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538Y1 -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538Y1
KR200483538Y1 KR2020160006031U KR20160006031U KR200483538Y1 KR 200483538 Y1 KR200483538 Y1 KR 200483538Y1 KR 2020160006031 U KR2020160006031 U KR 2020160006031U KR 20160006031 U KR20160006031 U KR 20160006031U KR 200483538 Y1 KR200483538 Y1 KR 200483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ransmission
shaft
valv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범
이조형
Original Assignee
오희범
이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희범, 이조형 filed Critical 오희범
Priority to KR2020160006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5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29Valves manu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3Control means
    • F17C2250/036Control means using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밸브셔터의 압축가스 용기 내의 가스가 예상치 못한 사고로, 예를 들어 화재나 지진 등의 각종 재난 사고 기타 오조작 등으로 가스 누출이 발생할 경우 가스 누출을 긴급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스 용기에 장착되는 밸브셔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셔터의 밸브 조작을 편리히게 하고, 가스통의 밸브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 구성 중 하나는 핸들(4)의 하부에는 기어조립체가 구성되고, 기어조립체 하부에는 하부프레임(35)이 구성되며, 하부프레임(35) 하부에는 커버(50)에 설치되며, 태엽의 풀리는 힘으로 가스밸브를 차단하도록 작동하는 구조를 갖는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핸들(4)의 상부 중앙에는 라쳇공(63)을 형성하여, 라쳇렌치(60)에 의한 조작으로 태엽을 감을 수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safe operating apparatus of valve shutter}
본 고안은 밸브셔터의 압축가스 용기 내의 가스가 예상치 못한 사고로, 예를 들어 화재나 지진 등의 각종 재난 사고 기타 오조작 등으로 가스 누출이 발생할 경우 가스 누출을 긴급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스 용기에 장착되는 밸브셔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셔터의 밸브 조작을 편리하게 하고, 가스통의 밸브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1
특허등록번호 : 제 10-1360312 호(등록일자 : 2014.02.03)
명칭 : 밸브 셔터(valve shutter)
상기 명칭의 문헌1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선등록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셔터 밸브의 구조와 유사한 인접 기술이다.
상기 종래 문헌의 기술은 누설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로는 셔터 밸브가 작동하여 가스통의 밸브를 잠그거나 또는 개방하여 오픈 상태로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가스밸브의 개폐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 이유는 통상적으로 가스통에 연결설치하는 잠금 밸브의 회전이 300도 정도 회전이면 정확히 잠금이나 해제 작동이 가능하나, 특정 가스통의 경우엔 300도의 회전만으로는 잠금이나 해제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가스 안전밸브의 개폐가 불확실하여 가스 누설 사고를 충분히 막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밸브 셔터의 구조에서는 최종 가스 밸브를 개방하고 잠그는 그 핸들축에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구조가 형성되어, 핸들축의 회전 제어시 강력한 충격을 주어 축에 무리한 힘이 전달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최종 가스 통의 안전밸브를 잠그는 동작에도 충격을 주어 안전하게 가스 차단 밸브를 작동시키지 못하는 단점도 발생한다.
또한 종래 경우, 밸브셔터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핸들을 돌리는데 많은 힘이 들어간다. 특히 핸들이 머리 위 높은 위치에 설치되면 작업자(조작자)가 조작하기 어렵고 힘들다. 예를들어 공장의 라인상에 많은 밸브셔터들이 설치된 경우, 손을 머리 위로 올려 손목을 꺾어서 핸들을 돌려야 하므로, 이러한 조작을 반복적으로 많이 오래 할 경우, 근골격계 질환에 걸리기도 한다. 핸들의 축 회전력은 최종 태엽을 감게 작동하는 바, 핸들을 회전시켜 태엽을 감을 경우, 하중이 최대 약 40키로 까지 걸린다. 