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877Y1 -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 Google Patents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877Y1
KR200483877Y1 KR2020150005885U KR20150005885U KR200483877Y1 KR 200483877 Y1 KR200483877 Y1 KR 200483877Y1 KR 2020150005885 U KR2020150005885 U KR 2020150005885U KR 20150005885 U KR20150005885 U KR 20150005885U KR 200483877 Y1 KR200483877 Y1 KR 200483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le
disk
valve body
shaft r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933U (ko
Inventor
이준구
Original Assignee
(주)히릭스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히릭스태화 filed Critical (주)히릭스태화
Priority to KR2020150005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7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9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9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react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1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6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and remaining closed after return of the normal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밸브몸체에 외측배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배출공을 개폐하는 외측디스크의 내측에 내측디스크를 포함하는 내측배출공을 형성하여 상기 외측디스크 및 내측디스크가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통한 유체의 이중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를 제공함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밸브몸체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외측유입공을 통해 유체가 밸브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밸브몸체 하부의 외측배출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하되, 상기 외측배출공의 내부에 외측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디스크는 밸브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작동축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축의 메인 축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탄지부에 의해 상기 외측디스크가 외측배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외측디스크의 측면에 형성된 내측유입공을 통해 유체가 외측디스크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외측디스크 하부의 내측배출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하되, 상기 내측배출공의 내부에 내측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디스크는 밸브몸체 및 외측디스크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작동축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축의 서브 축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탄지부에 의해 상기 내측디스크가 내측배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Auto control orifice valve with double spray function}
본 고안은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몸체에 외측배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배출공을 개폐하는 외측디스크의 내측에 내측디스크를 포함하는 내측배출공을 형성하여 상기 외측디스크 및 내측디스크가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통한 유체의 이중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리피스(orifice)는 유압배관 또는 착압식 유량계 등에서 유체가 흐르는 통로를 단면에 비해 좁혀지도록 하여 관로상에서 유량제어와 감압 등의 변환작용을 하는데 사용되며, 이때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특성은 밀도의 변화가 없는 비점성, 등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오리피스의 원리를 이용하여 관로 상에 흐르는 유량 및 압력을 임의도 가변조절하기 위한 이른바 오리피스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리피스 밸브는 구동을 위해 에어배관, 전기배관 및 계장을 포함해야하기 때문에 설치공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체가 종래의 오리피스 밸브의 통공를 통과하면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발생되어 유체의 공동화 현상이 발생될 우려성이 있으며, 유체의 소용돌이 현상이 생길 경우 설비 및 관내에 진공이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0448291호(2010.03.29.공고.)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는 플랜지 구조를 이루는 몸체의 내측에 스탑와셔를 통해 전달된 유체의 압력에 따라 압력조절스프링을 수축 또는 복원하여 디스크의 개폐율을 변위시킴으로써 유체흐름의 단면적(유량)을 비례 제어할 수 있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고, 또다른 목적으로 배관에서 요구하는 허용압력이 변경시 압력조정이 더욱 용이하며,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여 와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과 배관 사이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도록 원통상을 이루는 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중앙에 배출공(14)이 구비된 상·하부 플랜지(11)(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일측 선단에 수나사부(21)와, 타측 선단에 디스크(Disk; 22)를 일체로 포함하는 축봉(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나사부(21)에는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전달받는 