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86Y1 - 산업용 고글 - Google Patents

산업용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86Y1
KR200484186Y1 KR2020170001561U KR20170001561U KR200484186Y1 KR 200484186 Y1 KR200484186 Y1 KR 200484186Y1 KR 2020170001561 U KR2020170001561 U KR 2020170001561U KR 20170001561 U KR20170001561 U KR 20170001561U KR 200484186 Y1 KR200484186 Y1 KR 200484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ens
unit
movab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2020170001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5Special attachment of screens, e.g. hinged, removable; Roll-up protectiv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9Additional functions or features, e.g. protection for other parts of the face such as ears, nose or mouth; Screen wipe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산업용 고글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산업용 고글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마련되되 렌즈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상기 렌즈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식 필름; 및 상기 이동식 필름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식 필름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필름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용 고글{Goggle}
본 고안은, 산업용 고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페인트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는 도장 작업 혹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과 같은 열악한 작업 환경 하에서도 종전처럼 렌즈를 매번 세척하거나 고글 자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산업용 고글에 관한 것이다.
고글(Goggle)은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안경의 총칭이다. 보안경이라고도 한다. 고글에는 레저용과 산업용이 있다.
레저용 고글은 눈이 쌓인 곳에서 태양 빛이 반사되어 자외선이 눈을 자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한다.
자외선에 노출되면 각막염이나 결막염 따위가 생기거나 설맹(雪盲)이 되는 경우가 있다. 눈보라가 들어오지 못하게 눈 주위에 가리개가 있다. 콧등에 걸리는 부분은 동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금속을 쓰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반해, 산업용 고글은 산업현장에서 차량, 선박, 교량 등에 대하여 도장(스프레이) 작업을 진행하거나 도로 등에 대하여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할 때 착용한다.
산업용 고글을 착용해야만 도장 작업 혹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가 날려 눈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눈을 보호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산업용 고글은 렌즈가 일체화된 소위, 안경 타입이기 때문에 도장 작업 혹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렌즈에 묻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렌즈에 묻을 때는 렌즈를 세척해야 하는데, 만약 이물질의 묻은 양이 많거나 심하게 달라붙어 고착될 때는 렌즈의 세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글 자체를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고가의 고글을 매번 바꿔 착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통상의 작업자들은 고글을 착용하지 않고 도장 작업 혹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건강에 많은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신개념의 산업용 고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8682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0077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345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9445호
본 고안의 목적은, 페인트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는 도장 작업 혹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과 같은 열악한 작업 환경 하에서도 종전처럼 렌즈를 매번 세척하거나 고글 자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산업용 고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마련되되, 렌즈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의 이물질이 상기 렌즈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PE(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이동식 필름; 및 상기 이동식 필름과 연결되되, 상기 이동식 필름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렌즈의 일측에서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테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의 타측으로 상기 이동식 필름을 공급하는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렌즈의 타측에서 상기 렌즈 테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의 전방에서 상기 이물질이 묻은 이동식 필름이 회수되는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을 포함하는 전동식 필름 이동부; 상기 전동식 필름 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식 필름 이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은 구조가 동일하며, 상기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 모두는, 상기 필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보호하되, 상기 이동식 필름이 출입되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유닛 케이싱; 및 상기 유닛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전동식 회전 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고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마련되되, 렌즈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의 이물질이 상기 렌즈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PE(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이동식 필름; 및 상기 이동식 필름과 연결되되, 상기 이동식 필름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렌즈의 일측에서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테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의 타측으로 상기 이동식 필름을 공급하는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렌즈의 타측에서 상기 렌즈 테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의 전방에서 상기 이물질이 묻은 이동식 필름이 회수되는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을 포함하는 전동식 필름 이동부; 상기 렌즈 테의 양측에 구비되어 해당 위치의 렌즈 영역에 대한 오염정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제1 및 제2 감지부;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식 필름 이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은 구조가 동일하며, 상기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 모두는, 상기 필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보호하되, 상기 이동식 필름이 출입되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유닛 케이싱; 및 상기 유닛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전동식 회전 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고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페인트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는 도장 작업 혹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과 같은 열악한 작업 환경 하에서도 종전처럼 렌즈를 매번 세척하거나 고글 자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눈 건강을 유지하면서도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의 착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산업용 고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작도이다.
