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523Y1 - 접이식 선반 - Google Patents

접이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523Y1
KR200482523Y1 KR2020150005380U KR20150005380U KR200482523Y1 KR 200482523 Y1 KR200482523 Y1 KR 200482523Y1 KR 2020150005380 U KR2020150005380 U KR 2020150005380U KR 20150005380 U KR20150005380 U KR 20150005380U KR 200482523 Y1 KR200482523 Y1 KR 200482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helves
support frame
support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293U (ko
Inventor
이근석
Original Assignee
이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석 filed Critical 이근석
Priority to KR2020150005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523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2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2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5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다단형태로 절첩되거나 펼쳐져 고정되도록 하여 각종 물품을 안치시키도록 된 접이식 선반으로서, 각각 지지프레임과 연결 설치된 선반을 다단으로 펼쳐 선반고정부재와 풀림방지구를 이용하여 선반을 안정되게 고정하여 사용중 선반고정부재의 풀림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함으로 물론, 풀림방지구 역할은 물론, 물품을 걸어 놓을 수 있는 용도, 선반의 전면 및 연결프레임측의 행거걸이대를 통한 잡다한 물품을 정돈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 제공과 지지프레임측의 장공부를 통한 디쉬렉 플레이트를 적용하여 다수개의 접시보관, 건조에도 유리할 뿐만 아니라 안전대를 각 선반 상부에 더 적용하여 진열된 물품이 뒤로 넘어가 떨어지는 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며, 가정에서의 사용은 물론, 접이식으로 운반과 설치가 간단하기 때문에 캠핑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지지프레임의 단수를 줄여 선반의 개수를 줄여 2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거나 혹은 지지프레임을 더 상부로 연결하여 선반을 4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 측면에서는 3단 형태의 접이식 선반을 구입하여 2단 혹은 4단으로 추가변경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선반{Foldable shelves}
본 고안은 접이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선반을 절첩시켜 휴대하거나 다단으로 펼쳐서 사용하는 절첩식 선반을 개선하여 캠핑 및 아웃도어 생활에서 조리도구 및 잡다한 물품들을 수납 및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선반 상에 정리된 물품이 뒤로 떨어지는 사례를 방지하고, 특히 절첩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안정되게 선반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을 보관하거나 올려놓기 위해서는 평평하게 제작된 선반을 이용하며, 이러한 선반은 벽부착식, 이동식, 거치식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 가정에서 실내 등의 장소에 거치시켜 사용하는 선반제품의 경우, 물품을 가지런히 정리하기 위해 다단 형태로 제작되며, 일정 높이의 간격으로 설치한 선반의 형태는 움직일 수 없는 고정적인 형태이다.
공간의 활용성을 위해, 다단식 선반은 보관사용이 용이하도록 절첩 형태로 제작된 제품이 있다.
절첩식 선반에 관련한 선원문헌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2629호(명칭: 수납장, 등록일자: 2014년 05월 07일, 이하 이를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수납장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호 나란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지지플랜지 및 우측지지플랜지를 각각 가지고 상기 지지판 상호간, 상기 좌측지지플랜지 상호간 및 상기 우측지지플랜지 상호간이 각각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선반을 갖는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각 선반에 속하는 좌측지지플랜지는 전방영역에 좌측안내장공이 상기 지지판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선반에 속하는 우측지지플랜지는 전방영역에 우측안내장공이 상기 좌측안내장공과 선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선반에 속하는 좌측안내장공과 우측안내장공에 양단이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가동지지봉과, 상기 각 가동지지봉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가동지지봉에 나란하고 상기 좌측안내장공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각 선반에 속하는 좌측지지플랜지와 우측지지플랜지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고정지지봉과, 엑스(X)자 형태로 배치되고 외부조작에 의해 교차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된 한 쌍의 좌측지지레버를 가지고 상하로 인접하는 한 쌍의 가동지지봉의 각 좌측단 및 한 쌍의 고정지지봉의 각 좌측단에 상기 각 좌측지지레버의 상단과 하단을 통해 결합된 좌측지지다리와, 엑스(X)자 형태로 배치되고 외부조작에 의해 교차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된 한 쌍의 우측지지레버를 가지고 상하로 인접하는 한 쌍의 가동지지봉의 우측단 및 한 쌍의 고정지지봉의 각 우측단에 상기 각 우측지지레버의 상단과 하단을 통해 결합된 