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57Y1 -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57Y1
KR200482357Y1 KR2020150004187U KR20150004187U KR200482357Y1 KR 200482357 Y1 KR200482357 Y1 KR 200482357Y1 KR 2020150004187 U KR2020150004187 U KR 2020150004187U KR 20150004187 U KR20150004187 U KR 20150004187U KR 200482357 Y1 KR200482357 Y1 KR 200482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ght
light fixture
fixing
present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021U (ko
Inventor
신승호
Original Assignee
신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호 filed Critical 신승호
Priority to KR2020150004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5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0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21K2/06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using chemilumin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미컬라이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적으로 케미컬라이트를 낚싯줄에 수월하게 고정 또는 탈락시킬 수 있는 케미컬라이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미컬라이트 고정구{Chemical Light Fixture}
본 고안은 케미컬라이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적으로 케미컬라이트를 낚싯줄에 수월하게 고정 또는 탈락시킬 수 있는 케미컬라이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야간에 낚시 등을 할 때에 찌의 움직임이나 바늘의 위치 등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케미컬라이트(케미라이트)가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케미컬라이트는 내부에 채워진 화학물질이 반응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된 것으로서, 가격이 저렴하며, 가벼울 뿐만 아니라,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케미컬라이트를 낚싯줄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케미컬라이트를 낚싯줄에 고정하거나, 케미컬라이트 자체에 고정구를 형성하여 낚싯줄에 고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에 기재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케미컬라이트를 낚싯줄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은 낚시용 찌에 구비되는 고무 재질의 홀더 등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40133호("낚시찌용 캐미라이트 장착구", 1999.11.25.)에 제시되었다.
상기에 기재된 장착구 및 일반적인 케미컬라이트 홀더를 이용하여 케미컬라이트를 낚싯줄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고정되는 위치의 한정이 있으며, 케미컬라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홀더를 항상 부착시켜놓아야 하거나, 낚싯줄 일단을 잘라 홀더를 낚싯줄로부터 탈락시킨 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에 기재된 케미컬라이트 자체에 고정구를 형성하여 낚싯줄에 고정하는 방법은 고정구의 구비가 따로 필요하지 않아,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고정구의 구비를 위한 제조비용의 증가 및 낚싯줄에서 탈락시키기 위해서는 낚싯줄 일단을 잘라 낚싯줄로부터 케미컬라이트를 탈락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는 케미컬라이트의 사용 범위가 확대되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군인 등이 행군을 할 때 앞서가는 선발자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케미컬라이트를 군장에 고정시키면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에 기재된 홀더 또는 케미컬라이트 자체에 구비된 고정구로 군장 등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관통을 위해 묶여지지 않은 일단이 개방된 끈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고정 또는 탈락을 위해 끈의 일단을 풀거나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케미컬라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또는 케미컬라이트 자체에 구비되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케미컬라이트를 고정하는 방법은 고정 또는 탈락에 의한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가능한 범위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40133호("낚시찌용 캐미라이트 장착구", 1999.11.25.)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낚싯줄에 등에 케미컬라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있어서, 낚싯줄 등에 고정 또는 탈락이 간편하여 번거롭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길이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는 상기 몸체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인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원주방향 양단에 상기 연통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는 상기 몸체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홈인 제어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는 측면에서 케미컬라이트를 낚싯줄에 고정 또는 탈락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에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는 추 등을 고정할 수 있는 제어홈을 더 포함함으로써, 고정되는 추의 무게에 따라 케미컬라이트의 부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는 낚싯줄을 포함하는 여러 용도의 줄에 케미컬라이트를 반복적으로 쉽게 고정 또는 탈락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는 다양한 형상의 케미컬라이트를 수월하게 고정 또는 탈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에 케미컬라이트가 고정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에 케미컬라이트가 고정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는 낚싯줄을 포함하는 줄 등에 케미컬라이트(1)를 고정하기 위한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0)와 고정부(200), 연통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몸체(100) 길이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케미컬라이트(1)를 고정하기 위한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에 기재된 길이방향은 원통형의 높이방향을 말하며,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는 케미컬라이트(1)가 상기 고정부(200)의 중공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통부(300)는 상기 고정부(200)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100)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몸체(100)는 상기 연통부(300)에 의해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는 케미컬라이트(1)가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의 고정부(200)에 고정될 때, 상기 연통부(300)에 의해 상기 몸체(100)가 벌어짐으로써, 상기 고정부(200)에 캐미라이트(1)의 고정 또는 탈락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의 몸체(100)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권장된다.
즉, 상기 몸체(100)의 고정부(200)는 케미컬라이트(1)의 안착 및 단단한 고정을 위해 케미컬라이트(1)의 직경과 같거나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권장되므로, 상기 몸체(100)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케미컬라이트(1)를 삽입하여 고정 시, 수월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 후에도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인하여, 상기 몸체(100)가 케미컬라이트(1)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의 재질은 탄성에 의해 낚싯줄 등에 고정 또는 탈락이 쉽다면, 상기에 기재된 합성수지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는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100)와 연통부(300)를 포함함으로써, 케미컬라이트(1)를 줄로부터의 고정 또는 탈락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낚시를 위한 낚싯줄에 고정 또는 탈락 및 군장, 학생용 가방, 자전거 등 다양한 범위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다양한 형상의 케미컬라이트(1)를 수월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규격으로 형성되는 케미컬라이트(1)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의 케미컬라이트 고정구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인 고정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400)은 상기 몸체(100)의 고정부(200)에 케미컬라이트(1)를 고정할 시, 낚싯줄 또는 가방의 끈 등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상기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에 케미컬라이트(1)를 고정할 때에, 줄과 케미컬라이트(1)와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케미컬라이트(1)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 양단에 상기 연통부(2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110)는 상기 몸체(100)의 두께 및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권장되며, 상기 고정돌기(110)는 상기 케미컬라이트(1)가 상기 몸체(100)의 고정부(200)로부터 연통부(300)를 통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홈인 제어홈(50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홈(500)은 원통형 형상의 추 등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상기 제어홈(500)에 구비되는 추의 무게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의 부력을 제어함으로써, 케미컬라이트(1) 및 케미컬라이트(1)가 고정된 낚시찌 등의 가라앉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를 이용하여 케미컬라이트가 고정된 낚싯대를 이용하여 낚시를 할 경우, 잡고자 하는 해양생물의 습성 등을 고려하여 추의 무게를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낚시를 수행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에 케미컬라이트(1)가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400)에 의해 낚싯줄 등의 줄과 케미컬라이트(1)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케미컬라이트(1)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통부(300)와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100)로 인하여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의 케미컬라이트(1)의 삽입과 고정 및 탈락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1000 : 본 고안에 따른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100 : 몸체
110 : 고정돌기
200 : 고정부
300 : 연통부
400 : 고정홈
500 : 제어홈
1 : 케미컬라이트