도 4는 필름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필름 공급유닛 영역의 A 영역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의 착용상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산업용 고글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동작도, 도 4는 필름 이동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필름 공급유닛 영역의 A 영역 확대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내부 투영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100)은 페인트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는 도장 작업 혹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과 같은 열악한 작업 환경 하에서도 종전처럼 렌즈(110)를 매번 세척하거나 고글 자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동식 필름(120)과, 필름 이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필름(120)의 설명에 앞서 산업용 고글(100)의 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산업용 고글(100)은 전방 투시가 가능하게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는 렌즈(110)와, 렌즈(110)를 지지하는 렌즈 테(111)를 포함한다.
렌즈 테(111)에는 한 쌍의 다리부(112)가 연결되며, 산업용 고글(100)을 착용할 수 있게끔 한다. 다리부(112)는 귀에 거는 타입 외에 머리뒤쪽으로 감기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산업용 고글(100)을 착용한 후, 도장 작업 혹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진행하면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렌즈(110)에 묻을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렌즈(110)가 가려져서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렌즈(110)를 세척해야 하는데, 만약 이물질의 묻은 양이 많거나 심하게 달라붙어 고착될 때는 렌즈(110)의 세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글 자체를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고글 자체를 교체하는 것이 비용적인 측면에서 용이하지 않다는 점에서 이동식 필름(120)이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식 필름(120)은 렌즈(110)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렌즈(110)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작업자가 렌즈(110)와 이동식 필름(120)을 통해 전방을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식 필름(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동식 필름(120)은 PE(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적용된다.
이동식 필름(120)이 PE 필름으로 적용될 경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깨끗한 시야 확보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동식 필름(120)을 준비하고 이동식 필름(120)을 렌즈(110)의 전방에 배치하면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렌즈(110)에 묻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동식 필름(120)에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많이 묻으면 이 역시 전방 주시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때는 도 3의 화살표 방향처럼 이물질이 묻은 이동식 필름(120)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깨끗한 이동식 필름(120)을 렌즈(110)의 전방으로 옮기면 되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100)에는 필름 이동부(130)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 필름 이동부(130)는 이동식 필름(120)과 연결되며, 이동식 필름(120)을 일 방향, 즉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필름 이동부(130)는 렌즈(110)의 일측에서 렌즈(110)를 지지하는 렌즈 테(111)에 결합되며, 렌즈(110)의 타측으로 이동식 필름(120)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유닛(140)과, 렌즈(110)의 타측에서 렌즈 테(111)에 결합되며, 렌즈(110)의 전방에서 이물질이 묻은 이동식 필름(120)이 회수되는 필름 회수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름 공급유닛(140)과 필름 회수유닛(150)은 위치와 기능만 상이할 뿐 그 구조가 동일하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 역시 수월해질 수 있다.
필름 공급유닛(140)에 대해 먼저 알아보면, 필름 공급유닛(140)은 필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드럼(141)과, 드럼(141)을 보호하되 이동식 필름(120)이 출입되는 출입구(143)를 구비하는 유닛 케이싱(142)과, 유닛 케이싱(142)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드럼(141)을 회전시키는 회전 보스(14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구조로서, 필름 회수유닛(150)은 필름 공급유닛(140)은 필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드럼(미도시)과, 드럼을 보호하되 이동식 필름(120)이 출입되는 출입구(153)를 구비하는 유닛 케이싱(152)과, 유닛 케이싱(152)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 보스(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산업용 고글(100)을 착용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중에 이동식 필름(120)에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많이 묻어 시야 확보가 곤란해지는 경우에는 필름 공급유닛(140)과 필름 회수유닛(150)을 동작시킨다. 즉 필름 공급유닛(140)의 회전 보스(144)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고, 필름 회수유닛(150)의 회전 보스(154)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필름 공급유닛(140) 측에서 공급되는 새로운, 즉 깨끗한 이동식 필름(120)이 공급되어 렌즈(1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게 되고, 이물질이 많이 묻은 이동식 필름(120)은 필름 회수유닛(150)에 회수될 수 있다. 따라서 굳이 이동식 필름(120)를 세척하거나 고글 자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페인트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는 도장 작업 혹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과 같은 열악한 작업 환경 하에서도 종전처럼 렌즈(110)를 매번 세척하거나 고글 자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4와 같은 유닛을 기존 고글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고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200)은 전술한 수동식이 아닌 전동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200)은 이동식 필름(120)과, 이동식 필름(120)을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동식 필름 이동부(230)와, 전동식 필름 이동부(230)의 동작을 위한 스위치(260)와, 컨트롤러(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식 필름 이동부(230) 역시, 전술한 필름 이동부(130)와 마찬가지로 렌즈(110)의 일측에서 렌즈(110)를 지지하는 렌즈 테(111)에 결합되며, 렌즈(110)의 타측으로 이동식 필름(120)을 공급하는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240)과, 렌즈(110)의 타측에서 렌즈 테(111)에 결합되며, 렌즈(110)의 전방에서 이물질이 묻은 이동식 필름(120)이 회수되는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240)과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250)에는 컨트롤러(280)에 의해 전동식으로 동작되는 전동식 회전 보스(244,254)가 마련된다.
