘한다고 하더라도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서 일정한 양의 살균제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사하는 방식을 건물의 운영에 적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12756호, 2012년 12월 10일)
그런데 천정이나 벽면에서 분사되는 살균제는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지만, 분사되는 살균제가 거주하는 사람들의 몸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살균제는 주위에 사람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층간 이동에는 엘리베이터나 층간 계단을 사용한다. 이들 층간 계단 중에는 건물에 거주하거나 건물을 방문하는 사람이 자주 왕래하는 곳과 그렇지 못한 곳이 있는데, 거주자 또는 방문자가 자주 왕래하지 않는 계단에도 안전을 위해서 조명등이 필요하다. 현재의 조명등은, 별다른 조건 없이 무조건 켜져 있도록 하거나, 전기의 절약을 위해서 조명등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어 켜지도록 만들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2층에서 3층으로 이동하는 경우, 2층과 3층 사이의 계단 상측에 설치된 조명등만 켜지고 3층과 4층 사이의 계단 상측에 설치된 조명등은 꺼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이 기본적으로는 전기의 절약에는 도움이 되지만, 어두움에 대한 심리적인 압박감을 느끼는 사람이나 방범의 효율 면에서는 단점이 있다. 즉, 2층에서 3층으로 이동하는 사람을 위협하는 강도나 위급한 상황이 조명등이 켜지지 않아 어두운 상태의 3층에서 4층으로 이동하는 계단에 있는 경우, 2층에서 3층으로 이동하는 사람은 이를 인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험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4층에서 3층으로 하강 이동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 진행하고자 하는 전방 즉 3층에서 2층으로 이동하는 계단에서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은 마찬가지가 될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정한 시간 단위로 살균제를 분사하거나 주위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만 살균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이 서로 통신을 교환하여 움직임이 검출된 곳에 설치된 다기능 조명등 이외에 이웃하는 다기능 조명등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은,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모듈 및 상기 고정모듈의 내부에 삽입되어 조명을 밝히거나 및 살균액을 분사하는 삽입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은, 상부와 측면이 막혀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광 확산영역과 일정한 크기로 개방되어 있는 제1배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외부로 돌출한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의 막혀 있는 상부와 상기 광 확산영역의 사이에 형성된 배터리 장착영역에 장착되는 충전용 배터리 및 상기 고정바디의 비어 있는 곳 중 상기 광 확산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LED 동작명령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LED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모듈은, 하부와 측면이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상기 제1배출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복수의 유입구 및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제2배출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고정턱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외면에는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된 삽입바디, 상기 제2배출부의 중간에 설치되며, 외면이 상기 삽입바디에 접하고 중앙은 비어 있는 필터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필터고정 플레이트의 비어 있는 중앙부에 설치되는 공기방향 선택장치를 포함하는 다기능 필터고정부, 상기 삽입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삽입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다기능 필터고정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방향이 조절되는 팬, 살균액 분사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팬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하고 있던 살균액을 기화상태로 만드는 살균액 분사부, 상기 다기능 조명등 주위의 일정한 범위 내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다기능 조명등 주위에 설치된 다른 다기능 조명등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LED 동작명령 및 상기 살균액 분사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LED모듈의 동작, 상기 팬의 동작, 상기 살균액 분사부의 동작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삽입바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턱에 체결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은 움직임을 감지한 다기능 조명등뿐만 아니라 일정한 조건에 따라 이웃하는 다기능 조명등도 활성화하며, 움직임을 감지한 다기능 조명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분사되는 살균액이 이동하는 사람의 신체에 닿지 않도록 다기능 조명등이 살균액의 분사를 선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정모듈의 분해 세부도이다.
도 4는 삽입모듈의 분해 세부도이다.
도 5는 다기능 필터고정부의 단면을 이용하여 다기능 필터고정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제2배출부의 일부 단면을 이용하여 제2배출부 중 배출구역(B)에 형성된 배출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공기의 흐름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100)은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모듈(110) 및 고정모듈(110)에 삽입되어 조명을 밝히거나 및 살균액을 분사하는 삽입모듈(150)을 포함한다.
고정모듈(110)은 고정바디(111), 고정 브라켓(112), LED 모듈(113), 제1전원연결부(114), 제1배출부(115), 슬라이딩 가이드 홈(116), 고정턱(117) 및 충전용 배터리(118)를 포함한다.
