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912Y1 -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 Google Patents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912Y1
KR200482912Y1 KR2020160004344U KR20160004344U KR200482912Y1 KR 200482912 Y1 KR200482912 Y1 KR 200482912Y1 KR 2020160004344 U KR2020160004344 U KR 2020160004344U KR 20160004344 U KR20160004344 U KR 20160004344U KR 200482912 Y1 KR200482912 Y1 KR 200482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furniture
arm portion
joining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후
Original Assignee
이광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후 filed Critical 이광후
Priority to KR2020160004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05Support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A47B2200/0027Desks with I-shaped le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7Feet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고안은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다리에 의해 지면(바닥)으로부터 상부 구조물이 지지되는 가구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다리를 간편하게 상호 연결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고안은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복수 개(총 8개)의 하부 결합홈부와 상부 결합홈부가 형성된 하부암부와 상부암부를 포함하는 결합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크기나 구조에 따른 다리 개수의 확장(증가)이 가능하고, 조립이 단순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면서, 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상부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가구{JOINT STRUCTURE FOR CONNECTING LEGS OF FURNITURE AND FURNITURE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다리에 의해 지면(바닥)으로부터 상부 구조물이 지지되는 가구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다리를 간편하게 상호 연결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상가 등에서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가구(의자, 책상, 테이블 등)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구는 상부 구조물(상판)과,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면(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해 다리를 구비한다.
일례로, 테이블의 경우에는 차를 마시거나, 식사를 하거나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한 가구의 일종으로서, 목재를 비롯하여 청동, 유리, 대리석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다리를 구비하고,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티(tea) 테이블과 같이 응접용 테이블은 그 기능적인 측면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이 가미된 제품들이 시판되고 있다. 즉, 상판 구조뿐만 아니라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의 구조 및 형상 또한 단순히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획일화된 디자인에서 벗어나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테이블의 다리는 그 디자인과 장식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구조로 제조됨에 따라 그 본연의 기능인 상판 지지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결합 구조체들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07954호(공개일: 1995.04.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1300호(등록일: 2002.01.08.), 대한민국 등록디자인 제30-0383090호(등록일:2005.05.27.) 등의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들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기술에 따른 결합 구조체들은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상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그 구조가 확장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판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 다리의 개수를 확장시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고, 다리의 개수의 증가에 따른 확장이 요구되는 구조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KR 20-1995-0007954 U, 1995. 04. 15. KR 20-0261300 Y1, 2002. 01. 08.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부 구조물의 크기나 구조에 따른 다리 개수의 확장(증가)이 가능하고, 조립이 단순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면서, 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상부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가구의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 구조체에 있어서, 상부 및 외측부가 개방되어 상기 다리의 연결부 중 하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부 결합홈부가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하부암부; 상기 하부 결합홈부와 대응하도록 하부 및 외측부가 개방되어 상기 하부 결합홈부에 결합된 상기 다리의 연결부 중 상기 하부 결합홈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부 결합홈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부암부; 및 상기 상부암부와 상기 하부암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결합홈부는 상기 상부암부의 외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홈부는 상기 하부암부의 외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상기 상부 결합홈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대응하여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상부 구조물;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다리; 및 상기 복수 개의 다리에 각각 형성된 연결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구조체는, 상부 및 외측부가 개방되어 상기 다리의 연결부 중 하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부 결합홈부가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하부암부; 상기 하부 결합홈부와 대응하도록 하부 및 외측부가 개방되어 상기 하부 결합홈부에 결합된 상기 다리의 연결부 중 상기 하부 결합홈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부 결합홈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부암부; 및 상기 상부암부와 상기 하부암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결합홈부는 상기 상부암부의 외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홈부는 상기 하부암부의 외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상기 상부 결합홈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대응하여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복수 개(총 8개)의 하부 결합홈부와 상부 결합홈부가 형성된 하부암부와 상부암부를 포함하는 결합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크기나 구조에 따른 다리 개수의 확장(증가)이 가능하고, 조립이 단순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면서, 다리를 상호 연결하여 상부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3의 (b)는 도 1에 도시된 II-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체가 적용된 가구를 일례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구를 상부 구조물과 다리로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체가 복수 개의 다리에 각각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체에 다리의 연결부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체가 적용된 가구를 도시한 사시도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1에 도시된 II-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체(10)는 가구(20, 도 4참조)의 상부 구조물(21)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다리(22)를 연결하여 복수 개의 다리(22)를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구조물(2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체(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부암부(11)와, 하부암부(11)와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볼트(또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13)를 통해 다리(22)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암부(11)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암부(12)를 포함한다.
