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31Y1 - Foldable stroller having handle structure for carrier - Google Patents

Foldable stroller having handle structure for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231Y1
KR200482231Y1 KR2020160003414U KR20160003414U KR200482231Y1 KR 200482231 Y1 KR200482231 Y1 KR 200482231Y1 KR 2020160003414 U KR2020160003414 U KR 2020160003414U KR 20160003414 U KR20160003414 U KR 20160003414U KR 200482231 Y1 KR200482231 Y1 KR 200482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handle
ro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41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쭈쭈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쭈쭈베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쭈쭈베베
Priority to KR2020160003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3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3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6Handle bars; Handles with two separate bars, i.e. not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를 태우지 않아 접어서 운반시 시트부에 설치된 운반용 핸들을 이용하여 캐리어 타입으로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having a carrying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having a carrying handle for folding the carrying case so as to be able to be carried in a carrier type using a carrying handle provided on a seat portion.

Description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Foldable stroller having handle structure for carri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stroller having a handle,

본 고안은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유아를 태우지 않아 접어서 운반시 시트부에 설치된 운반용 핸들을 이용하여 캐리어 타입으로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having a carrying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having a carrying handle for folding the carrying case so that the carrying handle can be transported using a carrying handle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유모차는 보호자가 영유아를 태워 밀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시트부, 등받이부, 헤드부 및 운행용 핸들을 본체로 하며 그 저부에 설치된 휠에 의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roller is constructed so that a caregiver can carry the infant and carry it. The stroller has an ergonomically designed seat portion, a backrest portion, a head portion, and a steering wheel as a main body.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타입의 접이식 유모차가 제공되고 있다. 접이식 유모차는 댁내에 보관하거나 실외에서 유아를 태우지 않는 상황이 발생시 시트부, 등받이부, 헤드부 및 운행용 핸들 접어 부피를 최소화하고 운반을 쉽게 한다.Meanwhile,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folding strollers have been provided. Folding strollers minimize the volume of the folded seat, backrest, headrest and steering wheel handle and make it easy to carry when the stroller is kept at home or out of the reach of children.

이러한 접이식 유모차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4571호, 한국공개특허 제2011-0069767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0550747호 등을 통해 다수 공지되어 있으며 다양한 구조의 프레임 및 조인트를 채택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접을 수 있게 한다.Such foldable strollers are well known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114571,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69767, and Korean Patent No. 10-0550747, and various frames and joints are adopted, Collapsible.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4571호는 접이식 유모차(1)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프레임 조립체(6, 8)에 시트(2, 4)를 설치하고, 회동점(A, B)을 기준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114571 discloses a method of installing folding stroller 1 on sheets 2 and 4 on a plurality of frame assemblies 6 and 8, , B) as a reference.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유모차를 접어 보관할 수는 있지만 유모차를 접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운반하는 수단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즉, 유모차를 접은 상태에서 이를 잡고 편리하고 밀어 운반하는 수단이 없다.However, the conventional art described above can fold and store the stroller, but does not provide a means for conveniently carrying the stroller in a folded state. In other words, there is no convenient means to hold the baby carriage in a folded state and push and carry it.

특히, 원래부터 유모차의 상단부에는 유모차를 밀기 위한 용도로 운행용 핸들이 있지만, 유모차를 접힌 상태에서의 운행용 핸들은 그 위치 및 길이가 적절하지 못하므로 불가피하게 유모차를 들어서 운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particular, although there is a steering handle for pushing the stroller from the upper end of the stroller from the beginning, there is inconvenience that the stroller inevitably has to be picked up and carried because the position and length of the steering handle are not appropriate have.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4571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114571 한국공개특허 제2011-0069767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069767 한국등록특허 제10-0550747호Korea Patent No. 10-0550747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를 태우지 않아 접어서 보관시 시트부에 설치된 운반용 핸들을 이용하여 캐리어 타입으로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able baby stroller having a carrying handle for folding a baby without carrying a child to carry it in a carrier type using a carrying handle provided on a seat portion when the foldable baby carriage is stored.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는 유아가 착석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유아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부와; 유모차를 미는데 사용되는 운행용 핸들과; 상기 시트부, 등받이부, 헤드부 및 운행 핸들을 지지하되, 상기 시트부, 등받이부 및 헤드부를 접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프레임 및 조인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프레임부와; 상기 조립식 프레임부의 하단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전방 휠과 후방 휠; 및 상기 시트부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조립식 프레임부를 접어 보관시 상기 시트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운반용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folding type baby carriage provided with the delivery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at portion in which the infant is seated; A back portion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seat portion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infant; A hea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to support a head of the infant; A steering handle used to push the stroller; A prefabricated frame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at portion, the backrest portion, the head portion, and the operating handl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and joints for folding the seat portio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provided respectively in front and rear of a lower end portion of the assembled frame portion; And a transportation handle fixedl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nd protruding forward of the seat portion when the prefabricated frame portion is folded and stored.