Claims (5)

  1.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 길이방향으로 중공되어 형성되는 고정부(200);
    상기 고정부(200)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100)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연통부(300); 및
    상기 몸체(100)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홈인 제어홈(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는
    상기 몸체(100)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인 고정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원주방향 양단에 상기 연통부(30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컬라이트 고정구(1000)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KR2020150004187U 2015-06-23 2015-06-23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KR200482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187U KR200482357Y1 (ko) 2015-06-23 2015-06-23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187U KR200482357Y1 (ko) 2015-06-23 2015-06-23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21U KR20170000021U (ko) 2017-01-02
KR200482357Y1 true KR200482357Y1 (ko) 2017-01-23

Family

ID=5779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187U KR200482357Y1 (ko) 2015-06-23 2015-06-23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57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063Y1 (ko) * 1994-01-28 1996-08-19 가부시키가이샤 츠리겡 낚시찌의 봉형상의 발광체 부착구
KR20010028070A (ko) 1999-09-17 2001-04-06 김종수 단일/다중 에뮬레이팅 장치
KR20130002949U (ko) * 2011-11-09 2013-05-20 박동기 게시물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21U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4913A (en) Lighted bobber for a fishing line
ATE460193T1 (de) Behälter für einen automatischen injektor mit zugehörigem automatischem injektor
JP6353526B2 (ja) 釣り用おもりアセンブリー
US20080184853A1 (en) Screw Positioning Sleeve Assembly
ATE391522T1 (de) Lanzetten betreffende verbesserungen
US20160269818A1 (en) Magnetic clip
ATE482436T1 (de) Zweifachkommunikations-anhängeranordnung mit einem einsatz in einer basis
USD880019S1 (en) LED light tube
TW200420245A (en) Cord stopper
US20100165612A1 (en) Flashlight
KR200484959Y1 (ko) 발광형 인조미끼
GB2592295A (en) Resin-based male chastity device utilizing anti-pullouts and multiple overmolded synthetic regions and coverings
BR102015001780A2 (pt) prensa-cabo
EA201591372A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компонент, снабженный захватным элементом
KR200482357Y1 (ko) 케미컬라이트 고정구
ATE403457T1 (de) Spritze mit einem eine integrale ringförmige rippe aufweisenden halteelement
WO2004013497A3 (en) Device for holding a piece in a bore
MX167385B (es) Ensamble y metodo de ensamle de un instrumento para escribir
KR200478824Y1 (ko) 튜브형 인조미끼
WO2020049099A3 (en) Sensor housing and spacer carrying the sensor housing
KR970019847A (ko) 낚싯대용 도사환
US2364581A (en) Rattle
US2336732A (en) Electrode holder and connector
JP2012029621A (ja) ルアー
KR920006719A (ko) 다기능화 경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