따라서 공장 생산 라인에서 수많은 가스 탱크의 밸브 조작을 위한 태엽을 조이는 일도 매우 힘든 일 중 하나라고도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밸브셔터의 핸들 회전 조작을 매우 편리하게 하고, 아울러 가스 잠금 안전밸브의 개방 또는 잠금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막을 수 있도록 한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스 잠금 안전 밸브의 회전량이 300도 이상 충분히 회전되게 구성하여 밸브의 잠금과 개방의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핸들(4)의 하부에는 기어조립체가 구성되고, 기어조립체 하부에는 하부프레임(35)이 구성되며, 하부프레임(35) 하부에는 커버(50)에 설치되며, 태엽의 풀리는 힘으로 가스밸브를 차단하도록 작동하는 구조를 갖는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핸들(4)의 상부 중앙에는 라쳇공(63)을 형성하여, 라쳇렌치(60)에 의한 조작으로 태엽을 감을 수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라쳇공(63)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마모층(65)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4) 하단에는 소기어(11)가 형성되고, 소기어(11)는 전동축(12)에 장착된 전동기어(13)와 맞물리며, 전동기어(13)는 전달축(14)에 설치한 전달기어(15)와 맞물리고, 상기 전달축(14) 하부에는 제2전달기어(23)와 제1소기어(16)가 설치되며, 제2전달기어(23)는 상기 전동축(12)에 구성되는 소경기어(28)와 맞물리고, 소경기어(28)는 하부에 제2전동기어(24)를 갖추며, 제2전동기어(24)는 제2축(25)에 설치되는 제2축기어(26)와 맞물리며, 상기 제2전동기어(24) 하부에는 제어기어(17)가 설치되고, 제어기어(17)는 전달축(14) 하단에 구성되는 제1소기어(16)와 맞물리고, 제1소기어(16) 하부에의 전달축(14)에는 인디케이터(30)와 가스밸브(31)가 장착되게 구성하여, 태엽(2)이 감기고 풀릴때, 소기어(11), 전동기어(13), 전달기어(15), 제2전달기어(23), 소경기어(28)와 제2전동기어(24) 및 제2축기어(26)로 전달되게 하고, 그리고 제어기어(17)는 제1소기어(16)로 전달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35) 상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판(18)이 설치되고, 회전판(18) 외주에는 돌출면(33)이 형성되며, 돌출면(33)과 대향하여 거리감지센서가 내장된 방폭센서(40)를 설치하고, 상기 방폭센서(40) 후부에는 감지선(54)과 연결되게 구성하여, 돌출면(33)과 방폭센서(4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35)에는 절개홈(43)을 형성하여, 방폭센서(40)가 수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축기어(26)가 설치되는 제2축(25)에는 제2축(25)과 수평으로 교차 설치하는 고정바(27)를 갖추어, 고정바(27)의 상부에서 승하강하는 작동바(28)에 의해 걸리게 구성하여, 태엽의 힘을 고정바(27)의 회전 제어를 통해 저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라쳇렌치(60)를 휴대하여 들고 다면서 핸들의 회전 조작을 매우 적은 힘으로도 매우 쉽게 조작 가능하다. 특히 밸브가 머리 위의 높은 위치에 설치 된 경우,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여 준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현재 가스통의 밸브가 잠그어져 있는지 또는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가스의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리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가스통의 개방 여부를 연결된 제어장치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어 가스 누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큰 인명사고나 재산적 손실을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기어들의 조립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회전판(18)의 회전과 그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전달축(14)에 연결되는 인디케이터(30)와 가스밸브(31)를 보여 주는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도.
도 5 는 방폭센서(40)의 감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은 핸들(4)을 라쳇렌치(60)를 사용하여 돌리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
도 7 은 라쳇공(64)을 보여 주는 도면
도 8 은 라쳇렌치(60)와 핸들(4)을 분리한 도면
도 9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먼저 본 고안의 구성 중에서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밸브셔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밸브셔터는 핸들(4)을 좌회전시키면, 핸들축(3)이 회전하고 그에 따라 핸들축(3)에 형성한 태엽(2)이 감겨진다. 핸들축(3) 하부에는 작은 소기어(11)가 형성되고 그 좌측에는 전동축(12)에 형성한 전동기어(13)에 동력이 전달된다.
전동기어(13)는 또한 그 측부에 형성한 전달축(14)에 형성된 전달기어(15)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전달기어(15) 하부에는 전달축(14)과 동축으로 제2전달기어(23) 및 제2전달기어(23)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제1소기어(16)가 형성되어 전달기어(1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제1소기어(16)에는 전동축(12) 하부에 장착되며, 제1소기어(16)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제어기어(17)를 회전시킨다. 제어기어(17) 하부에는 회전판(18)이 스토퍼(19)와 함께 체결되어 있다. 스토퍼(19)는 회전판(18)의 외경보다 더 돌출되게 결합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핸들(4)을 좌회전시키면 태엽(2)을 감는 동작이 이루어지고, 그리고 여러 기어를 거쳐 최종 전달되는 기어 동력은 전달축(14) 하단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제2전동기어(24)도 회전시킨다.