고정바디(111)는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되며, 상부와 측면은 막혀있어 내부에 비어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는, 고정바디(111)가 건물의 천정이나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삽입모듈(150)이 개방되어 있는 고정바디(111)의 하부를 통해 고정바디(1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바디(111)의 전체 외면 중 내부에 장착되는 LED 모듈(113)의 위치에 대응되는 광 확산영역(111-1)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현하여 LED 모듈(113)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주변으로 확산하도록 한다.
고정 브라켓(112)은 고정바디(111)의 막혀 있는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모듈(110)을 건물의 천정이나 측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LED 모듈(113)은 외부 즉 건물에서 공급하는 전원과 연결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s)를 포함하며, 고정바디(111)의 내부, 예를 들면, 고정 브라켓(112)의 하부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삽입모듈(150)에 설치된 제어부(163)로부터 생성되는 LED 동작명령에 따라 점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원선의 위치나 연결관계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인데, 이는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떤 형태로든 쉽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며, 전선의 연결관계가 본 고안의 핵심 사안도 아니다.
제1전원연결부(114)는 건물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후술하는 삽입모듈(150)의 제2전원연결부(152)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1전원연결부(114)와 제2전원연결부(152)는 소켓과 소켓에 삽입되어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러그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제1전원연결부(114)의 위치와 제2전원연결부(152)의 위치는, 고정모듈(110)에 삽입모듈(150)이 삽입되었을 때 서로 체결되는 곳이 되어야 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LED 모듈(113)의 하부에 제1전원연결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삽입바디(151)의 개방된 상부 종단에 제2전원연결부(152)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삽입모듈(150) 전체가 고정모듈(110)에 삽입되면 제2전원연결부(152)가 제1전원연결부(114)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제1전원연결부(114)와 제2전원연결부(15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제1배출부(115)는 고정바디(111)의 측면에 형성된 개방된 부분으로, 후술하는 삽입바디(151)에 형성된 제2배출부(154)가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제1배출부(11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슬라이딩 가이드 홈(116)은 고정바디(111)의 내면에 형성된 홈으로, 후술하는 삽입바디(15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돌출부(153)가 삽입되며, 슬라이딩 가이드 홈(116)을 따라 삽입바디(151)가 고정바디(111)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턱(117)은 고정바디(111)의 개방된 하부 측면에서 고정바디(111)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후술하는 삽입모듈(150)을 구성하는 고정수단(164)이 체결됨으로써 삽입모듈(150)을 고정모듈(1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삽입모듈(150)은 삽입바디(151), 제2전원연결부(152), 슬라이딩 가이드 돌출부(153), 제2배출부(154), 다기능 필터고정부(155), 필터(156), 팬(157), 모터(158), 살균액 분사부(159), 센서 모듈(160), 입출력장치(161), 통신부(162), 제어부(163) 및 고정수단(164)을 포함한다.
삽입바디(151)는 하부 및 측면이 막혀 있어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되며, 단면은 고정바디(11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지만, 단면적은 고정바디(111)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고정바디(111)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삽입바디(151)의 상부는, 삽입모듈(150)이 고정모듈(110)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바디(111)의 상부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정바디(111)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삽입바디(151)가 고정바디(1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바디(151)의 막혀 있는 하부로 인해 다기능 조명등(100)이 설치되었을 때에는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는 외부의 시각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삽입바디(151)의 막혀 있는 하부에는 센서모듈(160), 입출력장치(161), 통신부(162) 및 제어부(163)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다기능 조명등(100)의 동작 조건을 입력하는 것을 물론 설정된 동작 조건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전원연결부(152)는 삽입바디(151)의 개방되어 있는 상부 가장자리(종단) 중 제1전원연결부(114)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설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모듈(150)이 고정모듈(110)에 삽입되었을 때 자동으로 제1전원연결부(114)에 삽입체결되어, 외부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제1전원연결부(114)을 경유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딩 가이드 돌출부(153)는 삽입바디(151)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바디(111)의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홈(11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이드 홈(116)을 따라 고정바디(111)의 외면을 이동한다. 슬라이딩 가이드 돌출부(153)는 돌출 바(bar)의 형태를 가지며 고정바디(111)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홈(116)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한다.
