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76Y1 - Glass finishing structure for door - Google Patents
Glass finishing structure for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4276Y1 KR200484276Y1 KR2020170000159U KR20170000159U KR200484276Y1 KR 200484276 Y1 KR200484276 Y1 KR 200484276Y1 KR 2020170000159 U KR2020170000159 U KR 2020170000159U KR 20170000159 U KR20170000159 U KR 20170000159U KR 200484276 Y1 KR200484276 Y1 KR 2004842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door
- window
- mounting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25—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윈도우 마감을 위한 윈도우고정부재를 구비하여, 타카 작업과 같은 고정부재(못, 핀 등) 삽입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에 고정부재가 삽입되어야 하는 공간 확보를 생략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어의 두께 감소 및 경량화를 제공하고, 추가로 문짝을 도어프레임을 통해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문짝을 목재로 구성하던 방식을 완전히 탈피하여 도어의 두께 감소 및 경량화를 제공함은 물론, 조립식 구성에 의한 작업성 개선을 제공하는 조립식 윈도우 마감 구조를 갖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윈도우 안치를 위한 개구공을 갖고, 상기 개구공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장착부를 갖는 도어프레임, 그리고 상기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개구공을 덮는 윈도우를 도어에 고정시키는 윈도우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ndow fixing member for finishing a window of a door,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a fixing member (nail, pin, or the like) such as a tacking operation, The door thickness and the weight of the door can be reduced and the door can be further structured through the door frame. Accordingly, the door can be reduced in thickness and weight by completely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the door by wood, A door having a prefabricated window closing structure for providing improved workability,
A door frame having an opening hole for inserting the window therein and having a mounting portion i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hole and a window fixing member fitt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fixing the window covering the opening hole to the door .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식 윈도우 마감 구조를 갖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having a prefabricated window closing structure,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윈도우 마감을 위한 윈도우고정부재를 구비하여, 타카 작업과 같은 고정부재(못, 핀 등) 삽입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에 고정부재가 삽입되어야 하는 공간 확보를 생략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어의 두께 감소 및 경량화를 제공하고, 추가로 문짝을 도어프레임을 통해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문짝을 목재로 구성하던 방식을 완전히 탈피하여 도어의 두께 감소 및 경량화를 제공함은 물론, 조립식 구성에 의한 작업성 개선을 제공하는 조립식 윈도우 마감 구조를 갖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ow fixing member for finishing a window of a door, eliminating the need to insert a fixing member (nail, pin, or the like) such as a tack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door is reduced and the weight is reduced, and furthermore, the door is structured through the door frame. Thus,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door from the door is completely eliminated,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d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having a prefabricated window closing structure that provides improved workability by the user.
일반적으로 도어는 윈도우와 도어프레임이 결합되어 구성된다.Generally, a door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window and a door frame.
등록특허 제10-0899126호(2009년05월18일)[안전유리부착 목재방화도어](이하 종래기술)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윈도우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도어프레임은 목재로 이루어지게 된다.[0004] As can be seen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 the window is generally made of glass, and the door frame is made of wood .
그러나 목재로 이루어진 도어의 경우, 도어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체로 형성된다고 해도 그 수를 크게 늘릴 수 없기 때문에, 도어의 설치 규격이 달라지는 데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없고, 목재를 일일이 깎아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로웠으며, 보관 및 운반을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door made of wood, even if the door frame is integrally formed or formed into a powder, the number of doors can not be greatly increased.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efficiently cope with a change in the installation standard of the d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is inconvenient because the production is troublesome and a sufficient space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is required.
또한 목재 자체는 내부에 중공을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도어 자체의 하중이 매우 크고, 분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윈도우의 마감을 위해 타카 작업과 같은 고정부재의 삽입 작업을 반드시 필요로 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wood itself can not have a hollow inside, the load of the door itself is very large and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ert a fixing member such as a tacking work especially for finishing the window.
종래기술은 일반적인 목재 도어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프레임에 유리패널프레임을 끼워서 도어를 구성하였는데, 일체로 이루어진 도어프레임(여기에서는 특히 개구부프레임)에 의해 상기 문제점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 art relates to a general wooden door, and a door is constructed by inserting a glass panel frame into an opening frame. However, the door frame (in this case, in particular, an opening frame in this case) has the above problems.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Therefore, the need for technology to solve this problem is reexamined.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도어프레임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윈도우고정부재를 통해 도어의 윈도우 마감을 구조를 제공하여, 타카 작업과 같은 고정부재(못, 핀 등) 삽입 작업을 생략하고, 이에 고정부재가 삽입되어야 하는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도어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감소된 두께에 의해 도어의 경량화 역시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window closing structure of the door is provided through the window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door frame so that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fixing member (nail, pin, etc.) such as the taker operation is omitt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door can be reduced and the door can be lightened by the reduced thickness.