이때, 상기 운반용 핸들은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며 상기 시트부의 저면에 고정되는 조립봉;을 포함하되, 상기 조립봉은 다수개의 봉으로 구성되되, 하나의 봉이 인접 연결된 다른 하나의 봉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다단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조립봉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ransportation handle includes a handle portion; And an assembly rod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and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portion, wherein the assembly rod is formed of a plurality of rods, and one rod is inserted or drawn into another rod connected to the adjacent rods, It is desirable to have a multi-stage assembly seam.

또한, 상기 시트부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양측의 시트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운반용 핸들의 조립봉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at frame provided at both side ends of the seat portion; A support frame installed across the seat portion and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seat frames on both sides; And a fixing bracket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the mounting bracket being fitted and fixed to the assembly handle of the transportation handle.

또한, 상기 시트부는 제1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의 전방에 연결된 제2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연결된 시트용 회전 조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유모차를 조립시 상기 시트용 회전 조인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외측으로 회동하여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ee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heet; A second sheet connected in front of the first sheet; And a seat rotatable joint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eat and the second seat, wherein the second seat rotates and folds outward with the rotation joint for the seat as a rotation axis when the baby carriage is assembled.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유아를 태우지 않을 때는 유모차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시트부에 운반용 핸들이 설치되어 있어서 전후방 휠과 함께 유모차를 마치 여행용 캐리어처럼 운반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troller to be folded and stored when the baby is not to be burned. Particularly, the carrying handle is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so that the stroller can be carried like a traveling carrier together with the front and rear wheel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유모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를 나타낸 제1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를 나타낸 제2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를 나타낸 제3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를 나타낸 제4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의 운반용 핸들을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의 다단식 조립봉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의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의 이중 조립봉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roll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is a first state view showing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having a delivery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ond state view showing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having a delivery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third state diagram showing a folding baby carriage with a carry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ourth state diagram showing a folding baby carriage with a delivery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installation view showing a handle of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having a delivery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multi-stage assembly rod of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having a delivery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of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having a carry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double assembly rod of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having a delivery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foldable baby carriage with a carrying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의 접힘 상태를 순차로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사용 상태 즉, 유모차를 펼친 상태이고 도 5는 보관을 위해 유모차를 접은 상태이다.2 to 5 illustrate a folding state of a folding type baby carriage with a carrying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IG. 2 shows a used state, that is, a stroller is opened. The stroller has been folded for.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는 시트부(110), 등받이부(120), 헤드부(130), 운행용 핸들(140), 조립식 프레임부(150), 전방 휠(W-F), 후방 휠(W-B) 및 운반용 핸들(16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olding type baby carriage having the transportation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portion 110, a backrest portion 120, a head portion 130, a steering handle 140, a prefabricated frame portion 150, A wheel WF, a rear wheel WB, and a delivery handle 160. [

여기서, 시트부(110)는 유아가 착석하는 좌석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시트 형상의 외피 내부에 각종의 쿠션 재질이 삽입되어 구성된다.Here, the seat portion 110 serves as a seating seat for an infant, and is preferably constructed by inserting various kinds of cushion materials into a sheet-like outer shell.

