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622Y1 - Supporting structure having bracket and channel - Google Patents

Supporting structure having bracket and cha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622Y1
KR200482622Y1 KR2020160002001U KR20160002001U KR200482622Y1 KR 200482622 Y1 KR200482622 Y1 KR 200482622Y1 KR 2020160002001 U KR2020160002001 U KR 2020160002001U KR 20160002001 U KR20160002001 U KR 20160002001U KR 200482622 Y1 KR200482622 Y1 KR 200482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olt
hole
bracke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0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표지웅
Original Assignee
표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지웅 filed Critical 표지웅
Priority to KR2020160002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62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62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가대에 관한 것으로, 플랜지와 플래지로부터 연장 형성된 찬넬 결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는 찬넬과 결합시 찬넬 내부로 인입되는 구조이고,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와 찬넬은 볼트로 결합되되, 외측에서 내측으로 볼트를 끼워지고 볼트 머리는 끼워짐에 따라 찬넬에 밀착하고, 볼트의 기둥은 찬넬 결합부에 형성된 볼트홀의 나사선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and, wherein a bracket including a flange and a flange extending from the flange, and a channel connecting portion of the bracket are inserted into the channel when the flange is coupled with the channel, and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and the channel are connected with bolts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reof, and the head of the bol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hannel, and the bolt is screw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bolt hole formed in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Description

브라켓과 찬넬로 이루어진 지지가대{SUPPORTING STRUCTURE HAVING BRACKET AND CHANNEL}{SUPPORTING STRUCTURE HAVING BRACKET AND CHANNEL}

본 고안은 브라켓과 찬넬로 이루어진 지지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이나 선반 등을 지지하는 지지가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and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a pipe or a rack.

건축물이나 기계설비공사시에 각종 배관공사를 함에 있어서, 천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배관 등을 설치하기 위해 배관지지가대가 사용된다.Piping support stands are used to install piping, etc., which are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iling, in performing various piping works for construction of buildings and machinery facilities.

일반적으로, 재래식 배관 시공법은 일반 형강류를 작업 현장에서 산소절단 또는 스피드 커터(Speed Cutter) 등으로 절단하여 용접한 뒤 이를 배관 지지대로 사용하였다.Generally, in the conventional pipe construction method, a general section steel is cut by oxygen cutting or a speed cutter at a work site and then used as a pipe support.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법은 형강류를 현장에 반입하고, 녹막이 도장부터 시작하여 완성단계인 보온공사까지 다단계의 공정을 거쳐야만 하므로 작업 시간의 증대와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struction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work time is increased and the assemblability is lowered because the section steel is brought into the field and the green film is subjected to a multi-step process from the painting to the completion of the insulation work.

또한, 종래의 시공법은 환경오염은 물론 전기 감전사고의 염려와 시공 공정의 어려움으로 작업 기피와 화재발생의 우려, 공사기간 지연과 현장의 자재소모, 공구류의 낭비 등으로 원가상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has a problem of causing a rise in cost due to the fear of work avoidance and fire, delays in construction, material consumption on the site, and waste of tools due to concern of electric shock accident and difficulty in construction process as well as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조립형 가대 내지 브라켓이 개발되어 볼트와 너트로 브라켓과 찬넬을 결합하는 조립식 시공법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built-up type bracket or bracket has been developed and a prefabricated construction method of combining a bracket and a channel with a bolt and a nut has been used.

다만, 종래의 조립식 시공법의 경우에도 브라켓과 찬넬의 체결력이 낮아 작은 충격이나 지진의 발생시 지지가대에 설치된 배관이 떨어지거나 조립이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construction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bracket and the channel is low, so that the piping installed on the supporting stand is released or the assembly is released when a small impact or an earthquake occurs.

또한, 종래의 조립식 배관지지가대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높낮이 조절은 가능하지만, 높낮이를 균등하고 적절하게 조절하기 어려워 작업자가 배관지지가대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에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pipe supporting st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to some extent, bu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uniformly and properly so that the operator has difficulty i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pe supporting stand to a desired height.

그리고 종래의 조립식 배관지지가대의 경우에는 수평 찬넬을 설치 고정하기 위해서 적어도 두 개의 수직 찬넬이 설치되는데, 적어도 두 개의 수직 찬넬의 높이를 수평으로 맞추어 시공하기가 어려워 설치되는 수평 찬넬의 수평이 균등하게 나타나지 않고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pipe supporting stand, at least two vertical channels are installed to fix the horizontal channels. Since the height of at least two vertical channels is horizontally aligned,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horizontal channels. There is a problem that it tilts to one side.

또한, 종래에는 브라켓과 찬넬의 결합시 양자를 관통하는 볼트로 브라켓과 찬넬을 체결하는 구조였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체결방식에서는 몸체가 긴 볼트가 사용됨에 따라 볼트의 축력이 감소되어, 볼트의 조임토크가 감소되어 하중을 충분하게 견디지 못하여 찬넬이 미끄러지거나 볼트가 휘는 문제가 있다.Also, conventionally, when the bracket and the channel are coupled, the bracket and the channel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bolts passing through the bracket.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fastening method, since the bolt has a long bolt, the bolt's axial force is reduced, and the tightening torque of the bolt is reduced, so that the bolt can not bear the load sufficiently.