또한 도어프레임을 볼트에 의해 상호 조립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설치 규격에 따라 자유롭게 도어프레임의 규격을 맞추어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압출 성형을 통해 도어프레임의 각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용이성은 물론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까지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door frame is composed of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which are assembled together by bolts, so that the door frame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ndard, and each frame of the door frame can be manufactured through extrusion molding , Ease of manufacture as well as ease of storage and transportation.
아울러 상호 조립되는 6개의 프레임의 조립을 통해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도록 하여, 기존에 문짝을 목재로 구성하던 방식을 완전히 탈피하여 도어의 두께 감소 및 경량화를 제공함은 물론, 조립식 구성에 의한 작업성 개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constructing the door frame by assembling the six frames to be assembl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oor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door and to improve the workability by the prefabricated constru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내부에 윈도우 안치를 위한 개구공을 갖고, 상기 개구공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장착부를 갖는 도어프레임, 그리고 상기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개구공을 덮는 윈도우를 도어에 고정시키는 윈도우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door frame having an opening hole for inserting the window therein and having a mounting portion i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hole and a window fixing member fitt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fixing the window covering the opening hole to the door .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호 결합되는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볼트수용공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은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frame may include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The vertical frame may have a bolt hole. A bolt receiv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frame. The door frame may be configured to be assembled. do.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은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개구공 측으로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제1프레임 및,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고 상기 장착부를 구비한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장착부를 구비한 제3프레임 상기 장착부를 구비하고 외측으로 삽입부를 구비한 제4프레임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4프레임의 양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대응부를 양단에 구비한 제5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vertical frame is composed of a first frame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opening side of the entire length and a second frame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and having the mounting portion, A fourth frame having the mounting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portion on the outside, and a fourth fram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fourth frame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portion, Frame.
나아가 상기 장착부는 상호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장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도우고정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되, 각각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삽입몸체, 상기 삽입몸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윈도우에 접촉하는 고정몸체를 가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ounting portions may include a pair of mounting groov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window fixing members may include a pair of insertion bodies inserted into the mounting recesses, And can have a fixed body that is made of metal.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de up of the above-
타카 작업과 같은 고정부재(못, 핀 등) 삽입 작업을 생략하고, 이에 고정부재가 삽입되어야 하는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도어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감소된 두께에 의해 도어의 경량화 역시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설치 규격에 따라 자유롭게 도어프레임의 규격을 맞추어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압출 성형을 통해 도어프레임의 각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용이성은 물론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마저 제공하고, 아울러 기존에 문짝을 목재로 구성하던 방식을 완전히 탈피하여 도어의 두께 감소 및 경량화를 제공함은 물론, 조립식 구성에 의한 작업성 개선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Nails, fins, and the like) such as a tackle operation is omitted and a space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s not required,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door through which the door is lightened So that the door frame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ndard and each frame of the door frame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extrusion molding, thereby providing ease of manufacture as well as ease of storage and transport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duction in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door and an improvement in workability by a prefabricated construction, by completely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the door with wood.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 및 제1프레임의 실시예.
도 2 내지 도 6은 제2 내지 제6프레임에 관한 실시예.
도 7은 윈도우고정부재에 관한 실시예.Fig. 1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of the first frame.
Figs. 2 to 6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second to sixth frames. Fig.
7 is an embodiment relating to a window fixing member.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embodiments) which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second, thir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components from one another,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고안은 도어의 윈도우 마감을 위한 윈도우고정부재를 구비하여, 타카 작업과 같은 고정부재(못, 핀 등) 삽입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에 고정부재가 삽입되어야 하는 공간 확보를 생략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어의 두께 감소 및 경량화를 제공하고, 추가로 문짝을 도어프레임을 통해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문짝을 목재로 구성하던 방식을 완전히 탈피하여 도어의 두께 감소 및 경량화를 제공함은 물론, 조립식 구성에 의한 작업성 개선을 제공하는 조립식 윈도우 마감 구조를 갖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ndow fixing member for finishing a window of a door,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a fixing member (nail, pin, or the like) such as a tacking operation, The door thickness and the weight of the door can be reduced and the door can be further structured through the door frame. Thus,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oor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door, To a door having a prefabricated window closing structure that provides improved workabil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윈도우 마감 구조를 갖는 도어(이하 본 도어(D))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o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oor D) having a prefabricated window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내측'과 '외측'이라는 표현은 절대적인 개념이 아닌 상대적인 개념이며, 개구공(Ho), 즉 도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도어의 외곽이 외측이 되고, 도어의 중심이 내측인 것으로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a rough direction is specifi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xpressions 'inner side' and 'outer sid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relative concepts rather than absolute concepts, The outside of the door is the outside, and the center of the door is the inside.