제2배출부(154)는 삽입바디(151)가 고정바디(111)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었을 때 고정바디(111)의 측면에 형성된 제1배출부(115)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된 유입구 및 배출구의 총칭이다. 유입구는 일반적인 홀로 구현하면 되지만, 배출구는 외부의 공기가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지만,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기능 필터고정부(155)는 제2배출부(154)의 중간 부분 즉 상부의 유입구와 하부의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며,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거르는 필터(156)를 삽입바디(151)의 내부에 고정하는 필터고정 플레이트(155-1) 및 필터고정 플레이트(155-1)의 비어 있는 중간에 설치된 공기방향 선택장치(155-2)를 포함한다. 필터(156)가 필터고정 플레이트(155-1)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필터(156)의 가장자리에는 유입구가 위치하게 되는데, 공기방향 선택장치(155-2)가 막혀있을 때에는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 공기가 필터(156)를 경유하여 삽입바디(151)의 내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지만, 공기방향 선택장치(155-2)가 개방되면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 공기가 필터(156)를 경유하여 삽입바디(151)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공기방향 선택장치(155-2)는 유입구가 외부의 공기를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로 유입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 공기가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배출부(154)를 다기능 필터고정부(155)를 중심으로 상하 2개의 구역 즉 상부의 흡입구역(A) 및 하부의 배출구역(B)으로 구분한다. 상부의 흡입구역(A)은 외부의 공기가 필터(156)를 통해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복수의 유입구가 형성된 곳이고, 하부의 배출구역(B)은 다기능 조명등(100) 내부의 공기를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곳이다.
후술하겠지만, 하부의 배출구역(B)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구는 다기능 조명등(100) 내부의 공기는 배출할 수 있지만 다기능 조명등(100) 외부의 공기는 유입할 수 없도록 고안되어 있다. 공기방향 선택장치(155-2)에서 다기능 조명등(100) 내부의 공기가 상부의 흡입구역(A)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의 흡입구역(A)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입구는 다기능 조명등(100) 외부의 공기는 유입할 수 있지만 다기능 조명등(100) 내부의 공기는 배출할 수 없도록 고안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인 형태의 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156)가 필터고정 플레이트(155-1)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156)를 세탁 후 재장착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필터(156)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팬(157)은 후술하는 제어부(163)의 지시에 따라 동작하는 모터(158)에 의해 회전 방향이 결정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의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조절하여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다기능 조명등(10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한다.
팬(157)이 다기능 조명등(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팬(157)의 하부에서 기화된 살균액(후술)을 제2배출부(154)의 배출구역(B)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이때에는 공기방향 선택장치(155-2)에 의해 유입구역(A)으로 다기능 조명등(100) 내부의 살균액이 배출되지 않는다.
팬(157)이 외부의 공기를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로 유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역(B)을 구성하는 배출구는 공기를 유입할 수 없으므로 유입구역(A)으로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입구역(A)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 필터(156) 및 공기방향 선택장치(155-2)를 거쳐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은 필터(156)에 걸러진 후 배출구역(B)을 통해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로 다시 배출된다.
살균액 분사부(159)는 삽입바디(151)의 내부에서 팬(157)의 하부에 설치되며, 살균액 저장기(159-1) 및 살균액 진동자(159-2)를 포함한다. 살균액 분사부(159)는 제어부(163)에서 생성되는 살균액 분사명령에 응답하여 살균액 저장기(159-1)에 저장된 살균액을 살균액 진동자(159-2)에서 진동시켜 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화된 살균액은 팬(157)에 의해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센서 모듈(160)은 다기능 조명등(100)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160-1) 및 다기능 조명등(100)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에서의 밝기(이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 센서(160-2)를 포함한다. 센서 모듈(160)을 구성하는 2개의 센서(160-1, 160-2)에서 감지한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후술하는 제어부(163)에 전달된다.
입출력장치(161)는 삽입바디(151)의 하부 면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다기능 조명등(100)의 동작 조건을 입력하고 설정된 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입출력장치(161)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후술하는 제어부(163)에 저장되어 활용된다.