종래의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조립식 가대를 시공함에 있어서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와 시공의 용이성 및 구멍 간격을 맞추려는 작업에 의한 작업성 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너트 없이 볼트만으로 브라켓과 찬넬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lowering the fastening force and the problem of lowering the workability due to the ease of construction and the work for matching the hole intervals in the construction of the assembly type frame for fastening with the conventional bolt and nut, This allows the bracket to be joined with the bolt without the nut.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가 제1 찬넬 결합부, 제2 찬넬 결합부로 나뉘어져 있고, 제1 찬넬 결합부는 'ㄱ'자 형이고, 제2 찬넬 결합부는 'ㄴ'자 형으로 구성되게 하여, 브라켓을 제조함에 있어 보다 용이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coupling portion of the bracket is divided into a first channel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hannel coupling portion, the first channel coupling portion is of 'A' shape, the second channel coupling portion is' So that the bracket can be made easier to manufacture.

또한, 종래에는 찬넬을 시공하는 경우 결합하는 찬넬의 높이를 정확하고 섬세하게 하는 데에 일정한 한계가 있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에 대면하여 형성되는 볼트홀들이 서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re is a certain limit in accurately and delicately making the height of the channel to be joined when the channel is installed.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holes formed in the channel-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또한, 종래에는 브라켓과 찬넬을 체결함에 있어, 볼트가 브라켓과 찬넬 결합부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하중에 쉽게 미끌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볼트가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 전체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 부분과 접촉하는 찬넬의 면 부분만을 서로 결합시켜 몸체의 길이가 짧은 볼트로 체결되게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Further, in the related ar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when the bracket is fastened to the channel, the bolt is connected to the bracket in a manner to penetrate the channel coupling portion and easily slipped to the load.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by connecting only the face portion of the channel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hannel fitting portion of the bracket to each other to fasten the body with the bolt having a short length.

또한, 기존의 지지가대를 이루는 수평 찬넬의 경우 하중으로 인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하중 방향으로 처지거나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다만,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평 찬넬의 일 면에 길이 방향으로 틈을 형성하고 틈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 볼트를 끼움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horizontal channel constituting a conventional supporting st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formation or sagging occurs in the direction of the load with time due to the load.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ngitudinal ga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channel and at least one reinforcing bolt is inserted in the gap to solve this problem.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가대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래지로부터 연장 형성된 찬넬 결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와 결합하는 찬넬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와 상기 찬넬의 결합시, 상기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는 상기 찬넬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와 상기 찬넬은 볼트로 결합되되, 상기 볼트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볼트의 머리는 끼워짐에 따라 상기 찬넬에 밀착하고, 상기 볼트의 몸체는 상기 찬넬 결합부에 형성된 볼트홀의 나사선에 나사 결합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acket including a bracket including a flange and a flange extending from the flange, and a channel coupled with the flange of the bracket, Wherein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of the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channel,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of the bracket and the channel are coupled by bolts, the bolt is inserted inward from the outside, and the bolt head The body of the bolt is screw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bolt hole formed in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찬넬 결합부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을 마주보는 상기 찬넬 결합부의 제2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first bolt hole may be formed on a first surface of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and at least one second bolt hole may be form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facing the first surface.

또한, 상기 찬넬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1 볼트홀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볼트홀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끼워질 수 있다.At least one first hole is formed in the first surface of the channel, and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and the first bolt hole from the outside or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And can be inser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bolt hole.

그리고 상기 제1 홀은 장축과 단축으로 형성된 장공홀일 수 있다.The first hole may be a long hole formed by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또한, 상기 볼트 몸체의 직경의 길이는 상기 장공홀의 단축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볼트 머리의 직경의 길이는 상기 장공홀의 단축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볼트 몸체가 상기 제1 볼트홀 또는 상기 제2 볼트홀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볼트 머리는 상기 찬넬에 밀착할 수 있다.Also,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bolt body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minor axis of the elongated hole,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bolt hea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inor axis of the elongated hole, and the bolt body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lt hole or the second bolt hole. When screwed into the hole, the bolt hea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hannel.

그리고 상기 볼트 몸체의 길이는 상기 찬넬의 두께와 상기 볼트홀의 길이를 합산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클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bolt body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channel and the length of the bolt hole.

그리고 상기 찬넬은, 상기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와 결합하는 수직 찬넬 및 상기 수직 찬넬에 연결되는 수평 찬넬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찬넬은 일 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틈을 통하여 외측에 개방된 개방형 찬넬일 수 있다.And the channel includes a vertical channel coupled with the channel connection portion of the bracket and a horizontal channel connected to the vertical channel, the horizontal channel having an open channel opening outwardly through a gap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그리고 상기 수평 찬넬의 틈에는 상기 수평 찬넬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 볼트가 끼워지고, 상기 보강 볼트는 와셔 및 너트를 통하여 상기 틈에 고정될 수 있다.At least one reinforcing bolt is fitted in the gap of the horizontal channel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channel, and the reinforcing bolt can be fixed to the gap through the washer and the nut.

또한, 상기 수평 찬넬의 하중 방향 절단면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직사각형에서 하중 방향에 수평한 변의 길이가 인접한 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t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channel is rectangular, and the length of the side parallel to the load direction in the rectangular shap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djacent side.