전달축(14) 하단에는 후술하는 인디케이터가 결합 설치되고, 인디케이터에는 가스탱크의 개폐 밸브와 결합되어 있어 최종적으로 가스 밸브를 개방하는 좌회전을 시키게 된다. 이 경우 태엽(2)이 풀어지려는 힘에 의해, 인디케이터 및 가스밸브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즉, 한번 핸들(4)을 좌회전시키면 풀리지 않게 작동하는 제어 기구들이 구성된다.
그에 대한 구성과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도 1 에서 핸들(4)의 감는 방향 반대로 놓아두면 제자리로 돌아가는 바, 이때 태엽(2)의 풀리고자 하는 힘에 의해 핸들축(3)이 역회전하는데, 그 역회전 동력은 소기어(11), 전동기어(13) 거쳐 전달기어(15)로 전달된다. 전달기어(15) 하측에는 제2전달기어(23)가 형성되어 있어 전달기어(1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제2전달기어(23)는 전동축(12)에 설치되는 제2전동기어(24)에 동력 전달한다. 제2전동기어(24)는 동일한 몸체 상부에 제2전동기어(24)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소경기어(28)를 갖추고 있어, 제2전달기어(23)과 맞물려 회전시, 제2전달기어(23)의 회전 보다 많은 회전수가 전달되게 구성된다.
제2전동기어(24)는 그 측부에 제2축(25)에 형성되며 제2전동기어(24)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제2축기어(26)에 전달된다. 제2축(25)에는 고정바(27)가 가로로 설치되어 있어 제2축기어(26)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핸들(4)의 회전에 의해 회전수 보다 적은 회전이 전달축(14)의 전달기어(15)에 전달되나 그 하부에 구성되는 제2전달기어(23)와 소경기어(28)의 결합에 의해 소경기어(28)의 회전수가 증가되고 그리고 한번 더 제2전동기어(24)와 그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제2축기어(26)의 조합에 의해 제2축(25)이 회전수가 더욱 많아 진다.
한편, 제2축기어(26) 상부엔 고정바(27)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작동바(28)가 승하강하게 구성된다. 작동바(28)는 안전장치로, 평상시에는 작동바(28)가 하강하여 고정바(27)에 걸치고 있으면 고정바(27)가 회전하지 못한다. 즉, 이 경우 앞선 설명에서와 같이 핸들(4)을 좌회전시키면 태엽의 감는 힘이 전달기어(14)의 회전에 따라 동축으로 결합된 제2전달기어(23) 및 제1소기어(16)가 함께 회전하여, 제2전달기어(23)의 힘은 제2전동기어(24) 및 제2축기어(26)에 전달되고, 제1소기어(16)는 제어기어(17)에 각각 전달된다. 이때 고정바(27)가 작동바(28)의 하강으로 인해, 작동바(28)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면 태엽(2)의 풀리고자 하는 힘이 저축된다. 즉 태엽이 풀리지 않게 제어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만약 가스통이 누설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긴급 조치로 작동바(28)를 상승 작동시키면 억제된 태엽(2)의 감긴 힘이 해제되어 풀어지므로 그 회전력이 전달축(14)에 전달되어 전달축(14) 하단에 최종 연결되는 가스통의 밸브를 긴급하게 잠그는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회전판(18)의 외경 인접한 위치에는 도 2 에 보듯이, 제1,2제어핀(20,21)을 설치하였다. 그리하여 핸들(4)을 좌회전시켜 태엽을 감은 상태로 만들 경우, 회전판(18)이 제1제어핀(20) 위치에서 제2제어핀(21) 위치까지 회전 가능하다. 회전판(18)과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어기어(17)는 제1소기어(16)와 결합되어 있어서, 전달축(14) 하부에 결합되는 가스통의 밸브를 개방하거나 잠글 수 있다.