등받이부(120)는 시트부(110)의 후방에 연결되며 유아의 등을 받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등받이 형상의 외피 내부에 각종의 쿠션 재질이 삽입되어 구성된다.The backrest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seat part 110 and serves to support the back of the infant, and is constructed by inserting various cushion materials into the inside of the backrest-like shell.

헤드부(130)는 등받이부(1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머리 지지부 형상의 외피 내부에 각종의 쿠션 재질이 삽입되어 구성된다.The head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part 120 to support the head of the infant, and is constructed by inserting various cushion materials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shape of the head supporting part.

운행용 핸들(140)은 유모차를 미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유모차를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유아를 태우고 보호자가 뒤에서 미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운행용 핸들(140)은 통상 헤드부(130)의 후방측에 연결 설치된다.The operating handle 140 is used to push the baby carriage, and serves as a knob for carrying the baby in a state in which the baby carriage is fully opened and pushing the baby from behind. The operating handle 140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head unit 130.

조립식 프레임부(150)는 시트부(110), 등받이부(120), 헤드부(130) 및 운행용 핸들(140)을 지지하는 것으로, 특히 시트부(110), 등받이부(120) 및 헤드부(130)를 접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프레임 및 조인트로 구성된다.The assembled frame part 150 supports the seat part 110, the backrest part 120, the head part 130 and the operating handle 140. The assembled frame part 150 supports the seat part 110, the backrest part 120, And a plurality of frames and joints for folding the unit 130.

이러한 조립식 프레임부(150)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다양한 구조의 프레임 및 조인트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하측의 시트부(110) 및 상측의 헤드부(130)에 연결되여 유모차를 지지한다.The prefabricated frame part 150 itself is well known and can be constructed by combining frames and joints of various structures. For example, the prefabricated frame part 150 is connected to the lower seat part 110 and the upper head part 130, .

또한, 본 고안과 같은 운반용 핸들(160)이 적용되는 접이식 유모차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시트부(110), 등받이부(120) 및 헤드부(130)가 모두 접히는 접이식 유모차가 바람직하다.The foldable baby carriage to which the handle 160 is appli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foldable baby carriage in which the seat portion 110, the backrest portion 120, and the head portion 130 are all folded is preferable.

이를 가능하도록 본 고안의 조립식 프레임부(150)는 하부 프레임(151) 및 상부 프레임(152)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151) 및 상부 프레임(152)은 유모차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prefabricated frame par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151 and an upper frame 152. The lower frame 151 and the upper frame 15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by carriage and are formed as a pair.

또한, 하부 프레임(151)의 상단부와 상부 프레임(152)의 하단부는 제1 조인트(153)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아울러 하부 프레임(151)은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2개의 서브 프레임은 제2 조인트(15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The upper end of the lower frame 151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152 are assembled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by the first joint 153. In addition, the lower frame 151 is composed of two subframes, and the two subframes are assembled to be rotatable by the second joint 154.

이때 제1 조인트(153)는 1개소에서 회동이 이루어지고, 제2 조인트(154)는 당해 조인트의 양측부 2개소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므로 2개의 서브 프레임이 제2 조인트(154)의 양측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된다.At this time, the first joint 153 is rotated at one place, and the second joint 154 is rotated at two places on both sides of the joint, so that two sub fram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joint 154 And is independently rotated.

또한, 제2 조인트(154)는 대략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양측단에는 하부 프레임(151)을 구성하는 2개의 서브 프레임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측의 서브 프레임에는 전방 휠(W-F)이 설치된다.The second joint 15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 shape so that two subframes constituting the lower frame 151 are rotatably assembl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joint 154, A front wheel WF is installed.