통신부(162)는 일정 거리에 있는 다른 다기능 조명등(미도시)과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고정수단(164)은 삽입바디(151)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정바디(111)의 고정턱(117)에 체결되어 삽입바디(151)를 고정바디(111)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63)는 삽입바디(151)에 장착되며, 아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센서모듈(160)에서 검출한 움직임 정보(이하 자기 움직임 정보) 및 조도정보(이하 자기 조도정보)를 수신하고, 자기 움직임 정보 및 자기 조도정보를 통신부(162)를 통해 이웃하는 다른 다기능 조명등으로 전송한다.
2. 통신부(162)를 통해 이웃하는 다른 다기능 조명등에서 검출한 움직임 정보(이하 이웃 움직임 정보) 및 조도정보(이하 이웃 조도정보)를 수신한다.
3. 자기 움직임 정보, 자기 조도정보, 이웃 움직임 정보 및 이웃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LED 동작명령을 생성하여 LED 모듈(113)의 동작을 제어한다.
4. 자기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이웃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살균액 분사명령을 생성하여 살균액 분사부(159)의 동작을 제어한다.
5. 통신부(162)를 통해 외부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통신 수단으로 입력하는 동작조건 설정신호에 응답하여 다기능 조명등(100)의 동작조건을 설정하고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세서(processor)는 연산처리수단 및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부(16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핵심 아이디어 중 하나는, 조명으로 사용되는 LED 모듈(113)과 살균액 분사부(159)의 동작조건을 단순하게 결정하지 않고 아래와 같이 현실의 필요성을 반영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의 제어를 제어부(163)에서 수행하도록 하였다.
먼저, LED 모듈(113)의 동작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이 일정한 조건에 따라 설치되었을 때, 이들 사이에서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고유인식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의 ID는 이미 인식하고 이를 저장해 놓은 상태, 그리고 이웃 움직임 정보 및 이웃 조도정보에는 해당 다기능 조명등의 ID 정보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일정한 조건이라 함으로, 건물의 계단의 층간에 설치되는가, 아니면 동일한 2차원 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가 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움직임을 검출한 조명등만 활성화하는 것이 종래의 방식이었다면, 본 고안은 움직임을 검출한 다기능 조명등은 물론이고 이웃하는 다기능 조명등 중 미리 설정한 조건에 해당하는 모든 다기능 조명등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행자가 가질 수 있는 어두운 곳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계단을 올라가는 사람(보행자)을 위해 다기능 조명등이 활성화될 때, 실제 움직이고 있는 계단 층에 설치된 다기능 조명등과 적어도 한 개 층의 상하에 설치된 다른 다기능 조명등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물론, 다기능 조명등의 동작조건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살균액 분사부(159)의 동작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의 살균액 분사방식이 사람의 존재에 관계없이 설정 시간 단위로 살균액을 분사하였다면,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살균 방식 이외에 살균액을 분사하고자 하는 다기능 조명등을 중심으로 일정한 영역 내에 사람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살균액을 분사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 조건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의 왕래가 없는 퇴근 후의 건물 내부라면 종래와 같이 일정한 시간 단위로 살균액을 분사하도록 하고, 사람의 왕래가 빈번한 근무시간 동안의 건물 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살균액의 분사 조건을 설정하여 분사되는 살균액이 사람에게 직접 접촉하는 일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보행자의 움직임을 검출한 다기능 조명등의 위치를 파악하고, 보행자가 걸어다니는 속도, 분사되는 살균액의 양 및 분사되는 시간을 감안하여, 살균액을 분사하더라도 이동 중인 사람에게 살균액이 접촉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다기능 조명등에서만 살균액을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초기에는 기계적으로 계산된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감안하여 동작조건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충전용 배터리(118)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자체 충전을 진행하며, LED 모듈(113), 팬(157), 모터(158), 살균액 분사부(159), 센서모듈(160), 입출력장치(161), 통신부(162) 및 제어부(163)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100)이 집의 방에 설치되었을 때에 스위치가 켜져 있는 동안에는 다기능 조명등(100)에 전원이 공급되지만 스위치가 꺼져 있는 동안에는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스위치가 켜져 있어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요소들(113, 157, 158, 159, 160, 161, 162, 163)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면 되지만, 스위치가 꺼지는 경우에는 충전용 배터리(118)의 충전 에너지를 활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100)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가 켜져 있는 동안에 충전용 배터리(118)는 자체 충전을 진행하며, 일정량 이상의 충전이 진행되면 자체 충전을 차단하는 기능 등은 당연히 포함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제1전원연결부(114)의 일단은 외부 전원과 동시에 충전용 배터리(118)의 출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다기능 조명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다기능 조명등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100)은 고정모듈(110) 및 삽입모듈(150)로 구성되며, 삽입모듈(150)이 