그리고 상기 제1면의 제1 볼트홀 및 상기 제2면의 제2 볼트홀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olt holes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bolt holes of the second surface may be formed at positions offse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찬넬 결합부는, 상기 플랜지의 하부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찬넬 결합부 및 상기 플랜지의 하부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ㄴ'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찬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hannel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and a second channel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 second And a channel coupling portion.

본 고안은 기존과 달리 브라켓과 찬넬을 체결함에 있어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너트 없이 볼트만으로 체결할 수 있어, 체결력을 강화시키고, 시공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Unlike the existing design, this design can be used with bolts and nuts without bolts and nuts, and can be fastened with bolts to strengthen the fastening force and to facilitate construction. hav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를 제1 찬넬 결합부와 제2 찬넬 결합부로 나뉘어 구성되게 함으로써 브라켓의 제조를 보다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of the bracket is divided into the first channel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hannel connecting portion,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anufacture the bracket.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에 형성되는 볼트홀들이 서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게 되어 작업자가 높이 조절을 좀 더 섬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holes formed in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of the bracket ar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bolt holes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operator can more precisely control the height.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라켓과 찬넬을 체결함에 있어서, 볼트가 브라켓의 수직 찬넬 부분 전체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브라켓과 찬넬을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브라켓 찬넬 결합부의 일 단면과 그와 겹쳐지는 찬넬의 일 단면만을 볼트로 결합시켜 기존에 사용한 볼트 몸체의 길이보다 더 짧은 몸체 길이의 볼트를 사용하여 브라켓과 찬넬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 몸체 길이로 인한 볼트 축력의 감소 효과를 줄일 수 있어 볼트의 조임 토크를 증가시켜 하중을 보다 더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하중으로 인한 찬넬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acket is fastened to the channel, the bolt does not engage with the channel in such a manner that the bolt penetrates the entire vertical channel portion of the bracket, Only the cross section of the overlapping channel can be bolted to join the bracket with the channel using bolt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existing bolt body. Accordingly, the reduction effect of the bolt axial force due to the bolt body length can be reduced, the tightening torque of the bolt can be increased, the load can be more easily controlled, and slippage of the channel due to the load can be prevented.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가대를 이루는 수평 찬넬의 절단면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고, 최적의 강판의 두께를 제공함으로써, 찬넬이 하중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처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t surface of the horizontal channel forming the support platform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thickness of the optimal steel plate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nnel from being sagged or deformed over time due to the load can do.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좌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우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브라켓과 찬넬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과 찬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찬넬의 단면 형상에 따른 처짐 효과를 나타낸 도면 및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찬넬의 형강 두께에 따른 변형 효과를 나타낸 도면 및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shape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left side of the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ight side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channel connecting portion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racket-to-channel coupling structure.
1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racket and a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and a graph showing deflection effects accor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a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deform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a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echnical aspects of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its technical structure,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ques for achieving the same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is complete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고안의 설명된 실시 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For simplicity and clarity of illustration, the drawings show a general configuration and details of known features and techniques may be omitted so as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discussion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elements of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For exampl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relative to other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and like reference numbers may indicate similar elements, although not necessari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좌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우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종래의 브라켓과 찬넬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과 찬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찬넬의 단면 형상에 따른 처짐 효과를 나타낸 도면 및 그래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찬넬의 형강 두께에 따른 변형 효과를 나타낸 도면 및 그래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 FIG. 7 is a bottom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ide view of a bottom surface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channel connector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racket-to-channel coupling structure, FIG. 1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racket and a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 FIG. 14 is a view showing a deform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a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브라켓(10)은 플랜지(100), 플랜지(100)로부터 연장 형성된 찬넬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the bracket 10 may include a flange 100, and a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extending from the flange 100.

플랜지(100)는 지지가대용 브라켓(10)이 설치되는 천정, 벽면 등에 브라켓(10)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flange 100 may perform a function of fixing the bracket 10 to a ceiling, a wall surface, or the like where the support bracket 10 is installed.

이러한 고정 기능을 위하여, 플랜지(100)의 양 측면에는 플랜지의 상부를 천정, 벽면 등에 볼트, 나사,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홀(HOLE)(10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홀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101)일 수 있다.For this fixing function, a hole (HOLE) 10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ange 100 to fix the upper part of the flange to a ceiling, a wall surface or the like using bolts, screws or nails. Here, the hole may be a long hole 101 elongated in one direction.

그리고 찬넬 결합부(120)는 플랜지(100)의 하부면에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찬넬 결합부(120)는 플랜지(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일 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랜지(100)와 찬넬 결합부(120)는 서로 수직이 아닌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00. In one example,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00.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lange 100 and the channel coupling portion 120 may be realized in a form no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한편, 브라켓(10)과 찬넬(200)의 결합 시, 상기 찬넬 결합부(120)는 찬넬(2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찬넬(200)에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bracket 10 and the channel 200 are coupled, the channel coupling unit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channel 200 and coupled to the channel 200.