한편, 컨트롤러(280)는 스위치(26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전동식 필름 이동부(230)의 동작, 즉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240)과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250)의 전동식 회전 보스(244,254)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280)는 중앙처리장치(281, CPU), 메모리(2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2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281)는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26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전동식 필름 이동부(230)의 동작, 즉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240)과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250)의 전동식 회전 보스(244,254)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2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281)와 연결된다. 메모리(2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2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2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2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80)는 스위치(26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전동식 필름 이동부(230)의 동작, 즉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240)과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250)의 전동식 회전 보스(244,254)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280)가 스위치(26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전동식 필름 이동부(230)의 동작, 즉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240)과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250)의 전동식 회전 보스(244,254)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2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2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200)을 착용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중에 이동식 필름(120)에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많이 묻어 시야 확보가 곤란해지는 경우에는 스위치(260)를 가압한다.
그러면 컨트롤러(280)의 컨트롤에 의해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240)과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250)의 전동식 회전 보스(244,254)가 동작되기 때문에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240) 측에서 공급되는 새로운, 즉 깨끗한 이동식 필름(120)이 공급되어 렌즈(1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게 되고, 이물질이 많이 묻은 이동식 필름(120)은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250)에 자동으로 회수될 수 있다. 따라서 굳이 이동식 필름(120)를 세척하거나 고글 자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페인트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는 도장 작업 혹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과 같은 열악한 작업 환경 하에서도 종전처럼 렌즈(110)를 매번 세척하거나 고글 자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300)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산업용 고글(200)처럼 전동식으로 적용된다는 점에서 상당 부분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고글(300)에는 제2 실시예에서 적용된 스위치(260, 도 7 참조)가 없는 대신 렌즈 테(111)의 양측에 제1 및 제2 감지부(371,372)가 마련된다.
제1 및 제2 감지부(371,372)는 해당 위치의 렌즈(110) 영역에 대한 오염정도를 감지하며, 이렇게 감지된 정보는 컨트롤러(380)로 전송된다.
만약, 오염정도가 정해진 기준값을 넘은 경우, 컨트롤러(380)는 제1 및 제2 감지부(371,372)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동식 필름 이동부(230)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게 되고, 이의 작용으로 인해 새로운 이동식 필름(120)이 렌즈(110)의 전방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페인트나 콘크리트 입자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는 도장 작업 혹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과 같은 열악한 작업 환경 하에서도 종전처럼 렌즈(110)를 매번 세척하거나 고글 자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산업용 고글 110 : 렌즈
111 : 렌즈 테 112 : 다리부
120 : 이동식 필름 130 : 필름 이동부
140 : 필름 공급유닛 141 : 드럼
142 : 유닛 케이싱 143 : 출입구
144 : 회전 보스 150 : 필름 회수유닛
152 : 유닛 케이싱 153 : 출입구
154 : 회전 보스

Claims (4)

  1. 삭제
  2.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마련되되, 렌즈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의 이물질이 상기 렌즈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PE(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이동식 필름; 및
    상기 이동식 필름과 연결되되, 상기 이동식 필름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렌즈의 일측에서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테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의 타측으로 상기 이동식 필름을 공급하는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렌즈의 타측에서 상기 렌즈 테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의 전방에서 상기 이물질이 묻은 이동식 필름이 회수되는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을 포함하는 전동식 필름 이동부;
    상기 전동식 필름 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식 필름 이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은 구조가 동일하며,
    상기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 모두는,
    상기 필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보호하되, 상기 이동식 필름이 출입되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유닛 케이싱; 및
    상기 유닛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전동식 회전 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고글.
