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894Y1 -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 - Google Patents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894Y1
KR200483894Y1 KR2020150008040U KR20150008040U KR200483894Y1 KR 200483894 Y1 KR200483894 Y1 KR 200483894Y1 KR 2020150008040 U KR2020150008040 U KR 2020150008040U KR 20150008040 U KR20150008040 U KR 20150008040U KR 200483894 Y1 KR200483894 Y1 KR 200483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ransparent door
pair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631U (ko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박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진 filed Critical 박태진
Publication of KR201600036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수 거치함은 전방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전자기기가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측면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이 형성되며, 하면 전단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는 거치판을 구비하는 함체; 후방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상기 함체에 힌지되게 설치되며, 외부에서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도어; 상기 함체와 상기 투명도어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유닛; 상기 함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함체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함체의 좌측면 하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낙하는 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을 통해 상기 함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WATERPROOF SUPPORT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은 휴대전자기기를 내부에 안착하여 물이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며, 안착된 상태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자기기라 함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PDA폰 등과 같이 휴대하기 용이하며 다양한 동영상,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화면을 통해 볼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전자기기는 외부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보호케이스에 장착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보호케이스는 방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가정욕실, 부엌(주방), 워터파크, 대중목욕탕, 사우나 등과 같은 물 이용장소에서는 휴대전자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731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3-0006934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벽면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고,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의 물로부터 휴대전자기기를 격리하도록 내부에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재생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의 물로부터 휴대전자기기를 격리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휴대전자기기를 터치조작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은 전방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전자기기가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측면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이 형성되며, 하면 전단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는 거치판을 구비하는 함체; 후방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상기 함체에 힌지되게 설치되며, 외부에서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도어; 상기 함체와 상기 투명도어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유닛; 상기 함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함체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함체의 좌측면 하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낙하는 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을 통해 상기 함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도어가 상기 함체를 닫은 상태에서 물이 상기 투명도어와 상기 함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함체의 전방 테두리에는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도어의 후방 테두리에는 상기 제1단차부에 안착되는 제2단차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함체의 상면 전단 또는 하면 전단에 서로 이격형성되는 한 쌍의 제1힌지부; 및, 상기 투명도어의 상면 후단 또는 하면 후단에 서로 이격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힌지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힌지부 각각은, 상기 함체의 상면 전단 또는 하면 전단으로부터 "C"자 형태로 굴곡지게 연장형성되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아치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아치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함체의 상면 전단 또는 하면 전단으로부터 "C"자 형태로 굴곡지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아치부재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2아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힌지부 각각은, 상기 투명도어의 상면 후단 또는 하면 후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한쌍의 지지대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제1아치부재와 상기 제2아치부재의 사이에 끼움조립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함체 및 상기 투명도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함체의 상면에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도어의 상면에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투명도어의 상단에는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는 연장편을 구비하여, 상기 함체와 상기 투명도어의 결합부분을 통해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은 안테나와 충전선을 인출하도록 2개로 구성되어, 상기 함체의 양측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2개로 구성되어 상기 2개의 인출공에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투명도어의 하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제1슬릿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릿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함체내에 거치된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외부에서 터치조작하는 터치조작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터치조작부재는, 상기 "U"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슬릿공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슬릿공을 통해 움직이는 조작몸체; 상기 조작몸체의 일단에 전방으로 형성되는 제1전도성돌기; 상기 조작몸체의 타단에 전방으로 형성되는 제2전도성돌기; 및, 상기 조작몸체의 타단에 후방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도어의 하면에는 상기 제1슬릿공의 측단에 연결되도록 미세슬릿공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조작부재는, 상기 조작몸체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미세슬릿공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벽면에 고정상태로, 내부에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전면의 투명도어를 통해 휴대전자기기의 재생영상을 볼 수 있는 방식으로서, 가정욕실, 부억(주방), 워터파크, 대중목욕탕, 사우나 등과 같은 물 이용장소에서도 물 또는 오염물질로부터 휴대전자기기를 격리시켜 침수에 의한 고장 걱정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가 함체의 내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터치조작부재를 통해 터치조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투명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투명도어가 함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의 사용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을 사용예에서 휴대전자기기의 안테나를 인출한 경우에 대한 사용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방수 거치함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이며, 흡착판이 함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방수 거치함에서 투명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방수 거치함에서 함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6의 방수 거치함에서 투명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6의 방수거치함에서 본 고안의 터치조작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터치조작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방수거치함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1에서 터치조작부재를 보관위치에 놓아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의 터치조작부재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2의 흡착판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휴대전자기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태블릿PC 등 영상콘텐츠를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모든 휴대형 전자기기를 지칭하며, 아울러, 터치조작이 가능한 터치디스플리패널을 구비한 모든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칭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방수 거치함은 함체(10), 투명도어(20), 힌지유닛(30), 흡착판(40), 및, 커버부(50)를 포함한다.