하부암부(11)는 도 2와 같이, 다리(22)의 연결부(221, 도 6참조)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부 결합홈부(111)를 포함한다. 하부 결합홈부(111)는 상부 및 외측부가 개방되고,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다리(22)의 연결부(221) 중 하측부(221a)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하부 결합홈부(111)는 8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암부(12)는 도 2와 같이, 하부암부(11)와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암부(11)와 대응하여 다리(22)의 연결부(221)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부 결합홈부(121)를 포함한다. 상부 결합홈부(121)는 하부 및 외측부가 개방되고,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하부 결합홈부(111)에 결합된 다리(22)의 연결부(221) 중 하부 결합홈부(11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부(221b)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부 결합홈부(121)는 하부 결합홈부(111)와 대응하여 8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결합홈부(111)와 상부 결합홈부(121)는, 각각 실제 상부 구조물(21)을 지지하는 다리(22)의 연결부(221)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메인 결합홈부와, 상부 구조물(21)의 크기 및 구조에 대응하여 다리의 개수가 확장되는 것을 고려하여 여분으로 상기 메인 결합홈부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서브 결합홈부를 더 포함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체(10)는 하부암부(11)와 상부암부(12)에 각각 실제 다리(22)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메인 결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결합홈부 이외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서브 결합홈부를 여분으로 더 구비함으로써 상부 구조물(21)의 크기 및 구조에 대응하여 다리의 개수를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구조물(21)을 지지하는 다리가 총 4개인 경우, 메인 결합홈부는 4개가 되고, 나머지 서브 결합홈부는 확장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메인 결합홈부와 상기 서브 결합홈부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은 서로 교번적으로 하부암부(11)와 상부암부(12)에 각각 형성되거나, 혹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그 배치되는 위치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가구(20)의 구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 구조물(21)에 설치된 다리(22)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메인 결합홈부로 기능하거나, 혹은 서브 결합홈부로 기능할 수 있다.
하부 결합홈부(111)는 도 3의 (b)와 같이, 하부암부(11)의 외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에는 다리(22)의 연결부(2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결합홈부(121)는 하부 결합홈부(111)와 마찬가지로, 상부암부(12)의 외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내측에는 다리(22)의 연결부(2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 결합홈부(111)에 형성된 걸림턱(111a)과 대향하도록 걸림턱(12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b)와 같이, 하부암부(11)와 상부암부(12)가 체결부재(13)를 통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결합홈부(111)와 상부 결합홈부(121)의 내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걸림턱(111a, 121a)은 서로 맞닿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체가 적용된 가구를 일례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구를 상부 구조물과 다리로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구(20)는 일례로 테이블로서, 판상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 구조물(21)과, 상부 구조물(21)의 하부를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4개의 다리(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리(22)는 각각 상부 구조물(21)을 지지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부 구조물(21)의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된 연결부(221)를 구비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같이, 다리(22)는 연결부(221)를 구비하고, 이때, 연결부(221)는 하부암부(11)와 상부암부(12)의 내부에 암수 결합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221)는 하부 결합홈부(111) 및 상부 결합홈부(121)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부(221)는 도 3의 (b)에 도시된 하부 결합홈부(111) 및 상부 결합홈부(121)의 내부 형상과 대응하여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부(221)의 상하부 외측에는 하부 결합홈부(111)와 상부 결합홈부(121)에 형성된 걸림턱(111a, 121a)이 결합되는 걸림홈(221c)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다리(22)의 구조 및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구조 및 형상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21)는 종단부가 마름모꼴 이외에 육면체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종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고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연결부(221)가 결합되는 상부 결합홈부(121)와 하부 결합홈부(111) 또한 연결부(221)의 구조에 대응하여 연결부(221)가 안정적으로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부(221)는 수직으로 세워진 구조가 아닌 수평으로 눕혀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221)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결부(221)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물론, 연결부(221)가 결합되는 상부 결합홈부(121)와 하부 결합홈부(111)의 구조 또한 세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수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부 결합홈부는 상부암부(12)의 하부면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이와 대칭하여 하부 결합홈부는 하부암부(11)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221)는 상부암부(12)와 하부암부(11)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된 상부 결합홈부와 하부 결합홈부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가 관통결합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체가 복수 개의 다리에 각각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체에 다리의 연결부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먼저, 하부암부(11)와 상부암부(12)를 분리시켜 상하로 위치시킨 후, 하부암부(11)와 상부암부(12) 사이에 다리(22)의 연결부(221)를 위치시킨다.
이후, 다리(22)에 형성된 연결부(221)의 하측부(221a)를 하부암부(11)의 하부 결합홈부(111)의 내부로 삽입시켜 결합한다. 즉, 연결부(221)의 하측부를 하부 결합홈(111)의 개방된 상부측으로 삽입시켜 결합한다. 이때, 연결부(221)의 걸림홈(221c)에는 도 8과 같이, 하부 결합홈부(111)의 내측부에 돌출된 걸림턱(111a)이 끼워진다.
이후, 하부 결합홈부(111)에 결합된 다리(22)의 연결부(221) 중 하부 결합홈부(11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부(221b)가 상부암부(12)의 상부 결합홈부(121)에 삽입 결합되도록 상부암부(12)를 하부방향으로 밀어 하부암부(11)의 상부에 결합한다. 이때, 상부 결합홈부(121)의 걸림턱(121a)은 연결부(221)의 걸림홈(221c)에 끼워진다.
