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31Y1 -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31Y1
KR200484231Y1 KR2020160000896U KR20160000896U KR200484231Y1 KR 200484231 Y1 KR200484231 Y1 KR 200484231Y1 KR 2020160000896 U KR2020160000896 U KR 2020160000896U KR 20160000896 U KR20160000896 U KR 20160000896U KR 200484231 Y1 KR200484231 Y1 KR 200484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방찬혁
오면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60000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emitting devices, e.g. LED, optocoup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1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 오류 검출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외부전원 및 제2 외부전원 각각이 인가되는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을 구비하는 외부전원 입력단;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1 외부전원 및 상기 제2 외부전원을 원격소장치로 출력하는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을 구비하는 외부전원 출력단;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과 상기 외부전원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Apparatus for detecting a connection error of Remote Terminal Unit And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시스템의 원격소장치(Remote Terminal Unit: RTU)는 변전소 무인운전 및 전력자동화 운전의 핵심 설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100)의 복수의 원격소장치(160)는 주전원 장치(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복수의 현장설비(140)와 연결된다.
원격소장치(160)의 결선 오류로 장치 내부에 수용되는 감시 및 제어 회선이 접지되는 경우, 변전소 주변 또는 광역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접지 발생으로 인하여 전원부 부품의 성능 및 수명 단축되고, 전력설비 조작시 발생하는 이상 전압에 의해 통신 포트 손상 또는 계통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원격소장치(160)의 접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운용중인 원격소장치 (160)의 접지 여부를 점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원격소장치(160)의 터미널 보드에 점검 회로를 추가하는 경우, 터미널 보드 교체 공사 및 설비간 연동 시험 필요로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현재 운용되고 있는 원격소장치의 터미널 보드의 내부 회로의 변경이나 교체 없이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 오류 검출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외부전원 및 제2 외부전원 각각이 인가되는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을 구비하는 외부전원 입력단;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1 외부전원 및 상기 제2 외부전원을 원격소장치로 출력하는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을 구비하는 외부전원 출력단;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과 상기 외부전원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입력단과 상기 제1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입력단과 상기 제2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접속 노드에 연결되는 일단 및 접지와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3 스위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는 턴 오프 동작시 상기 제1 입력단을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하고, 턴 온 동작시 상기 제1 입력단을 상기 제1 출력단과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턴 오프 동작시 상기 제2 입력단을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하고, 턴 온 동작시 상기 제2 입력단을 상기 제2 출력단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스위치를 턴 온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하나는 턴 온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턴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출력단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의 회선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출력단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의 회선의 결선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5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6 스위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스위치 및 상기 제5 스위치를 턴 오프 제어하여, 상기 제1 외부전원 및 상기 제2 외부전원 각각이 상기 원격소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주전원 장치; 상기 주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1 외부 전원 및 제2 외부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원격소장치; 및 상기 복수의 원격소장치 각각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는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전원 및 상기 제2 외부전원 각각이 인가되는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을 구비하는 외부전원 입력단;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1 외부전원 및 상기 제2 외부전원을 상기 복수의 원격소장치로 출력하는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을 구비하는 외부전원 출력단;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과 상기 외부전원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입력단과 상기 제1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입력단과 상기 제2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접속 노드에 연결되는 일단 및 접지와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3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는 턴 오프 동작시 상기 제1 입력단을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하고, 턴 온 동작시 상기 제1 입력단을 상기 제1 출력단과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턴 오프 동작시 상기 제2 입력단을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하고, 턴 온 동작시 상기 제2 입력단을 상기 제2 출력단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5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6 스위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각각의 제어부는, 상기 제4 스위치 내지 상기 제6 스위치를 턴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중 결선 오류 검출 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에 연결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제4 스위치 내지 상기 제6 스위치를 턴 오프 제어한 이후, 상기 제4 스위치 내지 상기 제6 스위치를 턴 온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결선 오류 검출 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에 연결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제4 스위치 내지 제6 스위치를 턴 온 제어한 후, 상기 제3 스위치를 턴 온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하나는 턴 온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턴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결선 오류 검출 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에 연결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검출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출력단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의 회선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출력단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의 회선의 결선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 오류 검출 장치는 현재 운용되고 있는 원격소장치의 터미널 보드의 내부 회로의 변경이나 교체 없이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 오류 검출 장치는 결선 오류 검출이 필요한 원격소장치에 탑재 이후 분리 가능하여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 오류 검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소장치와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개략 회로도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시스템(100)은 주전원 장치(120), 복수의 원격소장치(Remote Terminal Unit: RTU, 160), 복수의 현장 설비(140) 및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주전원 장치(120)는 복수의 원격소장치(160)의 구동을 위한 외부전원을 공급하고, 복수의 원격소장치(160)는 주전원 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 복수의 원격소장치(160) 각각에는 복수의 현장설비(140)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는 복수의 원격소장치(160)에 연결되어 결선 오류 검출 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160)의 결선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는 주전원 장치(120)와 복수의 원격소장치(160) 사이에서 외부전원의 전달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는 주전원 장치(120)로부터 외부전원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외부전원을 다시 출력하여, 원격소장치(160)로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원격소장치(160)로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는 원격소장치(160) 내부의 터미널보드의 외부전원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는 복수의 원격소장치(16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어 복수의 원격소장치(160) 마다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결선 오류 검출 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160)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원격소장치(160)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는 외부전원 입력단(210), 검출부(2202), 제어부(230), 및 외부전원 출력단(2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전원 입력단(210)은 주전원장치(120)로부터의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외부전원 출력단(2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주전원장치(120)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전원은 제1 외부전원(+V) 및 제2 외부전원(-V)일 수 있고, 일 예로, 제1 외부전원(+V)는 +48V 일 수 있으며, 제2 외부전원(-V)은 -48V 일 수 있다.