또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러한 방향 특정은 '청구범위'에서도 동일하게 해석되는 것으로 한다.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such directional specification is to be construed similarly in the claims.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1)이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윈도우 마감 구조를 구비한 도어로,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을 도시함과 더불어 제1프레임(F1)의 실시를, 도 2 내지 도 6은 제2 내지 제6프레임(F1~F6)의 실시를, 도 7은 윈도우고정부재(2)의 실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rst frame F1, and FIGS. 2 to 6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도어(D)는 크게 도어프레임(1)과 윈도우고정부재(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7, the door D mainly includes a door frame 1 and a
각 구성 별로, 도어프레임(1)은 문짝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윈도우 안치를 위한 개구공(Ho)을 갖고, 개구공(Ho)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장착부(10)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door frame 1 has an opening hole Ho for the window opening. The door frame 1 is provided with a door hole Ho on its inner side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hole Ho, (10).
다음으로, 윈도우고정부재(2)는 도어에 윈도우(W)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0)에 끼움 결합되고, 개구공(Ho)을 덮는 윈도우(W)가 결합되를 도어에 고정시킨다.The
즉 다시 말해, 윈도우고정부재(2)는 윈도우(W)가 안치되는 수용부(20)를 형성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윈도우(W)의 고정이 윈도우고정부재(2)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카 작업과 같은 고정부재(못, 핀 등) 삽입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가 삽입되어야 하는 공간을 생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어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감소된 두께에 의해 도어의 경량화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xing of the window W is performed by the
추가로, 문짝을 프로파일 등과 같은 도어프레임(1)을 통해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문짝을 목재로 구성하던 방식을 완전히 탈피하였고, 목재에 비해 가볍고 얇은 소재로 구성할 수 있어. 도어의 두께 감소 및 경량화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door through a door frame (1) such as a profil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eliminate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the door from wood and to make it light and thin compared to wood.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door.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보다 세부적인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more detaile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도어(D)는 도어프레임(1)이 상호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1) 및 수평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고, 수직프레임(11)에는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프레임(12)에는 볼트수용공(Hc)이 형성되어, 도어프레임(1)은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7, the door D includes a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도어프레임(1)이 상호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도 3 및 도 4에서는 수평프레임(12)에 형성된 볼트수용공(Hc)의 구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수직프레임(11)에 형성된 볼트공(미도시)은 볼트수용공(Hc)과 도 1 및 도 2의 볼트진입용 개구부(31)의 존재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1 to 7, it can be seen that the door frame 1 is composed of a
종래에 도어의 소재로 주로 사용하던 목재의 경우, 도어의 설치 규격이 달라지는 데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고, 목재를 일일이 깎아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불편하였으며, 문짝 전체를 일체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분체로 구성한다고 하여도 분체의 수를 너무 많이 늘릴 수가 없음) 보관 및 운반을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했다.In the case of wood which was conventionally used as the material of the door, it was impossible to efficiently cope with the change of the installation standard of the door, and since the wood had to be cut and cut, it was inconvenient to manufacture and the whole door had to be integrally formed (It is im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powders too much even if it is composed of powder),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ufficient space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그러나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도어(D)는 도어프레임(1)이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2)의 볼트 결합에 의해 조립식으로 구성되는데. 이에 본 고안은 도어의 설치 규격에 따라 자유롭게 도어프레임(1)의 규격을 맞추어 구비할 수 있고, 압출 성형을 통해 도어프레임(1)의 각 프레임(F1~F6)을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다는 효과를 갖는다.However, in the door (D)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features, the door frame (1) is constituted by a bolt connection of the vertical frame (11) and the horizontal frame (12).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fitted to the door frame 1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ndard of the door, and the frames F1 to F6 of the door frame 1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extrusion molding, And it is easy to store and transport.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도어(D)의 각 프레임(F1~F6)의 특징들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frames F1 to F6 of the door 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1)은 전체 길이에 걸쳐 개구공(Ho) 측으로 형성된 결합부(111)를 구비한 제1프레임(F1) 및, 결합부(111)에 삽입되고 장착부(10)를 구비한 제2프레임(F2)으로 이루어진다.1 and 2,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F1)은 외측에 개구부(31)를 갖고, 내부에는 중공(Hs)이 구비되어 있으며, 내측에 결합부(111)를 갖는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first frame F1 has an