우측지지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수납장의 형태를 간추려 살피면, 다단 형태의 선반 양측에 엑스자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교차되는 좌우측지지다리중 어느 한쪽은 선반에, 다른 한쪽은 선반의 측변에 길게 형성된 장공에 안내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최 상부에 위치한 선반측 장공에는 가동지지봉이 걸려 지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선반을 다단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의 고정구조는 가동지지봉이 장공에 형성된 보조 지지공에 걸려진 상태이므로, 자칫 외부 충격으로 최상부측 선반이 들여 가동 지지봉이 보조지지공으로부터 이탈할 경우, 최상부 측의 선반부터 순간 내려앉게 되어 거치된 물품을 훼손시키거나 외부충격이 아이들이나 취급 중에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정되지 못한 선반의 고정은 특히 철재로 제작된 선반이 절첩된 상태이거나, 선반을 펼치는 과정에서도 생각지도 못하게 지지다리가 펼쳐지거나 접혀 다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선반은 펼쳐진 상태로 각종 잡다한 물건을 선반 위에 올려놓고 사용함에 있어, 밑면이 평평한 위주의 물건이나, 가벼운 물건에 한하여 올려놓고 사용하는 예가 대부분으로, 정해진 규격의 선반을 벗어나는 범위에서는 더 이상의 정리정돈에 한계가 있고, 사용중 선반 위에 거치된 물품을 건드렸을 때 뒤로 떨어질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납장은 2단 혹은 3단으로 각각 제작판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입자 사용 측면에서는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선반을 절첩시켜 휴대하거나 다단으로 펼쳐서 사용하는 절첩식 선반을 개선하여 캠핑 및 아웃도어 생활에서 조리도구 및 잡다한 물품들을 수납 및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선반 상에 정리된 물품이 뒤로 떨어지는 사례를 방지하고, 특히 절첩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안정되게 선반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선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하 다단형태로 절첩되거나 펼쳐져 고정되도록 하여 각종 물품을 안치시키도록 된 접이식 선반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선반은, 양 측면에 나사축부 및 연결축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고, 상면 후측에는 양단이 고정 설치되어 물품의 낙하를 방지는 안전대가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다단으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선반과; 양단에 고정공이 마련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의 나사축부 및 연결축부에 크로스형태로 교차되게 연결되고, 교차하는 중간에는 힌지축이 결합으로서 제1 내지 제3선반을 다단으로 절첩하거나 펼쳐 지지하는 구조로,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폭 방향에는 제1장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장공부의 반대측 폭 방향에는 나사축부를 안내하는 제2장공부가 형성되며, 제2장공부의 일측에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선반을 연결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과; 일측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교차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제2지지프레임의 고정공과 각각 일치되어 연결되기 위한 지지공이 형성되고, 반대측 타단에는 환봉형의 행거걸이대가 연결 설치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선반의 나사축부에 관통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고정공과 일치되는 지지공이 형성되고, 제1지지프레임과 제1선반의 측면 사이에서 제2지지프레임과 제1선반사이의 두께차이를 보상하는 제1스페이스편과; 상기 제3선반의 연결축부에 설치되어 제1지지프레임과 제3선반의 측면 사이에서 제2지지프레임과 제3선반 사이의 두께차이를 보상하는 제2스페이스편과; 상기 제1 내지 3선반의 나사축부에 체결되는 선반고정부재와; 일측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지지공과 제2지지프레임의 고정공에 일단이 삽입되거나, 제1지지프레임의 고정공 및 제1스페이스편의 지지공에 삽입되어 상기 선반고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풀림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제1장공부에는 접시를 세워 제2 및 제3선반 상면에 받쳐 보관하도록 일방향으로 슬릿홈이 등간격지게 형성된 디쉬랙(dish rack) 플레이트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선반고정부재는 회전식 노브 형태로, 그 중앙에는 나사축부에 체결되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는 상기 풀림방지구의 일부가 안내되어 걸려지는 요철부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풀림방지구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A)의 고정공, 제1스페이스편의 지지공, 연결프레임의 지지공에 삽입고정되는 일자형의 핀 형상이거나 또는 환봉을 ㄷ자형태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선반의 전면에는 제1 및 제2행거걸이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측의 나사축부가 생략되고, 상기 선반고정부재는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의 제2장공부를 통해 제1 내지 제3선반의 측부를 지지하는 퀵 릴리즈 레버로서, 제1 내지 제3선반의 측부에 체결 설치되어 고정 및 풀림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접이식 선반은, 각각 지지프레임과 연결 설치된 선반을 다단으로 펼쳐 선반고정부재와 풀림방지구를 이용하여 