고정모듈(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삽입모듈(150)의 외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돌출부(153)가 고정모듈(110)의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홈(114, 점선)을 따라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에는 각각 4개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114) 및 슬라이딩 가이드 돌출부(153)가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 슬라이딩 가이드 홈(114)과 슬라이딩 가이드 돌출부(154)의 수는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바디(111)의 상부에는 고정바디(111)를 건물의 천정 또는 벽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브라켓(112)이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바디(111)의 상부 바로 아래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가진 광 확산영역(111-1)이 형성되어 LED 모듈(미도시)에서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고, 광 확산영역(11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장착영역(111-2)에는 충전용 배터리(118)가 장착되며, 고정바디(111)의 광 확산영역(111-1)의 하부에는 제1배출부(115)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바디(111)의 최하부 측면에는 고정턱(117)이 고정바디(111)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배출부(115)는 사각 창문(window)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는데, 제1배출부(115)는 제2배출부(154)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출구가 고정바디(11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삽입바디(151)의 측면 중 고정바디(111)의 제1배출부(115)에 대응되는 부분에 2개의 영역(A, B)으로 구분할 수 있는 제2배출부(1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바디(151)의 측면에 슬라이드 가이드 돌출부(153)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바디(151)의 하부 끝단에는 고정수단(164)이 설치되어 고정바디(111)의 고정턱(117)에 체결함으로써 삽입바디(151)를 고정바디(111)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고정모듈의 분해 세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모듈(110)은, 고정바디(111)의 막혀 있는 상부 면에는 고정브라켓(112)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바디(111)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배터리 장착영역(111-2)의 내부에는 충전용 배터리(118)가 장착되고, 고정바디(111)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되어 있는 광 확산영역(111-1)을 통해 내부에 위치하는 LED 모듈(113)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할 수 있으며, 반투명 재질(111-1)의 아래에는 제1전원연결부(114) 및 제1배출부(115)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있고, 고정바디(111)의 하부 외면에는 고정턱(117)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바디(111)의 내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 홈(116)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바디(111)의 내부 공간에는 LED 모듈(113)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삽입모듈의 분해 세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삽입모듈(150)은, 고정바디(111)에 삽입되는 삽입바디(151), 삽입바디(15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돌출부(153), 삽입바디(151)의 상부 종단에 형성된 제2전원연결부(152), 삽입바디(151)의 중간 측면에 형성된 제2배출부(154), 삽입바디(151)의 하부 종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164) 그리고 삽입바디(151)의 비어 있는 내부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다기능 필터고정부(155), 필터(156), 팬(157), 모터(158), 살균액 분사부(159), 센서모듈(160), 입출력장치(161), 통신부(162) 및 제어부(163)를 포함한다. 필터(156)는 다기능 필터고정부(155)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기능 필터고정부(155)의 하부에 팬(157)이 설치되고, 팬(157)의 하부에 살균액 분사부(159)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기방향 선택장치(155-2)는 필터고정 플레이트(155-1)의 비어 있는 공간을 전부 덮고 있으며, 팬(157)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필터고정 플레이트(155-1)의 비어 있는 공간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살균액 분사부(159)를 구성하는 살균액 저장기(159-1)는 살균액 진동자(159-2)의 주위를 감싸는 도우넛 형태를 가지도록 하고, 제어부(163)의 제어에 따라 살균액 저장치(159-1)가 일정량의 살균액을 살균액 진동자(159-2)에 전달하고, 살균액 진동자(159-2)는 제어부(163)의 제어에 따라 진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살균액을 기화시키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고정바디(111)의 내경(R1)은 삽입바디(151)의 외경(R2)에 비해 길게 한다. 고정바디(111)의 내부에 삽입바디(151)가 최대한 삽입되었을 때, 삽입바디(151)에 설치된 제2전원연결부(152)가 고정바디(111)에 설치된 제1전원연결부(114)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삽입바디(151)의 총 길이(H2)가 고정바디(111)의 중간 부분(H1) 정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고정바디(111)의 전체 길이에 비해 삽입바디(151)의 전체길이가 짧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100)은 다기능 조명등 (100) 내부의 공기나 기체화된 살균액을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 공기를 다기능 조명등(100) 내부로 유입하면서 필터(156)를 이용하여 정화한 후 다시 다기능 조명등(100)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에 따라 제2배출부(155)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출구가 어느 한 방향으로만 개방되어야 한다.