이때 종래 경우, 최종 가스통의 밸브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축(14)의 회전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가스통의 밸브를 충분히 개폐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가스통의 종류에 따라 가스 밸브의 충분한 잠금과 충분한 개방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300도 정도의 회전이면 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있으나, 가스통의 종류에 따라 그 이상의 회전량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에는 밸브의 개폐가 충분하지 못하여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으며 가스의 충분한 공급 및 완전한 차단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달축(14)의 회전량이 더욱 많아지도록 도 1 과 같은 구조로 개선한 것이다. 즉, 회전판(18)의 구성을 전동축(12)에 형성시키고 이와 함께 회전하는 제어기어(17)가 제1소기어(16)에 물려 전달축(14)이 회전되게하여 전달축(14)의 회전량이 더욱 커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어기어(17)와 제1소기어(16)의 회전비는 1:3 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어기어(17)가 1 회전하면 제1소기어(16)는 3 회전을 한다. 본 발명에서 전달축(14)이 540도까지 회전이 가능한 이유는 제어기어(17)가 180도 회전하면 제1소기어(16)가 180×3 = 540도 회전하는 원리이다. 그리하여 전달축(1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가스밸브의 개방과 폐쇄가 더욱 확실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도 3 은 전달축(14)에 연결되는 인디케이터(30)를 나타낸다.
인디케이터(30)는 외주에 회전 정도나 상태를 표시하는 여러 표시를 한다. 예를 들어 아라비아 숫자를 붙여 어느 단계의 개방이나 폐쇄 상태 또는 회전 각도 정도를 보여주거나 밸브가 개방되었는지 폐쇄되어 있는지 등의 원하는 표시를 인식할 수 있게 표기할 수 있다 .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인디케이터(30)가 360도 이상을 회전하므로 360도 이상 회전시에는 도면에서 보듯이 인디케이터(30) 외면의 표기를 상하부로 나누어, 360도 이상의 회전량의 상태에서는 최초 표기지점 상부에 연속하여 소정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30) 내경에는 가스 밸브(31)가 삽입 결합되어 전달축(14)의 회전이 인디케이터(30)에 전달되어 회전되고 그에 따라 가스 밸브(31)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전달축(14)의 회전이 540도까지 가능하여 가스 밸브(31)의 개방이나 잠금 동작이 매우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각종 가스통의 가스밸브(31)의 회전량에 따라 잠금과 개방의 정도가 다른 여러 가스밸브에 대하여도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한정된 공간에서 매우 콤팩트하게 이루어져 있어, 부피가 증가함이 없이 종래의 기어 조립체 내 공간 구조 내에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최종 가스 밸브를 개방하고 잠그는 전달축(14)에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전달축(14)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최종 가스 통의 안전밸브를 잠그는 동작에도 충격을 주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가스 차단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2 에 도시한 돌출면(33)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회전판(18)이 설치된 하부프레임(35)을 일부 분해하여 본 것이고, 그 아래에 도시한 커버(50)는 하부 내부에는 인디케이터(30)가 수용되며, 상부의 상면(42)에는 하부프레임(35)이 안착된다.
하부프레임(35)에는 절개홈(43)이 형성되어 있어 거리감지센서가 내장된 방폭센서(40)가 이곳에 위치한다. 그러면 도 5 에서 보듯이, 방폭센서(40)가 돌출면(33)과 마주하는 위치가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판(18)이 소정량 이상 회전하면 즉, 돌출면(33)이 "a" 각도 범위를 벗어나면, 돌출면(33)과 방폭센서(40)와의 거리가 멀어진다. 그러면 근접물 인식이 안되어 인식되지 않음을 내장된 방폭센서(40)가 제어장치(미도시)에 보낸다. 그러면 제어장치에서는 밸브의 개폐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예를들어 돌출면(33)이 "a" 각도 범위를 벗어나면 가스통의 밸브가 열려 가스가 나오고 있는 상태임을 인식시켜준다,
방폭센서(40)는 커버(50)의 상부에 설치되되, 감지선(54)과 연결 가능하게 설치된다. 감지선(54)은 방폭센서(40)에서 감지된 센서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도선이다. 방폭센서(40)는 커버(50)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체(55)에 고정되는데, 고정체(55)에는 방폭센서(40)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여 방폭센서(40)를 이 통공에 삽입한 후, 고정너트(56)로 단단히 고정한다.