이러한 찬넬 결합부(120)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볼트홀(131)이 형성되고, 제1 면을 마주보는 찬넬 결합부(120)의 제2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볼트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면의 제1 볼트홀(131) 및 제2면의 제2 볼트홀(132)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first bolt hole 131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hannel connecting part 120 and at least one second bolt hole 131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channel connecting part 120 facing the first surface. (132) may be formed. Here, the first bolt hole 131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bolt hole 132 of the second surface may be formed at positions offset from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찬넬 결합부(120)는 제1 찬넬 결합부(121)와 제2 찬넬 결합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찬넬 결합부(121)는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1면에 연장 형성된 제3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찬넬 결합부(122)는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2면에 연장 형성된 제4면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may include a first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1 and a second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2. The first channel engaging portion 121 may include the first surface and a third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channel joining portion 122 may have the second face and the fourth face extended from the second fac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제1 찬넬 결합부(121)는 플랜지(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찬넬 결합부(122)는 플랜지(100)의 하부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ㄴ'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7, the first channel engaging portion 121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00 and the second channel engaging portion 122 extends from the flange 100 Quot; b " shap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이러한 찬넬 결합부(120)의 구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찬넬 결합부(121)는 플랜지(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2 찬넬 결합부(122)는 플랜지(100)의 하부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ㄴ'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의 제조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할 수 있다. 또한, 도 4, 5, 7 및 8을 참조하면, 제1 찬넬 결합부(121)와 제2 찬넬 결합부(122)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찬넬 결합부(121)의 제1 면과 제2 찬넬 결합부(122)의 제4 면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찬넬 결합부(121)의 제3 면과 제2 찬넬 결합부(122)의 제2 면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1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0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2. The first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 Is formed to extend in a "? 'Shap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00,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anufacture the channel-coupled portion of the bracket. 4, 5, 7 and 8, the first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channel engaging portion 121 and the fourth surface of the second channel engaging portion 1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third surface of the first channel engaging portion 121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channel joining part 122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이러한 찬넬 결합부(120)의 구조, 보다 구체적으로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120)가 제1 찬넬 결합부(121), 제2 찬넬 결합부(122)로 나뉘어 구성되게 함으로써 브라켓의 제조를 보다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structure of the channel connecting part 120, more specifically, the channel connecting part 120 of the bracket is divided into the first channel connecting part 121 and the second channel connecting part 122, .

한편, 찬넬 결합부(120)의 제1 면에는 제1 볼트홀(131)이 형성되고, 제2 면에는 제2 볼트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olt hole 131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bolt hole 13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찬넬 결합부(121)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볼트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2, at least one first bolt hole 131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channel engaging part 12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2 찬넬 결합부(122)의 제2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볼트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t least one second bolt hole 13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channel connector 122.

이 경우, 제1면의 제1 볼트홀(131) 및 제2면의 제2 볼트홀(132)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면의 제1 볼트홀(131)이 마주보는 제2 면의 위치에는 제2 볼트홀(132)이 형성되지 않고, 제2 면의 제2 볼트홀(132)이 마주보는 제1 면의 위치에는 제1 볼트홀(13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bolt hole 131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bolt hole 132 of the second surface may be formed at positions offset from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bolt hole 132 is not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bolt hole 131, and the second bolt hole 132 of the second surface is opposed to the The first bolt hole 131 may not be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surface.

만약, 제1 볼트홀(131)이 제1 상단 볼트홀, 제1 중단 볼트홀 및 제1 하단 볼트홀의 3개의 볼트홀로 구성되고, 제2 볼트홀(132)이 제2 상단 볼트홀, 제2 하단 볼트홀의 2개의 볼트홀로 구성되는 경우, 제2 상단 볼트홀이 마주보는 제1 면의 위치는 제1 상단 볼트홀과 제1 중단 볼트홀의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중단 볼트홀이 마주보는 제2 면의 위치는 제2 상단 볼트홀과 제2 하단 볼트홀의 사이일 수 있다.If the first bolt hole 131 is composed of three bolt holes of the first upper bolt hole, the first intermediate bolt hole and the first lower bolt hole, the second bolt hole 132 is formed of the second upper bolt hole, In the case of the two bolt holes of the lower bolt hole, the position of the first face facing the second upper bolt hole may be between the first upper bolt hole and the first interrupt bolt hole.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break bolt hole may be between the second upper bolt hole and the second lower bolt hole.

즉, 제1 볼트홀(131)과 제2 볼트홀(132)을 하나씩 대응되도록 이은 선분은 지그재그를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a line segm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lt hole 131 and the second bolt hole 132 may be zigzag.

또한, 제1 볼트홀(131)과 제2 볼트홀(132)은 동일한 개수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이한 개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 내지 3과 같이, 제1 볼트홀(131)은 홀수개로 구현될 수 있고, 제2 볼트홀(132)은 짝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lt hole 131 and the second bolt hole 132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number or may be implemented in different number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to 3, the first bolt hole 131 may be implemented in an odd number, and the second bolt hole 132 may be implemented in an even number.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에 형성되는 볼트홀들이 서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게 되어 작업자가 높이 조절을 좀 더 섬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holes formed in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of the bracket ar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bolts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operator can more precisely control the height.

한편, 상술한 브라켓(10)은 찬넬(200)과 결합하여 배관 등의 지지를 위한 지지가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bracket 10 described above can be combined with the channel 200 to form a supporting table for supporting a pipe or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도 9 내지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과 찬넬의 결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브라켓(10)과 찬넬(200)의 결합시, 브라켓(10)의 찬넬 결합부(120)은 찬넬(2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0)과 찬넬(200)은 볼트(300)를 통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FIGS. 9 to 10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combining a bracket and a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when the bracket 10 and the channel 200 are coupled,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of the bracket 10 can be inserted into the channel 200. Further, the bracket 10 and the channel 200 can b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olts 300.