외부전원 입력단(21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외부전원(+V) 및 제2 외부전원(-V) 각각이 인가되는 제1 입력단(IN1) 및 제2 입력단(IN2)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전원 출력단(240)은 외부전원 입력단(21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 외부전원(+V) 및 제2 외부전원(-V)이 인가되는 제1 출력단(OUT1) 및 제2 출력단(OUT2)을 구비하고, 전달받은 제1 외부전원(+V) 및 제2 외부전원(-V) 각각을 원격소장치(160)로 출력할 수 있다.
검출부(220)는 외부전원 입력단(210)과 상기 외부전원 출력단(24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원격소장치(160)의 결선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검출부(22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220)는 제1 내지 제3 스위치(SW1-SW3) 및 제1, 2 발광 다이오드(LED1, LE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외부전원 입력단(210)의 제1 입력단(IN1)과 외부전원 출력단(240)의 제1 출력단(OUT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스위치(SW2)는 외부전원 입력단(210)의 제2 입력단(IN2)과 외부전원 출력단(240)의 제2 출력단(OUT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의 캐소드는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의 애노드와 연결될 수 있고, 제3 스위치(SW3)는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의 접속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스위치(SW1)는 스위칭 동작에 따라 외부전원 입력단(210)의 제1 입력단(IN1)을 외부전원 출력단(240)의 제1 출력단(OUT1) 및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의 애노드 중 하나와 연결하고, 제2 스위치(SW2)는 스위칭 동작에 따라 외부전원 입력단(210)의 제2 입력단(IN2)을 외부전원 출력단(240)의 제2 출력단(OUT2)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의 캐소드 중 하나와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는 3단자 스위치 소자에 해당하는데, 제1 스위치(SW1)는 턴 오프 동작시 제1 입력단(IN1)을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와 연결하고, 턴 온 동작시 제1 입력단(IN1)을 제1 출력단(OUT1)과 연결할 수 있고, 제2 스위치(SW2)는 턴 오프 동작시 제2 입력단(IN2)을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와 연결하고, 턴 온 동작시 제2 입력단(IN2)을 제2 출력단(OUT2)과 연결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220)는 제4 내지 제6 스위치(SW4-SW6)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4 스위치(SW4)는 제1 스위치(SW1)와 외부전원 입력단(210)의 제1 입력단(IN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5 스위치(SW5)는 제2 스위치(SW2)와 외부전원 입력단(210)의 제2 입력단(IN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6 스위치(SW6)는 제3 스위치(SW3)와 접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내지 제6 스위치(SW4-SW6)가 턴 오프 동작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스위치(SW1-SW3)의 일단이 플로팅(floating)되어, 외부전원 입력단(210)으로 입력되는 제1, 2 외부 전원(+V, -V)이 외부전원 출력단(240)으로 전달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제1, 2 외부 전원(+V, -V)이 원격소장치(160)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제4 내지 제6 스위치(SW4-SW6)는 검출부(220)의 내부 회로를 분리하고 결과적으로, 주전원 장치(120)와 원격소장치(160)를 전기적으로 단절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소자에 해당한다. 다만,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원격소장치(160)를 순차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를 이용하여 하나의 원격소장치(160)를 점검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4 내지 제6 스위치(SW4-SW6)는 제거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 오류 검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소장치와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개략 회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원격소장치(160)를 순차적으로 점검하는 것을 가정하고,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 각각에 구비되는 제어부(230)가 검출부(220)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6 스위치(SW1-SW6)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 오류 검출 방법은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 각각에 구비되는 검출부(220)의 제4 내지 제6 스위치(SW4-SW6)를 턴 오프 제어하는 것으로 시작한다(S610). 검출부(220)의 제4 내지 제6 스위치(SW4-SW6)를 턴 오프 제어하여, 복수의 원격소장치(160)로 제1 외부전원(+V) 및 제2 외부전원(-V)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복수의 원격소장치(160)의 제1 외부전원(+V) 및 제2 외부전원(-V)의 공급을 차단한 후, 결선 오류 검출 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160)에 연결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의 제4 내지 제6 스위치(SW4-SW6)를 턴 온 제어한다(S620). 제4 내지 제6 스위치(SW4-SW6)가 턴 온되어, 제1 외부전원(+V) 및 제2 외부전원(-V)이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결선 오류 검출 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160)에 연결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200) 측으로 제1 외부전원(+V) 및 제2 외부전원(-V)이 공급된 후, 제1 스위치(SW1)는 턴 오프 동작하여 제1 입력단(IN1)과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를 연결하고, 제2 스위치(SW2)는 턴 오프 동작하여 제2 입력단(IN2)과 제2 발광 다이오드(LED2)를 연결한다(S630).