또한, 'T'자 형상의 제2 조인트(154) 중 분기측에는 후방 휠 프레임(155)이 끼워져 조립되고, 후방 휠 프레임(155)의 하단에는 후방 휠(W-B)이 설치된다. 후방 휠 프레임(155)에는 보조 프레임(155a)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보조 프레임(155a)의 상단은 제1 조인트(153)에 연결된다.Further, a rear wheel frame 155 is fitted and assembled on the branch side of the 'T' shaped second joint 154, and a rear wheel W-B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rear wheel frame 155. An auxiliary frame 155a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ear wheel frame 155 and an upper end of the auxiliary frame 155a is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153. [

또한, 상술한 시트부(110)는 제1 시트(도 6의 S1 참조) 및 상기 제1 시트(S1)의 전방에 연속하여 연결된 제2 시트(도 6의 S2 참조)를 포함하고, 시트부(110)를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111, 112)은 제1 시트 프레임(111) 및 제2 시트 프레임(112)을 포함한다.The sheet portion 110 includes the first sheet (see S1 in Fig. 6) and the second sheet (see S2 in Fig. 6) connected in series to the front of the first sheet S1, The seat frames 111 and 112 supporting the seat frame 110 include a first seat frame 111 and a second seat frame 112. [

상기한 제1 시트 프레임(111)은 제1 시트(S1)를 지지하고, 제2 시트 프레임(112)은 제2 시트(S2)를 지지하며, 제1 시트 프레임(111) 및 제2 시트 프레임(112)은 시트용 회전 조인트(113)에 의해 연결된다.The first sheet frame 111 supports the first sheet S1 while the second sheet frame 112 supports the second sheet S2 and the first sheet frame 111 and the second sheet frame 111 support the first sheet S1, (112) is connected by a rotational joint (113) for a seat.

따라서, 제2 시트(S2)는 유모차를 조립시 시트용 회전 조인트(113)를 회동축으로 하여 외측으로 회동하여 접히게 되며, 그로 인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운반용 핸들(160)의 사용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킨다.Accordingly, the second seat S2 is folded outwardly with the rotation joint 113 for the seat as a pivot shaft during the assembly of the stroller, so that the ease of use of the transportation handle 160 is improved as described later .

다만, 이때 제1 시트 프레임(111)에는 후크 형상의 보조 시트 프레임(111a)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 시트 프레임(111a)의 일단은 제1 시트 프레임(11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은 하부 프레임(15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At this time, the first seat frame 111 may further include a hook-shaped auxiliary seat frame 111a. One end of the auxiliary seat frame 111a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seat frame 111,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lower frame 151.

따라서, 도 2와 같이 유모차를 완전히 펼쳐 사용하던 중 유모차를 접는 경우에는 유모차를 살짝 세워 하부 프레임(151), 상부 프레임(152) 및 보조 프레임(155a)을 거의 수직하게 세운다.Therefore, when the baby carriage is folded while the baby carriage is completely opened and used as shown in FIG. 2, the baby carriage is slightly raised to stand the lower frame 151, the upper frame 152 and the auxiliary frame 155a almost vertically.

그 후 도 3과 같이 제1 조인트(153)를 기준으로 상부 프레임(152)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접고, 제2 조인트(154)의 상측에 연결된 하부 프레임(151)을 수평하게 접어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이 되게 한다.3, the upper frame 152 is folded upward by the first joint 153 as a reference, and the lower frame 151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joint 154 is folded horizontally to form 'L' Shape.

계속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인트(153)에 연결된 상부 프레임(152) 및 제2 조인트(154)에 연결된 하부 프레임(151)을 같은 방향으로 힘을 주어 더 접고, 최종적으로는 도 5와 같이 시트부(110), 등받이부(120) 및 헤드부(130)가 서로 포개지도록 접는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 the upper frame 152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153 and the lower frame 151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154 are further folded in the same direction by force, and finally, 5, the seat portion 110, the backrest portion 120, and the head portion 130 are fold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또한 제1 시트(S1) 및 제2 시트(S2)로 구성된 시트부(110) 중 전방에 구비된 제2 시트(S2)는 시트용 회전 조인트(113)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접어, 시트부(110)의 저면에 설치된 운반용 핸들(160)이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유모차를 접는 과정을 완료한다.The second sheet S2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sheet portions 110 constituted by the first sheet S1 and the second sheet S2 is folded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eat rotary joint 113, 1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completing the folding process of the stroller.

한편, 운반용 핸들(160)은 이상과 같이 접어진 유모차를 보관 또는 운반시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유모차를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때 보호자 등이 운반용 핸들(160)을 잡고 유모차를 마치 여행용 캐리어처럼 끌고 갈 수 있게 한다.The carrying handle 160 is used for storing or transporting the folded baby stroller, and in particular, when the baby carriage is moved over a certain distance, the carrier or the like can hold the carrying handle 160 and drag the stroller like a traveling carrier do.