여기서 볼트(300)는 볼트 머리(301)와 볼트 몸체(302)로 구성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져 브라켓(10)과 찬넬(20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Here, the bolt 300 is composed of a bolt head 301 and a bolt body 302, and is inserted inward from the outside to connect the bracket 10 and the channel 200 to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볼트홀(130)의 내부에는 나사선(13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나사선(133)은 볼트가 체결, 결합되는 부분으로, 볼트홀(130)의 나사선(133)은 볼트 몸체(302)에 형성된 나사선과 서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볼트홀(130) 내부의 나사선(133)의 높이(d)는 찬넬 결합부(120)의 두께(d)와 동일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0, a screw thread 133 may be formed in the bolt hole 130. The screw thread 133 of the bolt hole 130 can be screwed together with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bolt body 302. The height d of the screw thread 133 in the bolt hole 130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d of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한편, 찬넬(200)에는 볼트(300)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20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홀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그리고, 홀(201)의 단축의 길이(r)는 볼트 몸체(302)의 직경의 길이보다 크고, 볼트 머리(301)의 직경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볼트 몸체(302)의 직경에 수직하는 볼트 몸체(302)의 세로 길이는 찬넬(200)의 두께와 볼트홀(201)의 길이를 합산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클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hole (HOLE) 201 through which the bolt 300 passes may be formed in the channel 200. Here, the hole may be a long hole formed in one direction. The length r of the minor axis of the hole 20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lt body 302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lt head 301. The vertical length of the bolt body 302 perpendicular to the diameter of the bolt body 302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channel 200 and the length of the bolt hole 201.

이 경우,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120)와 찬넬(200)은 볼트(300)로 결합되되, 볼트(30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지고, 볼트의 머리(301)는 끼워짐에 따라 찬넬(200)에 밀착하고, 볼트의 몸체(302)는 찬넬 내부에 형성된 볼트홀의 나사선(133)에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지는 볼트의 몸체(302)는 찬넬(200)에 형성된 홀(201)을 관통하여 볼트홀(130)의 나사선(133)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지는 볼트의 머리(301)는 찬넬(200)에 형성된 홀(201)을 관통하지 못하고, 볼트 몸체(302)와 나사선(133)이 나사 결합함에 따라 찬넬(200)에 밀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of the bracket and the channel 200 are coupled by the bolts 300, the bolts 300 are inserted inward from the outside, and the head 301 of the bolts is inserted into the channel 200 so that the body 302 of the bolt can be screwed to the threaded line 133 of the bolt hole formed inside the channel. More specifically, the body 302 of the bolt inser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can be screwed with the thread 133 of the bolt hole 130 through the hole 201 formed in the channel 200. The head 301 of the bolt inser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does not penetrate the hole 201 formed in the channel 200 and the bolt body 302 and the screw 133 are screwed to each other, It can be closely contacted.

한편, 찬넬(200)의 제1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201)은 제1 볼트홀(131) 또는 제2 볼트홀(132)과 볼트(300)를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At least one hole 201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hannel 2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lt hole 131 or the second bolt hole 132 through the bolt 300.

즉, 작업자는 브라켓(10)의 찬넬 결합부(120)를 찬넬(200)의 내부로 인입시키는데, 이 경우, 결합 방향은 작업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작업자는 제1 찬넬 결합부(121)가 찬넬의 제1 면에(200)에 맞닿도록 찬넬 결합부(120)를 찬넬(200)의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또는 제2 찬넬 결합부(122)가 찬넬의 제1 면에(200)에 맞닿도록 찬넬 결합부(120)를 찬넬(200)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볼트(300)는 제1 홀(201)과 제1 볼트홀(131)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끼워지거나 또는 제1 홀(201)과 제2 볼트홀(132)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끼워질 수 있다.That is, the operator draws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of the bracket 10 into the inside of the channel 200. In this case, the connecting direction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For example, the operator may cause the channeling portion 120 to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channel 200 so that the first channeling portion 121 abuts the first surface 200 of the channel, or the second channeling portion 122 can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channel 200 so that the channel engaging portion 120 abuts the first surface 200 of the channel. The bolt 300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through the first hole 201 and the first bolt hole 131 or inserted into the inside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hole 201 and the second bolt hole 132 Can be inserted.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찬넬 결합부(120)와 찬넬(200)의 결합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높이 조절을 좀 더 섬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adjust the height direction more precisely and precisely by adjusting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channel connector 120 and the channel 200. [

한편, 상술한 예시에서는 찬넬(200)의 일 면에만 홀(201)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일 뿐, 구현 예에 따라서는 적어도 두 개의 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hole 201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channel 200.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hole May be formed.