함체(10)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전방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휴대전자기기가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함체(10)는 불투명 재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함체(10)의 하측 내면 전단에는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게 돌출형성되는 거치판(13)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폰(p)을 함체(10)의 거치판(13) 내측으로 안착시키면, 스마트폰(p)이 함체(10) 내에 거치되게 된다.
이때, 거치판(13)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게 돌출되는 이탈방지리브(14)가 형성된다. 이 이탈방지리브(14)에 의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스마트폰(p)이 거치판(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즉, 거치판(13)에 스마트폰(p)이 거치된 상태에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있어 스마트폰(p)이 덜컹거리더라고 스마트폰(p)이 이탈방지리브(14)에 걸려 거치판(13)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거치판(13)은 함체(10)의 좌우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이탈방지리브(14)는 거치판(13)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다만, 거치판(13)은 스마트폰(P)을 거치할 수 있으면, 함체(10)의 좌우 길이보다 다소 작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함체(10)의 좌측면 하단에는 휴대전자기기(p, 도 5 참조)의 안테나(A)가 인출되기 위한 인출공(16)이 형성되며, 함체(10)의 후면에는 흡착판(40)이 끼워져 고정되는 설치공(15)이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공(15)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투명도어(20)는 후방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함체(10)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한다. 이때, 투명도어(20)는 힌지유닛(30)을 통해 함체(10)의 상단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함체(10)의 전방 개방부를 개폐시킨다.
투명도어(20)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내부가 보임으로써, 함체(10)의 거치판(13)에 거치된 휴대전자기기(p)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외부에서 볼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투명도어(20)가 함체(10)에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물이 투명도어(20)와 함체(1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4와 같이, 함체(10)의 전방 테두리에는 제1단차부(12)가 형성되고, 투명도어(20)의 후방테두리에는 제1단차부(22)를 덮도록 상기 제1단차부(12)에 접촉되어 상기 제1단차부(12) 표면에 접촉되는 제2단차부(22)가 형성된다.
힌지유닛(30)은 함체(10)의 상면전단과 투명도어(20)의 상면 후단을 연결하여 투명도어(20)를 함체(10)에 대해 힌지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힌지유닛(30)은 함체(10) 쪽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31)와, 투명도어(20) 쪽에 설치되는 제2힌지부(35)를 구비하며, 제1힌지부(31)와 제2힌지부(35)는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됨으로써, 투명도어(20)가 함체(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1힌지부(31)는 함체(10)의 상면 전단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제1힌지부(31)는 함체(10)의 상면전단으로부터 "C"형태로 굴곡지게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아치부재(32)와, 한 상의 제1아치부재(3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체(10)의 상면 전단으로부터 "C"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되, 한 쌍의 제1아치부재(32)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하나의 제2아치부재(33)로 구성된다.
또한, 제2힌지부(35)는 제1힌지부(31)에 대응되게 투명도어(20)의 상면 후단에 서로 이격되게 하나씩 형성된다.