스탑와셔(Stop Washer; 30)가 록너트(Lock Nut; 31)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스탑와셔(30)의 하측으로는 탄성수축되는 압력조절스프링(Regulating Tention Spring; 40)과 소용돌이방지부(Vortex Breaker; 5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소용돌이방지부(50)는 압력조절스프링(40)의 이탈을 방지하며 내측에는 관통공(54)이 형성된 고정부(52)와, 상기 압력조절스프링(40)의 하부를 지지하는 안착부(53)가 형성되며, 와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유체의 진행방향에 따라 형성된 경사면에는 복수의 유입공(51)이 구비되며, 상기 디스크(22)는 경사부(23)와, 상기 경사부(23)의 선단에 형성된 라운딩부(Rounding part; 24)로 이루어져 절두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4)에는 스탑와셔(30)로 인한 압력조절스프링(40)의 수축 또는 복원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걸림부(15)가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는, 유체가 개방된 배출공과 상기 배출공의 중앙부에 구비된 디스크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만 배출되고 디스크의 중앙부는 막혀 유체가 배출될 수 없게 됨으로써 이 역시 데드 스페이스에 의한 유체의 공동화 현상 및, 유체의 와류 현상에 의한 진공으로 유체 흐름을 저해하고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전혀 배제할 수 없어 기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0448291호(2010.03.29.공고.)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밸브몸체에 외측배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배출공을 개폐하는 외측디스크의 내측에 내측디스크를 포함하는 내측배출공을 형성하여 상기 외측디스크 및 내측디스크가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통한 유체의 이중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의 한 형태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의 한 형태는, 밸브몸체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외측유입공을 통해 유체가 밸브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밸브몸체 하부의 외측배출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하되, 상기 외측배출공의 내부에 외측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디스크는 밸브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작동축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축의 메인 축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탄지부에 의해 상기 외측디스크가 외측배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외측디스크의 측면에 형성된 내측유입공을 통해 유체가 외측디스크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외측디스크 하부의 내측배출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하되, 상기 내측배출공의 내부에 내측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디스크는 밸브몸체 및 외측디스크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작동축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축의 서브 축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탄지부에 의해 상기 내측디스크가 내측배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디스크는, 상기 외측디스크 몸체의 상.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동일 직경의 축지부와 내측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축지부의 상부측 중앙부와 측면부에 각각 축관통공과 외측유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돌출부의 하부측 중앙부에 내측배출공을 하고, 상기 축관통공과 내측배출공의 사이에 배출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공간부는 상기 축관통공과 내측배출공에 연통되게 형성한 것과; 상기 작동축의 서브 축봉은, 메인 축봉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메인 축봉의 직하부에 동일축 선상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축봉 및 서브 축봉은 각각 단부측에 제1 수나사부 및 제2 수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메인 축봉의 하단부에 상기 축지부의 축관통공보다 큰 직경의 걸림턱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축관통공 내부의 메인 축봉은 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축지부에 고정되어 외측디스크와 함께 상하로 연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탄지부는, 상기 메인 축봉의 제1 수나사부에 메인 스탑와셔를 제1 록너트로 체결 및 고정하고, 상기 메인 스탑와셔와 밸브몸체의 스프링 지지대 사이의 메인 축봉 외측에 압축조절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 지지대를 상측 방향으로 탄력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과; 상기 제2 탄지부는, 상기 서브 축봉의 제2 수나사부에 서브 스탑와셔를 제2 록너트로 체결 및 고정하고, 상기 서브 스탑와셔와 내측디스크 사이의 서브 축봉 외측에 인장조절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내측디스크를 외측디스크의 내측배출공 측으로 탄력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동축에 설치된 메인 스탑와셔가 유체의 압력을 받아 메인 스탑와셔 및 작동축이 하강하면, 작동축과 함께 외측디스크 및 내측디스크가 연동하여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개방하고, 메인 스탑와셔에 대한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거나 메인 스탑와셔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이 압축조절스프링의 설정압력보다 낮아 압축조절스프링 및 인장조절스프링이 복원되어 메인 스탑와셔 및 작동축이 상승하면, 상기 작동축과 함께 외측디스크 및 내측디스크가 연동하여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폐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통한 유체의 이중분사가 이루어져 유체 흐름의 