도 5는 다기능 필터고정부의 단면을 이용하여 다기능 필터고정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다기능 필터고정부(155)의 상부에는 필터(15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개폐를 담당하는 공기방향 선택장치(155-2)는 필터(156) 방향으로는 개방되지 못하기 때문에, 하부의 팬(157)의 작동에 의해 다기능 조명등(100) 내부의 공기를 유입구역(A)을 통해 배출하려고 하더라도 공기방향 선택장치(155-2)에서 차단하기 때문에 이를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유입구역(A)의 유입구는 그냥 홀로 구현하면 될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공기방향 선택장치(155-2)가 필터(156)의 반대방향으로는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다기능 필터고정부(155)의 하부에 위치하는 팬(157)의 회전 방향을 도 5a의 경우와 반대로 하면 다기능 조명등(100) 외부의 공기를 유입구역(A)을 통해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
도 6은 제2배출부의 일부 단면을 이용하여 제2배출부 중 배출구역(B)에 형성된 배출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배출구에 설치된 덮개(154-1)가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방향으로는 열릴 수 없고(도 6a), 외부 방향으로만 열릴 수 있기 때문에(도 6b)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의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유입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배출구를 통해 다기능 조명등(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은(도 6b)는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배출구에 설치된 덮개(154-1)는 배출구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배출구를 개방하거나 배출구를 덮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공기의 흐름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a는 다기능 조명등 내부에 형성된 살균액을 다기능 조명등의 외부로 배출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도 7b는 다기능 조명등의 외부 공기를 다기능 조명등의 내부로 유입하면서 정화한 후 다시 다기능 조명등의 외부로 배출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7a를 참조하면, 다기능 조명등(100) 내부에서 생성되는 기체 상태의 살균액을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로 배출할 때 살균액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다기능 필터고정부(155) 및 제2배출부(154)의 동작에 의해 살균액은 필터(156)로는 유출되지 않는다.
도 7b를 참조하면, 다기능 조명등(100)의 외부 공기를 다기능 조명등(100)의 내부로 바이패스(bypass) 시키면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배출구역(B)의 배출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154-1)의 동작에 의해 배출만 되지 공기의 유입은 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는 유입구역(A)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고정모듈
111: 고정바디 112: 고정브라켓
113: LED 모듈 114: 제1전원연결부
115: 제1배출부 116; 슬라이딩 가이드 홈
117: 고정턱
150: 삽입모듈
151: 삽입바디 152: 제2전원연결부
153: 슬라이딩 가이드 돌출부
154: 제2배출부 155: 다기능 필터고정부
156: 필터 157: 팬
158: 모터 159: 살균액 분사부
160: 센서모듈 161: 입출력장치
163: 제어부 164: 고정수단

Claims (5)

  1.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모듈 및 상기 고정모듈의 내부에 삽입되어 조명을 밝히거나 및 살균액을 분사하는 삽입모듈을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듈은,
    상부와 측면이 막혀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광 확산영역과 일정한 크기로 개방되어 있는 제1배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외부로 돌출한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의 막혀 있는 상부와 상기 광 확산영역의 사이에 형성된 배터리 장착영역에 장착되는 충전용 배터리; 및
    상기 고정바디의 비어 있는 곳 중 상기 광 확산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LED 동작명령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LED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모듈은,
    하부와 측면이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상기 제1배출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복수의 유입구 및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제2배출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고정턱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외면에는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된 삽입바디;
    상기 제2배출부의 중간에 설치되며, 외면이 상기 삽입바디에 접하고 중앙은 비어 있는 필터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필터고정 플레이트의 비어 있는 중앙부에 설치되는 공기방향 선택장치를 포함하는 다기능 필터고정부;
    상기 삽입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삽입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다기능 필터고정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방향이 조절되는 팬;
    살균액 분사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팬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하고 있던 살균액을 기화상태로 만드는 살균액 분사부;
    상기 다기능 조명등 주위의 일정한 범위 내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다기능 조명등 주위에 설치된 다른 다기능 조명등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LED 동작명령 및 상기 살균액 분사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LED모듈의 동작, 상기 팬의 동작, 상기 살균액 분사부의 동작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삽입바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턱에 체결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등.