제2힌지부(35)는 투명도어(20)의 상면후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36)와, 이 한 쌍의 지지대(36)를 연결하며, 한 쌍의 제1아치부재(32)와, 제2아치부재(33)의 사이에 끼움조립되는 힌지축(37)으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지지대(36)의 사이 거리는 제1힌지부재(31)의 전체길이 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힌지축(37)을 상기 제1힌지부(31)의 제1아치부재(32)와 제2아치부재(33) 사이에 끼워줌으로써 손쉽게 투명도어(20)를 함체(1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는 투명도어(20)가 함체(10)에 힌지가능하게 회동될 수 있다.
흡착판(40)은 함체(10)를 욕실, 사우나, 대중목욕탕 등의 벽면에 진공흡착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흡착판(40)은 공지된 기술로서, 중앙에 끼움돌기(43)가 구비되며, 이 끼움돌기(43)를 함체(10)에 형성된 설치공(15)에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흡착판(40)은 한 쌍으로 구성되나,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흡착판(40)은 함체(10)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함체(10)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흡착판(40)이 아니더라도 양면테입을 이용해 함체(10)의 후면과 벽면을 서로 부착시켜 줌으로써, 함체(10)를 벽면에 부착고정할 수도 있고, 벽면에 설치된 고리를 함체(10)의 후면에 형성된 설치공(15)에 걸어서, 함체(10)를 벽면에 걸어둘 수도 있으며, 아울러, 나사로 함체(10)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함체(10)를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버부(50)는 함체(10)의 좌측면 하단부에 연장형성되며, 인출공(16)을 감싸도록 구성하여 위에서 낙하하는 물이 인출공(16)을 통해 함체(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커버부(50)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함체(10)의 인출공(16) 상측과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출공(16)을 감싸고 하부가 개방된 관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방수 거치대의 사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 사용자가 가정욕실에서 목욕을 할 때, 본 고안의 방수 거치대를 이용해 목욕 중에도 스마트폰(P)의 영상컨텐츠를 재생해 볼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도어(20)를 열어 함체(10)의 거치판(13)에 스마트폰(P)을 거치한 다음, 투명도어(20)를 닫고, 흡착판(40)을 통해 함체(10)를 욕실벽면에 흡착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목욕중에도 스마트폰(P)이 침수되지 않게 물과 격리시킨 상태에서 투명도어(20)를 통해 스마트폰(P)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P)을 함체(10) 내에 안착시킨 후에 함체(10)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방수 거치대를 먼저 흡착판(40)을 이용해 욕실벽면에 고정시킨 다음, 투명도어(20)를 열고 스마트폰(P)을 함체(10)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P)으로 DMB 등을 시청할 경우에는 안테나(A)를 사용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안테나(A)를 인출공(16)을 통해 커버부(50)의 개방부(53) 외측으로 인출하여, 함체(10)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전자기기(P)를 함체(10)에 넣고 투명도어(20)를 닫아 외부의 물과 격리되게 하여, 휴대전자기기(P)에 물이 묻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전자기기(P)의 재생영상을 투명도어(20)를 통해 볼 수 있어 가정욕실이나 목욕탕, 워터파크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DMB시청시에도 안테나(A)를 함체(10)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되, 물이 함체(10)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방수 거치함은 가정욕실, 목욕탕, 사우나, 테마파크 등 물이용장소에서 휴대전자기기를 물로부터 격리하여 방수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방수 거치함은 화장할 때 화장품가루나 스프레이입자들이 휴대전자기기에 묻지 않도록 하거나, 음식할 때 음식이나 거품들이 휴대전자기기에 묻지 않도록 일상생활 어디에서 든지 이물질로부터 휴대전자기기를 격리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의 방수 거치함은 함체(110), 투명도어(120), 힌지유닛(130), 흡착판(140) 및, 커버부(150)를 포함한다.
함체(110)는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전방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휴대전자기기가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함체(110)의 상면은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경사면(111)이 구비된다.
함체(110)의 하측 전단에는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게 돌출형성되는 거치판(113)이 형성되어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스마트폰(p)을 함체(110)의 거치판(113) 내측으로 안착시키면 스마트폰(p)이 함체(110) 내에 거치되게 된다.