구체적으로, 개구부(31)는 볼트 진입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고, 볼트를 통해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2)이 결합된 후에 이 개구부(31)는 밀폐부재(미도시)를 통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다음, 중공(Hs)은 본 도어(D)의 경량화를 위한 것으로, 도어의 내구성 및 적정 강성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2 내지 제6프레임(F2~F6)의 중공(Hs) 역시 동일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바, 이하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Next,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low Hs is provided for maximizing the weight of the main door D and not exceeding the durability and proper rigidity of the door. Hereinafter, the hollows Hs of the second to sixth frames F2 to F6 are provided for the same purpose,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음, 결합부(111)는 후술하는 제2프레임(F2)의 내장 공간이기도 하며, 후술하는 수평프레임(12)의 결합대응부(121), 보다 명확하게는 제5프레임(F5)의 결합대응부(121)가 삽입되는 공간이기도 하다.Next, the engaging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F2)은 외측에 역시 개구부(31)를 갖고, 내측에 상기한 장착부(10)와 수용부(20)가 구성될 수용부예정부를 갖는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frame F2 also has an
개구부(31)의 내측으로는 중공(Hs)과 마찬가지로 빈 공간이 형성되어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empty space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참고로, 수용부예정부는 윈도우(W)가 접촉하는 접촉면이면서 윈도우고정부재(2)에 의해 수용부(20)가 되는 것인 바, 편의상 수용부예정부를 수용부(20)와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개념으로 지칭하기로 한다.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이러한 제1프레임(F1)과 제2프레임(F2)의 길이는, 먼저 제1프레임(F1)은 상호 평행을 이루는 제3 및 제4프레임(F3)(F4)의 각각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 간의 거리에 상응하고, 제2프레임(F2)은 제3 및 제4프레임(F3)(F4)의 각각 하측 단부와 상측 단부 간의 거리에 상응하게 구비된다.The lengths of the first frame F1 and the second frame F2 are set such that the first frame F1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third and fourth frames F3 and F4, And the second frame F2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third and fourth frames F3 and F4.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2)은 장착부(10)를 구비한 제3프레임(F3) 장착부(10)를 구비하고 외측으로 삽입부(122)를 구비한 제4프레임(F4) 및, 삽입부(122)에 삽입되고 제4프레임(F4)의 양단으로 돌출되어 결합부(111)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대응부(121)를 양단에 구비한 제5프레임(F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o 5, the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프레임(F3)은 수직프레임(11)의 볼트공(미도시)에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수용공(Hc)을 구비하고, 내부에는 역시 중공(Hs)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측에 장착부(10)와 수용부(20)를 갖는다.3, the third frame F3 includes a bolt receiving hole Hc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bolt hole (not shown) of the
이러한 볼트수용공(Hc)은 일 측이 절개된 링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볼트수용공(Hc)은 볼트의 굵기에 따라 어느 정도 가변되어 볼트 규격 선택의 여유를 제공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lt receiving hole Hc has a ring shape with one side cut out, and the bolt receiving hole Hc is somewhat variabl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olt, thereby providing a margin for selecting the bolt standard.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프레임(F4)은 역시 수직프레임(11)의 볼트공(미도시)에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수용공(Hc)을 구비하고, 내부에는 중공(Hs)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측에 장착부(10)와 수용부(20)를 갖는다.4, the fourth frame F4 also has a bolt receiving hole Hc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bolt hole (not shown) of the
특히 제4프레임(F4)은 하부에 제5프레임(F5)의 삽입을 위한 삽입부(122)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삽입부(122)는 하측이 개구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Particularly, the fourth frame F4 has an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프레임(F5)은 내부에 중공(Hs)을 갖고, 하측 중앙에는 바퀴 설치용 설치공(41)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설치공(41)의 양측으로 모헤어용 설치홈(42)이 구비된다.5, the fifth frame F5 has a hollow Hs in its interior, a wheel mounting
도 5에서는 제5프레임(F5)의 중공(Hs)이 상측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5프레임(F5)이 제4프레임(F4)의 삽입부(122)로 삽입되면 일반적인 중공(Hs)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개구된 형태가 큰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5, when the fifth frame F5 is inserted into the