일 예로, 찬넬(200)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201)이 형성되고, 찬넬(200)의 제1 면에 마주보는 찬넬(200)의 제2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찬넬(200)의 제1 면에 형성된 홀과 찬넬(200)의 제2 면에 형성된 홀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찬넬 결합부(120)에 결합하는 찬넬(200)의 결합 위치만을 조절(예를 들어, 윗 방향, 아랫 방향 등으로 찬넬(200)을 이동시킴)함으로써, 높이 조절을 좀 더 섬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At least one hole 201 is formed on a first surface of the channel 200 and at least one hole 201 is form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channel 200 facing the first surface of the channel 200. [ (HOLE) may be formed. Here, the hole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hannel 200 and the hole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channel 200 may b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In this case, the operato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channel 200 by adjusting only the joining position of the channel 200 coupled to the channel joining unit 120 (for example, by moving the channel 200 in an upward direction or a downward direction) Delicate and accurate.

한편, 상술한 브라켓(10)과 찬넬(200)의 결합 구조에 따르면 종래의 결합 구조 대비 하중에 강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of the bracket 10 and the channel 2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ong coupling force against the load of the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2. FIG.

도 11은 종래의 브라켓과 찬넬을 결합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과 찬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12에서, F bolt는 볼트(300)에 의해 가해지 힘(조임 토크), Fs는 정지 마찰력, Fk는 운동 마찰력, F1는 하중 등에 의하여 미끄러짐 전에 찬넬 결합부(120) 및 찬넬(200)에 가해지는 힘, F2는 하중 등에 의하여 미끄러짐 진행 중에 찬넬 결합부(120) 및 찬넬(200)에 가해지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1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racket and a method of coupling the channel. 1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racket and a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2, F bolt is applied to the channel fitting portion 120 and the channel 200 before being slid by the bolt 300 (force of tightening), Fs is the static friction force, Fk is the kinetic frictional force, F1 is the load, F2 is a force applied to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channel 200 during the slip by the load or the like.

도 1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볼트(300)가 브라켓의 수직 찬넬 결합부(120) 및 찬넬(200)을 관통하여 양 자를 결합시키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도 11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결합 방식에서 미끄러짐 발생 전에는, 브라켓 찬넬 결합부(120) 및 찬넬(200)에는 볼트(300)에 의해 가해지 힘(F bolt), 정지 마찰력(Fs), 및 찬넬 결합부(120) 및 찬넬(200)에 가해지는 힘(F1)이 가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bolts 300 pass through the vertical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channel 200 of the bracket to couple the two is used. 11, the bracket channel fitting portion 120 and the channel 200 are provided with the bolt 300 with an applied force (F bolt), a static frictional force (Fs) before the slip occurs in the conventional engaging method, And the force F1 applied to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channel 200 can be applied.

이러한 종래의 결합 방식에서는 브라켓(10)과 찬넬(200)을 결합할 때 몸체의 길이가 긴 볼트를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볼트 몸체의 길이가 길어 볼트의 축력 및 볼트의 조임토크(T=마찰계수 * 호칭경 * 볼트의 축력)를 감소시켜, 도 11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을 충분하게 견디지 못하여 찬넬이 미끄러지거나 볼트가 휘는 문제가 있었다.In such a conventional coupling method, a bolt having a long body length is used to connect the bracket 10 and the channel 200. In this case, since the length of the bolt body is long, the axial force of the bolt and the tightening torque of the bolt * Nominal diameter * Bolt axial force) is reduced, and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11, the load can not be sufficiently sustained, so that the channel slips or the bolt warps.

다만, 도 12를 참조하면, 브라켓 찬넬 결합부(120)의 일 단면과 그와 겹쳐지는 찬넬(200)의 일 단면만을 볼트(300)로 결합하여 기존에 사용한 볼트몸체의 길이보다 더 짧은 몸체 길이의 볼트를 사용하게 되어 볼트의 몸체 길이로 인한 볼트 축력의 감소 효과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의 조임토크를 증가시켜 하중을 보다 더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하중으로 인한 찬넬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12, only one end face of the bracket channel fitting part 120 and one end face of the channel 200 overlapping the channel face are coupled with the bolts 300, so that the body length shorter than the conventional bolt body length The effect of reducing the bolt axial force due to the body length of the bolt can be reduced. Thus, the tightening torque of the bolt can be increased to more easily control the load, and slippage of the channel due to the load can be prevented.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찬넬(200)은 수직 찬넬 및 수평 찬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찬넬은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120)와 볼트(300)를 통하여 결합하는 부분으로, 상술한 예시들에서 찬넬은 수직 찬넬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찬넬은 수직 찬넬에서 수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찬넬일 수 있다. 만약, 브라켓(10) 및 찬넬(200)으로 구성된 지지가대가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수평 찬넬에는 배관 등이 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hanne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rtical channel and a horizontal channel. Here, the vertical channel is a portion of the bracket coupled to the channel coupling portion 120 through the bolt 300, and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e channel may mean a vertical channel. Also, the horizontal channel may be a channel formed vertically connected to the vertical channel. If a supporting table composed of the bracket 10 and the channel 20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piping or the like may be mounted on the horizontal channel.

여기서, 수평 찬넬은, 바람직하게는, 일 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틈을 통하여 외측에 개방된 개방형 찬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평 찬넬은 복수의 면 모두에 틈이 형성되지 않은 폐쇄형 찬넬일 수 있다. Here, the horizontal channel may preferably be an open channel open to the outside through a gap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horizontal channel may be a closed channel in which no gaps are formed on a plurality of surfaces.

