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68Y1 - 콘크리트 면삭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68Y1
KR200483168Y1 KR2020150005549U KR20150005549U KR200483168Y1 KR 200483168 Y1 KR200483168 Y1 KR 200483168Y1 KR 2020150005549 U KR2020150005549 U KR 2020150005549U KR 20150005549 U KR20150005549 U KR 20150005549U KR 200483168 Y1 KR200483168 Y1 KR 200483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haft
plate
bracket
support
rol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752U (ko
Inventor
홍승호
Original Assignee
홍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호 filed Critical 홍승호
Priority to KR2020150005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6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2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with tools that only loosen the material, i.e. mill-typ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milling, e.g. channelling by means of mil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3/00Dressing mill discs or rollers
    • B28D3/02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면삭기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에 장착되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하부에 볼트축으로 연결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형성된 구동부와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초경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장착대에 형성된 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힌지핀으로 상기 지지대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상기 볼트축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지대의 상판 저면에 지지되는 제1롤링부재; 상기 볼트축의 외주에 끼워지고 하단은 지지대의 상판 상면에 지지되며 상단은 장착대의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회전드럼이 결합된 지지대와 그 상부의 장착대 간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힌지결합시킴으로써 탄성체와 중심축의 거리가 단축되어 진동을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트축에 형성된 반달모양의 롤링부재가 지지판 및 플레이트의 롤링시 어느 각도에서도 지지해줄 수 있어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면삭기{Concrete Surfaces Cut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콘크리트 면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되는 드럼과 그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커터가 벽면을 타격하여 깎아내도록 하는 콘크리트 면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초공사에 있어 토류벽이나 지수벽을 시공하는 경우에 지하연속벽 공법을 많이 채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하연속벽 공법에 의해 철근콘크리트벽을 완성하는 경우에 통상적으로 도랑의 형상 및 굴착장비의 버킷자국, 설계치수를 벗어난 초과 굴삭 등에 의해 지하연속벽이나 지수벽의 측면이 고르지 못하고 부풀림 현상이 발생하는 등 설계치수에서 크게 벗어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연속벽의 내부에 있는 흙을 퍼낸 후 노출되는 연속벽의 측면에 대해 소정 설계치수에 맞게 면고르기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면고르기 작업은 주로 굴삭기에 장착한 유압브레커로서 파쇄하거나 착암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수공작업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이 작업은 과도한 소음과 분진이 발생하여 작업조건이 불량하고 소요 작업시간이 매우 길어지며 공사기간의 연장으로 인건비가 상승되는 등 각종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국내 특허 공고번호 제1996-4408호 "회전식 콘크리트 면삭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0031357호의 "회전식 콘크리트 면삭기의 초경팁 개량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홀더를 구비한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에 연결되는 지지부와 회전드럼의 원주면 상에 형성된 다수의 초경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드럼과 지지부의 플랜지를 축봉으로 연결하고 스프링을 끼워 탄성수단을 구비한 것이었다.
그런데 종래에는 회전드럼의 흔들림이 심하게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전드럼이 장착된 지지대와 장착대를 힌지 결합시켜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고, 지지대의 진동을 안정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도록 탄성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면삭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굴삭기에 장착되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하부에 볼트축으로 연결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형성된 구동부와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초경팁 또는 파쇄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장착대에 형성된 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힌지핀으로 상기 지지대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상기 볼트축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지대의 상판 저면에 지지되는 제1롤링부재; 상기 볼트축의 외주에 끼워지고 하단은 지지대의 상판 상면에 지지되며 상단은 장착대의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면삭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축의 상부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2스프링; 상기 볼트축의 상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제2스프링의 하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2롤링부재; 상기 볼트축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스프링의 상단이 지지되는 마감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회전드럼이 결합된 지지대와 그 상부의 장착대 간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힌지결합시킴으로써 탄성체와 중심축의 거리가 단축되어 진동을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트축에 형성된 반달모양의 롤링부재가 지지판 및 플레이트의 롤링시 어느 각도에서도 지지해줄 수 있어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면삭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면삭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면삭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면삭기의 작동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면삭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면삭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면삭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면삭기의 작동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면삭기는, 굴삭기에 장착되는 장착대(2)와 상기 장착대(2)의 하부에 볼트축(6)으로 연결되는 지지대(3)와 지지대(3)에 형성된 구동부(4)와 구동부(4)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드럼(5)과 회전드럼(5)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초경팁(52) 또는 파쇄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대(2)에 형성된 플레이트(22)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24)과 상기 브라켓(24)에 힌지핀(25)으로 상기 지지대(3)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볼트축(6)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지대(3)의 상판 저면에 지지되는 제1롤링부재(63)와 상기 볼트축(6)의 외주에 끼워지고 하단은 지지대(3)의 상판(32) 상면에 지지되며 상단은 장착대(2)의 플레이트(22)에 지지되는 제1스프링(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대(2)는 굴삭기의 붐대와 연결핀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하부에는 평판상의 플레이트(22)가 형성되고, 플레이트(22)의 하부 중앙에 브라켓(24)이 형성된다.