또한 설치공(41)과 설치홈(42)은 각각 바퀴의 결합, 모헤어의 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나, 바퀴의 경우 미닫이 도어에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본 고안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나, 바퀴 및 모헤어의 결합을 위한 사전 작업을, 별도의 작업 없이도 압출 시에 미리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본 도어(D)의 범용적 적용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물론 바퀴 및 모헤어 외에 기타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이 결합될 수도 있다.Further, the
추가로, 상기 설명 및 도면의 도시에서는 제3프레임(F3)이 상측에 구비되고, 제4프레임(F4)이 하측에 구비된 것을 특정하였는데, 이는 제4프레임(F4)에 결합되는 제5프레임(F5)에 바퀴나 모헤어가 장착되는 것을 가정한 데에 따르는 특정으로, 실시자의 선택에 따라 제3프레임(F3)만으로 수평프레임(12)을 구성하거나 또는 제4프레임(F4)만으로 수평프레임(12)을 구성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치환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고,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 해석에 있어서 이를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다.Further,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is specified that the third frame F3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ourth frame F4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This is because the fifth frame F4, which is coupled to the fourth frame F4, The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는 1개의 윈도우(W)가 도어에 구비되는 실시를 특정하여 설명하였는데,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윈도우(W)를 도어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공(Ho)을 구획하는 칸막이프레임(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1 to 5, a description has been given of the embodiment in which one window W is provided in the door. However, when two or more windows W are to be applied to the door as required, As well as a
다시 말해, 본 도어(D)는 수직프레임(11) 또는 수평프레임(12)에 양단이 결합되어 도어프레임(1)의 개구공(Ho)을 구획하는 칸막이프레임(1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door D may further comprise a
이러한 칸막이프레임(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 측에 장착부(10)와 수용부(20)를 갖고, 내부에는 중공(Hs)을 가지며, 수직프레임(11)의 볼트공(미도시)에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수용공(Hc)을 갖는 제6프레임(F6)으로 이루어진다.6, the
여기에서 제6프레임(F6)의 양 단부라 함은, 제6프레임(F6)의 상단과 하단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칸막이프레임(13)이 수직프레임(11)에 결합된 것을 특정하였기 때문이고, 치환 실시는 가능할 수 있으나, 수평프레임(12)과 수직프레임(11)을 90도 회전시키는 경우 수평프레임(12)은 수직프레임(11)이 되고 수직프레임(11)은 수평프레임(12)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논의는 크게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Here, both ends of the sixth frame F6 are preferably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ixth frame F6 because it is specified that the
도 7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핵심 특징인 윈도우고정부재(2)의 구체적인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Fig. 7 shows a concrete implementation of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의 장착부(10)는 상호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장착홈(100)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윈도우고정부재(2)는 한 쌍으로 구비되되, 각각 장착홈(100)에 삽입되는 삽입몸체(21), 삽입몸체(21)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윈도우(W)에 접촉하는 고정몸체(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장착부(10)는 수용부(20)를 중심으로 하여 상호 대칭을 이루게 된다.7, the mounting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본 도어(D)는 도어프레임(1)의 장착부(10), 보다 명확하게는 장착홈(100)에 윈도우고정부재(2)의 삽입몸체(21)를 끼움 방식으로 삽입하면 고정몸체(22)가 윈도우(W)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도어프레임(1)에 윈도우(W)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타카 작업 등을 생략할 수 있어 두께 감소, 경량화, 작업성 개선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The door D is fixed by inserting the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홈(100)과 윈도우고정부재(2)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00)은 윈도우고정부재(2)의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은 제1공간부(101)로 이루어지고, 외측은 제1공간부(101)보다 폭이 좁은 제2공간부(102)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1 및 제2공간부(101)(102)의 형성은 제2공간부(102) 측에 형성된 단턱부(103)에 의해 이루어진다.7, the mounting
특히 제2공간부(102)의 폭은 윈도우고정부재(2)의 삽입몸체(21)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공간부(102)와 삽입몸체(21) 간의 폭 차이는 삽입몸체(21)의 진입이 허용되는 한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width of the
제1공간부(101)가 제2공간부(102)보다 크게 형성된 것은, 상기한 중공(Hs)의 효과와 유사하게 본 도어(D)의 경량화에 일조하며, 또한 제2공간부(102)를 통과한 삽입몸체(21)의 형태가 복원되면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를 위해 윈도우고정부재(2)는, 특히 삽입몸체(21)는 앞서 언급은 생략하였으나, 자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윈도우고정부재(2)는, 특히 고정몸체(22)는 마찰계수가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져, 윈도우(W)가 수용부(20) 내에서 미끌림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윈도우고정부재(2)에 관한 또 다른 특징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몸체(21)는 단부에, 즉 전단부에 경사부(21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삽입몸체(21)의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설정함)7,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러한 경사부(211)의 구비는 삽입몸체(21)를 장착홈(100)에 끼움 결합시킬 때, 보다 원활하게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개선에 이바지한다.The provision of the