  2. 제1항에서,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다기능 조명등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지만, 상기 다기능 조명등의 외부에서 상기 다기능 조명등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를 덮는 덮개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등.
  3. 제1항에서, 상기 살균액 분사부는,
    상기 삽입바디의 내부에 고정되며, 살균액을 저장하고 있는 살균액 저장기; 및
    상기 삽입바디의 내부에 고정되며, 공급되는 살균액을 기화시키는 살균액 진동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등.
  4. 제1항에서,
    상기 고정바디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및 상기 충전용 배터리와 연결된 제1전원연결부; 및
    상기 삽입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원연결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전원연결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전달받는 제2전원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등.
  5.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에서 검출한 움직임 정보(이하 자기 움직임 정보) 및 조도정보(이하 자기 조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자기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자기 조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이웃하는 다른 다기능 조명등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이웃하는 다른 다기능 조명등에서 검출한 움직임 정보(이하 이웃 움직임 정보) 및 조도정보(이하 이웃 조도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자기 움직임 정보, 상기 자기 조도정보, 상기 이웃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이웃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LED 동작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자기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이웃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살균액 분사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등.
KR2020170002530U 2017-05-23 2017-05-23 다기능 조명등 KR200484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30U KR200484306Y1 (ko) 2017-05-23 2017-05-23 다기능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30U KR200484306Y1 (ko) 2017-05-23 2017-05-23 다기능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306Y1 true KR200484306Y1 (ko) 2017-08-23

Family

ID=6062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530U KR200484306Y1 (ko) 2017-05-23 2017-05-23 다기능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3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217B1 (ko) * 2018-12-06 2020-02-21 김경선 살균용 욕실 조명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914A (ko) * 2014-03-04 2015-09-14 주식회사 그렌텍 조명부를 포함하고 살균력이 증가된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KR20170014215A (ko) * 2015-07-29 2017-02-08 노상균 Led를 이용한 비상신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914A (ko) * 2014-03-04 2015-09-14 주식회사 그렌텍 조명부를 포함하고 살균력이 증가된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KR20170014215A (ko) * 2015-07-29 2017-02-08 노상균 Led를 이용한 비상신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217B1 (ko) * 2018-12-06 2020-02-21 김경선 살균용 욕실 조명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0679T3 (es) Instalacion de iluminacion.
US7492103B2 (en) Energy saving lamp with sensor
US9851084B2 (en) Multifunctional LED induction lamp
JP6157006B2 (ja) 多領域照明制御器
MX2009005518A (es) Detector de ocupacion y unidad de suplantacion para el control de carga basado en el fotodetector.
KR200484306Y1 (ko) 다기능 조명등
US6505950B1 (en) Lighted newel post
KR101144735B1 (ko) 조사 각도 조절 및 센서 역할이 가능한 엘이디 램프 센서등
JP2017112077A (ja) 照明器具
US20150061495A1 (en) Emergency-activated night light and methods for activating same
KR20110001388A (ko) 센서모듈 탈착형 센서조명등
KR100702829B1 (ko) 전원 자동 스위치
US11363698B2 (en) Door hardware illumination device
JP2006045817A (ja) 照明手段付き手摺及び手摺ブラケット
KR200454843Y1 (ko)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된 엘이디조명등
KR101111570B1 (ko) 엘이디 조명장치
CN104161341B (zh) 发光鞋
KR101424633B1 (ko) 엘이디 전구
KR200423355Y1 (ko) 다용도 조명등
CA3140339A1 (en) Secondary light assembly, night light assembly, light fixture, and method and unit for controlling secondary light assembly
JPS61292583A (ja) 電気機器制御装置
JP2005158318A (ja) 発光ダイオードを有する手すり
US20240191849A1 (en) Intelligent lighting fixture with emergency backup system
KR200451197Y1 (ko) 천정매립형 센서스위치의 센서등
KR200352932Y1 (ko) 센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