제 2 실시 예에서 거치판(113)은 함체(110)의 좌우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되어, 거치판(113)의 양단이 함체(110)의 양측벽과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함체(110)의 양측면 하단에는 휴대전자기기의 안테나 또는 충전선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116)이 각각 형성되며, 함체(110)의 후면에는 흡착판(140)이 끼워지는 역U자형의 끼움홈부(115)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끼움홈부(115)는 상부 좌우 및 하부 좌우에 4개가 형성된다.
투명도어(120)는 후방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함체(110)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한다. 이때, 투명도어(120)는 힌지유닛(130)을 통해 함체(110)의 하단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함체(110)의 전방 개방부를 개폐시킨다.
투명도어(120)는 투명재질로서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도록 구성되어, 함체(110)의 거치판(113)에 거치된 휴대전자기기의 화면을 외부에서 볼 수 있다.
또한, 투명(120)의 하면에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슬릿공(123)이 관통형성되며, 제1슬릿공(123)의 일측단에는 제1슬릿공(123)보다 작은 폭을 갖는 미세슬릿공(124)이 소정길이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투명도어(120)는 상면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경사면(121)이 구비되고, 투명도어(120)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연장편(125)이 일체로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며, 이 연장편(125)에는 하방으로 록킹돌기(125a)가 구비된다. 여기서 록킹돌기(125a)는 투명도어(120)가 함체(110)에 닫힌 상태에서, 함체(110)의 상단과 스냅결합됨으로써, 투명도어(120)가 함체(110)에 분리가능하게 록킹되게 한다(도 13참조).
이처럼,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함체(110)와 투명도어(120)의 상면에 각각 제1경사면(111)과 제2경사면(121)이 구비되어, 상부에 물이 떨어지더라도, 물이 함체(110)의 투명도어(120)의 상면에 머물지 않고 흘러내리게 되며, 아울러, 연장편(125)이 함체(110)와 투명도어(120)의 결합부분을 가리고 있기 때문에,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함체(110)와 투명도어(120)의 사이틈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해줄 수 있다.
힌지유닛(130)은 함체(110)의 하면전단과 투명도어(120)의 하면후단을 연결하여 투명도어(120)를 함체(110)에 대해 힌지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힌지유닛(130)은 함체(110) 쪽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131)와, 투명도어(120) 쪽에 설치되는 제2힌지부(135)를 구비하며, 제1힌지부(131)와 제2힌지부(135)는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됨으로써, 투명도어(120)가 함체(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1힌지부(131)는 함체(110)의 상면 전단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제1힌지부(131)는 함체(110)의 하면 전단으로부터 "C"형태로 굴곡지게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아치부재(132)와, 한 쌍의 제1아치부재(13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체(110)의 하면 전단으로부터 "C"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되, 한 쌍의 제1아치부재(132)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하나의 제2아치부재(133)로 구성된다.
또한, 제2힌지부(135)는 제1힌지부(131)에 대응되게 투명도어(120)의 하면 후단에 서로 이격되게 하나씩 형성된다.
제2힌지부(135)는 투명도어(120)의 하면 후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136)와, 이 한 쌍의 지지대(136)를 연결하며, 한 쌍의 제1아치부재(132)와 제2아치부재(133)의 사이에 끼움조립되는 힌지축(137)으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지지대(136)의 사이 거리는 제1힌지부재(131)의 전체길이 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힌지축(137)을 상기 제1힌지부(131)의 제1아치부재(132)와 제2아치부재(133) 사이에 끼워줌으로써 손쉽게 투명도어(120)를 함체(11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는 투명도어(120)가 함체(110)에 힌지가능하게 회동될 수 있다.