단계 S630은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와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로써, 본 단계를 생략하고, 단계 S620 이 후에 단계 S640을 진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와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의 발광을 통하여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한 후에, 제3 스위치(SW3)를 턴 온 제어한 상태에서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순차적으로 하나는 턴 온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턴 오프 제어한다(S640).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순차적으로 하나는 턴 온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턴 오프 제어할 시에,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의 발광 여부를 확인한다(S650).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순차적으로 하나는 턴 온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턴 오프 제어할 경우, 도 7(a)를 참조하면 원격소장치(160)가 정상 상태인 경우 제1, 2 발광 다이오드(LED1, LED2)는 발광하지 않는다. 다만,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원격소장치(160)가 결선 오류로 인하여 접지 상태인 경우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제1, 2 발광 다이오드(LED1, LED2) 중 하나가 발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2)가 적어도 하나가 발광하는 경우, 원격소장치(160)에서 결선 오류로 인하여 접지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결선 오류가 발생한 회선을 재결선하여 수정한다(S660).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제1 출력단(OUT1)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160)의 결선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이 발광하고, 제2 출력단(OUT2)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160)의 결선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이 발광한다. 즉,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는 제2 출력단(OUT2)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160)의 결선 오류를 검출할 수 있고, 제2 발광 다이오드(LED2)는 제1 출력단(OUT1)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160)의 결선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광 다이오드(LED1)가 발광하는 경우, 제2 출력단(OUT2)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160)의 회선을 재결선할 수 있고, 제2 발광 다이오드(LED2)가 발광하는 경우, 제1 출력단(OUT1)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160)의 회선을 재결선할 수 있다.
단계 S650의 확인 결과,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2)가 모두 미발광하거나, 단계 S660 이후에 결선 오류가 해소된 경우, 복수의 원격소 장치(160) 전부의 결선 오류 점검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한다(S670).
복수의 원격소 장치(160) 전부의 결선 오류 검출이 종료된 경우, 결선 오류 검출 방법을 종료하고, 종료되지 않은 경우, 후 순위의 결선 오류 검출 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160)에 대하여 단계 S620을 진행한다.