또한 윈도우고정부재(2) 및 장착홈(100)에 관한 또 다른 특징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100)의 단턱부(103)에는 이탈방지홈(p103)이 구비되고, 윈도우고정부재(2)의 삽입몸체(21)에는 이탈방지홈(p103)에 상응하는 이탈방지돌기(p21)가 구비될 수 있다.7, the stepped
여기에서 이탈방지돌기(p21)는 삽입몸체(21) 중에서도 제2공간부(102)에 자리 잡게 될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탈방지돌기(p21)와 이탈방지홈(p103)은 다수 구비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p21 is formed at a position to be positioned in the
또한 돌기-홈 구조를 치환하여, 단턱부(103)에 돌기를 구성하고 삽입몸체(21)에 홈을 구성하는 식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replace the protrusion-groove structure with a protrusion in the
이러한 이탈방지홈(p103)과 이탈방지돌기(p21)는 장착홈(100) 내 삽입몸체(21)의 이탈을 방지하여, 본 도어(D)의 윈도우 마감 구조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p103 and 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p21 prevent th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D: 본 도어
1: 도어프레임
Ho: 개구공 10: 장착부
100: 장착홈 Hs: 중공
11: 수직프레임 111: 결합부
12: 수평프레임 121: 결합대응부
122: 삽입부
13: 칸막이프레임
F1 ~ F6: 제1 내지 제6프레임
2: 윈도우고정부재
20: 수용부 21: 삽입몸체
22: 고정몸체D: This door
1: Door frame
Ho: Opening hole 10: Mounting part
100: Mounting groove Hs: hollow
11: vertical frame 111:
12: Horizontal frame 121: Coupling counterpart
122:
13: partition frame
F1 to F6: first to sixth frames
2: window fixing member
20: receptacle 21: insertion body
22: Fixing body
Claims (4)
내부에 윈도우 안치를 위한 개구공을 갖고, 상기 개구공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장착부를 갖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개구공을 덮는 윈도우를 도어에 고정시키는 윈도우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부는 상호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장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도우고정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되, 각각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삽입몸체와 상기 삽입몸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윈도우에 접촉하는 고정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홈은 내측을 형성하는 제1공간부와, 제1공간부보다 폭이 좁은 공간으로 외측을 형성하는 제2공간부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공간부의 형성은 제2공간부 측에 형성된 단턱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단턱부에는 이탈방지홈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몸체에는 이탈방지홈에 상응하는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몸체의 전단부에는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In a door forming a window therein,
A door frame having an opening bore for a window opening therein and having a mounting portion i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bore; And
A window fixing member fitt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fixing a window covering the opening to the door;
, ≪ / RTI >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comprises a pair of mounting grooves symmetrical to each other,
Wherein the window fixing members comprise a pair of insertion bodies each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a fixing body extending inward from the insertion body to contact the window,
Wherein the mounting groove has a first space portion defining an inner side and a second space portion forming an outer side with a space narrower tha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pace portions are formed on the second space portion side And is formed by a stepped portion formed,
The stepp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lease preventing groove, and the insertion body is provided with a release preventing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preventing groove,
And a sloped portion is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body.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호 결합되는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볼트수용공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은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frame comprises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Wherein a bolt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a bolt receiving ho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door frame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상기 수직프레임은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개구공 측으로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제1프레임 및,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고 상기 장착부를 구비한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장착부를 구비한 제3프레임 상기 장착부를 구비하고 외측으로 삽입부를 구비한 제4프레임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4프레임의 양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대응부를 양단에 구비한 제5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ertical frame comprises a first frame having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opening side of the entire length and a second frame insert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having the mounting portion,