브라켓(24)은 정면에서 보았을때 대략 하부로 갈수록 뾰족한 삼각형의 판재 2장을 이격시켜 형성된 것이고, 하부에는 힌지핀(25)이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24)은 앞뒤로 한쌍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3)는 측면에 보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상판(32)이 형성되고 수직면에는 구동부(4)가 장착된다.
구동부(4)는 유압모터이며, 유압모터의 축에 회전드럼(5)이 결합된다.
상판(32)에는 브라켓(24)과 결합되도록 2개의 결합부재(323)가 이격되어 각기 형성된다.
이들 브라켓(24)과 결합부재(323)를 관통하여 힌지핀(25)이 결합된다.
한편 볼트축(6)은 플레이트(22)의 외측에 수직되게 결합되며, 지지대(3)의 상부를 관통하여 수직되게 결합된다.
제1스프링(61)은 사각형이며 장착대(2)의 플레이트(22)와 지지대(3)의 상판(32)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볼트축(6)의 상부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2스프링(62);
상기 볼트축(6)의 상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제2스프링(62)의 하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플레이트(22)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2롤링부재(64);
상기 볼트축(6)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스프링(62)의 상단이 지지되는 마감너트(6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스프링(62)은 제1스프링(61)보다는 직경이 작고, 원형의 코일스프링이며 볼트축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2롤링부재(64)를 실질적으로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된다.
제1롤링부재(63)는 반달모양으로 형성되며, 볼록한 부위가 지지대(3)의 상판(32) 저면에 접촉지지되고, 하단은 볼트축(6)의 헤드(66)에 고정되어 정점을 항상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제2롤링부재(64)는 반달모양으로 형성되며, 볼록한 부위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제1롤링부재(63)와는 상반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볼트축(6)과 플레이트(22) 사이에 개재되어 정점이 항상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착대(2)를 굴삭기에 장착한 후 구동부(4)에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드럼(5)이 회전되고 초경팁(52) 또는 파쇄팁이 대상면을 타격하면서 깎아내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업 중에 지지대(3)는 브라켓(24)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진동됨으로써 힌지핀(25) 및 브라켓(24)이 고정력을 제공하게 되고, 지지대(3)가 장착대(2)로부터 과도하게 멀어지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어 과도한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힌지핀(25)을 기준으로 지지대(3)는 좌우로 흔들리면서 진동하게 되는바 제1롤링부재(63) 및 제2롤링부재(64) 그리고 제1스프링(61) 및 제2스프링(62)의 수축 및 신장 작동이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어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롤링부재(63)와 제2롤링부재(64)는 반달모양으로 형성되어 볼록한 부위가 항상 플레이트(22) 및 상판(32)에 접촉되어 지지하면서 플레이트(22) 및 상판(32)이 좌우로 기울어지더라도 볼록한 면을 따라 롤링될 수 있어 항상 적정한 힘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장착대 3 : 지지대
4 : 구동부 5 : 회전드럼
6 : 볼트축 22 : 플레이트
24 : 브라켓 25 : 힌지핀
61 : 제1스프링 62 : 제2스프링
63 : 제1롤링부재 64 : 제2롤링부재
69 : 마감너트

Claims (5)

  1. 굴삭기에 장착되는 장착대(2)와 상기 장착대(2)의 하부에 볼트축(6)으로 연결되는 지지대(3)와 지지대(3)에 형성된 구동부(4)와 구동부(4)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드럼(5)과 회전드럼(5)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초경팁(52) 또는 파쇄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장착대(2)에 형성된 플레이트(22)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24)와; 상기 브라켓(24)과 지지대(3)를 연결하는 힌지핀(25); 을 포함하며,
    상기 볼트축(6)의 상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플레이트(22)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2롤링부재(64)와; 상기 볼트축(6)의 상부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기 제2롤링부재(64)를 지지하는 제2스프링(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면삭기.