즉, 유모차를 접음에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 운반용 핸들(160)을 손잡이로 이용하고, 유모차를 접음에 따라 하단에 위치하는 전방 휠(W-F) 및/또는 후방 휠(W-B)을 운반용 바퀴로 사용하여 쉽게 끌고 갈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baby carriage is folded, the front wheel WF and / or the rear wheel WB, which ar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baby carriage, are used as the carrying wheels 160, It is easy to drag and use.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용 핸들(160)은 시트부(11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조립식 프레임부(150)를 접어 보관시 시트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갖는다.6, the transportation handle 16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art 110 and has a length protruding forward of the seat part 110 when folding and holding the assembling frame part 150 .

도 7을 통해 좀더 상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운반용 핸들(160)은 일 예로 손잡이부(161) 및 상기 손잡이부(161)에 연결되며 시트부(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조립봉(162)을 포함한다. 7, the carrying handle 160 includes a handle portion 161 and an assembly rod 162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161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10, .

특히, 조립봉(162)은 다수개의 봉(162a 내지 162c)으로 구성되되, 하나의 봉이 인접 연결된 다른 하나의 봉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다단(예: 3단)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조립봉(162)인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assembly rod 16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ds 162a to 162c, and one rod is inserted into or drawn out from another rod connected to the adjacent rods so that the length of the assembly rod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162).

예컨대, 조립봉(162)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봉(162a 내지 162c)은 그 직경이 서로 다른 것을 적용하되, 하나의 봉은 그 하단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그에 결합되는 다른 봉은 상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rods 162a to 162c constituting the assembly rod 162 are different in diameter from each other. One rod has a locking projection at a lower end thereof, and the other rod coupled to the rod has a locking protrusion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또한 본 고안은 운반용 핸들(16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63)을 더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63)은 다수개(예: 2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은 그 양단부가 시트부(110)의 양측부에 구비된 시트 프레임(111, 112)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pport frame 163 for installing the transport handle 160.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upporting frames 163 (for example, two)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supporting frames 163 is connected to the seat frames 111 and 112 provided at both side portions of the seat portion 110.

즉, 지지 프레임(163)은 시트부(110)를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그 양단부가 시트부(110) 양측의 시트 프레임(111, 112)에 연결된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163)이 시트부(110)를 지지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시트부(11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유모차에 타는 유아의 둔부를 하방에서 지지하여 안정적이고 편한 착석감을 제공한다.That is, the support frame 163 is installed across the seat portion 1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163 are connected to the seat frames 111 and 112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110. Accordingly, since the support frame 163 supports the seat portion 110, it prevents sagging of the seat portion 110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and supports the buttocks of the infant riding on the stroller from below to provide a stable and comfortable sitting feeling.

이상과 같이 지지 프레임(163)을 이용하여 운반용 핸들(16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지 프레임(163)의 저면에 운반용 핸들(160)의 조립봉(162)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164)을 설치한다.When the carrier 160 is installed using the support frame 163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bracket 164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63 by fitting the assembly rod 162 of the carrier 160 Install it.

도 8과 같이 고정 브라켓(164)은 일 예로 운반용 핸들(160)의 조립봉(162)이 끼워지도록 중공부를 갖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판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진다.As shown in FIG. 8, the fixing bracket 164 has a fitting portion having a hollow portion for fitting the assembly rod 162 of the carrying handle 160 and an engaging plate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fitting portion, for example, .

따라서, 결합판에 형성된 나사공을 지지 프레임(163)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B)를 체결하여 고정 브라켓(164)을 설치하고, 끼움부에 조립봉(162)을 끼워 운반용 핸들(160)을 설치한다.Therefore, the fixing bracket 164 is fixed by fastening the bolts B in the state where the screw holes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are aligned with the screw hole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63, and the assembly rod 162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The handle 160 is installed.