The horizontal frame includes a fourth frame havin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hird frame having the mounting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fourth fram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protruded to both ends of the fourth frame, And a fifth frame having coupling portions at both ends there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0159U KR200484276Y1 (en) | 2017-01-09 | 2017-01-09 | Glass finishing structure for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0159U KR200484276Y1 (en) | 2017-01-09 | 2017-01-09 | Glass finishing structure for do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4276Y1 true KR200484276Y1 (en) | 2017-08-21 |
Family
ID=6062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0159U KR200484276Y1 (en) | 2017-01-09 | 2017-01-09 | Glass finishing structure for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4276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9260A (en) * | 2018-01-22 | 2019-07-31 | 조우집 | Door frame for automatic door |
KR102027155B1 (en) * | 2018-10-12 | 2019-10-01 | 허주범 | Glass integral folding door construction |
KR20200006247A (en) | 2018-07-10 | 2020-01-20 | 정영호 | Door with the glass plate divided |
KR102329797B1 (en) * | 2021-06-15 | 2021-11-23 | 주식회사 그린시스템 | Fire do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4041A (en) * | 2010-06-08 | 2011-12-14 | (주)엘지하우시스 | Color glazing bead window frame and the window which is applied the same |
KR20140084548A (en) * | 2012-12-27 | 2014-07-07 | 오창수 | Door Frame of dual structure |
KR20160146165A (en) * | 2015-06-11 | 2016-12-21 | 이대성 | Hollow Door Assembling Method And Hollow Door Assembled Thereby |
-
2017
- 2017-01-09 KR KR2020170000159U patent/KR200484276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4041A (en) * | 2010-06-08 | 2011-12-14 | (주)엘지하우시스 | Color glazing bead window frame and the window which is applied the same |
KR20140084548A (en) * | 2012-12-27 | 2014-07-07 | 오창수 | Door Frame of dual structure |
KR20160146165A (en) * | 2015-06-11 | 2016-12-21 | 이대성 | Hollow Door Assembling Method And Hollow Door Assembled Thereby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9260A (en) * | 2018-01-22 | 2019-07-31 | 조우집 | Door frame for automatic door |
KR102079049B1 (en) | 2018-01-22 | 2020-04-07 | 조우집 | Door frame for automatic door |
KR20200006247A (en) | 2018-07-10 | 2020-01-20 | 정영호 | Door with the glass plate divided |
KR102027155B1 (en) * | 2018-10-12 | 2019-10-01 | 허주범 | Glass integral folding door construction |
KR102329797B1 (en) * | 2021-06-15 | 2021-11-23 | 주식회사 그린시스템 | Fire d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4276Y1 (en) | Glass finishing structure for door | |
KR101939786B1 (en) | Door frame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of door frame structure | |
US6513862B2 (en) | Door panel and door assembly | |
US20110023407A1 (en) | Aluminum window structure | |
US9328752B2 (en) | Rail clip for forming door and window assemblies | |
US10837226B2 (en) | Frame with strengthened corners | |
US9682666B2 (en) | Exterior member and wire harness | |
KR101769180B1 (en) | Structure reinforcement assembly for fittings | |
KR200488691Y1 (en) | Assembly type door frame cover for remodeling | |
US9382748B2 (en) | Intermediate member for extending the depth of a window or door and window or door constructed with same | |
JP3216016B2 (en) | Sliding window | |
US10895101B1 (en) | Adaptable fenestration frame members and methods | |
JP2010270548A (en) | Door frame | |
JP3126105U (en) | Opening frame for wall opening | |
KR102473881B1 (en) | Complex door | |
CN214997012U (en) | Door and window connecting structure, door sleeve piece and window sleeve piece | |
JPH018941Y2 (en) | ||
KR200372609Y1 (en) | Fabricating door frame | |
KR102310734B1 (en) | Joint for window frame and window having the same | |
JPH09291771A (en) | Heat insulating sash | |
JP7089432B2 (en) | Connection members and fittings for ridges | |
KR101342263B1 (en) | Union structure of furniture and fittings | |
KR20170017319A (en) | Furniture door panel assembly | |
JPS5923185Y2 (en) | Shapes for window frames | |
JPH10140936A (en) | Paper-sliding door made of synthetic res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