  2. 제1항에 있어서,
    반달모양으로 형성되고, 볼록한 부위가 상기 지지대(3)의 상판(32) 저면에 접촉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볼트축(6)의 헤드(66)에 고정되어 정점을 항상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1롤링부재(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면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2)의 플레이트(22)와 상기 지지대(3)의 상판(32)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6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면삭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축(6)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스프링(62)의 상단이 지지되는 마감너트(6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스프링(62)은 볼트축(6)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롤링부재(64)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면삭기.
KR2020150005549U 2015-08-19 2015-08-19 콘크리트 면삭기 KR200483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49U KR200483168Y1 (ko) 2015-08-19 2015-08-19 콘크리트 면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49U KR200483168Y1 (ko) 2015-08-19 2015-08-19 콘크리트 면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52U KR20170000752U (ko) 2017-03-02
KR200483168Y1 true KR200483168Y1 (ko) 2017-04-11

Family

ID=5841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549U KR200483168Y1 (ko) 2015-08-19 2015-08-19 콘크리트 면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614B1 (ko) * 2018-12-04 2020-08-20 윤성만 면삭기
CN109693314A (zh) * 2019-02-26 2019-04-30 长安大学 一种含轴内激振机构的岩土旋转铣削装置
KR102400849B1 (ko) * 2021-08-20 2022-05-23 (주)대동이엔지 진동 회전 리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755Y1 (ko) * 2001-10-15 2002-03-18 이점주 회전식 콘크리트 면삭기의 초경팁 개량 구조
JP2007284990A (ja) 2006-04-17 2007-11-01 Toa Harbor Works Co Ltd 海中岩盤付着物除去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海中岩盤付着物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3675A1 (de) * 1986-02-06 1986-07-10 Alfred Dr. 2095 Obermarschacht Hackmack Als erdbewegungsgeraet ausgebildete kombination von einer fraese und einem behaelter
KR0137101Y1 (ko) * 1994-04-30 1999-04-01 권대륙 면삭용 헤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755Y1 (ko) * 2001-10-15 2002-03-18 이점주 회전식 콘크리트 면삭기의 초경팁 개량 구조
JP2007284990A (ja) 2006-04-17 2007-11-01 Toa Harbor Works Co Ltd 海中岩盤付着物除去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海中岩盤付着物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52U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168Y1 (ko) 콘크리트 면삭기
JP6735035B2 (ja) 土工ローラ
US6085446A (en) Device for excavating an elongated depression in soil
KR100741245B1 (ko) 굴삭기용 니퍼
WO2018055543A1 (en) Rotating tool for cutting microtrenches
KR100911914B1 (ko) 건설장비용 진동 파쇄기
KR101309702B1 (ko) 편심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한 중장비용 진동 리퍼
ES2317131T3 (es) Proceso y dispositivo para realizar agujeros.
KR20190001618U (ko) 지반 다짐용 장치
KR100757042B1 (ko) 도드락 장치용 공구
KR101141414B1 (ko) 타공장치
CN209975604U (zh) 一种破碎锤
JP5555130B2 (ja) 簡易建物の基礎用孔の掘削方法と掘削装置
JP3221513U (ja) 掘削破砕工具の先端保持具
KR101404066B1 (ko) 편심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한 중장비용 진동 리퍼
KR20140095886A (ko)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진동 리퍼
KR20110105508A (ko) 코어 생산을 겸한 석재 채석용 작업홀 천공기
CN210998529U (zh) 一种加长气铲
CN212294286U (zh) 一种道路面凿除手持冲击镐支护架
JP4111944B2 (ja) 手持ち式振動締固め機
KR20160071963A (ko) 진동니퍼
KR100693133B1 (ko) 굴착기
JP6198418B2 (ja) 地盤の掘削撹拌装置
KR20230028121A (ko) 진동 회전 리퍼
JPH0716772Y2 (ja) 立坑掘削機械用刃物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