한편, 수평 찬넬의 틈에는 수평 찬넬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 볼트가 끼워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 찬넬은 내부는 길이 방향으로 빈 형상일 수 있고, 보강 볼트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보강 볼트는 와셔 및 너트를 통하여 상기 틈에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reinforcing bolt can be fitted in the gap of the horizontal channel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channel. 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channel may be hollow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inforcing bolt may be fitted from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And, the reinforcing bolt can be fixed to the gap through the washer and the nut.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평 찬넬이 배관에 작용하는 중력 등의 하중으로 인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하중 방향으로 처지거나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lem of sagging or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load due to gravity or the like acting on the pipe in the horizontal channel.

한편, 수평 찬넬의 하중 방향 절단면은 직사각형이고, 직사각형에서 하중 방향에 수평한 변의 길이가 인접한 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oad direction cut surface of the horizontal channel is rectangular, and the length of the side horizontal to the load direction in the rectangl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djacent sid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3은 하중이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찬넬의 단면 형상에 따른 처짐 효과를 나타낸 도면 및 그래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중 방향에 수평한 변이 인접한 변의 길이보다 긴 경우(가로*세로 : 40*60)와 하중 방향에 수평한 변이 인접한 변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가로*세로 : 60*40)를 비교하면, 최대 처침이 각각 2.81mm 및 5.54로, 하중 방향에 수평한 변의 길이를 인접한 변의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이 더 나은 처짐 방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13 is a diagram and a graph showing a sagging effect accor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a channel when a load acts in a vertical direction. 13, whe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ad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adjacent side length (width * length: 40 * 60)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adjacent side length (width * length: 60 * 40) In comparison,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squeezing is 2.81 mm and 5.54, respectively, and that the length of the side parallel to the loading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djacent side.

또한, 동일한 길이의 강판으로 직사각형(40*60)의 경우와 정사각형(50*50)의 경우를 비교하면, 직사각형의 경우 최대 처짐이 2.81이고, 정사각형의 경우 최대 처짐이 3.78로 직사각형 구조가 정사각형 구조보다 더 나은 처짐 방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teel plate of the same length is compared with a case of a rectangular (40 * 60) case and a case of a square (50 * 50), the maximum deflection is 2.81 in a rectangular case, the maximum deflection is 3.78 in a square cas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better anti-sagging effect.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찬넬의 단면이 직사각형 구조일 때, 강판의 두께에 따른 찬넬의 굴절 내지 변형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강판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굴절 내지 변형의 정도가 적어짐을 알 수 있다.Fig. 14 shows the degree of bending or deformation of the channel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teel sheet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hannel is a rectangula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it can be seen that as the thickness of the steel sheet increases, the degree of bending or deformation decreases.

한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고안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re used for distinguishing between similar components, if any, It is used to describe a particular sequence or occurrence sequenc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is such th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is compatible under the right circumstances, for example, so that it can operate in a sequence other than those shown or described herein. Likewise, where the method is described as including a series of steps, the order of such steps presented herein is not necessarily the order in which such steps may be performed, any of the described steps may be omitted and / Any other step not described will be additive to the method.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고안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한다.Also, the terms "left", "right", "front", "back", "upper", "bottom", "above", "under", etc., It is not intended to describe a constant relative posi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is intended to be interchangeable in appropriate circumstances to enabl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to operate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for example, shown or described herein. The term "connected" as used herein is defined as being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in an electrically or non-electrical manner. Objects described herein as "adjacent" may be in physical contact with one another, in close proximity to one another, or in the same general range or region as are appropriate for the context in which the phrase is used. The presence of the phrase "in one embodiment" herein means the same embodiment, although not necessarily.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 " connected, " " connected, " " concluded, " " concluded, " " coupled, " Or indirectly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Further, the suffix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may be used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 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고안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embodiments and conditional statements disclosed herein are intended to assist the reader in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 브라켓 100 : 플랜지
101 : 장공 120 : 찬넬 결합부
121 : 제1 찬넬 결합부 122 : 제2 찬넬 결합부
130 : 볼트홀부 131 : 제1 볼트홀
132 : 제2 볼트홀 133 : 나사선
200 : 찬넬 201 : 찬넬의 장공
10: Bracket 100: Flange
101: elongated hole 120:
121: first channel connecting portion 122: second channel connecting portion
130: bolt hole part 131: first bolt hole
132: second bolt hole 133: screw thread
200: Channel 201: The channel's slot

Claims (11)