다만, 도 6 내지 도 8에서는 하나의 손잡이부(161)에 하나의 조립봉(162)가 구비된 운반용 핸들(160)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그 외 도 9와 같이 하나의 손잡이부(161)에 두 개의 조립봉(162)이 있는 것도 적용가능하다.6 to 8, the handle 160 is provided with one assembly rod 162 on one handle 161. However, as shown in FIG. 9, It is also applicable that the two assembly rods 162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두 개의 조립봉(162)이 구비된 경우에는 조립봉(162)이 손잡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의 조립봉(162) 역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조립봉(162)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조립봉(162)을 모두 지지하도록 2개의 고정 브라켓(164) 한 쌍이 하나의 운반용 핸들(160)을 설치하는데 사용된다.When two assembly rods 162 are provided, the assembly rods 162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handle, and each of the assembly rods 162 can be also used with a multi-stage assembly rod 162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Also, a pair of two fixing brackets 164 are used to install one transport handle 160 to support both assembly rods 162.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bu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illustrat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10: 시트부
111: 제1 시트 프레임
112: 제2 시트 프레임
113: 시트용 회전 조인트
120: 등받이부
130: 헤드부
140: 운행용 핸들
150: 조립식 프레임부
160: 운반용 핸들
161: 손잡이부
162: 조절봉
163: 지지 프레임
164: 고정 브라켓
W-F: 전방 휠
W-B: 후방 휠
110: seat portion
111: first sheet frame
112: second sheet frame
113: Rotary joint for seat
120:
130:
140: Operating handle
150: prefabricated frame part
160: Handle for transportation
161: Handle portion
162: adjustable rod
163: Support frame
164: Fixing bracket
WF: Front wheel
WB: rear wheel

Claims (4)

유아가 착석하는 시트부(110)와;
상기 시트부(110)의 후방에 연결되며 유아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120)와;
상기 등받이부(1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부(130)와;
유모차를 미는데 사용되는 운행용 핸들(140)과;
상기 시트부(110), 등받이부(120), 헤드부(130) 및 운행 핸들을 지지하되, 상기 시트부(110), 등받이부(120) 및 헤드부(130)를 접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프레임 및 조인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프레임부(150)와;
상기 조립식 프레임부(150)의 하단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전방 휠(W-F)과 후방 휠(W-B); 및
상기 시트부(11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조립식 프레임부(150)를 접어 보관시 상기 시트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운반용 핸들(160)을 포함하되;
상기 운반용 핸들(160)은,
손잡이부(161); 및 상기 손잡이부(161)에 연결되며 상기 시트부(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조립봉(162);을 포함하되,
상기 조립봉(162)은 다수개의 봉(162a 내지 162c)으로 구성되되, 하나의 봉이 인접 연결된 다른 하나의 봉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다단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조립봉(1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
A seat portion 110 in which the infant seats;
A back part 120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seat part 110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infant;
A head part 130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part 120 to support a head of the infant;
A traveling handle 140 used to push the stroller;
A plurality of frames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seat portion 110, the backrest portion 120, the head portion 130 and the operating handle, and folding the seat portion 110, the backrest portion 120 and the head portion 130, And a joint frame (150);
A front wheel WF and a rear wheel WB provided respectively forward and rearward of a lower end portion of the assembled frame portion 150; And
And a transfer handle (160)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part (110) and protruding forward of the seat part (110) when the assembled frame part (150) is folded and stored.
The delivery handle 160 is,
A grip portion 161; And an assembly rod 162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161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10,
The assembly rod 162 is a multi-stage assembly rod 162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ds 162a to 162c, and one rod is inserted or withdrawn into another rod connected to the adjacent rod to adjust the length in multiple stages. Foldable strollers with carrying handl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11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시트 프레임(111, 112)과;
상기 시트부(110)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양측의 시트 프레임(111, 112)에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163); 및
상기 지지 프레임(163)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운반용 핸들(160)의 조립봉(162)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at frame (111, 112) provided at both side ends of the seat part (110);
A support frame (163) installed across the seat part (110) and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seat frames (111, 112) on both sides; And
And a fixing bracket (164)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63) and fitted and fixed to the assembly rod (162) of the transportation handle (16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110)는,
제1 시트(S1)와;
상기 제1 시트(S1)의 전방에 연결된 제2 시트(S2)와;
상기 제1 시트(S1)를 지지하는 제1 시트 프레임(111)과;
상기 제2 시트(S2)를 지지하는 제2 시트 프레임(112); 및
상기 제1 시트 프레임(111)과 제2 시트 프레임(112)를 연결하는 시트용 회전 조인트(113);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시트(S2)는 상기 유모차를 조립시 상기 시트용 회전 조인트(113)를 회동축으로 하여 외측으로 회동하여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핸들을 구비한 접이식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seat portion (110)
A first sheet S1;
A second sheet S2 connected in front of the first sheet S1;
A first seat frame 111 supporting the first seat S1;
A second seat frame (112) supporting the second seat (S2); And
And a seat rotating joint 113 for connecting the first seat frame 111 and the second seat frame 112,
Wherein the second seat (S2) folds and folds outward with the rotation joint (113) for the seat as a rotation shaft when assembling the baby carriage.
KR2020160003414U 2016-06-17 2016-06-17 Foldable stroller having handle structure for carrier KR20048223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414U KR200482231Y1 (en) 2016-06-17 2016-06-17 Foldable stroller having handle structure for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414U KR200482231Y1 (en) 2016-06-17 2016-06-17 Foldable stroller having handle structure for carr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231Y1 true KR200482231Y1 (en) 2017-01-02