선반을 안정되게 고정하여 사용중 선반고정부재의 풀림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함으로 물론, 풀림방지구 역할은 물론, 물품을 걸어 놓을 수 있는 용도, 선반의 전면 및 연결프레임측의 행거걸이대를 통한 잡다한 물품을 정돈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 제공과 지지프레임측의 장공부를 통한 디쉬렉 플레이트를 적용하여 다수개의 접시보관, 건조에도 유리할 뿐만 아니라 안전대를 각 선반 상부에 더 적용하여 진열된 물품이 뒤로 넘어가 떨어지는 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며, 가정에서의 사용은 물론, 접이식으로 운반과 설치가 간단하기 때문에 캠핑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지지프레임의 단수를 줄여 선반의 개수를 줄여 2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거나 혹은 지지프레임을 더 상부로 연결하여 선반을 4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 측면에서는 3단 형태의 접이식 선반을 구입하여 2단 혹은 4단으로 추가변경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접이식 선반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을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제1 및 제2지지프레임, 연결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절첩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선반측 선반고정부재를 이용한 고정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양측에 고정되는 선반고정부재의 풀림방지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선반 중 최상부측 선반고정부재의 풀림방지구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선반에 접시 보관을 위한 디쉬렉플레이트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선반에 각종 물품을 정돈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선반고정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접이식 선반의 일부분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선반고정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서 선반고정부재를 풀거나 조여 고정하는 상태를 예시한 일부분 확대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선반(100)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의 선반과 지지프레임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접이식 선반은 통상적으로 지지프레임에 의해 다단형태로 절첩되거나 수평으로 펼쳐져 고정되도록 하고, 여기에 각종 물품을 안치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접이식 선반은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단 혹은 3단으로 구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3단 형태로 된 접이식 선반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이식 선반(100)은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으로서, 금속재질과 목재를 상호 조합하여 제작된 것으로, 금속부분은 수개의 통공을 타공하여 내구성은 유지하면서 접이식 선반의 취급상의 무게를 줄였으며, 그 전방에는 목 소재의 판재를 부착함으로써, 2가지 소재가 주는 질감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은 상면 후측에 높이를 갖고, 양측은 하향 절곡된 안전대(13)가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 상부에 얹혀놓는 물품이 후방으로 낙하되는 사례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은 각각 양 측면에 나사축부(11) 및 연결축부(12)가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나사축부(11) 및 연결축부(12)는 제1지지프레임(20A)과 제2지지프레임(20B)에 의해 절첩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과 제2지지프레임(20B)은, 도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은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20B)은 내측에 위치하여 크로스형태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과 제2지지프레임(20B)은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의 나사축부(11) 및 연결축부(12)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호 교차하는 중간에는 힌지축(H)이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H)을 기준으로 폭 방향에는 제1장공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장공부의 반대측 폭 방향에는 나사축부(11)를 안내하는 제2장공부(22)가 형성되며, 제2장공부(22)의 일측에는 고정공(23)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나사축부(11)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A,20B)의 제2장공부(22)에 안내되어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에 대해 연결축부(12)에 연결된 지점, 상기 힌지축(H)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이 동시에 업(UP), 다운(DOWN) 방식으로 상기 제2장공부(22)에 대해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지지프레임(20B)의 일단에는 연결프레임(30)이 설치되되, 연결프레임의 반대측 타단에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봉형의 행거걸이대(31)가 연결 설치되고, 일측에는 제2지지프레임(20B)측의 고정공(32)과 일치되는 지지공(32)이 형성된다.