흡착판(140)은 함체(110)를 욕실, 사우나, 대중목욕탕 등의 벽면에 진공흡착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흡착판(140)의 중앙에 후방으로 끼움돌기(143)가 형성되며, 끼움돌기(143)를 함체(110)에 형성된 끼움홈부(115)에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흡착판(140)은 끼움홈부(115)의 수에 대응되게 4개로 구성되나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흡착판(140)이 끼움홈부(115)에 고정된 상태에서 욕실, 사우나, 대중목욕탕 등의 벽면에 흡착고정됨으로써, 본 고안의 방수 거치함이 벽면에 고정장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방수 거치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욕실, 사우나, 대중목욕탕의 벽면 등에 고정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한정되지 않고,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지면에 세워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체(110)의 하면에는 하향돌출되게 서로 이격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117)이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편(117)의 하단은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도 6과 같이, 한 쌍의 지지편(117)에 의해 함체(110)와 투명도어(120)가 지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지지편(117)은 함체(110)와 투명도어(120)를 세워두기 위한 기능을 할 뿐 아니라, 도 8과 같이, 도어(120)가 함체(110)에 대해 회동하여 함체(110)에 대해 개방될 경우, 도어(12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기능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어(120)가 함체(110)에 대해 회동하여 개방될 경우, 도어(120)가 함체(110)에 대해 대략 90도의 각도가 된 상태에서, 도어(120)의 하면이 지지판(117)의 전단에 닿게 되어 더 이상 도어(120)가 회동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은 도어(120)가 함체(110)에 대해 9대략 90도로 열리는 구성이므로, 도 8과 같이, 도어(120)가 함체(110)에 대해 개방된 상태에서 거치판(113)에 의해 거치된 휴대전자기기가 함체(110)로부터 떨어지더라도 도어(120)가 휴대전자기기를 받아주기 때문에 휴대전자기기가 본 고안의 방수 거치함으로부터 떨어져 충격받아 손상되는 일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커버부(15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함체(110)의 양측면 하단부에 각각 연장형성되며, 함체(110)의 양측면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인출공(116)을 감싸도록 구성하여 위에서 낙하하는 물이 한 쌍의 인출공(116)을 통해 함체(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제 1 실시 예에서는 인출공(16)과 커버부(150)가 함체(110)의 일측면 하부에 하나만 형성되는 구조였으나, 제 2 실시 예에서는 인출공(116)과 커버부(150)가 함체(110)의 양측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휴대전자기기의 안테나뿐만 아니라, 충전선과 같은 여타의 부속품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본 고안의 인출공(116)의 하단은 도 9와 같이, 함체(110)의 하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물이 함체(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제 2 실시 예의 방수 거치함은 투명도어(120)를 열어 함체(110)의 거치판(113)에 스마트폰(P)을 거치한 다음, 투명도어(120)를 닫고, 흡착판(140)을 통해 함체(110)를 벽면에 흡착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의 DMB안테나 충전선등을 사용할 경우, 한 쌍의 인출공(116)을 통해 한 쌍의 커버부(150)의 개방부 외측으로 인출하여 함체(110)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사용자가 가정욕실이나, 대중목욕탕, 사우나, 수영장 등에서 목욕이나 물놀이 등을 할 때, 본 고안의 방수 거치대를 이용해 방수 거치함 내에 스마트폰 등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하여 물로부터 보호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화면영상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안테나를 한 쌍의 인출공(116) 중 하나를 통해 인출하여 DMB등을 시청할수 있으며, 또한, 충전선을 한 쌍의 인출공(116) 중 하나를 통해 인출하여 휴대기기 사용중에도 충전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함체(110) 내에 안착시킨 후에 함체(110)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먼저 흡착판(140)을 이용해 벽면에 흡착고정시킨 다음, 투명도어(120)를 열고 스마트폰(P)을 함체(110)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 본 고안은 함체(110)를 벽면에 흡착판(140)을 통해 흡착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한 쌍의 지지편(117)을 통해 세워둔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 내지 1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방수 거치함은 스마트폰(P)이 내부에 함체(110) 내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스마트폰(P)을 터치조작할 수 있는 터치조작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조작부재(160)는 "U" 형태로 된 전도성재질로 된 조작몸체(161)와, 이 조작몸체(161)의 일단에 전방을 향해 설치되는 제1전도성돌기(163), 조작몸체(161)의 타단에 전방을 향해 설치되는 제2전도성돌기(164) 및, 조작몸체(161)의 타단에 후방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65)로 구성된다. 이때, 조작몸체(161)의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걸림편(167)이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며, 제1전도성돌기(163)와 제2전도성돌기(164)는 전도성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터치조작부재(160)는 조작몸체(161)가 투명도어(120)의 제1슬릿공(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65)를 잡고, 스마트폰(P)의 터치패널의 원하는 지점을 향해 밀면, 제1전도성돌기(163)가 스마트폰(P)의 터치패널의 원하는 지점에 닿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터치조작을 해주게 된다.