Family

ID=5779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414U KR200482231Y1 (en) 2016-06-17 2016-06-17 Foldable stroller having handle structure for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31Y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50U (en) * 1999-06-24 2001-01-15 김유현 Apt to conveyance baby carriage
KR100550747B1 (en) 2003-02-04 2006-02-08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oldable Baby Carriage
JP2009536596A (en) * 2006-05-15 2009-10-15 ワンダーランド・ナーサリーグッ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Folding baby carriage with spring-assisted folding mechanism
KR20110069767A (en) 2008-07-04 2011-06-23 쥘르 헨리 Foldable stroller
KR20110114571A (en) 2008-12-19 2011-10-19 브리택스 차일드케어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Folding stroller improvements
JP2013224143A (en) * 2007-06-08 2013-10-31 Nuna Internatl Bv Foldable stroll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50U (en) * 1999-06-24 2001-01-15 김유현 Apt to conveyance baby carriage
KR100550747B1 (en) 2003-02-04 2006-02-08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oldable Baby Carriage
JP2009536596A (en) * 2006-05-15 2009-10-15 ワンダーランド・ナーサリーグッ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Folding baby carriage with spring-assisted folding mechanism
JP2013224143A (en) * 2007-06-08 2013-10-31 Nuna Internatl Bv Foldable stroller
KR20110069767A (en) 2008-07-04 2011-06-23 쥘르 헨리 Foldable stroller
KR20110114571A (en) 2008-12-19 2011-10-19 브리택스 차일드케어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Folding stroller improve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3699B1 (en) Foldable stroller
CN101844576B (en) Stroller
US9950730B2 (en) Baby stroller
EP3210870B1 (en) Foldable child's tricycle and folding method thereof
EP3105112B1 (en) A foldable vehicle
JP2023098959A (en) Baby carriage seat and baby carriage device
WO2010075715A1 (en) Bidirectional foldable trolley
US5975559A (en) Urban and all-terrain stroller
US7510208B1 (en) Stroller pack
KR101877557B1 (en) Folding wagon
KR200482231Y1 (en) Foldable stroller having handle structure for carrier
CN110733551A (en) Children's barrow
CN215904571U (en) Reversing cart
KR101923732B1 (en) Folding wagon
CN110001845A (en) Foldable tricycle
CN114104069A (en) Double children's barrow
JP6923930B2 (en) baby carriage
CN210437249U (en) Folding frame and baby carriage
US800471A (en) Perambulator.
CN210760937U (en) Seat-adjustable double-seat folding trolley
CN213534816U (en) Children's barrow
KR101806067B1 (en) Stroller folded into one axis
JP2020019366A (en) Baby carriage and seat
JPH0459907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