상기 행거걸이대(31)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30)의 일측은 경사각도를 갖도록 하여 제1선반(10A)의 면적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상기 행거걸이대를 위치시킨 것으로써, 다양한 물건을 걸어둘 때에 제1선반(10A)에 올려진 물품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적정길이를 갖도록 하며, 제2지지프레임(20B)으로부터 폴딩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행거걸이대(31)에는 물건을 걸어둘 수 있는 걸고리가 좌우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다수개 구비되어 물품을 각각 개별적으로 걸어둘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행거걸이대(30)와 유사한 사용범위로서 상기 제1 및 제2선반(10A,10B)의 전면에는 제1 및 제2행거걸이대(14)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접이식 선반이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현저히 떨어져 있는 제1 및 제2선반(10A,10B)의 전면에 상기 제1 및 제2행거걸이대(14)를 두고, 상술한 바와 같이 걸고리를 구비하여 각종 물품, 예를 들면, 컵, 음식용 집게 등을 걸어둘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1선반(10A)의 나사축부(11)에 관통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의 고정공(23)과 일치되는 지지공(41)이 형성되고, 제1지지프레임(20A)과 제1선반(10A)의 측면 사이에서 제2지지프레임(20B)과 제1선반(10A)사이의 두께차이를 보상하는 제1스페이스편(4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스페이스편(40)과 관련하여 상기 제3선반(10C)의 연결축부(12)에 설치되어 제1지지프레임(20A)과 제3선반(10C)의 측면 사이에서 제2지지프레임(20B)과 제3선반(10C) 사이의 두께차이를 보상하는 제2스페이스편(5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3선반(10A, 10B, 10C)의 나사축부(11)에 체결되는 선반고정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 및 제2지지프레임(20B)의 고정공(23)에는 선반고정부재(60)의 회전을 방지하는 풀림방지구(7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선반고정부재(60)는 회전식 노브 형태로, 그 중앙에는 나사축부(11)에 체결되는 나사체결공(61)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는 상기 풀림방지구(70)의 일부가 안내되어 걸려지는 요철부(6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풀림방지구(70)는 일자형의 핀 형상이거나 또는 환봉을 ㄷ자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A)의 고정공(23), 제1스페이스편(40)의 지지공(41), 연결프레임(30)의 지지공(32)에 고정설치되도록 한다.
즉, ㄷ자형으로 된 풀림방지구(70)는 수건이나 롤 형태로 제공되는 키친 타올 등을 걸어 둘 수 있는 걸이대 역할로도 사용 가능하며, 이는 접이식 선반이 접히는 절첩부분과 각 선반의 범위에서 벗어난 지점에서 상기와 같은 물품을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접이식 선반(100)에 있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의 제1장공부(21)에는 접시를 세워 제2 및 제3선반(10B,10C) 상면에 받쳐 보관하도록 일방향으로 슬릿홈(81)이 등간격지게 형성된 디쉬랙(dish rack) 플레이트(8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디쉬렉 플레이트(80)는 동일 목(木)소재인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 및 제2지지프레임(20B)과 조합시 일체감이 있는 목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선반고정부재를 일 실시예로 적용한 것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측의 나사축부(11)가 생략되고, 상기 선반고정부재(60)는 제1지지프레임(20A) 및 제2지지프레임(20B)의 제2장공부(22)를 통해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의 측부를 지지하는 퀵 릴리즈 레버(Quick release lever)로서,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의 측부에 체결 설치되어 고정 및 풀림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퀵 릴리즈 레버는 대상물에 나사봉이 관통하여 그 단부측은 걸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제품으로 자전거제품에서 휠 탈착을 위한 축부, 안장 높이를 결정하는 축부의 고정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제품을 적용한 것으로서 상술한 품림방지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접이식 선반을 펼치거나 절첩한 상태에서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접이식 선반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이식 선반(100)은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A,20B)이 절첩된 상태로 보관과 운반이 이루어지며, 사용시에는 각각의 선반고정부재를 나사축부로부터 적절히 풀어준 상태에서 제일 위에 위치한 제1선반(10A)을 들어올리면,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A,20B)은 힌지축(H)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펼쳐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A,20B)의 제2장공부(22)로부터는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의 나사축부(11)가 안내되어 위치 이동하면, 상기 제2장공부(22)의 종단지점까지 나사축부(11)가 위치된 상태라면 모두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선반고정부재(6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더 체결하게 되면, 제일 위에 위치한 제1선반(10A)에서 나사축부(11)에 관통된 제1스페이스편(40)을 압박하면서 고정시켜 주며, 