본 고안에서 조작몸체(161)의 두께는 미세슬릿공(124) 보다 작도록 구성되며, 걸림편(167)의 전후길이는 미세슬릿공(124)의 폭보다 길도록 구성됨으로써, 터치조작부재(160)를 사용할 때는 조작몸체(161)의 하부가 제1슬릿공(123)의 영역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터치조작을 할 수 있으며, 터치조작부재(16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4 및 도 15와 같이, 터치조작부재(160)를 투명도어(120)의 측방으로(우측단부) 이동시켜 걸림편(167)을 미세슬릿공(124)에 걸어둠으로써, 터치조작부재(160)를 보관상태로 걸어둘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투명도어(120)가 함체(110)에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물이 투명도어(120)와 함체(11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13과 같이, 함체(110)의 전단 테두리에는 제1단차부(112)가 형성되고, 투명도어(120)의 후단테두리에는 제1단차부(112)에 안착되는 제2단차부(122)가 형성된다. 제 1 실시 예에서는 도 4와 같이, 제2단차부(22)가 제1단차부(12)의 하단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을 덮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제 2 실시 예에서는 도 13과 같이, 제2단차부(122)가 이중으로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져, 제1단차부(112)의 하단면을 포함한 전체면을 덮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외부의 물이 투명도어(120)와 함체(111)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 13과 같이, 투명도어(120)의 하면 테두리에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돌출편(127)이 연장형성되어, 투명도어(120)의 전면과 측면을 타고 물이 돌출편(127)을 따라 흘러서 내려 가기 때문에, 투명도어(120)의 전면과 측면을 타고 물이 투명도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3과 같이, 함체(110)의 후면과 제1경사면(111)이 만나는 모서리, 투명도어(120)의 전면과 제2경사면(121)이 만나는 모서리, 연장편(125)과 제2경사면(121)이 만나는 모서리는 둥글게 라운딩형태(r)로 처리되어 있어, 물이 보다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어 물이 함체(110)나 투명도어(120)의 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해준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실시 예에서 연장편(125)에는 기업이나 제품의 로고나 홍보문구가 인쇄 등으로 형태로 표시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흡착판(140)은 각각 개별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6과 같이, 베이스판(145)의 전면에 다수의 흡착판(147)들이 형성되고, 베이스판(145)의 후면에 4개의 끼움홈부(115)에 대응되도록 4개의 끼움돌기(148)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끼움돌기(148)를 함체(110)의 후면에 형성된 4개의 끼움홈부(115)에 끼움고정하고, 욕실등의 벽면에 다수의 흡착판(147)을 진공흡착시킴으로써, 더욱 강력하게 함체(110)를 벽면에 고정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110...함체
13,113...거치판
14...이탈방지리브
20,120...투명도어
123...제1슬릿공
124...미세슬릿공
30,130...힌지유닛
31,131...제1힌지부
35,135...제2힌지부
40,140...흡착판
50,150...커버부
160...터치조작부재
161...조작몸체
163...제1전도성돌기
164...제2전도성돌기
165...손잡이부
167...걸림편

Claims (9)

  1. 전방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휴대전자기기가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측면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이 형성되며, 하면 전단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는 거치판을 구비하는 함체;
    후방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상기 함체에 힌지되게 설치되며, 외부에서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제1슬릿공이 형성된 투명도어;
    상기 함체와 상기 투명도어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유닛;
    상기 함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함체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함체의 좌측면 하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낙하는 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을 통해 상기 함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제1슬릿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함체내에 거치된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외부에서 터치조작하는 터치조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도어가 상기 함체를 닫은 상태에서 물이 상기 투명도어와 상기 함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함체의 전방 테두리에는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도어의 후방 테두리에는 상기 제1단차부에 안착되는 제2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함체의 상면 전단 또는 하면 전단에 서로 이격형성되는 한 쌍의 제1힌지부; 및,
    상기 투명도어의 상면 후단 또는 하면 후단에 서로 이격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힌지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힌지부 각각은,
    상기 함체의 상면 전단 또는 하면 전단으로부터 "C"자 형태로 굴곡지게 연장형성되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아치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아치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함체의 상면 전단 또는 하면 전단으로부터 "C"자 형태로 굴곡지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1아치부재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2아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힌지부 각각은,