이후, 상부암부(12)와 하부암부(11)가 상호 결합되면, 체결부재(13)를 상부암부(12)와 하부암부(11)에 각각 형성된 체결홈(122, 112)에 나사 결합시켜 상호 결합하여 복수 개의 다리(22)를 결합 구조체(10)를 통해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체가 적용된 가구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체(10)는 가구(30, 40, 50)에 구비된 복수 개의 다리(32, 42, 52)의 개수, 구조 및 형상에 대응하여 1개 또는 복수 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복수 개(총 8개)의 하부 결합홈부(111)와 상부 결합홈부(121)를 구비함으로써 상부 구조물(31, 41, 51)의 크기 및 구조에 대응하여 다리(32, 42, 52)의 개수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결합 구조체
11 : 하부암부
12 : 상부암부
13 : 체결부재
111 : 하부 결합홈부
121 : 상부 결합홈부
111a, 121a : 걸림턱
20, 30, 40, 50 : 가구
21, 31, 41, 51 : 상부 구조물(상판)
22, 32, 42, 52 : 다리
221 : 연결부
221a : 하측부(연결부)
221b : 상측부(연결부)
221c : 걸림홈

Claims (6)

  1. 가구의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 구조체에 있어서,
    상부 및 외측부가 개방되고, 외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의 연결부 중 하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부 결합홈부가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하부암부;
    상기 하부 결합홈부와 대응하도록 하부 및 외측부가 개방되고, 외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하부 결합홈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대응하여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결합홈부에 결합된 상기 다리의 연결부 중 상기 하부 결합홈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부 결합홈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부암부; 및
    상기 상부암부와 상기 하부암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상부 구조물과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다리 및 상기 복수 개의 다리에 각각 형성된 연결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 구조체로 구성된 가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체는,
    상부 및 외측부가 개방되고, 외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의 연결부 중 하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부 결합홈부가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하부암부;
    상기 하부 결합홈부와 대응하도록 하부 및 외측부가 개방되고, 외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하부 결합홈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대응하여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결합홈부에 결합된 상기 다리의 연결부 중 상기 하부 결합홈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부 결합홈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부암부; 및
    상기 상부암부와 상기 하부암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5. 삭제
  6. 삭제
KR2020160004344U 2016-07-28 2016-07-28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200482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344U KR200482912Y1 (ko) 2016-07-28 2016-07-28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344U KR200482912Y1 (ko) 2016-07-28 2016-07-28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12Y1 true KR200482912Y1 (ko) 2017-03-15

Family

ID=5841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344U KR200482912Y1 (ko) 2016-07-28 2016-07-28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12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4851A (en) * 1977-11-10 1980-03-25 Polyproducts Corp. Universal hub for geodesic domes
JPH03113479U (ko) * 1990-03-06 1991-11-20
KR950007954U (ko) 1993-09-28 1995-04-15 박번 테이블의 다리 연결장치
KR200261300Y1 (ko) 2001-11-01 2002-01-19 김창숙 유리탁자용 다리 연결구
JP2002191442A (ja) * 2000-12-25 2002-07-09 Okamura Corp 各種天板に対応可能な脚部を有するテーブル
KR20090121994A (ko) * 2008-05-23 2009-11-26 배순직 돔 건축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4851A (en) * 1977-11-10 1980-03-25 Polyproducts Corp. Universal hub for geodesic domes
JPH03113479U (ko) * 1990-03-06 1991-11-20
KR950007954U (ko) 1993-09-28 1995-04-15 박번 테이블의 다리 연결장치
JP2002191442A (ja) * 2000-12-25 2002-07-09 Okamura Corp 各種天板に対応可能な脚部を有するテーブル
KR200261300Y1 (ko) 2001-11-01 2002-01-19 김창숙 유리탁자용 다리 연결구
KR20090121994A (ko) * 2008-05-23 2009-11-26 배순직 돔 건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97172A (en) Interlocking joint construction
US6675979B2 (en) Furniture assembly system
KR200492567Y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US3480155A (en) Steel shelving
US20140314470A1 (en) Connector for a modular rack
KR200482912Y1 (ko) 가구 다리 연결용 결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200436927Y1 (ko) 벽체 배치가 용이한 테이블 조립구조
US20190024691A1 (en) Bunk bed beam and post connection structure and bunk bed having same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20210016872A (ko) 조립식 가구의 프레임 연결장치
KR20200062527A (ko) 조립이 간편한 우드 롤 테이블
KR101929319B1 (ko) 커넥터 모듈
US20060117702A1 (en) Table jointing device
KR200487267Y1 (ko) 조립식 다용도 걸이
KR100805214B1 (ko) 테이블 다리조립체
KR200268616Y1 (ko) 장식장 연결부재
KR200340568Y1 (ko) 가구용 기둥체
JP6557818B2 (ja) ユニット部材の連結用アダプター
CN204889107U (zh) 组装支架及搁物架
WO2018215909A1 (en) Furniture arrangement
KR101233414B1 (ko) 탁자
KR20240003834A (ko) 분리 및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책상
KR200223723Y1 (ko) 다용도 진열장 조립장치
KR200241895Y1 (ko) 간이 식탁
CN102038364B (zh) 三棱咬合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