반대측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선반고정부재(6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그 하부측에 위치한 제2 및 제3선반(10B,10C)측도 상기와 같이 선반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선반고정부재(60)의 체결로써, 다단으로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을 고정한 다음, 풀림방지구(70)를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의 고정공(23), 제1스페이스편(40)의 지지공(41)이 일치된 상태이고, 핀타입의 풀림방지구를 꽂아주면, 상기 선반고정부재의 요철부(62)의 함몰된 부분은 풀림방지구에 의해 더이상 체결되거나 반대로 회전이 불가한 상태로써, 임의적인 선반고정부재(60)의 풀림을 방지시켜 더욱 안정된 상태로 접이식 선반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선반고정부재(60)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의 고정공(23), 제1스페이스편(40)의 지지공(41)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프레임(30)의 지지공(32), 제2지지프레임(20B)의 고정공(32)에 꽂혀지도록 된 ㄷ자형의 풀림고정구(70)를 양측에서 각각 장착하면, 상기와 같이 선반고정부재(60)의 풀림방지는 물론, 수건이나 키친 타올 등을 걸어 사용할 수 있는 걸이대로서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세팅된 접이식 선반(100)은 제1선반(10A) 및 제2선반(10B)의 선단에 구비된 제1 및 2행거걸이대(14)측과 상기 연결프레임(30)상의 행거걸이대(31)측 걸고리에 각종 다양한 물건을 걸어 진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의 상면에는 다양한 물품을 거치시킬 수 있는바, 후방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안전대(13)로 하여금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의 후방으로으로 물품이 떨어지는 사례를 방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접이식 선반이 모두 펼쳐진 상태로 세팅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제1장공부에 첨부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쉬랙 플레이트(80)을 관통시켜 그 양단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디쉬랙 플레이트(80)는 제1지지프레임(20A)의 경사진 각도와 동일하게 경사지고, 각 슬릿홈(81)에는 접시를 세워 안내시키면, 상기 접시는 각각의 슬림홈(81) 사이에 위치되고, 제2선반(10B)의 상면 바닥에 안치되는 상태로 다수개의 접시보관이 가능하며, 이용자가 사용하기 좋은 위치로 세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제2선반(10B)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나, 제3선반(10C)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세팅은 접이식 선반을 절첩하기 위한 방법은 조립의 역순으로 하면, 첨부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 접이식 선반(100)을 운반 및 보관하기 용이한 크기로 절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접이식 선반(100)에 있어,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측의 나사축부(11)가 생략하고, 여기에 상기 선반고정부재(6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노브 타입이 아닌 퀵 릴리즈 레버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퀵 릴리즈 레버는 자전거의 축부 및 안장의 축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일정의 고정구로써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과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A,20B)를 동시에 나사체결하고, 레버를 젖혀 줌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별도의 풀림방지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접이식 선반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을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A: 제1선반 10B: 제2선반
10C: 제3선반 11: 나사축부
12: 연결축부 13: 안전대
14: 제1 및 제2행거걸이대 20A: 제1지지프레임
20B: 제2지지프레임 30: 연결프레임
31: 제2행거걸이대 40: 제1스페이스편
50: 제2스페이스편 60: 선반고정부재
70: 풀림방지구 100: 접이식 선반

Claims (6)

  1. 상하 다단형태로 절첩되거나 펼쳐져 고정되도록 하여 각종 물품을 안치시키도록 된 접이식 선반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선반(100)은,
    양 측면에 나사축부(11) 및 연결축부(12)가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고, 상면 후측에는 양단이 고정 설치되어 물품의 낙하를 방지는 안전대(13)가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다단으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과;
    양단에 고정공(23)이 마련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의 나사축부(11) 및 연결축부(12)에 크로스형태로 교차되게 연결되고, 교차하는 중간에는 힌지축(H)이 결합으로서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을 다단으로 절첩하거나 펼쳐 지지하는 구조로, 상기 힌지축(H)을 기준으로 폭 방향에는 제1장공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장공부(21)의 반대측 폭 방향에는 나사축부(11)를 안내하는 제2장공부(22)가 형성되며, 제2장공부(22)의 일측에는 고정공(23)이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선반을 연결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A,20B)과;
    일측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과 교차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제2지지프레임(20B)의 고정공(23)과 각각 일치되어 연결되기 위한 지지공(32)이 형성되고, 반대측 타단에는 환봉형의 행거걸이대(31)가 연결 설치되는 연결프레임(30)과;