플랜지 및 상기 플래지로부터 연장 형성된 찬넬 결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와 결합하는 찬넬;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와 상기 찬넬의 결합시, 상기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는 상기 찬넬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와 상기 찬넬은 볼트로 결합되되, 상기 볼트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볼트의 머리는 끼워짐에 따라 상기 찬넬에 밀착하고, 상기 볼트의 몸체는 상기 찬넬 결합부에 형성된 볼트홀의 나사선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가대.
A bracket including a flange and a channel engagem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lange; And
And a channel coupled to the channel coupling portion of the bracket,
When the channel connection portion of the bracket is coupled with the channel, the channel connection portion of the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channel,
Wherein the bolts are inserted into the channel from the outside and the head of the bolt is fitted into the channel so that the bol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nnel and the body of the bolt is formed in the channel- And is screw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bol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찬넬 결합부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을 마주보는 상기 찬넬 결합부의 제2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볼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가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first bolt hole is formed on a first surface of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and at least one second bolt hole is form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channel connecting portion facing the first surfac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찬넬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1 볼트홀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볼트홀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가대.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first hole is formed in the first surface of the channel,
The bolt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through the first hole and the first bolt hole, or alternatively,
And the bolt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rough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bolt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장축과 단축으로 형성된 장공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가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hole is a long hole formed in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몸체의 직경의 길이는 상기 장공홀의 단축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볼트 머리의 직경의 길이는 상기 장공홀의 단축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볼트 몸체가 상기 제1 볼트홀 또는 상기 제2 볼트홀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볼트 머리는 상기 찬넬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가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bolt body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of the long hole,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bolt hea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inor axis of the long hole,
Wherein the bolt hea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nnel when the bolt body is screwed into the first bolt hole or the second bolt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몸체의 길이는 상기 찬넬의 두께와 상기 볼트홀의 길이를 합산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가대.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length of the bolt bod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channel and the length of the bol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찬넬은,
상기 브라켓의 찬넬 결합부와 결합하는 수직 찬넬 및 상기 수직 찬넬에 연결되는 수평 찬넬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찬넬은 일 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틈을 통하여 외측에 개방된 개방형 찬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가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hannel,
A vertical channel coupled to the channel connection portion of the bracket and a horizontal channel connected to the vertical channel,
Wherein the horizontal channel is an open channel open to the outside through a gap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찬넬의 틈에는 상기 수평 찬넬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 볼트가 끼워지고,
상기 보강 볼트는 와셔 및 너트를 통하여 상기 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가대.
8. The method of claim 7,
At least one reinforcing bolt is fitted in the gap of the horizontal channel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channel,
Wherein the reinforcing bolt is fixed to the gap through a washer and a nu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찬넬의 하중 방향 절단면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직사각형에서 하중 방향에 수평한 변의 길이가 인접한 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가대.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rizontal channel is rectangular and the length of the side of the rect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loa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adjacent 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제1 볼트홀 및 상기 제2면의 제2 볼트홀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가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bolt hol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bolt hole of the second surface are formed at positions offse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찬넬 결합부는,
상기 플랜지의 하부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찬넬 결합부; 및
상기 플랜지의 하부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ㄴ'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찬넬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가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annel-
A first channel coupling portion extending in a '?' Shap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lower surface of the flange; And
And a second channel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a '?' Shap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lower surface of the flange.
KR2020160002001U 2016-04-12 2016-04-12 Supporting structure having bracket and channel KR20048262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01U KR200482622Y1 (en) 2016-04-12 2016-04-12 Supporting structure having bracket and cha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01U KR200482622Y1 (en) 2016-04-12 2016-04-12 Supporting structure having bracket and chan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622Y1 true KR200482622Y1 (en) 2017-02-14

Family

ID=5840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01U KR200482622Y1 (en) 2016-04-12 2016-04-12 Supporting structure having bracket and cha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622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80B1 (en) * 2007-05-29 2007-10-26 주식회사 중앙Cmi Hanger assembly for pipe and cable
KR20090006304U (en) * 2007-12-21 2009-06-25 김인욱 Prefabricated fence
KR20140093204A (en) * 2014-07-07 2014-07-25 성화시스템챤넬(주) Assembly type pipe support tool having tray
KR101617876B1 (en) * 2015-08-11 2016-05-04 (주) 세우정밀판금 Switching board using assembly type frame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80B1 (en) * 2007-05-29 2007-10-26 주식회사 중앙Cmi Hanger assembly for pipe and cable
KR20090006304U (en) * 2007-12-21 2009-06-25 김인욱 Prefabricated fence
KR20140093204A (en) * 2014-07-07 2014-07-25 성화시스템챤넬(주) Assembly type pipe support tool having tray
KR101617876B1 (en) * 2015-08-11 2016-05-04 (주) 세우정밀판금 Switching board using assembly type fram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075B1 (en) Building non-welding truss structures
US9359772B2 (en) Wall panel assembly
AU2012387142B2 (en) Stair systems and wall assemblies comprising same
KR102119926B1 (en) Cable tray
KR101315025B1 (en) Anchoring Device for Curtain Wall
KR101439744B1 (en) Coupling structure for beam to column connection
KR200482622Y1 (en) Supporting structure having bracket and channel
KR101753700B1 (en) A frame having a prefabricated structure
KR20170000820A (en) A frame having a prefabricated structure
CN203294995U (en) Elevator toe guard protection device
KR20160042374A (en) Assembly type frame
KR200482621Y1 (en) Bracket for supporting tool
KR20200112460A (en) Structure for installing of base truss bracket
KR102209590B1 (en) Supporting hardware
EP2309072A1 (en) Fixing system for ventilated walls
JP6473433B2 (en) Exterior wall structure
JP2018009383A (en) Fixing hardware for fixing exterior wall panel
CN205329944U (en) Wall frame connection board and application node structure thereof
JP2019085733A (en) Fitting device and fitting method of interior plaster board
JP3198433U (en) Piping support bracket
KR20200032849A (en) A panelized frame for fire door
KR102247641B1 (en) Bottom Construction for Structure
EP2251498B1 (en) Support frame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KR102451321B1 (en) Supporting Functional Bracket
JP6802648B2 (en) Outer wal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