이상에서 보듯이, 회전판(18)에 설치하는 돌출면(33)과 방폭센서(40)의 구조에 의해 가스통의 밸브 개폐상태를 쉽게 그리고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어 가스 안전사고의 예방에 더욱 도움이 된다. 가스누출로 인한 사고는 다른 어떤 사고 보다 재산상 및 인명상 큰 손실을 가져다 주므로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치 않다고 할 수 있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라 핸들(4)에 라쳇렌치(60)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라쳇렌치(60)를 핸들(4) 중앙에 형성한 구멍에 넣고 핸들(4)을 돌리면 태엽(2)을 쉽게 감을 수 있다. 라쳇렌치(60)는 그 자체가 한 방향으로만 힘이 가해지고 반대 방향으로는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핸들(4)을 태엽이 감기는 방향인 한 방향으로만 힘을 가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종래의 경우엔 핸들(4)을 잡고 힘을 주어 돌리므로, 핸들(4)을 잡는 악력이 필요하고 그 악력으로 또한 힘을 풀지 않고 계속하여 더욱 힘을 가하여 핸들(4)을 돌려야 하므로, 손목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손목을 쉽게 다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라쳇렌치(60)의 손잡이(61)를 잡고 돌리므로 힘이 적게 든다. 라쳇렌치(60)의 손잡이(61)가 형성된 구조로 돌리면, 손잡이에 의한 토오크력이 크게 되어 적은 힘으로도 큰 회전력을 전달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손잡이(61)가 길면 길수록 적은 힘으로도 돌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너무 길면 휴대하여 다니기에 불편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종래 경우 최대 약 40키로그램 정도까지 힘이 걸리는 핸들(4)을 많이 오래 감다 보면 손목에 무리가 와 손목터널증후근 등을 포함하는 근골격계질환 증상을 호소하는 작업자들이 많았었다. 특히 핸들(4)이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 손을 들어올려 손목을 꺾어서 핸들(4)을 돌려야 함으로 인해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다.
도 7 은 라쳇렌치(60)를 제거하여 본 상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60)의 상부 중앙에는 라쳇이 삽입 가능한 라쳇공(63)이 형성되어 있다.
도 8 은 라쳇렌치(60)와 핸들(4)을 분해하여 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라쳇렌치(60)에는 삽입축(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축(64)의 형상에 맞게 핸들(4)에는 라쳇공(63)이 형성되어 있다.
도 9 는 라쳇공(63) 내면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내마모층(65)을 형성한 것을 예시한다.
핸들(4)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라쳇공(63)이 쉽게 마모되어 회전력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할 수도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마모층(65)을 구성하였다. 내마모층(65)은 내마모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만든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1) 회전 토오크력을 이용한 핸들(4)의 회전으로, 매우 적은 힘으로도 핸들(4)을 돌릴 수 있으며,
(2) 특히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손목을 꺾어서 돌려야 하는 어려움도 해결하여 손목 등에 관련된 근골격계질환도 예방 가능하다.
(3) 또한 핸들(4)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손을 잡고 돌릴만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는 곳도 있을 수 있다. 이럴 경우에도 본 고안에 의한 라쳇렌치(60)을 이용하여 돌리면 협소한 공간이나 핸들을 돌릴 만한 공간이 부족한 곳에서라도 쉽게 핸들(4)을 조작 가능하다.
(4)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모든 기존의 밸브셔터에서 단지 핸들(4)만 교체하면 되므로 호환성이 우수하여, 밸브셔터의 전체를 교체할 필요도 없다. 즉, 교체 손실 비용도 최소화 할 수 있다.
3 핸들축 11 소기어
12 전동축 13 전동기어
14 전달축 15 전달기어
16 제1소기어 17 제어기어
18 회전판 19 스토퍼
20,21 제1,2제어핀 23 제2전달기어
24 제2전동기어 25 제2축
26 제2축기어 27 고정바
28 소경기어 30 인디케이터
31 가스밸브 33 돌출면
35 하부프레임 40 방폭센서
43 절개홈 50 커버
54 감지선 55 고정체
56 고정너트 60 라쳇렌치
63 라쳇공 64 삽입축

Claims (6)

  1. 핸들(4)의 하부에는 기어조립체가 구성되고, 기어조립체 하부에는 하부프레임(35)이 구성되며, 하부프레임(35) 하부에는 커버(50)에 설치되며, 태엽의 풀리는 힘으로 가스밸브를 차단하도록 작동하는 구조를 갖는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핸들(4)의 상부 중앙에는 라쳇공(63)을 형성하여, 라쳇렌치(60)에 의한 조작으로 태엽을 감을 수있게 구성하되,
    상기 핸들(4) 하단에는 소기어(11)가 형성되고,
    소기어(11)는 전동축(12)에 장착된 전동기어(13)와 맞물리며,
    전동기어(13)는 전달축(14)에 설치한 전달기어(15)와 맞물리고,
    상기 전달축(14) 하부에는 제2전달기어(23)와 제1소기어(16)가 설치되며,
    제2전달기어(23)는 상기 전동축(12)에 구성되는 소경기어(28)와 맞물리고,
    소경기어(28)는 하부에 제2전동기어(24)를 갖추며,