    상기 투명도어의 상면 후단 또는 하면 후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한쌍의 지지대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제1아치부재와 상기 제2아치부재의 사이에 끼움조립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함체 및 상기 투명도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함체의 상면에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도어의 상면에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투명도어의 상단에는 수평되게 연장형성되는 연장편을 구비하여, 상기 함체와 상기 투명도어의 결합부분을 통해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터치조작부재는
    상기 "U"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슬릿공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슬릿공을 통해 움직이는 조작몸체;
    상기 조작몸체의 일단에 전방으로 형성되는 제1전도성돌기;
    상기 조작몸체의 타단에 전방으로 형성되는 제2전도성돌기; 및,
    상기 조작몸체의 타단에 후방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도어의 하면에는 상기 제1슬릿공의 측단에 연결되도록 미세슬릿공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조작부재는, 상기 조작몸체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미세슬릿공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출공은 안테나와 충전선을 인출하도록 2개로 구성되어, 상기 함체의 양측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2개로 구성되어 상기 2개의 인출공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150008040U 2015-04-10 2015-12-08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 KR20048389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2293 2015-04-10
KR2020150002293 2015-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31U KR20160003631U (ko) 2016-10-19
KR200483894Y1 true KR200483894Y1 (ko) 2017-07-06

Family

ID=5723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040U KR200483894Y1 (ko) 2015-04-10 2015-12-08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034A (ko) * 2017-01-09 2018-07-18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제통풍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좌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154B2 (ja) * 1992-07-27 2001-06-04 昭和電工株式会社 1,1,1,2テトラフルオロエタンの製法
KR101184437B1 (ko) * 2011-04-05 2012-09-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실 스피커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318A (ko) 2003-01-22 2004-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3173154U (ja) * 2011-11-08 2012-01-26 和子 藤野 防水読書袋
KR20130006934U (ko) 2012-05-23 2013-12-03 김남철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154B2 (ja) * 1992-07-27 2001-06-04 昭和電工株式会社 1,1,1,2テトラフルオロエタンの製法
KR101184437B1 (ko) * 2011-04-05 2012-09-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실 스피커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31U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551B1 (ko) 냉장고
KR100992436B1 (ko) 태블릿pc용 케이스
CN107367115B (zh) 冰箱
US8960826B2 (en) Refrigerator
US20130098938A1 (en) Wipes dispenser
US8605458B2 (en) Floating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protective case having the same
KR20110006035U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KR200483894Y1 (ko) 휴대전자기기용 방수 거치함
JP6936899B2 (ja) 冷蔵庫
KR101476928B1 (ko) 프로젝터 스크린 복합형 장식장
KR20120015406A (ko)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KR101549042B1 (ko) 배선 및 스마트폰 거치대가 구비된 테이블
KR20130041050A (ko)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필름 부착용 가이드 장치
KR200488893Y1 (ko) 태블릿 내장형 거치대
JP2007086647A (ja) 表示装置
JP7228807B2 (ja) 鏡装置
KR200456664Y1 (ko) 수납부위를 가진 휴지걸이 조립체
KR20130006934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1249731B1 (ko) 가구 문이 슬라이딩 되는 중에도 디스플레이를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수납 가구
KR20120116332A (ko) 기능성 힌지를 가진 모바일 전자기기 케이스
CN211403945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互动桌面显示器
KR1015978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36138B1 (ko) 케이스
CN216490602U (zh) 支架保护壳
TW201900521A (zh) 一種收納電子設備的儀器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