  3. 삭제
  4.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마련되되, 렌즈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페인트 입자나 콘크리트 입자의 이물질이 상기 렌즈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PE(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이동식 필름; 및
    상기 이동식 필름과 연결되되, 상기 이동식 필름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렌즈의 일측에서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테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의 타측으로 상기 이동식 필름을 공급하는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렌즈의 타측에서 상기 렌즈 테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의 전방에서 상기 이물질이 묻은 이동식 필름이 회수되는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을 포함하는 전동식 필름 이동부;
    상기 렌즈 테의 양측에 구비되어 해당 위치의 렌즈 영역에 대한 오염정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제1 및 제2 감지부;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식 필름 이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은 구조가 동일하며,
    상기 전동식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전동식 필름 회수유닛 모두는,
    상기 필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보호하되, 상기 이동식 필름이 출입되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유닛 케이싱; 및
    상기 유닛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전동식 회전 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고글.
KR2020170001561U 2017-03-29 2017-03-29 산업용 고글 KR200484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61U KR200484186Y1 (ko) 2017-03-29 2017-03-29 산업용 고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61U KR200484186Y1 (ko) 2017-03-29 2017-03-29 산업용 고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86Y1 true KR200484186Y1 (ko) 2017-08-09

Family

ID=6062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561U KR200484186Y1 (ko) 2017-03-29 2017-03-29 산업용 고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2121A (zh) * 2019-07-29 2022-05-13 百分百斯皮德莱布有限责任公司 护目镜防泥护罩
CN114502121B (zh) * 2019-07-29 2024-05-31 百分百斯皮德莱布有限责任公司 护目镜防泥护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736Y1 (ko) * 2003-12-08 2004-03-09 박춘배 방호두건용 보안경
KR200350085Y1 (ko) 2004-01-12 2004-05-13 주식회사 유레카 렌즈 교환식 고글
KR20100003454U (ko) 2008-09-22 2010-03-31 유성옥 방충용 침구
KR20100009445U (ko) 2009-03-18 2010-09-29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시소
KR101186827B1 (ko) * 2010-07-27 2012-09-28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보호 스크린이 장착된 고글
KR20130086822A (ko) 2012-01-26 2013-08-05 한국고벨주식회사 싱글거더 호이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736Y1 (ko) * 2003-12-08 2004-03-09 박춘배 방호두건용 보안경
KR200350085Y1 (ko) 2004-01-12 2004-05-13 주식회사 유레카 렌즈 교환식 고글
KR20100003454U (ko) 2008-09-22 2010-03-31 유성옥 방충용 침구
KR20100009445U (ko) 2009-03-18 2010-09-29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시소
KR101186827B1 (ko) * 2010-07-27 2012-09-28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보호 스크린이 장착된 고글
KR20130086822A (ko) 2012-01-26 2013-08-05 한국고벨주식회사 싱글거더 호이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2121A (zh) * 2019-07-29 2022-05-13 百分百斯皮德莱布有限责任公司 护目镜防泥护罩
CN114502121B (zh) * 2019-07-29 2024-05-31 百分百斯皮德莱布有限责任公司 护目镜防泥护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5699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затемняющий фильтр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управлением питания
US7564014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welding light and protecting eyes from gla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5835083A (en) Eyetrack-driven illumination and information display
US11160687B2 (en) Vision-protective headgear with automatic darkening filter comprising an array of switchable shutters
US20040210976A1 (en) Welding helmet removable cartridge
KR20100085959A (ko) 자동 차광 필터 장치 및 방법
KR200484186Y1 (ko) 산업용 고글
CN108345124B (zh) 一种防雨淋眼镜罩
CN110646951A (zh) 一种防眩目眼镜及防眩目方法
CN109164597A (zh) 一种多功能电子眼镜
CN204521174U (zh) 自调节光学护目镜
CN202372724U (zh) 一种除尘除雾眼镜
CN109567354A (zh) 消毒眼镜盒
WO2020220912A1 (zh) 一种镜头保护装置
FR2711641B1 (fr) Verre ophtalmologique fortement réfringent, et verre de lunettes multifocaux dans lesquels ce verre est utilisé pour le segment pour vision de près.
CN207053632U (zh) 防尘式监控摄像装置
US20230320901A1 (en) Universal laser protective eyewear
CN211460820U (zh) 特种除雾珠防护眼镜
CN212575071U (zh) 一种除雾护目镜
KR20130064210A (ko) 고글이 장착된 방호 두건
RU2002112822A (ru)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светозащитными масками очков (варианты), элемент блока управления светозащитными масками очков и способы создания светозащитной маски в стеклах очков
CN215192892U (zh) 一种医用光辐射防护眼镜
CN212037931U (zh) 一种激光切割用便于穿戴和调节透光度的护目镜
JPH02142563A (ja) 紫外線感知装置付き溶接用保護メガネ
US20200133028A1 (en) System for custom manufacturing film for lenses of eye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