원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 저감의 현저성으로 기기의 성능 및 질적 향상은 물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의 전체적인 형상 및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작동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의 전체적인 형상 및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작동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도 4b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의 전체적인 형상 및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작동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b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에서와 같이 밸브몸체(11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외측유입공(114)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유입공(114)을 통해 유체가 밸브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이 유입된 유체는 밸브몸체(110)의 외측배출공(115)을 배출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외측배출공(115)의 내부에 외측디스크(120)가 구비되어 상기 외측디스크(120)에 의해 외측배출공(115)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외측디스크(120)는 밸브몸체(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작동축(140)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축(140)의 메인 축봉(14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탄지부(150)에 의해 상기 외측디스크(120)가 외측배출공(115)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외측배출공(115)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디스크(120)의 측면에 내측유입공(122b)을 형성하여 유체가 상기 내측유입공(122b)을 통해 외측디스크(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외측디스크(120)의 내부에 유입된 유체는 외측디스크(120) 하부측에 형성된 내측배출공(124)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내측배출공(124)의 내부에 내측디스크(130)가 구비되어 상기 내측디스크(130)에 의해 내측배출공(124)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내측디스크(130)는 밸브몸체(110) 및 외측디스크(12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작동축(140)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축(140)의 서브 축봉(14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탄지부(160)에 의해 내측배출공(124)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내측배출공(124)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밸브몸체(110)는 상부측 스프링 지지대(111)와 하부측 플랜지(112) 사이의 측면을 따라 소용돌이 방지부(113)와 외측유입공(114)이 복수개로 반복 형성되고, 하부측 플랜지(112)의 중앙부에 상기 외측유입공(114)에 연통하게 외측배출공(115)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배출공(115)의 직하부에 개폐돌부(11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돌부(116)는 내측면에 외측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면을 이루는 제1 디스크 접촉면(116a)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외측디스크(120)는 상기 밸브몸체(110)의 외측배출공(115) 및 제1 디스크 접촉면(116a)에 대응되는 직경 및 형상으로 외측디스크 몸체(121)를 구성하고, 상기 제1 디스크 몸체(116a)의 수직 방향으로 축지부(122)와 내측돌출부(123)가 일체로 동일 직경으로 외측디스크 몸체(121)의 상.하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축지부(122)의 상부측 중앙부에 축관통공(122a)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돌출부(123)의 하부측 중앙부에 내측배출공(124)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배출공(124)은 내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제2 디스크 접촉면(124a)을 갖고, 상기 축관통공(122a)과 내측배출공(124)의 사이에 배출공간부(125)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간부(125)는 상기 축관통공(122a)과 내측배출공(124)에 연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디스크(130)는 상기 외측디스크(120)의 내측배출공(124) 및 제2 디스크 접촉면(124a)에 대응되는 직경 및 형상으로 내측디스크 몸체(131)를 구성하고, 중앙부에 축삽입공(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축(140)은 상기 밸브몸체(110)와 외측디스크(120) 및 내측디스크(130)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몸체(110)의 스프링 지지대(111)에 축설공(111a)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디스크(120)의 축지부(122) 상측 중앙부에 축관통공(122a)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디스크(130)의 중앙부에 축삽입공(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작동축(140)은 상부에 제1 수나사부(141a)를 갖는 수직의 메인 축봉(141)과, 메인 축봉(141)의 하부에 상기 메인 축봉(14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제2 수나사부(142a)를 갖는 수직의 서브 축봉(142)이 수직의 동축선 상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메인 축봉(141)의 하단부에는 축관통공(122a)보다 큰 직경의 걸림턱부(14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관통공(122a) 안의 메인 축봉(141)은 고정수단(144)에 의해서 상기 축지부(122)에 고정되어 외측디스크(120)와 함께 연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 탄지부(150)는 상기 메인 축봉(141)의 제1 수나사부(141a)에 메인 스탑와셔(151)를 제1 록너트(152)로 체결 및 고정하고, 상기 메인 스탑와셔(151)와 밸브몸체(110)의 스프링 지지대(111) 사이의 메인 축봉(141) 외측에 압축조절스프링(153)을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 지지대(111)를 상측 방향으로 탄력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 지지대(111)는 제1 압축조절스프링(153)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부(111b)와 상기 제1 압축조절스프링(153)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안착부(111c)를 상.