    상기 제1선반(10A)의 나사축부(11)에 관통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의 고정공(23)과 일치되는 지지공(41)이 형성되고, 제1지지프레임(20A)과 제1선반(10A)의 측면 사이에서 제2지지프레임(20B)과 제1선반(10A)사이의 두께차이를 보상하는 제1스페이스편(40)과;
    상기 제3선반(10C)의 연결축부(12)에 설치되어 제1지지프레임(20A)과 제3선반(10C)의 측면 사이에서 제2지지프레임(20B)과 제3선반(10C) 사이의 두께차이를 보상하는 제2스페이스편(50)과;
    상기 제1 내지 3선반(10A, 10B, 10C)의 나사축부(11)에 체결되는 선반고정부재(60)와;
    일측은 상기 연결프레임(30)의 지지공(32)과 제2지지프레임(20B)의 고정공(23)에 일단이 삽입되거나 제1지지프레임(20A)의 고정공(23) 및 제1스페이스편(40)의 지지공(41)에 삽입되어 상기 선반고정부재(60)의 회전을 방지하는 풀림방지구(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20A)의 제1장공부(21)에는 접시를 세워 제2 및 제3선반(10B,10C) 상면에 받쳐 보관하도록 일방향으로 슬릿홈(81)이 등간격지게 형성된 디쉬랙(dish rack) 플레이트(8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고정부재(60)는 회전식 노브 형태로, 그 중앙에는 나사축부(11)에 체결되는 나사체결공(61)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는 상기 풀림방지구(70)의 일부가 안내되어 걸려지는 요철부(62)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구(70)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A)의 고정공(23), 제1스페이스편(40)의 지지공(41), 연결프레임(30)의 지지공(32)에 삽입고정되는 일자형의 핀 형상이거나 또는 환봉을 ㄷ자형태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선반(10A,10B)의 전면에는 제1 및 제2행거걸이대(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측의 나사축부(11)가 생략되고, 상기 선반고정부재(60)는 제1지지프레임(20A) 및 제2지지프레임(20B)의 제2장공부(22)를 통해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의 측부를 지지하는 퀵 릴리즈 레버로서, 제1 내지 제3선반(10A, 10B, 10C)의 측부에 체결 설치되어 고정 및 풀림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KR2020150005380U 2015-08-11 2015-08-11 접이식 선반 KR200482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80U KR200482523Y1 (ko) 2015-08-11 2015-08-11 접이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80U KR200482523Y1 (ko) 2015-08-11 2015-08-11 접이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293U KR20150003293U (ko) 2015-09-02
KR200482523Y1 true KR200482523Y1 (ko) 2017-02-07

Family

ID=5434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380U KR200482523Y1 (ko) 2015-08-11 2015-08-11 접이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5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215A (ko) 2020-07-30 2022-02-08 박갑석 캠핑용 트레일러의 외부선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147Y1 (ko) 2004-10-20 2005-01-15 양경호 상하 절첩 및 경사 설치식 물품 전시대
KR200472629Y1 (ko) 2013-04-12 2014-05-13 김인욱 수납장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1794Y2 (ko) * 1979-12-14 1981-12-03
US7597205B2 (en) * 2006-09-27 2009-10-06 Gina Shepard-Vagedes Collapsible foldable clothes r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147Y1 (ko) 2004-10-20 2005-01-15 양경호 상하 절첩 및 경사 설치식 물품 전시대
KR200472629Y1 (ko) 2013-04-12 2014-05-13 김인욱 수납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215A (ko) 2020-07-30 2022-02-08 박갑석 캠핑용 트레일러의 외부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293U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205B1 (en) Folding table
US5622415A (en) Portable wardrobe frame
US2937758A (en) Holder for clothing and like
US8960458B1 (en) Storage apparatus
US9371952B2 (en) Portable organizer system
WO2013091360A1 (zh) 一种组合柜
US20030024444A1 (en) Folding work station
US20150129518A1 (en) Storage rack
US9901169B1 (en) One piece collapsible shelving unit
KR101613689B1 (ko) 접이식 선반
US6269987B1 (en) Folding assembly
US1394947A (en) Pan-rack
KR200482523Y1 (ko) 접이식 선반
KR200460213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자유낙하 방지장치
EP1182949B1 (en) Collapsible cart whith shelf
KR102187651B1 (ko) 설치가 편리한 수납부를 갖는 조립식 행거
US1700924A (en) Sewing cabinet
CN212014913U (zh) 一种不锈钢、板材拼装式置物架
KR20100088721A (ko) 상품진열대
CN204363360U (zh) 收纳柜
KR200410658Y1 (ko) 가변 접철식 진열대
US3217669A (en) Valet rack
US2338968A (en) Display stand
US20170215691A1 (en) Utility rack
US8016127B1 (en) Device for storage of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