현재 검출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160)의 검출을 종료하고, 다음 검출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160)의 결선 오류 검출을 시작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120: 주전원 장치
140: 현장설비
160: 원격소장치
200: 결선 오류 검출 장치
210: 외부전원 입력단
220: 검출부
230: 제어부
240: 외부전원 출력단

Claims (13)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외부전원 및 제2 외부전원 각각이 인가되는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을 구비하는 외부전원 입력단;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1 외부전원 및 상기 제2 외부전원을 원격소장치로 출력하는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을 구비하는 외부전원 출력단;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과 상기 외부전원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입력단과 상기 제1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입력단과 상기 제2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접속 노드에 연결되는 일단 및 접지와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3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턴 오프 동작시 상기 제1 입력단을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하고, 턴 온 동작시 상기 제1 입력단을 상기 제1 출력단과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턴 오프 동작시 상기 제2 입력단을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하고, 턴 온 동작시 상기 제2 입력단을 상기 제2 출력단과 연결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스위치를 턴 온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하나는 턴 온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턴 오프 제어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출력단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의 회선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출력단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의 회선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5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6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스위치 및 상기 제5 스위치를 턴 오프 제어하여, 상기 제1 외부전원 및 상기 제2 외부전원 각각이 상기 원격소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
  7. 주전원 장치;
    상기 주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1 외부 전원 및 제2 외부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원격소장치; 및
    상기 복수의 원격소장치 각각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는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각각은,
    상기 제1 외부전원 및 상기 제2 외부전원 각각이 인가되는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을 구비하는 외부전원 입력단;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1 외부전원 및 상기 제2 외부전원을 상기 복수의 원격소장치로 출력하는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을 구비하는 외부전원 출력단;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과 상기 외부전원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입력단과 상기 제1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입력단과 상기 제2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접속 노드에 연결되는 일단 및 접지와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3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턴 오프 동작시 상기 제1 입력단을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하고, 턴 온 동작시 상기 제1 입력단을 상기 제1 출력단과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턴 오프 동작시 상기 제2 입력단을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하고, 턴 온 동작시 상기 제2 입력단을 상기 제2 출력단과 연결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5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6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각각의 제어부는,
    상기 제4 스위치 내지 상기 제6 스위치를 턴 오프 제어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중 결선 오류 검출 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에 연결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제4 스위치 내지 상기 제6 스위치를 턴 오프 제어한 이후, 상기 제4 스위치 내지 상기 제6 스위치를 턴 온 제어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 오류 검출 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에 연결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제4 스위치 내지 제6 스위치를 턴 온 제어한 후, 상기 제3 스위치를 턴 온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하나는 턴 온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턴 오프 제어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 오류 검출 대상이 되는 원격소장치에 연결되는 결선 오류 검출 장치의 검출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출력단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의 회선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출력단과 연결되는 원격소장치의 회선의 결선 오류를 검출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KR2020160000896U 2016-02-19 2016-02-19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KR200484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96U KR200484231Y1 (ko) 2016-02-19 2016-02-19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96U KR200484231Y1 (ko) 2016-02-19 2016-02-19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231Y1 true KR200484231Y1 (ko) 2017-08-17

Family

ID=6062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896U KR200484231Y1 (ko) 2016-02-19 2016-02-19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0130A (zh) * 2023-05-05 2023-07-1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六安市叶集供电公司 一种配网开关保护变比检测用数据采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704A (ja) * 1994-11-30 1996-06-21 Fujikura Ltd 漏電検出装置
KR101088795B1 (ko) * 2010-09-13 2011-12-01 한국전력공사 스카다 rtu 시스템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704A (ja) * 1994-11-30 1996-06-21 Fujikura Ltd 漏電検出装置
KR101088795B1 (ko) * 2010-09-13 2011-12-01 한국전력공사 스카다 rtu 시스템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0130A (zh) * 2023-05-05 2023-07-1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六安市叶集供电公司 一种配网开关保护变比检测用数据采集系统
CN116430130B (zh) * 2023-05-05 2023-09-15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六安市叶集供电公司 一种配网开关保护变比检测用数据采集设备的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7482B2 (en) Redundantly powered and daisy chained power over ethernet
EP2541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of a tap changer
CN102545140B (zh) 用于使用断路器状态来检测电弧事件的方法、系统和设备
US8531175B2 (en) Monitoring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ystem
CN106526477B (zh) 一种多路开关状态监控电路
JP6461481B2 (ja) 電気的障害を検出または予測するための方法
CN110673054B (zh) Dc/dc电源测试系统及dc/dc电源的老化测试方法
KR102287330B1 (ko) 팬 고장 검출 장치
KR200484231Y1 (ko) 원격소장치의 결선 오류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제어 데이터 수집 시스템
TWM506411U (zh) 電源切換選擇器
CN104330704A (zh) 输配电网故障定位系统
US20170181240A1 (en) High voltage resistant transmitting circuit for devices communicating on dali bus
CN202372620U (zh) 断路器侦测电路
CN109143838B (zh) 一种水下专用双冗余切换电路
CN108962678A (zh) 一种基于lb8169芯片的电磁继电器控制电路
CN114415059A (zh) 信号色灯检测电路和信号色灯状态的检测方法
CN109038512B (zh) 防外部有线指令周期bit误报故电路及控制方法
US20210289601A1 (en) Lighting System With Redundant Power Supplies
JP4672785B2 (ja) 制御盤の故障診断装置
US9665455B2 (en) Input module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CN116488168B (zh) 一种切换器、海缆供电系统及接地切换方法
JP5396309B2 (ja) 給電装置
CN219302589U (zh) 一种电流故障指示器
CN115459214A (zh) 电压保护电路及电子设备
CN109765467B (zh) 直流配电系统及其对地绝缘故障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