하로 일체로 형성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2 탄지부(160): 상기 서브 축봉(142)의 제2 수나사부(142a)에 서브 스탑와셔(161)를 제2 록너트(162)로 체결 및 고정하고, 상기 서브 스탑와셔(161)와 내측디스크(130) 사이의 서브 축봉(142) 외측에 인장조절스프링(163)을 설치하여 상기 내측디스크(130)를 상측 방향으로 탄력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내측디스크(130)는 인장조절스프링(163)의 상부측이 삽입될 수 있는 스프링 삽입홈(164)을 더 포함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 4a 및 도 4b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작동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메인 스탑와셔(151)에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로서, 압축조절스프링(153)의 탄성력에 의해서 메인 스탑와셔(151) 및 작동축(140)에 상향의 당김력이 작용해 외측디스크(120)와 내측디스크(130)가 밸브몸체(110)의 외측배출공(115)과 외측디스크(120)의 내측배출공(124)을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 스탑와셔(151)에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메인 스탑와셔(151)는 작동축(140)을 메인 축봉(141)의 외측에 구비된 제1 탄지부(150)의 압축조절스프링(153)과 서브 축봉(142)의 외측에 구비된 제2 탄지부(160)의 인장조절스프링(16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조절스프링(153)은 압축되고, 인장조절스프링(163)은 인장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디스크(120)와 내측디스크(130)는 작동축(140)과 함께 하강하면서 밸브몸체(110)의 외측배출공(115)과 외측디스크(120)의 내측배출공(124)을 각각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체는 밸브몸체(110)의 외측유입공(114)과 외측디스크(120)의 내측유입공(122b)을 통해 상기 밸브몸체(110)와 외측디스크(120)의 내부에 각각 유입되고, 이 유입된 유체는 다시 개방된 밸브몸체(110)의 외측배출공(115)과 외측디스크(120)의 내측배출공(124)을 통해 함께 분사됨으로써 외측디스크(120)의 내.외측을 통한 유체의 이중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탄지부(150)의 메인 스탑와셔(151)에 대한 유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저감되거나 압력이 해제되면, 압축되었던 제1 탄지부(150)의 압축조절스프링(153)과, 인장되었던 제2 탄지부(160)의 인장조절스프링(163)이 각각 원상태로 팽창 및 수축됨으로써 상기 메인 스탑와셔(151) 및 작동축(140)이 다시 상승하게 되고, 외측디스크(120)와 내측디스크(130)도 상기 작동축(140)과 함께 상승하게 되어 밸브몸체(110)의 외측배출공(115)과 외측디스크(120)의 내측배출공(124)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제2 탄지부(160)의 인장조절스프링(163)이 수축하면서 내측디스크(130)를 폐쇄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므로 상기 내측디스크(130)에 의한 내측배출공(124)의 기밀을 요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본 고안은 작동축에 설치된 메인 스탑와셔가 유체의 압력을 받아 메인 스탑와셔 및 작동축이 하강하면, 작동축과 함께 외측디스크 및 내측디스크가 연동하여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개방하고, 메인 스탑와셔에 대한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거나 메인 스탑와셔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이 압축조절스프링의 설정압력보다 낮아 압축조절스프링 및 인장조절스프링이 복원되어 메인 스탑와셔 및 작동축이 상승하면, 상기 작동축과 함께 외측디스크 및 내측디스크가 연동하여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폐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외측배출공 및 내측배출공을 통한 유체의 이중분사가 이루어져 유체 흐름의 원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 저감의 현저성으로 기기의 성능 및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 진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 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10: 밸브몸체
111: 스프링 지지대 111a: 축설공
111b: 고정부 111c: 안착부
112: 플랜지 113: 소용돌이방지부
114: 외측유입공 115: 외측배출공
116: 개폐돌부 116a: 제1 디스크 접촉면
120: 외측디스크
121: 외측디스크 몸체 122: 축지부
122a: 축관통공 123: 내측돌출부
124: 내측배출공 124a: 제2 디스크 접촉면
125: 배출공간부
130: 내측디스크
131: 내측디스크 몸체 132: 축삽입공
140: 작동축
141: 메인 축봉 141a: 제1 수나사부
142: 서브 축봉 142a: 제2 수나사부
143: 걸림턱부 144: 고정수단
150: 제1 탄지부
151: 메인 스탑와셔 152: 제1 록너트
153: 압축조절스프링
160: 제2 탄지부
161: 서브 스탑와셔 162: 제2 록너트
163: 인장조절스프링 164: 스프링 삽입홈

Claims (3)

  1. 삭제
  2. 밸브몸체(11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외측유입공(114)을 통해 유체가 밸브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밸브몸체(110) 하부의 외측배출공(115)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하되, 상기 외측배출공(115)의 내부에 외측디스크(120)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디스크(120)는 밸브몸체(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작동축(140)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축(140)의 메인 축봉(14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탄지부(150)에 의해 상기 외측디스크(120)가 외측배출공(115)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외측디스크(120)의 측면에 형성된 내측유입공(122b)을 통해 유체가 외측디스크(1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외측디스크(120) 하부의 내측배출공(124)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하되, 상기 내측배출공(124)의 내부에 내측디스크(130)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디스크(130)는 밸브몸체(110) 및 외측디스크(12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작동축(140)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작동축(140)의 서브 축봉(14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 탄지부(160)에 의해 상기 내측디스크(130)가 내측배출공(124)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에 있어서,