    제2전동기어(24)는 제2축(25)에 설치되는 제2축기어(26)와 맞물리며,
    상기 제2전동기어(24) 하부에는 제어기어(17)가 설치되고,
    제어기어(17)는 전달축(14) 하단에 구성되는 제1소기어(16)와 맞물리고,
    제1소기어(16) 하부에의 전달축(14)에는 인디케이터(30)와 가스밸브(31)가 장착되게 구성하여,
    태엽(2)이 감기고 풀릴때, 소기어(11), 전동기어(13), 전달기어(15), 제2전달기어(23), 소경기어(28)와 제2전동기어(24) 및 제2축기어(26)로 전달되게 하고, 그리고 제어기어(17)는 제1소기어(16)로 전달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쳇공(63)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마모층(65)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35) 상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판(18)이 설치되고, 회전판(18) 외주에는 돌출면(33)이 형성되며, 돌출면(33)과 대향하여 거리감지센서가 내장된 방폭센서(40)를 설치하고, 상기 방폭센서(40) 후부에는 감지선(54)과 연결되게 구성하여,
    돌출면(33)과 방폭센서(4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35)에는 절개홈(43)을 형성하여, 방폭센서(40)가 수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기어(26)가 설치되는 제2축(25)에는 제2축(25)과 수평으로 교차 설치하는 고정바(27)를 갖추어, 고정바(27)의 상부에서 승하강하는 작동바(28)에 의해 걸리게 구성하여, 태엽의 힘을 고정바(27)의 회전 제어를 통해 저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KR2020160006031U 2016-10-19 2016-10-19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KR200483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31U KR200483538Y1 (ko) 2016-10-19 2016-10-19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31U KR200483538Y1 (ko) 2016-10-19 2016-10-19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538Y1 true KR200483538Y1 (ko) 2017-05-26

Family

ID=5902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031U KR200483538Y1 (ko) 2016-10-19 2016-10-19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5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3393A (zh) * 2019-12-23 2020-04-21 沈建 阀门启闭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584B2 (ko) * 1978-11-30 1986-07-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JPS6328584B2 (ko) * 1984-12-19 1988-06-09 Nippon Tabako Sangyo Kk
KR20090124289A (ko) * 2008-05-29 2009-12-03 한국훼스토 주식회사 고압가스통의 개폐밸브 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584B2 (ko) * 1978-11-30 1986-07-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JPS6328584B2 (ko) * 1984-12-19 1988-06-09 Nippon Tabako Sangyo Kk
KR20090124289A (ko) * 2008-05-29 2009-12-03 한국훼스토 주식회사 고압가스통의 개폐밸브 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3393A (zh) * 2019-12-23 2020-04-21 沈建 阀门启闭辅助装置
CN111043393B (zh) * 2019-12-23 2021-11-30 沈建 阀门启闭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575B1 (ko) 고압가스통의 개폐밸브 차단기
US6209365B1 (en) Lockout device
KR200483538Y1 (ko) 밸브셔터의 작동 안전장치
KR101819921B1 (ko) 밸브 셔터
KR101695137B1 (ko) 가스 밸브의 개폐가 정확한 밸브셔터의 구조
US9772047B1 (en) Cross-wall indicator post
KR200476281Y1 (ko) 핸들 회전 방지용 록킹 기능을 가진 밸브
JPH0664505B2 (ja) 施錠可能な機素駆動機構
KR101918451B1 (ko) 최대 회전 개폐각을 갖는 고압 가스통의 가스 밸브 개폐장치
US6935610B1 (en) Partial stroke valve test apparatus
KR102112878B1 (ko) 밸브 개폐 장치
KR200461646Y1 (ko) 기어타입 버터플라이밸브
US20120043484A1 (en) Remotely controlled lockout device
KR200487224Y1 (ko) 밸브셔터의 안전장치
BRPI0708598B1 (pt) Dispositivo mecânico anti-recuo de mola
KR101772524B1 (ko) 밸브셔터
JP4906531B2 (ja) バルブ
US7850214B2 (en) Closure safety interlock for a pressure vessel
KR200436522Y1 (ko) 가스밸브 잠금장치
US6038893A (en) Lockout device
US7549440B1 (en) Valve position indicator for buried valves
EP0631652B1 (en) Valve closing mechanism
EP0168154A2 (en) Lock mechanisms
KR200460832Y1 (ko) 레버타입 버터플라이밸브
KR200214520Y1 (ko) 밸브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