    상기 외측디스크(120)는, 상기 외측디스크 몸체(121)의 상.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동일 직경의 축지부(122)와 내측돌출부(12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축지부(122)의 상부측 중앙부와 측면부에 각각 축관통공(122a)과 외측유입공(114)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돌출부(123)의 하부측 중앙부에 내측배출공(124)을 하고, 상기 축관통공(122a)과 내측배출공(124)의 사이에 배출공간부(125)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공간부(125)는 상기 축관통공(122a)과 내측배출공(124)에 연통되게 형성한 것과;
    상기 작동축(140)의 서브 축봉(142)은, 메인 축봉(141)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메인 축봉(141)의 직하부에 동일축 선상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축봉(141) 및 서브 축봉(142)은 각각 단부측에 제1 수나사부(141a) 및 제2 수나사부(142a)를 가지며, 상기 메인 축봉(141)의 하단부에 상기 축지부(122)의 축관통공(122a)보다 큰 직경의 걸림턱부(14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축관통공(122a) 내부의 메인 축봉(141)은 고정수단(144)에 의해서 상기 축지부(122)에 고정되어 외측디스크(120)와 함께 상하로 연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지부(150)는, 상기 메인 축봉(141)의 제1 수나사부(141a)에 메인 스탑와셔(151)를 제1 록너트(152)로 체결 및 고정하고, 상기 메인 스탑와셔(151)와 밸브몸체(110)의 스프링 지지대(111) 사이의 메인 축봉(141) 외측에 압축조절스프링(153)을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 지지대(111)를 상측 방향으로 탄력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과;
    상기 제2 탄지부(160)는, 상기 서브 축봉(142)의 제2 수나사부(142a)에 서브 스탑와셔(161)를 제2 록너트(162)로 체결 및 고정하고, 상기 서브 스탑와셔(161)와 내측디스크(130) 사이의 서브 축봉(142) 외측에 인장조절스프링(163)을 설치하여 상기 내측디스크(130)를 외측디스크(120)의 내측배출공(124) 측으로 탄력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KR2020150005885U 2015-09-03 2015-09-03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KR200483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85U KR200483877Y1 (ko) 2015-09-03 2015-09-03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85U KR200483877Y1 (ko) 2015-09-03 2015-09-03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33U KR20170000933U (ko) 2017-03-13
KR200483877Y1 true KR200483877Y1 (ko) 2017-07-05

Family

ID=5841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885U KR200483877Y1 (ko) 2015-09-03 2015-09-03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2334C (zh) * 2004-11-03 2008-06-04 得州仪器韩国有限公司 安装冰箱压缩机的连接组件的紧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4345B1 (en) 1999-07-12 2003-04-08 Asml U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situ cleaning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combination chemistries
DK2478279T3 (da) * 2009-09-15 2013-10-14 Eric Aarestrup Soerensen Udluftningsventil til lastetanke
KR200448291Y1 (ko) * 2009-11-23 2010-03-29 (주)히릭스태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2334C (zh) * 2004-11-03 2008-06-04 得州仪器韩国有限公司 安装冰箱压缩机的连接组件的紧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33U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371B2 (en) Anti-cavitation valve seat
JP6446468B2 (ja) 電子膨張弁
KR101096870B1 (ko) 댐퍼 기능을 가지는 체크밸브가 내장된 제어밸브
CN104455469A (zh) 一种节流串型多级减压调节阀
US10598288B2 (en) Cascaded controllable fluid control valve and valve trim for a fluid control valve
KR200483877Y1 (ko) 이중분사 기능을 갖는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CN110274036A (zh) 快速更换阀内件组件
KR20080089946A (ko)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US2604113A (en) Valve
CN109952464A (zh) 用于减少压力浪涌的装置
CN108131345B (zh) 一种高阻尼直动式溢流阀
KR101047850B1 (ko) 수충압 밸브
RU25483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отока газа
US11434970B2 (en) Damping valve for a vibration damper
EP2245347B1 (de) Kartusche
KR20090070553A (ko) 일정유량 조절밸브
CN113309897B (zh) 一种阀芯缓冲结构
CN102734248A (zh) 一种溢流阀
CN105587890B (zh) 一种泄压装置及具有该泄压装置的球阀
KR200448291Y1 (ko) 자동제어 오리피스 밸브
CN102829222A (zh) 一种可变压差流量控制阀
CN207349470U (zh) 调节阀
KR200421225Y1 (ko) 압력 조리기의 압력추
US20090101218A1 (en) Valve means
KR200473129Y1 (ko)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